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015A - 증기 터빈의 가열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의 가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015A
KR20080056015A KR1020087011378A KR20087011378A KR20080056015A KR 20080056015 A KR20080056015 A KR 20080056015A KR 1020087011378 A KR1020087011378 A KR 1020087011378A KR 20087011378 A KR20087011378 A KR 20087011378A KR 20080056015 A KR20080056015 A KR 2008005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ressure turbine
turbine section
high pressure
w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011B1 (ko
Inventor
헨리 다이스터벡
에트빈 고브레히트
카르스텐 페터스
라이너 퀸케르츠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8005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0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0Heating, e.g. warming-up before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01K7/18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the turbine being of multiple-inlet-pressur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01K7/18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the turbine being of multiple-inlet-pressure type
    • F01K7/20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01K7/2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the turbines having inter-stage steam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01K7/2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the turbines having inter-stage steam heating
    • F01K7/24Control or 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터빈(1)의 워밍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증기 터빈(1)이 고압 터빈 섹션(2) 및 중간압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3, 4)을 포함하고, 입구측 상의 상기 고압 터빈 섹션(2)이 라이브 증기 라인(5)을 통해 증기 발생기에 유체소통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 터빈 섹션(2)과 상기 중간압 터빈 섹션(3) 사이에 증기 밸브(14)가 배치되고, 상기 고압 터빈 섹션(2), 상기 라이브 증기 라인(5) 및 상기 증기 발생기가 동시에 워밍업된다.

Description

증기 터빈의 가열 방법 {METHOD FOR HEATING A STEAM TURBINE}
본 발명은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증기 터빈은 고압 터빈 섹션 및 중간압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을 포함하고, 입구측 상의 상기 고압 터빈 섹션은 라이브 증기 라인을 통해 증기 발생기에 유체소통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 터빈 섹션과 상기 중간압 터빈 섹션 사이에 증기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고압 터빈 섹션, 상기 라이브 증기 라인 및 상기 증기 발생기는 동시에 워밍업된다.
동력 발생을 위한 증기 터빈 설비가 장착된 동력 발생 설비에서, 현재의 동력 요구량에 따라 개별의 증기 터빈 또는 복수의 증기 터빈을 가동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고, 요건에 따라 이들을 재가동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증기 터빈 설비의 신속한 시동은 상당히 중요하다. 이것은, 특히 냉각 시동 후에 그리고 가열 시동 후에, 예를 들어 주말 가동중지 후에, 보다 긴 가동중지 기간에 적용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시동 프로세스 동안, 증기 발생기는 무엇보다도 증기 온도 및 증기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시동되거나 가열된다. 미리결정된 시동 온도 및 미리결정된 시동 압력과 또한 증기에 대한 미리결정된 시동 품질이 안정되자마자, 증기 터빈을 시동시키기 위한 시동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그 중에서도 특히, 라이브 증기 밸브가 보다 큰 정도로 또는 보다 적은 정도로 개방된다. 이 경우, 시동 온도, 시동 압력 및 증기의 시동 품질의 값은, 증기 터빈의 시동 후에 부하가 없는 작동 또는 낮은 부하에 의한 부하가 걸린 작동이 증기 터빈에 대해 실현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의 증기는 불순물이 섞인 증기로 인해 증기 터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범위 내에 속해야 하는 값의 전도률을 갖는다.
따라서, 증기 터빈 설비가 시동되는 동안, 증기의 전도률은 연속적으로 결정되며, 증기가 일정한 한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만 증기 터빈 안으로 증기가 유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증기의 시동 품질에 대한, 개시 온도에 대한, 그리고 개시 압력에 대한 값은 증기 터빈의 시동 후에 부하가 없는 작동 또는 낮은 부하에 의한 부하가 걸린 작동이 증기 터빈에 대해 실현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들 매개변수는 실제 시동 프로세스의 개시의 시간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보일러의 구성의 유형과 동력 설비의 유형, 또는 동력 설비의 크기에 따라, 이 동안, 약 1 내지 3 시간 규칙적으로 경과될 수 있다. 과열 증기 유입에 대한 노출의 결과, 발생되는 열 팽창 응력으로 인한 높은 재료 응력이 냉각 기계 상태로부터 시동되는 동안 규칙적으로 발생된다. 오늘날, 열 팽창 응력의 측정 기술에 의한 모니터링이 통상적으로 실행된다. 이 경우, 증기 터빈 설비의 경제적 효율과 이 증기 터빈 설비가 장착되는 동력 발생 설비의 경제적 효율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러한 증기 터빈 설비에 대한 시동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시동 프로세스는 통상적으로, 특히 청결도 및 pH 값에 대해 증기에 대해 미리결정된 시동 품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개시된다. 또한, 예열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 증기가 미리결정된 예열 품질을 갖는 경우에만 개시되며, 여기서, 시동 품질이 예열 품질 보다 높다. 높은 증기 품질을 달성하기 위한 비용이 비교적 높다.
