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418A - 무토양잔디 - Google Patents

무토양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418A
KR20080056418A KR1020060129299A KR20060129299A KR20080056418A KR 20080056418 A KR20080056418 A KR 20080056418A KR 1020060129299 A KR1020060129299 A KR 1020060129299A KR 20060129299 A KR20060129299 A KR 20060129299A KR 20080056418 A KR20080056418 A KR 2008005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rass
layer
lawn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007B1 (ko
Inventor
임학순
Original Assignee
임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학순 filed Critical 임학순
Priority to KR102006012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0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3Zeol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7Pulp, e.g. bagas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아서 운반한 후 시공 위치에 펼쳐서 시공할 수 있는 무토양잔디로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위에 포설되는 잔디에 수분과 영양을 제공하는 영양층; 상기 영양층 위에 파종한 잔디 종자를 고정시키는 천연섬유그물망; 상기 잔디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피트모스류 상토층 및 상기 영양층에 착근되어 성장하는 잔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잔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는 잔디의 생육 기간이 단축되고,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며, 잔디 수확시 일어나는 토양 유실을 없고, 잔디를 재배할 때 주는 물의 양을 기존에 비해 1/10로 절약할 수 있으며, 잡초 발생이 없고, 병충해에 우수한 내성을 갖는 효과를 제공한다.
무토양 잔디, 지지 부재, 영양층, 천연섬유 그물망, 잔디층, 상토층

Description

무토양잔디{GRASS PLATE WITH NO SO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토양 잔디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토양 잔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 부재 20: 영양층 30: 천연그물망
40: 피트모스류 상토층 50: 잔디층
본 발명은 무토양 잔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 대신에 식물 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하는 영양층을 포함하는 롤 형태의 무토양잔디로서, 잔디를 단시간에 배양할 수 있고,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며,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자원재활용과 환경문제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무토양 잔디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크게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난지형인 한국 잔디는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것을 뗏장으로 채취하여 이식하거나 논이나 밭에 잔디를 심고 재배하여 이식하고 있다. 한지형인 양잔디는 카펫트형 잔디가 생산되고 있으나 이것도 비닐 위에 모래나 마사토 같은 토양을 포설하고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스폰지 현상이 발생하고, 재배기간이 1년으로 길기 때문에 잔디를 필요한 시기에 적기에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흙에서 재배한 잔디는 뿌리에 흙이 붙어 있기 때문에 운반할 때 무게가 많이 나가서 운송비가 많이 들고, 잔디운동장, 골프장, 공원 식재할 때 작은 뗏장을 일일이 손으로 심어야 하므로 잔디를 심는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고, 잔디가 뻗어 땅을 다 덮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잔디를 심지 않은 공간에는 잡초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기존에 잔디를 재배하고 식재하는 방법으로 국내특허공개 제2001-0086692호는 건설 폐기물을 재생골재로 사용한 식재용 콘크리이트 블록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토양층을 고착시켜 표층 객토층을 형성한 후 잔디를 파종 및 모종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식재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토양에 잔디를 파종하는 것으로서 무토양 잔디라고 볼 수 없다.
