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328A -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및 분석 용구 - Google Patents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및 분석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328A
KR20080053328A KR1020087007935A KR20087007935A KR20080053328A KR 20080053328 A KR20080053328 A KR 20080053328A KR 1020087007935 A KR1020087007935 A KR 1020087007935A KR 20087007935 A KR20087007935 A KR 20087007935A KR 20080053328 A KR20080053328 A KR 20080053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active portion
electrode
counter electrod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365B1 (ko
Inventor
카즈테루 오노다
요시하루 사토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4Corrective measures, e.g. error detection, compensation for temperature or hematocrit, 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와, 유로에 공급된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활성부(15c), (16c), (16d)를 가지는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을 구비하고, 또한 분석 장치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분석 용구(1)에 관한 것이다.
반대극(16)의 활성부(16c), (16d)는 유로 내에 있어서 분단된 제1활성부분(16c) 및 제2활성부분(16d)을 포함하고 있다.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은 분석 용구(1)를 분석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분석 장치의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단부(15a), (16a)를 가지고 있다. 작용극(15) 및 반대극(16)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은 접촉 단부(16a) 및 제1활성부분(16c)을 가지는 제1전극부(16B)와, 제2활성부분(16d)을 가지는 제2전극부(16C)를 구비하고 있다.
분석 용구, 유로, 작용극, 반대극, 활성부분

Description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및 분석 용구{METHOD FOR DETECTING SAMPLE SUPPLY CONDITION, AND ANALYZER}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 등의 유로를 구비한 분석 용구에 있어서, 유로에 대하여 적절하게 시료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생화학적 시료에 함유되는 특정 성분의 분석을 행할 경우에는, 분석 용구와 분석 장치를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중에 함유되는 글루코스 농도(혈당치)를 측정할 경우에는, 바이오센서와 혈당치 측정 장치를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바이오센서로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이오센서(8)는 전기 화학적 수법에 의해 혈당치를 측정하는 것이며, 기판(80)에 대하여 스페이서(81)를 개재해서 커버(82)를 접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81)에는 슬릿(8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슬릿(83)에 의해 기판(80)과 커버(82) 사이에 모세관(84)이 규정되어 있다. 모세관(84)은, 시약층(85)이 내부에 설치된 것이며, 혈액이 도입되었을 때에, 혈액과 시약층(85)에 함유되는 시약을 반응시키기 위한 반응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판(80)에는 작용극(86) 및 반대극(87)이 설치되어 있다. 작용극(86) 및 반대극(87)은 반응장에 대하여 전압을 인 가하고, 그때 얻어지는 응답 전류를 측정할 때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바이오센서(8)를 사용할 경우에는, 혈당치 측정 장치로서는 도 12에 나타낸 것이 사용된다. 동 도면에 나타낸 혈당치 측정 장치(9)는 작용극(86) 또는 반대극(87)에 접촉시켜, 작용극(86)과 반대극(87)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커넥터(90), (91)를 구비한 것이다. 커넥터(90)는 작용극(86)에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류/전압변환회로(92) 및 A/D변환회로(93)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91)는 반대극(86)에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라운드(ground)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혈당치 측정 장치(9)에서는, 작용극(86)과 반대극(87)이 액락(液絡)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된 것을 검지하는 한편, 혈액의 도입이 검지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응답 전류값에 의거해서 혈당치의 연산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혈당치 측정 장치(9)에서는, 작용극(86)과 반대극(87)이 액락된 것이 검출된 시점에서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즉, 일정한 역치보다도 큰 응답 전류값이 측정되었을 경우에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때문에, 혈당치 측정 장치(9)에서는,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만, 측정에 필요한 충분량의 혈액이 모세관(84)에 도입되어 있지 않아도 혈당치 측정이 행하여져 버린다. 그 결과, 얻어진 혈당치가 낮은 값일 경우에는, 혈액량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낮은 값을 나타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바이오센서로서는 더욱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이오센서(8)와 마찬가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바이오센서(8')는 작용극(86) 및 반대극(87)에 더해서 검지 전극(88)을 더욱 구비한 것이다. 