복수의 터빈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 증기 터빈은 본 응용 분야의 측면에서 증기 터빈에 의해 이해된다. 이 경우의 터빈 섹션은 온도 및 압려과 같은 여러 증기 매개변수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압 터빈 섹션, 중간압 터빈 섹션 및 저압 터빈 섹션이 공지되어 있다. 620 ℃ 까지의 온도를 가질 수 있는 과열된 증기는 대개 고압 터빈 섹션 안으로 유동한다. 더욱이, 이러한 과열된 증기는 300 바아(bar) 까지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과열된 증기를 핫(hot) 증기라고도 한다. 포화된 증기가 고체 또는 응축물로부터 분리되거나 일정한 압력에서 가열된다면, 이때, 증기는 점차 불포화된다. 이러한 증기를 핫 증기 또는 과열 증기라고도 한다.
응축물 또는 바닥 위의 증기 공간은 현재의 안정-상태 온도에 대해 가능한 최대량의 분자를 흡수하였다. 이러한 증기를 습윤한 증기, 건조 증기 또는 포화 증기라고 한다.
그러나, 고압 터빈 섹션으로부터의 팽창된 증기가 재가열기에 도달되는 방식으로 중간압 터빈 섹션이 형성되며, 여기서, 재가열기 내에서 증기의 온도가 상승되며, 이후, 증기가 중간압 터빈 섹션으로 유동한다. 이 경우, 중간압 터빈 섹션으로 유동되는 증기의 온도는 약 600 ℃이며, 압력은 약 80 바아이다. 중간압 터 빈 섹션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증기는 결국 저압 터빈 섹션으로 인도된다.
고압 터빈 섹션, 중간압 터빈 섹션 및 저압 터빈 섹션으로의 분리는 특정 분야에서 일정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 및 압력과 같은 증기 매개변수는 고압 터빈 섹션, 중간압 터빈 섹션 및 저압 터빈 섹션 사이의 단일의 식별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없다.
고압 터빈 섹션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중간압 터빈 섹션 안으로 유동하는 증기의 재가열에 의해 증기 터빈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재가열의 결과, 증기 터빈의 고압 터빈 섹션 내에서 이미 작업이 실행되었던 증기의 온도가 다시 증가되며, 따라서, 증기가 터빈의 저압 섹션에 도달하기 전에 이용가능한 구배를 증가시킨다. 결국, 설비의 효율이 증가된다.