한편, 국내특허공개 제1999-004666호는 바닥면의 방수층에 부직포를 세 겹으로 형성하고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다시 단열재를 개재하여 방근층을 이중으로 형성하며 그 상부에 3차원 구조의 특수 매트를 적층하되 통왕겨층과 분쇄왕겨층(또는 왕겨탄화숯)을 차례로 형성하여 수직 배수층을 형성한 다음 난간벽으로부터는 사면에 통왕겨를 적층한 후 배수관을 설치하고 배수층의 상부에 폴리에스테르 망을 깔 고 그 위에 가비중 0.95 이하의 인공토양을 깐 다음 잔디 등 초본식물이나 화훼식물을 파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상녹화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바, 이 방법은 옥상녹화시공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무토양잔디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잔디를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으로 잔디 생육을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주어야 하고, 토양에 있는 유해 미생물에 의해 잔디가 병충해 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재배 비용이 많이 들고, 잔디를 수확할 때 토양이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토양이 아닌 인공토양에서 잔디를 재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기존 인공토양은 단순히 피트모스나 퍼라이트에 유기물을 혼합하거나 슬러지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으로서 옥상 녹화 또는 작은 면적의 조경 등에는 유용하나 큰 규모의 잔디 재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재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잔디 재배에 필요한 물을 1/10로 절약하며, 병충해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가지며, 잔디를 수확할 때 야기되는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자원 재활용이 가능한 무토양 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감아서 운반한 후 시공 위치 에 펼쳐서 시공할 수 있는 무토양잔디로서, 상기 무토양 잔디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위에 포설되는 잔디에 수분과 영양을 제공하는 영양층; 상기 영양층 위에 파종한 잔디 종자를 고정시키는 천연섬유그물망; 상기 잔디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피트모스류 상토층 및 상기 영양층에 착근되어 성장하는 잔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잔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양층은
유기질 퇴비 20-25 중량부,
폐지, 파쇄목, 폐한약재 및 톱밥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 20~25 중량부;
한약재 파쇄물 20~25 중량부;
광물질 10~15 중량부;
숯가루 또는 팽연왕겨 10-15 중량부; 및
토착미생물 또는 유산균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ㆍ부숙시킨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로는 야자나무 열매껍질로 만든 천연섬유 직물, 황마를 재료로 만든 천연섬유 직물, 황마를 재료로 직조한 마대, 목화를 재료로 만든 직물, 헌옷을 분쇄ㆍ가공하여 압축한 섬유층, 천막, 비닐ㆍ비닐천막ㆍ및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영양층은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 코코피트, 휴믹산, 축분, 부엽토, 짚, 갈대, 풀, 폐지나 펄프를 재가공하여 건조 ㆍ압축시킨 것, 파쇄 목, 톱밥, 폐한약재, 수피(바크), 숯가루, 팽연왕겨, 한약재 파쇄물, 질석,퍼라이트,맥반석,제오라이트 등의 광물질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발효ㆍ숙성시킨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양층은 유해 성분 및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토착미생물이나 유산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영양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아스팔트, 콘크리이트, 건물 옥상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10㎝∼12㎝ 두께인 것이 좋고, 아파트 베란다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5㎝∼7㎝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장, 골프장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2㎝∼3㎝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는 잔디 종자를 토양을 포함하지 않는 영양층에 파종한 후 일정 기간 길러서 잔디 뿌리가 영양층에 착근될 경우 카페트와 같이 둘둘 말아서 운반한 후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펼쳐서 시공할 수 있는 두루마리 형태의 무토양 잔디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에 의하면 잔디밭 조성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하고 설치ㆍ관리에 필요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원, 골프장, 운동경기장 등에 식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용도 이외에 각 가정의 정원, 베란다, 옥상 녹화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토양에서 재배하는 잔디의 경우 토양 밑으로 물이 쉽게 빠져 나가므로 1㎡의 면적당 연간 10톤 정도의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하므로 관수에 많은 비용이 드는데 비해,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는 항상 일정 수준의 수분이 유지되는 보습효과가 있는 영양층이 토양 위에 식재된 잔디에 비해 관수량이 1/10 정도 밖에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토양 잔디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무토양 잔디는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위에 식물성장에 필요한 수분과 양분을 공급하면서 토양을 포함하지 않는 영양층(20)과 상기 영양층에 파종한 잔디 종자와 그러한 종자를 덮는 마를 재료로 한 천연섬유그물망(30)과 상토층(40) 및 상기 영양층에 착근되어 성장하는 잔디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서 운반 후 토양 위나 시멘트 바닥 위에 시공할 수 있다. 