검지 전극(88)은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며, 혈액을 접촉시키기 위한 부분이 모세관(84)에 있어서 혈액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안쪽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검지 전극(88)에 혈액이 접촉했을 경우에는, 작용극(86) 및 반대극(87)의 쌍방에 혈액이 접촉하고 있어, 모세관(84)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바이오센서(8')를 사용할 경우에는, 혈당치 측정 장치로서는 도 15에 나타낸 것이 사용된다. 또, 도 15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혈당치 측정 장치(9)와 마찬가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혈당치 측정 장치(9')는 커넥터(90), (91)에 더해서 검지 전극(88)에 접촉시키기 위한 커넥터(94)를 더욱 구비한 것이다. 커넥터(94)는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91)는 CPU(95)에 의해 스위치(96)를 개폐함으로써, 그라운드 접속되는 상태와 그라운드 접속되지 않는 상태가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혈당치 측정 장치(9')에서는,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경우에는, 스위치(96)가 폐쇄한 상태로 되고, 검지 전극(88)이 작용극(86)과 액락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된 것을 검지한다. 혈당치 측정 장치(9')에서는 더욱 스위치(96)를 개방한 상태로 하여, 커넥터(90), (91)를 개재해서 작용극(86)과 반대극(87)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그때 얻어지는 응답 전류값을 측정하여, 혈액의 도입이 검지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응답 전류값에 근거해서 혈당치의 연산을 행하고 있다.
바이오센서(8')에서는, 검지 전극(88)을 설치하고, 이 검지 전극(88)에 있어서의 혈액과 접촉시키는 부분을, 작용극(86) 및 반대극(87)에 있어서의 혈액과 접촉시키는 부분보다도 안쪽 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모세관(84)에 대한 혈액의 도입이 충분할 경우에만,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바이오센서(8')에서는, 모세관(84)에 혈액이 도입된 것을 검지하기 위해서, 작용극(86) 및 반대극(87)과는 별도로 검지 전극(88)을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검지 전극(88)이 필요한 분만큼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 바이오센서(8')를 위해 사용하는 혈당치 측정 장치(9')는 검지 전극(88)을 위한 커넥터(94)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생긴다. 게다가, 커넥터(91)가 그라운드 접속되는 상태와 그라운드 접속되지 않는 상태를 선택시키기 위한 스위치(96)를 마련할 필요가 생길 뿐만 아니라, 스위치(96)의 개폐 제어를 행할 필요도 생긴다. 그 때문에, 검지 전극(88)을 설치하지 않고 있는 바이오센서(8)(도 9 내지 도 12 참조)를 위해 사용하는 혈당치 측정 장치(9)(도 12 참조)에 비해서 장치 구성이 복잡화하는 동시에, 여분의 제어가 필요로 된다. 그 결과, 혈당치 측정 장치(9')에서는, 혈당치 측정 장치(9)(도 12 참조)에 비해서,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 특허 제2001-20871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분석 용구 및 분석 장치의 제조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분석 용구의 모세관에 도입된 시료가 부족할 경우에는, 그것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료의 부족에 기인하는 오측정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은,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에 공급된 시료에 전압을 인가하고, 또 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에 검출되는 검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작용극 및 반대극을 구비한 분석 용구를 이용해서 시료를 분석할 경우에, 상기 유로에 대하여 필요량의 시료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의 타임 코스(time course)에 있어서의 피크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에 있어서 상기 피크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피크의 검출 후의 검출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1 내지 제3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유로에 대하여 필요량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4스텝에서는, 예를 들어 제2스텝에 있어서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해도 상기 피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유로에 대하여 분석에 필요한 양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제4스텝에서는 또한 제3스텝에 있어서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피크의 검출 후의 검출 전류가 단조 감소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유로에 대하여 분석에 필요한 양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제4스텝에서는 더욱 제1스텝에 있어서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제2스텝에 있어서 상기 피크가 검출되고, 또한 제3스텝에 있어서 상기 피크의 검출 후의 검출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유로에 대하여 분석에 필요한 양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었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일정 시간은 예를 들어 0.1 내지 3.0초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시간이다.
