KR20080058856A -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8856A KR20080058856A KR1020060133014A KR20060133014A KR20080058856A KR 20080058856 A KR20080058856 A KR 20080058856A KR 1020060133014 A KR1020060133014 A KR 1020060133014A KR 20060133014 A KR20060133014 A KR 20060133014A KR 20080058856 A KR20080058856 A KR 200800588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box
- robot cleaner
- foreign mat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로봇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robot cleaner.
도 2는 도 1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박스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박스와 필터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5 and 6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box and the filte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필터부의 조립사시도.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집진박스 11 : 제 1유로부10: dust box 11: the first euro part
11a : 유입구 11b : 제 1함몰부11a:
12 : 제 2유로부 12b : 제 2함몰부12:
13 : 차단플레이트 14 : 단턱13: blocking plate 14: step
20 : 필터부 21 : 필터20: filter portion 21: filter
22 : 필터케이스 30 : 흡입덕트 어셈블리22: filter case 30: suction duct assembly
31 : 흡입모터 32 : 흡입덕트31: suction motor 32: suction duct
40 : 가이드부재 50 : 연장부재40: guide member 50: extension member
100 : 흡진부 110 : 브러쉬100: reducer 110: brush
111 : 브러쉬모 120 : 브러쉬 모터111 brush head 120 brush motor
200 : 브러쉬 어셈블리 200: Brush Assembly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먼지 또는 이물질 흡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를 분리 구획하도록 차단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집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함몰부 및 제 2함몰부의 공간을 보다 증대 형성시킴에 따라 유입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안정적으로 집진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집진박스가 로봇청소기 저면에 노출됨에 따라 집진박스 탈착시에 로봇청소기에 누설되는 먼지가 발생되지 않아 로봇청소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의 흡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or foreign material suction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he first recessed part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to form a space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formed to separate and partition the first flow path part and the second flow path part. As the space of the recess is further increased, the dust or foreign matter that is introduced can be stably collected and removed, and since the dust box is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no dust is leaked to the robot cleaner when the dust box is removed. It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ssembly of the robot cleaner that can maintain the clean state of the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직접 제어 없이 내장된 센서의 감지에 따라 실내를 청소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장애물 검출센서 및 주행거리 및 위치 등을 측정하는 주행거리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결정한 다음, 결정된 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경로를 계획하며, 청소과정에서 바퀴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주행거리 및 현재 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한다.In general, the robot cleaner cleans the room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built-in sensor without direct control of a user.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consisting of an infrared sens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mileage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a mileage and a position are generally used. After determining the area to be cleaned by driving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rea surrounded by walls or obstacles, plan a cleaning path for cleaning the determined cleaning area, and through the sensor to detect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during the cleaning process. Drive the planned cleaning route while calculating the travel distance and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etected signal.
상기한 바와 같은 로봇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먼지 흡입구 및 회전 브러쉬 등을 포함한 흡진부와, 장애물 검출센서 및 주행거리 및 위치 등을 측정하는 주행거리 검출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양측의 구동 롤러 및 전후면의 방향전환 롤러로 이루어진 구동부 및 상기 흡진부 및 센서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Robotic cleaners as described above typically include a suction unit including a dust suction port, a rotary brush, and the like, a sensor unit including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a mileage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a mileage, a position, and the like, a driving roller on both sides, and a front and rea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he suction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driving unit, each of which includes a surface turning roller.
도 1은 일반적인 로봇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robot clean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는 실내의 청소과정에서 벽이나 장애물의 신속한 회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청소과정에서 원활한 방향전환을 위해 원반형상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obot cleaner is configured in a disk shape for smooth avoidance of walls or obstacles during the indoor cleaning process, and for smooth change of directio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1)는 하부 양측에 구동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한 양측의 구동 롤러로부터 직교하는 전후면 하부에 방향전환 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한 구동 롤러의 정역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고, 방향전환 롤러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한 구동 롤러 및 방향전환 롤러의 조합에 의해 진행방향을 전환하면서 집진박스의 전방에 구비된 회전 브러쉬의 회전력과 부압에 의해 먼지 및 이물질이 집진박스에 침진되게 되어 실내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robot cleaner 1 is provided with driving rollers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and is provided with a turning roller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rthogonal to the driving rollers on both sides, there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And left and right movement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irection change roller, while the moving direction is chang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direction change roller as described above. It is settled in this dust collecting box to enable the cleaning of the room.