증기를 재가열하는 증기 설비 또는 복합 사이클 동력 설비의 작동의 추가의 장점은, 재가열의 결과, 터빈 내의 최종 스테이지에서의 증기의 배출 습도가 감소되어 결국 유체 품질과 사용 수명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기계 내에서 팽창되는 동안 증기가 지나치게 습도가 높은 경우 증기 터빈 내에서 재가열이 사용된다. 다수의 스테이지를 관류한 후에 증기는 증기 터빈에서 나와서 재가열기로 인도되며, 이후, 증기 터빈으로 재공급된다. 상당히 높은 압력 구배의 경우에, 최종 스테이지에 지나치게 많은 증기 습도를 보유하지 않도록 복수의 재가열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된 증기 터빈의 워밍업(warming-up)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에 기초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증기 터빈이 고압 터빈 섹션 및 중간압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을 포함하고, 입구측 상의 상기 고압 터빈 섹션이 라이브 증기 라인을 통해 증기 발생기에 유체소통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 터빈 섹션과 상기 중간압 터빈 섹션 사이에 증기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고압 터빈 섹션, 상기 라이브 증기 라인 및 상기 증기 발생기가 동시에 워밍업되며, 상기한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은,
(a) 상기 고압 터빈 섹션의 출구측 배압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전도률이 허용오차 값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상기 고압 터빈 섹션의 입구의 상류에 배치되는 밸브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고압 터빈 섹션과 상기 중간압 터빈 섹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증기 밸브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d) 상기 고압 터빈 섹션의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공칭 속도 아래의 값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e) 상기 증기 발생기 내에서 발생되는 상기 증기의 전도률이 상기 허용오차값보다 작은 한계값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상기 배압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f) 상기 증기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증기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 및 상기 한계값 아래인 전도률로서 상기 중간압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을 워밍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충분히 높은 품질의 증기의 유입에 대해, 고압 터빈 섹션, 중간압 터빈 섹션 및 저압 터빈 섹션을 포함하는 증기 터빈을 동시에 노출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양태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이 고려된다면, 고압 터빈 섹션이 충분히 양호하지 않은 품질의 전도률과 같은 불충분한 품질을 갖는 증기의 유입에 노출될 수 있다. 냉각 시동 후에, 증기 터빈의 워밍업은 라이브 증기 라인의 대응되는 압력 형성으로 개시된다. 라이브 증기 라인은 대부분의 경우에 증기 발생기와 동시에 예비가열된다. 증기 발생기를 보일러라고도 한다. 증기 밸브의 초기의 개방은 과열 시의 증기의 전도률과 증기의 절대 온도에 좌우된다. 이 경우의 증기는 일정한 품질을 가져야 한다. 부족한 품질을 갖는 증기는 공격적인 오염 물질로 인해 증가된 부식 응력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초기의 증기 습도의 영역에서 날개 재료의 역전된 굽힘 응력 하에서 피로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부족한 증기 품질의 문제는 특히 최종 스테이지의 고하중이 여기에서 발생되므로 저압 터빈 섹션에 초점을 맞춘다. 저압 터빈 섹션과 비교해서, 고압 터빈 섹션은 저압 터빈 섹션이 노출되는 유입의 증기보다 불량한 전도률을 갖는 증기의 유입에 노출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해 결정되듯이, 전체 증기 터빈의 워밍업은 증기의 수용가능한 전도률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개시되는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압 터빈 섹션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이 개방된 상태에서, 라이브 증기 라인 및 증기 발생기와 함께 고압 터빈 섹션을 예열하는 것을 제안한다.
고압 터빈 섹션에 대해 증기의 전도률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들이 생성되므로, 증기의 유입이 높은 전도률로서 이미 개시될 수 있다. 이르 ㄹ위해, 중간압 터빈 섹션의 상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가 폐쇄된다. 이 결과, 고압 터빈 섹션의 출구에 배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배압은 허용가능한 값의 한계 내에서 거의 선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결국, 높은 응축열에 의한 워밍업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는, 한편으로, 고압 터빈 섹션을 예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 전도률을 갖는 증기가 허용된다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고압 터빈 섹션의 출구에서의 배압이 예열 상태의 개시를 위해 증가되며, 공칭 속도까지 후속의 가동 전에 다시 감소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증기는 고압 터빈 섹션을 관류한다. 고압 터빈 섹션의 출구에서의 증기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압 터빈 섹션과 중간압 터빈 섹션 사이에 배치되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는 플랩 또는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압력이 증가되는 결과, 고압 터빈 섹션의 후벽 부품들 상에서의 증기의 열 전달이 향상된다. 말하자면, 출구에 관류되는 증기가 축적되며, 이 결과, 고압 터빈 섹션의 신속한 워밍업이 실시된다. 결국, 증기의 포화 온도가 보다 높은 값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단계 (a) 및 단계 (c)가 서로 교대된다.
포화(응축)의 경우에, 약 5000 W/(m2K)의 열 전달률이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과열 상태(대류)의 경우에, 약 150 W/(m2K)의 열 전달률만이 달성된다. 결국, 예열 상태 동안의 고압 터빈 섹션의 부품들로의 열 수율(yield)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증기 터빈의 예열이 약 1 내지 3 시간 일찍 개시될 수 있다. 추가의 장점은 보다 높은 포화된 증기 온도의 결과로서의 열 수율이 고압 터빈 섹션의 부품들의 가속화된 워밍업에 이르게 한다는 것이다. 결국, 냉각 시동의 경우에 블록 시동 시간이 약 1 내지 1.5 시간 만큼 단축될 수 있다.