검출 전류의 타임 코스는 예를 들어 특정 시간마다 측정되는 복수의 검출 전류값에 의거해서 취득된다. 이 경우의 특정 시간은 예를 들어 25 내지 200msec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관한 검출 방법에서는, 분석 용구로서는, 예를 들어 작용극 및 반대극 중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활성부를 가지고 있고, 작용극 및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활성부는 유로 내에 있어서 분단된 제1 및 제2활성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있어서 제공되는 분석 용구는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에 공급된 시료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또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활성부를 가지는 작용극 및 반대극을 구비하며, 또한, 분석 장치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분석 용구로서,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 중 적어도 한 방향의 전극의 활성부는 상기 유로 내에 있어서 분단된 제1 및 제2활성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측면에 있어서의 분석 용구는, 예를 들어 작용극 및 반대극이 분석 용구를 분석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분석 장치의 단자에 접촉시키는 접촉 단부를 가지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작용극 및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은 접촉 단부 및 제1활성 부분을 가지는 제1전극부와, 제2활성부분을 가지는 제2전극부를 구비한 것으로 된다.
제1활성부분 및 제2활성부분은 예를 들어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설치된다. 제1활성부분 및 제2활성부분은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설치해도 되고, 또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 및 상기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쌍방을 따라서 분단된 배치 혹은 그 밖의 배치이어도 무방하다.
반대극은 예를 들어 제2활성부분에 연결되고, 또한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추가의 활성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추가의 활성부분, 작용극의 활성부분 및 반대극의 활성부분은 이 순서로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분석 용구는, 예를 들어 전자 전달 물질을 함유하는 시약층을 더욱 구비한 것으로서 구성된다. 시약층은 예를 들어 작용극의 활성부 및 반대극의 활성부를 하나로 이어서 덮도록 배치된다. 추가의 활성부분, 작용극의 활성부분 및 반대극의 활성부분이 시료의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활성부분을 하나로 이어서 덮도록 배치해도 된다.
유로는 예를 들어 모세관 힘에 의해 시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분석 용구의 일례로서의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바이오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바이오센서에 있어서의 모세관에 대한 혈액의 도입 부족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혈당치 측정 장치에 바이오센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 장치에 대해서는 블록도로서, 바이오센서에 대해서는 평면도로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혈당치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되는 응답 전류값의 타임 코스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바이오센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 오센서로부터 커버 및 스페이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바이오센서의 더욱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오센서로부터 커버 및 스페이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바이오센서의 일례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바이오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바이오센서를 혈당치 측정 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 장치에 대해서는 블록도로서, 바이오센서에 대해서는 평면도로서 나타낸 도면;
도 13은 종래의 바이오센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바이오센서에 있어서의 도 10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바이오센서를 혈당치 측정 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 장치에 대해서는 블록도로서, 바이오센서에 대해서는 평면도로서 나타낸 도면.
<부호의 설명>
1, 3A, 3B, 4A, 4B, 4C: 바이오센서(분석 용구)
13, 84: 모세관(유로)
15, 40A, 40B, 40C: 작용극
15a: (작용극의) 단부(접촉 단부)
15c: (작용극의) 활성부
16, 30A, 30B: 반대극
16B: 제1부분(제1전극부)
16C: 제2부분(제2전극부)
16a: (반대극의) 단부(접촉 단부)
16b: (반대극의) 활성부(추가의 활성부분)
16c, 31A: (반대극의) 활성부(제1활성부분)
16d, 32A: (반대극의) 활성부(제2활성부분)
18: 시약층
2: 혈당치 측정 장치(분석 장치)
20, 21: 단자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분석 용구의 일례로서의 바이오센서, 이 바이오센서와 혈당치 측정 장치를 이용한 혈액 공급량 부족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이오센서(1)는 혈당치 측정 장치(2)(도 5 참조)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1회용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바이오센서(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10)에 대해서 스페이서(11)를 개재해서 커버(12)를 접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센서(1)에 있어서는, 각 요소(10) 내지 (12)에 의해 기판(10)의 장변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뻗은 모세관(13)이 규정되어 있다.