정원, 운동장, 골프장 등의 경우에는 롤러로 토양을 단단하게 다진 후에 잔디를 펼쳐 시공할 수 있고, 건물옥상이나 아파트 베란다 등 시멘트 바닥 위에 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10)의 재료로는 마를 재료로 하는 천연섬유, 마를 원료로 직조한 마대, 야자나무 열매껍질을 재료로 한 천연섬유, 목화를 재료로 직조한 천이나 천막, 헌옷을 분쇄ㆍ가공하여 압축한 섬유층, 비닐천막, 비닐, 통기성 및 투수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재료가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 재료인 천연섬유는 마나 야자에서 채취한 식물성 장섬유로 만들어진 것으로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생분해되므로 환경친화적이며, 통기성ㆍ통수성 등 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수분과 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천연섬유나 천막 등은 영양층의 토대가 되며 잔디가 뿌리를 뻗으면서 결속력을 강화시켜준다. 비닐은 지지부재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구멍이 없는 비닐은 통기성과 투수성이 없으므로 잔디 생육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구멍을 뚫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양층(20)은 잔디 생육에 필요한 수분과 각종 영양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영양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 휴믹산, 축분, 퇴비, 폐지나 펄프를 건조 압축시킨 것, 전지목을 파쇄한 것, 폐한약재, 수피(바크) 등과 맥반석, 질석, 퍼라이트 등의 광물질을 혼합한 후 한방추출물, 토착미생물, 유산균 등을 섞어서 완전히 발효ㆍ부숙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층 재료는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영양층(20)은 구체적으로 유기질 퇴비 20-25 중량부; 폐지, 파쇄목, 폐한약재 및 톱밥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 20~25 중량부; 한약재 파쇄물 20~25 중량부; 광물질 10~15 중량부; 숯가루 또는 팽연왕겨 10-15 중량부; 및 토착미생물 또는 유산균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ㆍ부숙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양층(20)은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 휴믹산, 퇴비, 축분, 부엽토 등의 유기질 퇴비를 20-25 중량부, 폐지와 폐펄프를 재활용하여 압축한 것, 가로수나 벌목시 나오는 소나무,참나무 등의 전지 파쇄목, 폐한약재, 톱밥 20~25 중량부, 수피(바크), 두충,오가피 등 한약재를 3∼5㎜ 크기로 파 쇄한 것 20~25 중량부, 2∼3㎜크기로 분쇄한 퍼라이트,제오라이트,질석,맥반석 등을 10~15 중량부, 숯가루,팽연왕겨 10 -1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후, 잔디 뿌리의 발근과 성장을 돕는 한약재 추출물, 토착미생물, 유산균 1-3 중량부 투입하여 완전히 발효,부숙시킨 것이다.
상기 재료인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는 가벼우면서도 습윤팽창성과 수분보유력이 매우 높은 특성을 갖고 있으며, 휴믹산, 퇴비, 축분, 부엽토는 양질의 유기질 비료이며, 폐지와 폐펄프도 완효성 유기질 비료의 역할을 한다. 가로수나 벌목시 나오는 소나무,참나무 등의 전지 파쇄목, 폐한약재, 톱밥 등은 크기가 3∼5㎜이므로 영양층의 통기성을 돕고 미생물에 의해 서서히 분해되므로 완효성 유기질 비료의 역할을 한다.
퍼라이트, 제오라이트, 질석, 맥반석 등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유용 미생물의 활동을 돕으면서 유해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고, 뿌리 발근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숯가루와 팽연왕겨는 다공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영양층을 더욱 기름지게 하고,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뿌리 발근을 촉진시킨다. 한약재추출물은 잔디뿌리의 생장을 촉진하고 잔디의 내병성을 높혀서 튼튼한 잔디로 자라게 한다.
토착미생물이나 유산균은 이상의 영양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발효과정에서 나오는 유해 가스를 제거하고, 유해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활동을 억제시키면서 상기 재료를 완전하게 발효,부숙시켜, 병충해를 제거할 수 있고 잔디가 자라면서 먹을 수 있는 최고의 영양분을 제공하여 잔디의 출하기간을 앞당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영양층 형성시 사용가능한 토착 미생물로는 상기 토착 미생물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렌티모르부스(Bacillus lentimorbus), 바실러스 슈린지엔시스(Bac illus thuringiensis), 브리번티모나스 배시큐라리스(Brevundinonas vesicularis), 셀룰로모나스 플라비지나(Cellulomonas flavigena),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지낸스(Corynebacterium ammoniagenes), 슈도모나스 알칼리젠스(Pseudomonas alcaligenes), 로도코커스 처브맨시스 액티노마이셋(Phodococcus chubuensis actinomycet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잔디를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에서 영양층의 두께는 잔디를 시공하는 곳의 상황에 따라 변형할 수 있다. 정원, 공원 등 땅위에 시공하는 경우에 잔디의 영양층 두께는 2∼3㎝가 적당하고, 아파트 베란다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 영양층은 5㎝∼7㎝ 두께가 필요하고, 아스팔트,콘크리트,건물 옥상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잔디가 여름철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 살아남을 수 있기 위해서는 영양층의 두께가 10㎝ 정도는 되어야 한다. 옥상 시공시에는 잔디 아래에 배수가 원활한 피트모스 류의 상토를 어느 정도 포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무토양 잔디 재배시에는 상기에서 제시한 마나 면화를 재료로 한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0)를 깔고 그 위에 잔디가 먹고 자랄 수 있는 영양층(20)을 형성하고 잔디를 파종한 후 위에 천연섬유그물망(30)을 놓고 상토층(40)을 덮어 발아시킨다. 