유리한 개선예에서, 증기의 전기 전도률의 허용오차값은 약 0.5 내지 5 μsiemens/cm 이다.
경험칙에 근거한 값들은 이러한 범위의 값이 허용오차값에 대해 특히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다른 유리한 개선예에서, 단계 (d)에서, 회전자의 회전 속도가 100 내지 1000 RPM의 값에서 제어된다. 결국, 배출이 방치되며, 낮은 증기 질량 유동에 의한 사전의 예열의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회전 속도는 제한된 범위 아래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동일한 표시가 제공되는 부품들은 동일한 작동 원리를 갖는다.
도 1은 고압 터빈 섹션, 중간압 터빈 섹션 및 저압 터빈 섹션을 포함하는 증기 터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고압 터빈 섹션, 중간압 터빈 섹션 및 저압 터빈 섹션을 포함하는 대안의 증기 터빈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증기 터빈(1)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이 증기 터빈(1)은 고압 터빈 섹션(2), 중간압 터빈 섹션(3) 및 이중-유동형 저압 터빈 섹션(4)을 포함한다. 고압 터빈 섹션(2)은 적어도 2개의 라이브 증기 라인(5)을 포함하며, 여기서, 라이브 증기 라인(5) 내에 밸브(6)가 배치된다. 이 밸브(6)는 라이브 증기 라인(5)을 관류하는 증기의 관류를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라이브 증기는 보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증기 발생기 또는 보일러에서 생성된다. 증기 발생기에서 생성된 증기는, 라이브 증기 라인(5) 및 밸브(6)를 경유하여, 고압 터빈 섹션(2)에 도달하여, 거기서 팽창된 후, 출구(7)에서 고압 터빈 섹션(2)으로부터 빠져나온다. 팽창된 증기는 배출 증기 라인(8)을 경유하여,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재가열기(reheater)에 도달되고, 여기서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후, 하나 이상의 중간압 입구 라인(9)을 통해 중간압 터빈 섹션(3)으로 공급된다. 중간압 터빈 섹션(3)에서, 증기는 보다 낮은 온도와 저압으로 팽창되며, 출구측(10)에서 중간압 터빈 섹션(3)으로부터 빠져나와서, 라인(11)을 통해 저압 터빈 섹션(4)으로 들어간다. 저압 터빈 섹션(4)에서, 증기가 추가로 팽창된다. 이 공정에서 증기의 온도가 추가로 떨어진다. 증기는 출구 라인(12)을 경유하여 결국 증기 터빈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여기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condenser)로 안내된다. 상기한 증기 안내는 증기 터빈(1)의 조건-특정 작동 상태 동안 실행된다. 48 시간 이상의 가동 중지 후에, 증기 터빈(1)은 냉각 상태로 된다. 증기 터빈(1) 내의 샤프트와 다른 후벽형 부품(thick-walled component)은 부품 내에서 허용불가능한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뜨 거운 라이브 증기의 유입에 대한 노출 전에 또는 뜨거운 라이브 증기의 로딩 전에 제어된 방법으로 미리 데워져야 한다. 밸브(6)의 초기의 개방은 과열 시에의 증기의 전도률과, 증기의 압력(P)과 온도(T)와 같은 절대값에 따라 좌우된다.
증기 터빈(1)을 워밍업(warming-up)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증기 터빈(1)은 고압 터빈 섹션(2), 중간압 터빈 섹션(3)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4)을 포함한다. 고압 터빈 섹션(2)과 중간압 터빈 섹션(3)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HP - MP 밸브(14)가 배치된다. 고압 터빈 섹션(2), 라이브 증기 라인(5) 및 증기 발생기는 동시에 워밍업된다. 제1 단계(a)에서, 고압 터빈 섹션의 출구측(7) 상의 배압(back-pressure)이 증가된다. 이것은 고압 터빈 섹션(2)과 중간압 터빈 섹션(3) 사이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14)를 폐쇄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제2 단계(b)에서, 증기 발생기 내에서 생성되는 증기의 전도률이 허용오차값 아래로 떨어지자 마자, 고압 터빈 섹션(2)의 입구(13)에 있는 밸브(6)가 개방된다. 이러한 허용오차값은 0.5 내지 5 μsiemens/cm 의 값을 갖는다. 그 동안, 증기 발생기 내에서 생성되는 증기의 전도률을 연속해서 측정하여 기록하고 제어 스테이션에서 추가로 이용한다.