스페이서(11)는 기판(10)의 상부면(10A)으로부터 커버(12)의 하부면(12A)까 지의 거리, 즉 모세관(13)의 높이 치수를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11)에는 선단부가 개방된 슬릿(11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1A)은 모세관(13)의 폭 치수를 규정하기 위한 것으로, 슬릿(11A)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개방 부분은 모세관(13)의 내부에 혈액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3A)를 구성하고 있다.
커버(12)는 모세관(13)의 내부의 기체를 외부에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12B)를 가지고 있다. 이 커버(12)는 예를 들면 비닐론이나 고결정화 PVA 등의 젖음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판(10)은 예를 들어 PET 등의 절연 수지재료에 의해 커버(12)보다도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10)은 커버(12)의 옆쪽으로 돌출한 단부(10B)를 가지고 있다. 기판(10)의 상부면(10A)에는, 작용극(15), 반대극(16), 절연 마스크(17) 및 시약층(18)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은 모세관(13)에 도입된 혈액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단부(15a), (16a)가 커버(12)에 덮이지 않고, 기판(10)의 단부(10B)에 있어서 노출하고 있다. 이들 단부(15a), (16a)는 바이오센서(1)를 혈당치 측정 장치(2)에 장착했을 때에, 혈당치 측정 장치(2)의 단자(20), (21)(도 5 참조)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작용극(15)의 단부(15b)는 기판(10)의 단변 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 일부가 모세관(13)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반대극(16)은 S자 형상으로 굴곡한 굴곡부(16A)를 가지고 있고, 이 굴곡 부(16A)에 있어서 작용극(15)의 단부(15b)를 에워싸고 있다. 이 반대극(16)은, 굴곡부(16A)가 모세관(13)의 내부에 있어서 기판(10)의 장변 방향(모세관(13)에 있어서의 혈액의 이동 방향)으로 뻗는 슬릿(16B)을 개재해서 분단되어 있고, 단부(16a)를 포함하는 제1부분(16C)과, 제1부분(16C) 이외의 부분으로서, 작용극(15)의 단부(15b)를 에워싸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부분(16D)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은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카본 잉크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절연 마스크(17)는 작용극(15)과 반대극(16)이 단락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슬릿(17A)을 가지고 있다. 이 슬릿(17A)은 모세관(13)의 내부에 있어서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의 목적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인 동시에, 시약층(18)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슬릿(17A)은 시약 작용극(15) 및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시약층(18)과 접촉하는 부분은, 활성부(15c), (16b), (16c), (16d)를 구성하고 있고, 혈액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활성부(16b), 활성부(15c) 및 활성부(16c), (16d)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반대극(16)의 활성부(16c), (16d)는 실질적으로 검지 전극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단, 절연 마스크(17)는 시약층(18)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구성이면 되고, 도시한 예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릿과는 다른 형태의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커버(11)와 같은 평면 형태(작용극(15) 및 반대극(16)의 단부(15a), (16a) 및 활성부(15c), (16b), (16c), (16d) 이외를 덮는 구성)이어도 된다.