이러한 로봇청소기(1)의 먼지 또는 이물질 흡진구조는 브러쉬 어셈블리(2)의 동작에 의해 청소바닥면을 회전 마찰시키고 이에 따라 유동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진부(3)에서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The dust or foreign matter suction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1 is configured to rotate and rub the cleaning bottom surface by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흡진부(3)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일시저장되는 집진박스(4)와 상기 집진박스(4)의 후방부에 연통결합되어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필터부(5) 및 필터부(5)와 연통되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집진박스(4) 및 필터부(5)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덕트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Here, the
여기서 상기 집진박스(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입구(4a)와 제 2유입구(4b)로 형성되어 이중적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나 제 1유입구(4a)로 유입되는 비중이 높은 이물질 및 먼지가 제 2유입구(4b)를 막히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dust collecting box 4 is formed of a first inlet 4a and a
또한 상기 집진박스(4)에 일시저장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착탈할 시에 제 2유입구(4b) 또는 제 1유입구(4a)로 집진된 먼지 등이 누설되기 쉽고 이에 따라 누설된 먼지 등이 로봇청소기 내에 남게 되어 로봇청소기의 청결상태가 불량하게 되고 로봇청소기를 이루는 주요 구성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를 분리 구획하도록 차단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집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함몰부 및 제 2함몰부의 공간을 보다 증대 형성시킴에 따라 유입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안정적으로 집진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집진박스가 로봇청소기 저면에 노출됨에 따라 집진박스 탈착시에 로봇청소기에 누설되는 먼지가 발생되지 않아 로봇청소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의 흡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between the first recessed part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which forms a space in which a blocking plate is formed and separates the first channel part and the second channel part. By increasing and form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introduced can be stably collected and removed, and since the dust box is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no dust is leaked to the robot cleaner when the dust box is remo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cuum assembly of the robot cleaner that can maintain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내장된 센서의 감지에 따라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며 저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 어셈블리가 청소바닥면에 회전 마찰됨에 따라 실내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흡진부에 집진되도록 구성되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상기 흡진부는 브러쉬 어셈블리 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집진박스와; 상기 집진박스 후방에 연통 결합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 결합되어 청소바닥면으로부터 집진박스 내로 먼지 또는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집진박스는 차단플레이트에 의해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로 구획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유로부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안내되어 제 1유로부로 이송 집진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며, 제 2유로부의 하단부에는 브러쉬 어셈블리를 통해 흡입되지 않은 잔여 이물질이 2차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경로를 저면부로 연장시키는 연장부재가 결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un by setting the path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built-in sensor and is configured to collect dust or dirt in the room is disposed in the rear spaced apart from the rear as the brush assembly installed in the bottom portion is rotated friction on the cleaning floor surface In the robot cleaner,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dust collecting box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hind the brush assembly; A filter unit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box; And a suction duct assembly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lter unit and sucks air so that dust or foreign matter can be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box from the cleaning bottom surface, wherein the dust collecting box is formed by the blocking plate. And a second flow path portion, and a guide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so that foreign matter or dust is guided and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the first flow path,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low path is not sucked through the brush assembly. An extension member is coupled to extend the suction path to the bottom so that residual foreign matter can be suctioned secondarily.
여기서 상기 제 1유로부 및 제 2유로부에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집진되도록 각각 일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1함몰부 및 제 2함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함몰부 및 제 2함몰부의 전방부에는 집진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턱이 형성된다.Here, the first channel portion and the second channel portion are formed with a first recessed portion 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respectively form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so that foreign matter or dust is collected,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Steps are formed to prevent dust and dirt collected.