제3 단계(c)에서, 고압 터빈 섹션(2)의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공칭 속도(nominal speed) 미만의 값으로 제어한다. 회전자의 회전 속도의 값은 고압 터빈 섹션을 사전가열하기 위해 기껏해야 100 내지 1000 RPM 이 됨이 알려져 있다.
제4 단계(d)에서, 증기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증기의 전도률이 0.2 내지 0.5 μsiemens/cm 의 한계값 아래로 내려가자 마자, 출구(7)에서 우세한 배압이 감소된 다. 또한, 배압의 감소는 증기 밸브(14)의 개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공칭 속도는 3000 RPM 또는 3600 RPM이며, 50 Hz 또는 60 Hz의 시스템 주파수에 따라, 교류 시스템이 작동된다. 원자력 발전 스테이션-증기 터빈 설비에서, 공칭 속도는 1500 RPM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제4 단계에서, 회전자의 회전 속도는 인지할 수 있게 공칭 속도 아래, 즉 2배 만큼 공칭 속도 아래이다.
제5 단계(e)에서, 증기 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증기와 한계값 아래의 전도률을 갖는 MP 및/또는 LP 터빈 섹션(4)의 워밍업은 고압 터빈 섹션(2)과 중간압 터빈 섹션(3) 사이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도 2에는 증기 터빈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증기 터빈(1')은 컴팩트 유닛(compact unit)으로 구성되는 고압 터빈 섹션(2') 및 중간압 및 저압 터빈 섹션(3')을 포함한다. 중간압 및 저압 터빈 섹션을 E-터빈 섹션이라고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증기 터빈의 실시예와의 중요한 차이점은, 도 2에 도시된 증기 터빈(1')은 오버플로우 라인(overflow line; 11)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증기 터빈에 대해, 이 방법의 작동 원리는,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증기 터빈의 작동 원리와 거의 동일하다. 한 가지 차이점은, 도 1의 증기 터빈(1)은 2개의 터빈 섹션을 포함하는데, 이들 터빈 섹션 중 하나가 중간압 터빈 섹션(3)이며 다른 하나가 저압 터빈 섹션(4)인 반면, 도 2에 도시된 터빈 섹션(3')은 단일의 하우징 내에 중간압 및 저압 터빈 섹션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이다.

Claims (5)

  1. 증기 터빈(1)의 워밍업 방법으로서,
    상기 증기 터빈(1)이 고압 터빈 섹션(2) 및 중간압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3, 4)을 포함하고, 입구측 상의 상기 고압 터빈 섹션(2)이 라이브 증기 라인(5)을 통해 증기 발생기에 유체소통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 터빈 섹션(2)과 상기 중간압 터빈 섹션(3) 사이에 증기 밸브(14)가 배치되고, 상기 고압 터빈 섹션(2), 상기 라이브 증기 라인(5) 및 상기 증기 발생기가 동시에 워밍업되는, 증기 터빈(1)의 워밍업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압 터빈 섹션(2)의 출구측 배압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전도률이 허용오차 값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상기 고압 터빈 섹션(2)의 입구(13)의 상류에 배치되는 밸브(6)를 개방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고압 터빈 섹션(2)과 상기 중간압 터빈 섹션(3)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증기 밸브(14)를 폐쇄시키는 단계와,
    (d) 상기 고압 터빈 섹션(2)의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공칭 속도 아래의 값으로 제어하는 단계와,
    (e) 상기 증기 발생기 내에서 발생되는 상기 증기의 전도률이 상기 허용오차값보다 작은 한계값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상기 배압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f) 상기 증기 밸브(14)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증기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 는 증기 및 상기 한계값 아래인 전도률로서 상기 중간압 및/또는 저압 터빈 섹션(3, 4)을 워밍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허용오차값은 약 0.5 내지 5 μsiemens/cm 의 값인,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는 2배 만큼 공칭 속도보다 작은,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의 값은 100 내지 1000 RPM 인,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한계값은 약 0.2 내지 0.5 μsiemens/cm 의 값인,
    증기 터빈의 워밍업 방법.