시약층(18)은 절연 마스크(17)의 슬릿(17A)에 있어서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의 활성부(15c), (16b), (16c), (16d)를 하나로 이어서 덮도록 설치되어 있고, 모세관(1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시약층(18)은 예를 들어 전자 전달 물질 및 산화 환원 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 시약층(18)은 혈액에 대하여 용이하게 용해되는 다공질의 고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 전달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루테늄 착체나 철 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Ru(NH3)6]Cl3나 K3[Fe(CN)6]를 사용할 수 있다. 산화 환원 효소로서는, 예를 들어 글루코스 옥시다제(GOD)나 글루코스 데하이드게나제(glucose dehydrogenase)(GDH)를 이용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PQQGDH가 사용된다.
단, 시약층은 반드시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의 활성부(15c), (16b), (16c), (16d)를 하나로 이어서 덮도록 설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시약층은 활성부(15c), (16b)를 덮는 제1시약층과, 이 제1시약층과는 분리해서 설치되고, 또한 활성부(16c), (16d)를 덮는 제2시약층을 포함하는 구성과 같이 서로 분리해서 설치된 복수의 시약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시약층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각 시약층에 있어서 다른 시약을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모세관(13)은 도입구(13A)로부터 도입된 혈액을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서 기판(10)의 장변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입된 혈액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모세관(13)에 있어서는, 도입구(13A)를 개재해서 혈액이 도입되었을 경우에는, 배기 구(12B)로부터 모세관(13)의 내부의 기체를 배출시키면서 혈액이 이동한다. 이때, 모세관(13)의 내부에 있어서는, 시약층(18)이 용해되어, 전자 전달 물질, 산화 환원효소 및 글루코스를 함유하는 액상 반응계가 구축된다. 모세관(13)에 있어서의 혈액의 이동은 혈액이 배기구(12B)의 가장자리에 도달했을 때에 정지된다.
바이오센서(1)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세관(13)에 도입된 혈액(BL)의 양이 불충분하고, 작용극(15)의 활성부(15c)와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가 혈액(BL)에 의해서 액락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극(15)의 활성부(15c)와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가 혈액(BL)에 의해서 액락되었을 경우이어도,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2부분(16D)의 활성부(16d)와, 작용극(15)의 활성부(15c)가 혈액(BL)에 의해서 액락되지 않을 경우(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와 제2부분(16D)의 활성부(16d)가 액락되지 않을 경우)에는, 혹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와 제2부분(16D)의 활성부(16d)가 그들의 일부에 있어서 액락될 경우에는, 액락 전류가 흐르지만, 그 크기는 반대극(16)이 모세관(13)의 내부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지극히 작은 것으로 되거나 혹은 정상과는 다른 교란된 것으로 된다(도 6의 쇄선, 1점 쇄선, 2점 쇄선). 즉, 바이오센서(1)에서는, 작용극(15)과 반대극(16)과 혈액에 의해 액락될 경우더라도, 모세관(13)에 도입된 혈액의 양이 충분할 경우와 불충분할 경우에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혈당치 측정 장치(2)는 바이오센서(1)에 공급된 혈액의 글루코스 농도(혈당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20), (21), 전류/전압변환회로(22), A/D변환회로(23) 및 제어·연산 회로(24)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20), (21)는 바이오센서(1)에 있어서의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의 단부(15a), (16a)에 접촉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작용극(15)과 반대극(16)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단자(20)는 전류/전압변환회로(22)에 접속되어 있고, 단자(21)는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다.
전류/전압변환회로(22)는 전류를 전압(애널로그 신호)으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것으로, 단자(20) 및 A/D변환회로(23)에 접속되어 있다.
