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45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453A
KR20080055453A KR1020060128826A KR20060128826A KR20080055453A KR 20080055453 A KR20080055453 A KR 20080055453A KR 1020060128826 A KR1020060128826 A KR 1020060128826A KR 20060128826 A KR20060128826 A KR 20060128826A KR 20080055453 A KR20080055453 A KR 2008005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ne
flow path
air conditio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영
우수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5453A/ko
Publication of KR2008005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을 감싸도록 결합된 베인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강도가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인과 베인 커버의 색상을 다르게 제작이 가능하여 보다 볼륨감이 있으면서 튼튼해 보이기 때문에, 외관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케이스, 캐비닛, 상부 패널, 토출구, 베인, 베인 커버, 전환, 가이드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토출 베인이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좌,우측 토출 베인의 개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좌,우측 토출 베인의 닫힌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조화기 10: 본체
20: 전면 패널 50: 상부 패널
51: 좌측면부 52: 우측면부
53: 전면부 54: 상면부
55,56: 측면 공기 토출구 57: 좌측면 토출 베인
58: 우측면 토출 베인 57a: 결합부
57b: 외측 안내부 57c: 내측 안내부
59: 유로 전환 가이드부 170: 좌측면 베인 커버
171: 우측면 베인 커버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냉각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측면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중앙측을 향해 토출되어 보다 효과적인 입체 냉/난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베인에 베인 커버가 결합됨으로써 외관 및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건물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1)와, 상기 베이스(501)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502)과, 상기 캐비닛(502)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 패널(504)과, 상기 캐비닛(502)의 전면 하부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505)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의 좌,우 양측면부와 상기 베이스(501)의 사이에 배치된 흡입 그릴(506)과, 상기 캐비닛(502)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토출시키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에는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504a)가 형성되고, 경사진 양측면부에는 측면 공기 토출구(504b)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504a)를 개폐하는 상하 구동 패널(5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에는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개폐하는 베인(5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베인(512)은 토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부(512a)와, 상기 안내부(512a)를 연결하는 연결부(5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512)는 일체형의 패널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미도시)의 구동시 상기 흡입그릴(506)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 가열/냉각된 후,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504a)와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베인(512)에 의해 안내되어 공기조화기의 좌,우측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베인(5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측면 방향으로만 토출되기 때문에 입체 냉/난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인(512)의 안내부(512a)가 일체형의 패널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베인(512)의 내외측 색상을 서로 다르게 칠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색상이나 디자인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베인(512)의 내측과 외측을 스프레이 공법을 이용해 서로 다른 색상으로 칠할 경우, 색상도포가 불균일하고 내측과 외측의 경계를 구분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인의 내외측 색상을 다르게 칠할 수 있어 외관 및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다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베인에 결합된 베인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베인은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도록 형성된 유로 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측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측면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는 상기 측면 베인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과, 상기 공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전면 중앙을 향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는 상기 베인에서 토출 공기가 접하는 면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를 공조시키는 공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30)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캐비닛(40)과, 상기 캐비닛(4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패널(50)과, 상기 상부 패널(50)의 양측 하부와 상기 베이스(30)사이에 설치되는 좌,우측 흡입 패널(60)(7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상기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상기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일종의 도어로서, 상기 베이스(3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상부패널(50)의 상단사이의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흡입 패널(60)과 우측 흡입패널(70)사이의 폭과 같거나 비슷한 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공기조화기(1)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0)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90)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20)에 형성된 투명부(2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캐비닛(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캐비닛(40)의 배면부(41)는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좌,우 측면부(42)(43)가 상기 배면부(41)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40)의 상측에는 상면 패널(44)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50)은 좌,우 측면부(51)(52)가 전면부(53)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부(54)가 상기 전면부(53)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50)은 좌,우 측면부(51)(52)의 각각에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 공기 토출구(55)(5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각각 개폐하는 좌,우측면 토출베인(57)(58)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면 토출베인(57)(58)은 상기 상부 패널(50)에 장착된 베인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패널(50)은 전면 상부 또는 상면부(54)에 공기가 토출되는 상면 공기 토출구(8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를 개폐하는 상면 토출베인(8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는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부(54)에 형성되고, 상기 상면 토출베인(81)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부(5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에는 내측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망(82)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50)의 하측과 상기 베이스(30)사이에는 상기 공조부의 전방을 가리도록 서비스 커버(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흡입 패널(60)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좌측면부(51)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흡입 패널(70)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우측면부(52)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좌,우측 흡입패널(60)(70)에는 각각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61)(7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흡입구(61)(71)를 개폐하는 좌,우측면 흡입베인(62)(7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전면 패널(20)의 좌측 상단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에 설치된 상측 힌지 브래킷(1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좌측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하측 힌지 브래킷(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패널(50)에는 상기 상측 힌지 브래킷(151)의 일부를 덮는 브래킷 커버(153)가 구비된 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회전 속도 및 각도가 제한되도록 회동제한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패널(50)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제한수단(160)은 일단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패널(50)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슬라이더(161)이다.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슬라이더(161)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62)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50)에는 상기 슬라이더(161)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브래킷(16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22)와, 상기 글래스(22)의 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패널(23)과, 상기 글래스(22)와 글래스 패널(23)을 조립하는 커버(24)를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22)의 배면에는 소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불투명 시트(25)가 부착되거나 인쇄물이 형성되는 바, 이하 불투명 시트(25)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공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100)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하도록 한 후 다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10)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100)는 상기 캐비닛(40)과 상기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40)과 상기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110)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캐비 닛(40)에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110)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에 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40)에 장착된 팬 하우징(111)과, 상기 팬 하우징(11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팬(112)과, 상기 팬(11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팬(112)에 샤프트가 연결된 송풍 모터(113)와, 상기 팬 하우징(111)의 전면에 장착된 오리피스(1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110)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기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기구(12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중앙 필터(121)와, 상기 중앙 필터(121)가 착탈되도록 상기 송풍기(110)에 장착된 필터 홀더(122)을 포함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61)(71)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우측 흡입 필터(63)(73)가 장착되고,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 유닛(140)이 장착된다.