통상 3∼4일 정도의 기간에 발아되고 발아된 후 30일 ∼50일 정도의 기간에 착근하게 된다. 잔디가 자라면서 지지부재(10)와 영양층(20)에 뿌리를 내려 엉키면서 단단해져 잔디층(5)을 형성하므로,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무토양 잔디의 경우 연간 필요수분량은 1㎡ 당 0.9톤 정도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 천연섬유그물망(30)은 영양층(20)에 파종한 잔디 종자를 덮어서 보호할 수 있는 천연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그물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통기성 등을 고려하면 마를 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잔디층(50)을 구성하는 잔디는 한국지형에 맞는 양잔디 품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잔디 품종으로는 캔터키 불루 그라스(Kentucky Bluegrass), 페네리알 라이그라스, 크리핑벤트그라스, 톨 훼스큐(Tail Fescue), 버뮤다그라스 등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런 품종만을 심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잔디 식재 지역의 토양 및 기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트모스류 상토층(40)은 상기 천연섬유 그물망(30) 위에 적층되는 잔디 발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피트모스는 한랭한 늪지대에서 생육된 물이끼의 유체가 퇴적되어 분해된 것으로, 독특한 섬유결속 구조로 인해서 수분과 영양분 저장 및 공급 능력이 우수하고, 무독, 무균 상태의 천연자원으로 토양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의 발생률이 매우 낮다. 또한 피트모스는 토양에 공기가 잘 통하게 하여 토양이 단단해 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에 이상적인 성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토양 잔디는 지지 부재 위에 영양공급원으로서 휴믹산, 퇴비, 전지목을 파쇄한 것, 폐한약재, 맥반석, 질석, 피트모스 등의 광물질을 혼합한후 토착미생물이나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것을 토양을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잔디의 성장기간을 단축시키고 잡초 또는 토양에 있는 나쁜 미생물에 의한 병충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잔디 생육에 필요한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어 유지ㆍ관리가 용이하며, 잔디수확시 나타나는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전지목이나 폐한약재의 사용을 통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감아서 운반한 후 시공 위치에 펼쳐서 시공할 수 있는 무토양잔디로서, 상기 무토양 잔디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위에 포설되는 잔디에 수분과 영양을 제공하는 영양층;
    상기 영양층 위에 파종한 잔디 종자를 고정시키는 천연섬유그물망;
    상기 잔디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피트모스류 상토층; 및
    상기 영양층에 착근되어 성장하는 잔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잔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야자나무 열매껍질로 만든 천연섬유 직물, 황마를 재료로 만든 천연섬유 직물, 황마를 재료로 직조한 마대, 목화를 재료로 만든 직물, 헌옷을 분쇄ㆍ가공하여 압축한 섬유층, 천막, 비닐,비닐천막,및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잔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층은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 코코피트, 휴믹산, 축분, 부엽토, 짚, 갈대, 풀, 폐지나 펄프를 재가공하여 건조압축시킨 것, 파쇄목, 톱밥, 폐한약재, 수피(바크), 숯가루, 팽연왕겨, 한약재 파쇄물, 질석, 퍼라이트, 맥반석, 제오라이트를 포함하는 광물질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 는 임의의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발효,숙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잔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층은 유해 성분 및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토착 미생물이나 유산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잔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층은
    유기질 퇴비 20-25 중량부,
    폐지, 파쇄목, 폐한약재 및 톱밥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 20~25 중량부;
    한약재 파쇄물 20~25 중량부;
    광물질 10~15 중량부;
    숯가루 또는 팽연왕겨 10-15 중량부; 및
    토착미생물 또는 유산균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부숙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잔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착 미생물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렌티모르부스(Bacillus lentimorbus), 바실러스 슈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브리번티모나스 배시큐라리스(Brevundinonas vesicularis), 셀룰 로모나스 플라비지나(Cellulomonas flavigena),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지낸스(Corynebacterium ammoniagenes), 슈도모나스 알칼리젠스(Pseudomonas alcaligenes), 로도코커스 처브맨시스 액티노마이셋(Phodococcus chubuensis actinomycet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잔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층은 10㎝∼12㎝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토양 잔디.