A/D변환회로(23)는 전류/전압변환회로(22)로부터 출력된 애널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것으로, 전류/전압변환회로(22) 및 제어·연산 회로(2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연산 회로(24)는 각종 요소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A/D변환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의거해서, 모세관(13)에 혈액이 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모세관(13)에 도입된 혈액에 부족이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혹은 혈당치의 연산을 행하는 것이다. 이 제어·연산 회로(24)는 예를 들어 CPU, RAM 및 RO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바이오센서(1) 및 혈당치 측정 장치(2)를 이용한 혈당치 측정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혈당치 측정은 혈당치 측정 장치(2)에 바이오센서(1)를 장착한 뒤에, 바이오 센서(1)에 대하여 혈액을 공급함으로써, 혈당치 측정 장치(2)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혈당치 측정 장치(2)에 바이오센서(1)를 장착했을 경우, 바이오센서(1)에 있어서의 작용극(15) 및 반대극(16)의 단부(15a), (16a)가 혈당치 측정 장치(2)의 단자(20), (21)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바이오센서(1)에서는, 도입구(13A)를 개재해서 모세관(13)에 도입된 혈액이 모세관(13)에 있어서 생기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배기구(12B)를 향해서 진행한다. 적절한 양의 혈액이 모세관(13)에 도입되었을 경우에는, 혈액에 의해 시약층(18)이 즉석에서 용해되어, 모세관(13)의 내부에 액상 반응계가 구축된다. 액상 반응계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산화 환원 효소가 혈액 중의 글루코스와 특이적으로 반응해서 글루코스로부터 전자가 인출되고, 그 전자가 전자 전달 물질에 공급됨으로써 전자 전달 물질이 환원형으로 된다.
한편, 혈당치 측정 장치(2)에서는, 단자(20), (21)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함으로써, 작용극(15)과 반대극(16)과의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한다. 그리고,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에 혈액이 도달하고, 이 활성부(16c)가 작용극(15)의 활성부(15c)와의 사이가 액락되었을 때에, 작용극(15)과 반대극(16)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전류/전압변환회로(22)에 있어서 전압으로 변환되고 나서 A/D변환회로(23)에 입력되고, A/D변환회로(23)로부터 전류의 크기에 따른 수준의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되어서 제어·연산 회로(24)에 입력된다. 또한, 액상 반응계가 구축된 상태로 작용극(15)과 반대극(16)과의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했을 경우에는, 환원형으로 된 전자 전달 물질로부터 작용극(15) 의 활성부(15c)에 전자가 공급된다. 작용극(15)의 활성부(15c)에 대한 전자의 공급량은 응답 전류로서 최종적으로는 제어·연산 회로(24)에 입력된 디지털 신호의 수준에 상관시켜서 특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50msec마다) 파악된다.
여기서, 바이오센서(1)의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었을 경우(정상 때)에는, 혈액의 도입 후 즉석에서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 (16d)에 혈액이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활성부(16c), (16d)가 작용극(15)의 활성부(15c)와 액락하는 동시에, 시약층(18)이 즉석에서 용해된다. 그 때문에, 정상 때에는, 제어·연산 회로(24)에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수준(응답 전류의 크기)의 타임 코스는,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세관(13)에 대한 혈액의 도입 직후에 피크를 가지는 것으로 되는 동시에, 피크 후에는 단조 감소하는 곡선으로 된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의 피크 값이 큰 실선은 혈당치가 중간 정도 혹은 높을 경우의 타임 코스에 상당하고, 피크 값이 작은 실선은 혈당치가 낮을 경우의 타임 코스에 상당하고 있다.
한편, 모세관(13)에 도입되는 혈액의 양이 불충분할 경우의 응답 전류값의 타임 코스는, 예를 들어 동 도면에 쇄선, 1점 쇄선 및 2점 쇄선으로 모식적으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으로 된다. 즉, 혈액의 양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혈액의 도입 후 즉석에서,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B)의 활성부(16c), (16d)의 전체에는 혈액이 도달하지 않고(예를 들면 도 4(A) 내지 도 4(D) 참조), 또 시약층(18)은 즉석에서는 용해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모세관(13)에 도입되는 혈액이 불충분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동 도면에 쇄선으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응답 전 류가 낮은 값으로 단조 증가하는 타임 코스로 되고, 동 도면에 1점 쇄선으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크를 얻을 수 있지만, 피크가 정상 때보다도 지연되어 얻어지는 타임 코스로 되고, 혹은 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때와 마찬가지 타이밍으로 피크를 얻을 수 있지만, 피크 후에 단조 감소하지 않는, 즉 피크 후의 일정 시기부터 단조 증가로 변하고, 혹은 다시 피크가 나타나는 타임 코스로 된다. 또한, 최초의 피크 후에 단조 감소하지 않는 케이스로서,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최초의 피크 후에 응답 전류값이 복수회 상하 변동하는 케이스도 상정할 수 있다.