KR1020087011378A 2005-10-12 2006-09-27 증기 터빈의 가열 방법 Active KR101014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2278.5 2005-10-12
EP05022278A EP1775431A1 (de) 2005-10-12 2005-10-12 Verfahren zum Aufwärmen einer Dampf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015A true KR20080056015A (ko) 2008-06-19
KR101014011B1 KR101014011B1 (ko) 2011-02-14

Family

ID=3628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378A Active KR101014011B1 (ko) 2005-10-12 2006-09-27 증기 터빈의 가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65807B2 (ko)
EP (2) EP1775431A1 (ko)
JP (1) JP4869350B2 (ko)
KR (1) KR101014011B1 (ko)
CN (1) CN101287892B (ko)
BR (1) BRPI0617305A2 (ko)
CA (1) CA2625464C (ko)
PL (1) PL1934434T3 (ko)
RU (1) RU2389878C2 (ko)
WO (1) WO200704239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0B1 (ko) * 2011-03-25 2014-02-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증기 밸브 장치 및 증기 터빈 플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5429A1 (de) * 2005-10-12 2007-04-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fwärmen einer Dampfturbine
USRE46316E1 (en) * 2007-04-17 2017-02-21 Ormat Technologies, Inc. Multi-level organic rankine cycle power system
CN102235186A (zh) * 2010-05-03 2011-11-09 阿尔斯通技术有限公司 冷启动汽轮机的方法
US8505299B2 (en) * 2010-07-14 2013-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Steam turbine flow adjustment system
US8347598B2 (en) 2011-03-18 2013-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starting up combined cycle power system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5055451B1 (ja) 2011-03-31 2012-10-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低圧蒸気タービン
EP2647802A1 (de) 2012-04-04 2013-10-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Kraft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aftwerksanlage
EP2685055A1 (de) * 2012-07-12 2014-0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ützung einer Netzfrequenz
CN102852568A (zh) * 2012-09-29 2013-01-02 忻州广宇煤电有限公司 汽缸夹层加热装置
DE102013205979A1 (de) 2013-04-04 2014-10-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mierung von Kaltstarts bei thermischen Kraftwerken, insbesondere bei Dampfturbinen- oder bei Gas-und-Dampfturbinenkraftwerken (GuD-Kraftwerke)
JP6178104B2 (ja) 2013-04-19 2017-08-09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配管および配管
CN103388496A (zh) * 2013-06-28 2013-11-13 云南电力试验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力研究院 一种变参数的超临界机组暖机方法
EP3029280B1 (en) 2014-12-04 2023-02-0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 method for starting a steam turbine
US20160169451A1 (en) * 2014-12-12 2016-06-16 Fccl Partnership Process and system for delivering steam
KR101692164B1 (ko) * 2015-08-24 2017-0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터빈
US10577962B2 (en) 2016-09-07 2020-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omachine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20180196894A1 (en) * 2017-01-10 2018-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team turbine and producing adapted inspection intervals
CN106948890B (zh) * 2017-04-10 2019-06-1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适用于高中压联合启动汽轮发电机组的暖机方法
EP3460202A1 (de) * 2017-09-22 2019-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mpfturbinenregelung
CN110500148B (zh) * 2019-08-23 2022-03-22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大型汽轮发电机组的高背压供热与监控方法及系统
US11428115B2 (en) 2020-09-25 2022-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of rotor stress within turbomachine during startup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8623B (de) * 1963-07-23 1966-11-17 Sulzer Ag Dampfkraftanlage mit Zwanglaufdampferzeuger und Zwischenueberhitzer
US3550849A (en) * 1967-11-30 1970-12-29 Texaco Inc Apparatus for generating wet steam having substantially constant quality