또한 상기 브러쉬 어셈블리 및 집진박스는 로봇청소기 본체의 저면관통면에 설치되어 브러쉬 어셈블리 하부와 집진박스의 바닥면이 로봇청소기의 바닥면에 노 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ush assembly and the dust collecting box is installed on the bottom through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main body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box.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흡진 어셈블리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vacuum assembly of the robo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박스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박스와 필터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필터부의 조립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nd 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box and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and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브러쉬 어셈블리(200)의 동작에 의해 청소바닥면을 회전 마찰시키고 이에 따라 유동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진부(100)에서 흡입하여 집진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otate and rub the cleaning floor by the operation of the
로봇청소기에는 외부 케이스가 마련되고 케이스 내부에 브러쉬 어셈블리(200) 및 흡진부(100)가 장착되되, 브러쉬 어셈블리(200)와 흡진부(100)는 로봇청소기의 저면부에 노출되며 일정부분은 청소바닥면과 밀착되게 된다.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n outer case and the
여기서 상기 브러쉬 어셈블리(200)는 브러쉬 모터(120)와, 상기 브러쉬 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동반회전하며 다수개의 브러쉬모(111)가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는 브러쉬(110)로 구성된다.Here, the
상기 브러쉬(110)는 로봇청소기의 저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청소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물질 또는 먼지를 바닥면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이탈된 이물질 또는 먼지는 후술될 가이드부재(40)에 의해 제 1유로부(10)로 안내된다. The brush 1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floor surface to separate foreign matter or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foreign matter or dust separated by the
브러쉬 어셈블리(200)와 흡진부(100)의 가이드부재(40) 및 제 1유로부(11)의 유입부(11a)와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브러쉬 어셈블리(200)의 동작 수행에 따라 먼지 또는 이물질 흡입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밀접됨은 물론이다.The
한편 상기 흡진부(100)는 브러쉬 어셈블리 후방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집진박스(10)와, 상기 집진박스(10) 후방에 연통 결합되는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와 연통 결합되어 청소바닥면으로부터 집진박스(10) 내로 먼지 또는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 어셈블리(30)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여기서 상기 집진박스(10)는 흡진부(100)로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일시 저장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흡진부(100)로의 유입을 위해 집진박스(10) 내부에는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후방에 흡입덕트 어셈블리(30)가 연통결합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집진박스(10)는 비교적 비중이 높은 이물질과 먼지를 1차적으로 흡입하는 제 1유로부(11)와, 상기 제 1유로부(11)로 흡입되지 않은 잔여 먼지 및 미세 먼지를 최종적으로 유입하는 제 2유로부(12)로 구획되는데, 이는 차단플레이트(13)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유로부(11)의 하단부에는 브러쉬(110)의 회전에 따라 유동하는 이물질과 먼지들이 안내되어 제 1유로부(11)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40)가 결합된다. A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일정 경도를 가지되 청소바닥면과 유동적으로 밀착되어야 하므로 러버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로부(11)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제작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Since the
또한 상기 제 1유로부(11)에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집진될 수 있도록 일정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 1함몰부(11b)가 형성되는데, 제 1함몰부(11b) 전방부에는 제 1함몰부(11b)에 집진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단턱(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제 1유로부(11)의 후방부에는 필터부(20)가 결합되어 흡입덕트 어셈블리로 이송되는 공기 속에 미세먼지 등이 차단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제 2유로부(12)는 제 1유로부(11)로 흡입되지 않은 잔여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 등을 최종적으로 흡입하도록 마련되어 한층 청소기능을 강화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제 2유로부(12) 하단부에도 제 1유로부와 마찬가지로 먼지 등이 안내되어 흡입이 용이하도록 흡입경로를 바닥면까지 연장시키는 연장부재(50)가 결합되며, 전방부에 단턱(14)이 형성된 제 2함몰부(12b)가 제 2유로부 내에 형성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n
아울러 제 2유로부 후방부에 필터부(20)가 연통결합되고 필터부(20) 후방부에는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흡입덕트 어셈블리(30)가 연통결합되어 미세먼지 등의 흡입을 가능하게 구성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흡진부(100)의 큰 특징 중 하나가 제 2유로부(12)의 바닥면 이자 집진박스(10)의 저면이 로봇청소기의 저면의 일부로 형성됨에 따라 일정량 집진된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집진박스(10)를 탈착할 시에 로봇청소기 내에 먼지가 누설되어 로봇청소기 내부에 먼지가 남게 되는 문제점이 없어 로봇청소기 자체의 청결 및 먼지 등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 등을 제거할 수 있다.One of the great features of the
한편 필터부(20)는 전술하였듯이 제 1유로부(11) 및 제 2유로부(12) 후방부에 연통 결합되며 미세먼지 등을 흡착할 수 있는 필터(21)가 내장되어 미세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공간 내의 공기오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필터(21)를 고정 지지하고 집진박스(10)에 결합되기 위해 다수의 필터케이스(22)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필터부(20) 후방부에는 흡입덕트 어셈블리(30)가 연통결합되는데, 상기 흡입덕트 어셈블리(30)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흡입모터(31)와, 상기 흡입모터(31)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32)로 크게 구성된다.The
흡입덕트(32)로 흡입된 공기는 로봇청소기 외부로 배출됨은 물론이며, 공기 흡입에 따라 제 1유로부(11) 및 제 2유로부(12)와 필터(21)로 이물질, 먼지 등이 흡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3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and foreign matter, dust, etc. are sucked in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술기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aliz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를 분리 구획하도록 차단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집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함몰부 및 제 2함몰부의 공간을 보다 증대 형성시킴에 따라 유입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안정적으로 집진되어 제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rease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ecessed part and the second recessed part which forms a space in which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and can be collected to separate and partition the first channel part and the second channel part. Therefore, dust or foreign matter introduced can be stably collected and removed.