제어·연산 회로(24)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의 수준(전류의 크기)을 일정 시간마다 연속적으로 파악하고, 그 수준이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도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의 역치는, 예를 들어 반대극(16)에 있어서의 제1부분(16C)의 활성부(16c) 및 제2부분(16D)의 활성부(16d)가 서로 적절하게 액락되었을 때의 전류의 크기에 대응한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연산 회로(24)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의 수준이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도 크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해당 판단 시점을 제로(zero) 점으로 해서 특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200msec마다) 입력된 디지털 신호의 수준을 파악한다.
제어·연산 회로(24)는 더욱 제로 점을 설정한 후에, 연속적으로 얻어지는 디지털 신호에 근거해서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이 검지는, 제로 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면 0 .1 내지 3 .0초)이 경과한 뒤에 있어서 타임 코스에 피크가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피크 검출 스텝과, 이 피크 검출 스텝에 있어서 피크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피크의 검출 후의 응답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조 감소 검출 스텝과, 피크 검출 스텝 및 단조 감소 검출 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연산 회로(24)에 있어서의 판단 스텝에서는, 피크 검출 스텝에 있어서, 제로 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타임 코스에 피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6에 쇄선 또는 1점 쇄선으로서 모식적으로 예시한 타임 코스로 되는 것 같은 혈액부족시에 대해서도,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연산 회로(24)에 있어서의 판단 스텝에서는 더욱 피크 검출 스텝에 있어서 피크가 검출되어, 그 피크 이후부터 응답 전류가 단조 감소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함으로써, 도 6에 2점 쇄선으로서 모식적으로 예시한 타임 코스로 되는 것 같은 혈액 부족시, 혹은 최초의 피크 후에 응답 전류값이 복수회 상하 변동하는 케이스에 대해서,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연산 회로(24)에서는,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혈당치의 연산을 행하지 않고 에러 처리를 행하고, 혈당치 측정 처리를 종료한다. 에러 처리를 행하였을 경우에는, 그 취지가 예를 들어 혈당치 측정 장치(2)의 표시 패널(도시 생략)에 표시된다.
한편, 제어·연산 회로(24)는 피크 검출 스텝에 있어서, 제로 점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타임 코스에 피크가 검출되고, 그 피크 이후부터 응답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모세관(13)에 충분한 양의 혈액이 도입되었다고 판단하고, 혈당치 측정 처리를 속행한다. 즉, 제어·연산 회로(24)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모세관(13)에 대하여 혈액이 도입된 것이 확인된 시점(제로 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했을 때에 측정되는 응답 전류값(A/D변환회로(23)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의 수준)을 샘플링하고, 이 응답 전류값을 미리 결정해 둔 검량선에 적용시킴으로써 혈당치가 연산된다. 혈당치의 연산 결과는 예를 들어 혈당치 측정 장치(2)의 표시 패널(도시 생략)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센서(1)로서 반대극(16)이 모세관(13) 내에서 분단된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용극(15)과 반대극(16)과 혈액에 의해 액락될 경우더라도, 모세관(13)에 도입된 혈액의 양이 충분한 경우와 불충분한 경우에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때문에, 모세관(13)에 도입되는 혈액에 부족이 있을 경우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극(16)의 활성부(16b) 및 작용극(15)의 활성부(15c)보다도 혈액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실질적으로 검지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반대극(16)의 활성부(16c), (16d)를 설치함으로써, 반대극(16)의 활성부(16b) 및 작용극(15)의 활성부(15c)에 혈액이 도달하고 있는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센 