상기 필터 청소 유닛(140)은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상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필터 키트(141)와, 상기 필터 키트(141)와 더스트 호스(14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상 먼지 등 오염물이 상기 필터 키트(14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부여하는 키트 송풍기(143)과, 상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144)과, 상기 사이클론(144)에서 분리된 필터 이물질을 집진하는 더스트 박스(145)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140)을 제어하는 키트 컨트롤 박스(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토출 베인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좌,우측 토출 베인의 개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좌,우측 토출 베인의 닫힌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 공기 토출구(80)와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각각 개폐시키는 상기 상면 토출 베인(81)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베인 커버(170)(171)가 설치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베인 커버(170)(171)가 결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57a)와, 상기 결합부(57a)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외측 안내부(57b)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외측 안내부(57b)와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안내부(57c)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57a)의 상,하단부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을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다.
상기 베인 커버(170)(171)는 상기 좌측면 토출 베인(57)의 외측 안내부(57b) 상,하,좌,우측 모서리를 감싸는 좌측면 베인 커버(170)와, 상기 우측면 토출 베인(58)의 외측 안내부 상,하,좌,우측을 감싸는 우측면 베인 커버(171)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면 토출 베인(57)과 상기 좌측면 베인 커버(170), 상기 우측면 토 출 베인(58)과 상기 우측면 베인 커버(171)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무채색 계통의 색상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버(170)(171)는 스프레이 공법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과 동일한 색상으로 칠해지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과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버(170)(171)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버(170)(171)는 상기 상부 패널(5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과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버(170)(171)는 후크나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버(170)(171)에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이 끼워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부(170a)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상기 끼움홈부(170a)에 끼워짐과 아울러,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도록 형성된 유로 전환 가이드부(59)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59)는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공기의 유로를 전환하기 위해 형성되는 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측 안내부(57b)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좌,우 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측 안내부(57b)에서 토출 공기가 접하는 면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되되, 여기서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측 안내부(57b)에서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을 향한 전방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의 운전을 요청하면, 상기 좌,우측 흡입베인(62)(72)이 상기 공기 흡입구(61)(71)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면 토출베인(81)과 좌,우측면 토출베인(57)(58)이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와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각각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10)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기(110)의 송풍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61)(71)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중앙 필터(121)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단계적으로 정화된다. 상기 중앙 필터(121)를 모두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기(110)를 통과한 후, 상기 송풍기(110)의 상측으로 송풍되어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와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되는 바, 상기 상면 토출 베인(81)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각각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와 측면 공기 토출구(55)(56)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면 토출 베인(81)에 의해 토출 유로가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에 의해 토출 유로가 안내된다. 즉,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개방되므로,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로 향한 토출공기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된다. 이 때,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59)는 토출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 중앙측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냉각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1)의 측면 방향뿐만 아니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유로 전환 가이드부(59)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측으로도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의 온/오프시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개폐시키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과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 버(170)(171)가 색상이 서로 다르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색상 선택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과 상기 좌,우측면 베인 커버(170)(171)의 색상 대비로 인해 보다 볼륨감이 있어 보일 뿐만 아니라 보다 튼튼하게 보임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인 커버(170)(171)가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에만 결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상면 토출 베인(81)에도 결합되어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를 개폐시키는 상면 토출 베인(81)의 내,외측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을 감싸도록 결합된 베인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강도가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인과 베인 커버의 색상을 다르게 제작이 가능하고, 상기 베인과 베인 커버의 색상 대비로 인해 보다 볼륨감이 있으면서 튼튼해 보이기 때문에, 외관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 공기 토출구에 설치된 좌,우측면 토출 베인에는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도록 형성된 유로 전환 가이드부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 중앙측으로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입체적인 냉/난방이 가능하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베인에 결합된 베인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도록 형성된 유로 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측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측면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전방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는 상기 측면 베인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과;
    상기 공기 출입구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베인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전면 중앙을 향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는 상기 베인에서 토출 공기가 접하는 면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128826A 2006-12-15 2006-12-15 공기조화기 KR20080055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826A KR20080055453A (ko) 2006-12-15 2006-12-1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826A KR20080055453A (ko) 2006-12-15 2006-12-1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453A true KR20080055453A (ko) 2008-06-19

Family

ID=3980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826A KR20080055453A (ko) 2006-12-15 2006-12-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358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358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00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1728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6896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57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54A (ko) 공기조화기
KR20090010451A (ko) 공기조화기
KR101362307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53A (ko) 공기조화기
KR10075895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5464A (ko) 공기조화기
EP2813769B1 (en) Air conditioner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545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52A (ko) 공기조화기
KR10140469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5456A (ko) 공기조화기
KR100788811B1 (ko) 공기조화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00520U (ko) 공기조화기
KR20080101474A (ko) 공기조화기
KR1008736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