KR1020060129299A 2006-12-18 2006-12-18 무토양잔디 KR10087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99A KR100876007B1 (ko) 2006-12-18 2006-12-18 무토양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99A KR100876007B1 (ko) 2006-12-18 2006-12-18 무토양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18A true KR20080056418A (ko) 2008-06-23
KR100876007B1 KR100876007B1 (ko) 2008-12-26

Family

ID=3980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299A KR100876007B1 (ko) 2006-12-18 2006-12-18 무토양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0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31B1 (ko) * 2007-12-26 2010-06-23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바실러스 속 미생물 함유 상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1281B1 (ko) * 2008-12-01 2012-01-04 한성아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101144081B1 (ko) * 2009-12-08 2012-05-23 (유)삼화그린웰 조경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WO2012174982A1 (zh) * 2011-06-22 2012-12-27 上海太和水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水下生态修复中的水草模块化种植方法及水草培养模块
KR20180092540A (ko) * 2017-02-09 2018-08-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초본식물 식재형 반려동물 배변매트의 제조방법
CN109379919A (zh) * 2018-10-26 2019-02-26 大连地拓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污泥填充沉陷地土地复垦的土壤构型
WO2019088923A1 (en) * 2017-10-31 2019-05-09 Chop Ching Hin Pte Ltd Pre-grown vegetated m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46B1 (ko) * 2008-12-24 2011-08-18 (주)지케이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KR20100099026A (ko) * 2009-03-02 2010-09-10 정오철 생태복원을 촉진하는 친환경 녹화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의 녹화방법
KR101041174B1 (ko) 2010-09-15 2011-06-13 민원 식생골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01346B1 (ko) 2011-11-30 2012-11-14 신기산업(주) 비탈면 녹화용 배양토 조성물
CN104025884A (zh) * 2014-06-27 2014-09-10 刘芳 利用秸秆炭节水抗旱种植蔬菜的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31B1 (ko) * 2007-12-26 2010-06-23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바실러스 속 미생물 함유 상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1281B1 (ko) * 2008-12-01 2012-01-04 한성아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101144081B1 (ko) * 2009-12-08 2012-05-23 (유)삼화그린웰 조경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WO2012174982A1 (zh) * 2011-06-22 2012-12-27 上海太和水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水下生态修复中的水草模块化种植方法及水草培养模块
KR20180092540A (ko) * 2017-02-09 2018-08-20 알서포트 주식회사 초본식물 식재형 반려동물 배변매트의 제조방법
WO2019088923A1 (en) * 2017-10-31 2019-05-09 Chop Ching Hin Pte Ltd Pre-grown vegetated mat
CN109379919A (zh) * 2018-10-26 2019-02-26 大连地拓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污泥填充沉陷地土地复垦的土壤构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007B1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007B1 (ko) 무토양잔디
KR100888037B1 (ko) 천연잔디 블록
WO2021175263A1 (zh) 全生态坡面喷播结构及施工方法
CN102487794A (zh) 复合无土基质草毯及其栽培方法
CN101507391B (zh) 岩石坡面生态化治理方法
KR100876008B1 (ko)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N101692769A (zh) 有土草毯
CN108770584A (zh) 一种秃杉轻基质容器育苗方法
CN107165175A (zh) 一种环保型生物活性渣山护坡快速建植土工材料
CN108243807A (zh) 一种植生护坡的稻草覆盖技术
RU2234207C2 (ru) Газо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зеленения искусственных или естественных участк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2757551Y (zh) 多层组合式厚基质无土草坪
KR100717545B1 (ko) 무토잔디용 생육포
RU2751851C1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газона с обогащением почвы водой с помощью суперабсорбента при орошении
KR101994418B1 (ko) 육묘매트와 이를 이용한 육묘상자 내 육묘환경조성방법
KR100850200B1 (ko) 가로수 주변의 잡초 억제방법 및 구조
KR100580927B1 (ko)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KR100510082B1 (ko) 유기생태형 무토(無土)잔디
CN114128556A (zh) 生长床及其制作方法、边坡修护方法
KR100630160B1 (ko) 무토양 잔디
KR100779502B1 (ko) 벼의 부산물을 활용한 잔디재배방법
KR200373836Y1 (ko) 유기생태형 무토(無土)잔디
CN213847529U (zh) 一种环保种植毯
JP2001078563A (ja) 不朽性樹皮の新規利用方法
CN107439231A (zh) 一种玫瑰花与食用菌的间作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