또한 집진박스가 로봇청소기 저면에 노출됨에 따라 집진박스 탈착시에 로봇청소기에 누설되는 먼지가 발생되지 않아 로봇청소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 1함몰부 및 제 2함몰부 전방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집진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외부로 쉽게 누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box is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dust leaking to the robot cleaner does not occur when the dust collecting box is detached and maintains the clean stat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stepped portion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irst recess and the second recess. Formed and collected dust or foreign matter is an effect that does not easily leak to the outsid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3014A KR100848964B1 (en) | 2006-12-22 | 2006-12-22 |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3014A KR100848964B1 (en) | 2006-12-22 | 2006-12-22 |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8856A true KR20080058856A (en) | 2008-06-26 |
KR100848964B1 KR100848964B1 (en) | 2008-07-29 |
Family
ID=3980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3014A KR100848964B1 (en) | 2006-12-22 | 2006-12-22 |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896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22818A3 (en) * | 2010-03-29 | 2012-01-26 | 주식회사 유진로봇 | Dust collection blade structure for cleaning robot and cleaning robot having same |
US8732897B2 (en) | 2010-10-25 | 2014-05-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tonomous cleaning device |
KR20220170012A (en) | 2021-06-22 | 2022-12-29 | 김효열 | potable shaking tumbler with web shaped stirring stick shak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8306B1 (en) * | 2012-03-21 | 2014-03-27 | 주식회사 유진로봇 | Dust Collecting Blade of Cleaning Robot and Cleaning Robot therewith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93136A (en) * | 1990-11-26 | 1992-07-13 | Nec Home Electron Ltd | Self-propelled cleaner |
JP3188116B2 (en) * | 1994-09-26 | 2001-07-16 | 日本輸送機株式会社 |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
KR20000019393U (en) * | 1999-04-10 | 2000-11-15 | 장건 | Steam vacuum cleaner |
KR100588061B1 (en) * | 2004-12-22 | 2006-06-09 | 주식회사유진로보틱스 | Cleaning robot having double suction device |
-
2006
- 2006-12-22 KR KR1020060133014A patent/KR10084896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22818A3 (en) * | 2010-03-29 | 2012-01-26 | 주식회사 유진로봇 | Dust collection blade structure for cleaning robot and cleaning robot having same |
US8732897B2 (en) | 2010-10-25 | 2014-05-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tonomous cleaning device |
US9220385B2 (en) | 2010-10-25 | 2015-12-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tonomous cleaning device |
KR20220170012A (en) | 2021-06-22 | 2022-12-29 | 김효열 | potable shaking tumbler with web shaped stirring stick sh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8964B1 (en) | 2008-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7409B1 (en) | A robot cleaner for the weightcenter of construction eccentrically | |
KR20110105305A (en) | A cleaner | |
JP5707243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US20050166356A1 (en) |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 |
US11793373B2 (en) | Robotic cleaner with air jet assembly | |
KR20070107956A (en) | Robot cleaner | |
KR20080087596A (en) | Robot cleaner | |
JP6204080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0848964B1 (en) |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 |
JP7147428B2 (en) | Autonomous cleaning device | |
KR101052182B1 (en) | Corner cleaning device and cleaner having same | |
KR20090129030A (en) | Robot cleaner with air brush | |
KR101012943B1 (en) | Suction apparatus capable of corner cleaning | |
JP2016182190A (en) | Vacuum cleaner | |
KR20070105124A (en) | Automatic cleaner | |
KR20140041229A (en) | Robot cleaner | |
US20220287523A1 (en) | Robotic vacuum cleaner and a method in a robotic vacuum cleaner | |
JP2014176508A (en) | Vacuum cleaner | |
JP7215043B2 (en) | Autonomous cleaning device | |
KR100761667B1 (en) | Robot cleaner | |
KR100545375B1 (en) | Robot cleaning machine | |
KR20070109355A (en) | Automatic cleaner | |
KR100601448B1 (en) | Robot vacuum cleaner having endless track | |
KR101043535B1 (en) | Automatic cleaner | |
KR102280194B1 (en) | Robot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