DE2029830C3 (de) * 1970-06-18 1974-04-11 Steag Ag, 4300 Essen Verfahren zum Anwärmen der Frischdampfleitung und der Zwischenüberhitzerleitung von Dampfturbinenanlagen
GB1327096A (en) * 1970-07-28 1973-08-15 Ici Ltd Detection of contamination of water streams
CH561394A5 (ko) * 1973-08-24 1975-04-30 Bbc Brown Boveri & Cie
US3965675A (en) * 1974-08-08 1976-06-29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ombined cycle electric power plant and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aving improved boiler feed pump flow control
US4339719A (en) * 1980-07-30 1982-07-13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Conductivity sensor for monitoring corrodents being deposited in a steam turbine
JPS5810104A (ja) * 1981-07-10 1983-01-20 Hitachi Ltd タ−ビンプラン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4759314A (en) * 1987-12-14 1988-07-26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ethod of control of steam quality from a steam generator
US5353628A (en) * 1991-07-26 1994-10-1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team purity monitor
US5850739A (en) * 1994-06-01 1998-12-22 Masnoi; Sergey Alexandrovich Steam turbine power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1998016724A1 (en) * 1996-10-15 1998-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am turbine and steam power plant with the steam turbine
DE19808596A1 (de) * 1998-02-28 1999-09-02 Babcock Kraftwerksrohrleitung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wärmen und Entwässern einer Hochdruckdampfleitung
JP4707927B2 (ja) * 2000-05-31 2011-06-2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多段蒸気タービンの無負荷又は軽負荷運転時の運転方法と装置
EP1191192A1 (de) * 2000-09-26 2002-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rmziehen und Entwässern von an Dampfturbinenstufen angeschlossenen Dampfzuleitungen
JP4509664B2 (ja) * 2003-07-30 2010-07-21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0B1 (ko) * 2011-03-25 2014-02-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증기 밸브 장치 및 증기 터빈 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49788A1 (en) 2009-10-08
PL1934434T3 (pl) 2017-04-28
CN101287892A (zh) 2008-10-15
RU2008118349A (ru) 2009-11-20
WO2007042397A2 (de) 2007-04-19
EP1775431A1 (de) 2007-04-18
BRPI0617305A2 (pt) 2011-07-19
JP2009511809A (ja) 2009-03-19
EP1934434A2 (de) 2008-06-25
JP4869350B2 (ja) 2012-02-08
KR101014011B1 (ko) 2011-02-14
CA2625464A1 (en) 2007-04-19
CN101287892B (zh) 2011-03-09
CA2625464C (en) 2011-01-11
RU2389878C2 (ru) 2010-05-20
US7765807B2 (en) 2010-08-03
WO2007042397A3 (de) 2007-09-13
EP1934434B1 (de)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011B1 (ko) 증기 터빈의 가열 방법
JP5027887B2 (ja) 蒸気タービン発電所並びに蒸気タービン発電所の高圧タービンの蒸気質量流量を増大する方法
JP4540472B2 (ja) 廃熱式蒸気発生装置
US6367242B2 (en) Recovery type steam cooled gas turbine
JP7111525B2 (ja) 貫流式排熱回収ボイラおよび貫流式排熱回収ボイラの制御システム
US20150345387A1 (en) Plant control apparatus and plant starting-up method
US20090126365A1 (en) Method for starting a steam turbine installation
US20010049931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bination power plant and combination power plant for executing the method
RU2757468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арогазовой установки в период прохождения провалов графика электропотребления
EP1247961B1 (en) Steam cooled gas turbine with a sliding setpoint for the high pressure bypass
JP6980043B2 (ja) 蒸気タービン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01351621B (zh) 用于加热蒸汽轮机的方法
CN106030054A (zh) 组合循环燃气轮机设备
US20110308251A1 (en) Method for heating a turbine shaft
RU2067668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арогазовой установки
JP6556648B2 (ja) 発電プラントの運転方法
JP3604886B2 (ja) 加圧流動床複合発電プラント及び発電プラント
JP7268573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起動方法
JPH1193618A (ja) ガスタービン蒸気冷却系統の蒸気圧制御方法
JP2002188459A (ja) ガスタービンと蒸気タービンの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
JPH0771706A (ja) 排熱回収ボイラ給水ポンプのウォーミ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