서(1)의 작용은, 종래와 같이 검지 전극을 설치하는 일 없이, 반대극(16)의 형상을 연구하는 동시에, 반대극(16)의 일부를 분단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바이오센서(1)에서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모세관(13)에 대한 혈액의 도입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더욱 응답 전류값의 타임 코스를 파악하는 동시에, 그 타임 코스의 피크의 유무, 혹은 피크가 나타날 경우에 있어서의 피크 후의 응답 전류값의 거동(단조 감소하는 지의 여부)에 의해서, 모세관(13)에 대한 혈액의 도입이 충분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모세관(13)에 도입되는 혈액에 부족이 있을 경우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혈당치 측정 장치(2)의 작용은, 바이오센서(1)에 검지 전극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검지 전극용의 단자나 스위치를 설치하는 일 없이, 또 스위치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혈당치 측정 장치(2)에서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모세관(13)에 대한 혈액의 도입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센서(1)의 반대극(16)의 형상을 연구하고, 또 혈당치 측정 장치(2)에 있어서 얻어지는 응답 전류값의 데이터 처리를 연구함으로써, 모세관(13)에 도입되는 혈액에 부족이 있을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또한 저렴한 구성에 의해 검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모세관(13)에 대한 혈액 도입량의 부족에 의해 측정값이 낮은 값으로서 측정될 수 있는 케이스를 에러로서 확실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혈당치가 낮은 경우더라도, 그것을 혈액 도입량이 부족할 경우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혈당치가 낮은 경 우의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바이오센서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앞서 설명한 바이오센서(1)와 마찬가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도 8(A) 내지 도 8(C)에 있어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앞서 설명한 바이오센서(8)와 마찬가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이오센서(3A)는 앞서 설명한 바이오센서(1)(도 1 내지 도 3 참조)에 있어서 반대극(30A)에 있어서의 모세관(13)의 안쪽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혈액의 흐름 방향(기판(10)의 장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기판(10)의 단변 방향)을 따라 분단하고, 활성부(31A), (32A)를 기판(10)의 장변 방향으로 나열해서 배치한 것이다. 도 7(B)에 나타낸 바이오센서(3B)는 모세관(13)의 내부에 있어서, 반대극(30B)을 혈액의 흐름 방향(기판(10)의 장변 방향) 및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기판(10)의 단변 방향)의 쌍방을 따라 분단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낸 바이오센서(4A), (4B), (4C)는, 종래예로서 설명한 바이오센서(8)(도 10 내지 도 12 참조)에 있어서, 작용극(40A), (40B), (40C)의 모세관(84)의 내부에서 분단한 것이다. 도 8(A)에는 혈액의 흐름 방향(기판(80)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작용극(40A)을 분단한 예를, 도 8(B)에는 혈액의 흐름 방향(기판(80)의 장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기판(80)의 단변 방향)을 따라서 작용극(40B)을 분단한 예를, 도 8(C)에는 혈액의 흐름 방향(기판(80)의 장변 방향) 및 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기판(80)의 단변 방향)의 쌍방을 따라 작용극(40C)을 분단한 예를 나타내었다.
물론, 작용극 및 반대극의 일부를 분단시키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예로는 한정되지 않고, 그들 전극을 혈액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경사 방향으로 뻗는 슬릿을 개재해서 분단된 것이어도 되고, 또 곡선 형상의 슬릿과 같이 비직선적인 슬릿을 개재해서 분단되어 있어도 되며, 그 밖의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혈액 공급량 부족 검출 방법, 즉 응답 전류의 타임 코스에 있어서의 피크의 유무, 혹은 모세관에 대한 혈액도입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이후의 응답 전류의 거동(응답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지의 여부)에 의거하는 혈액 공급량의 부족 검지의 수법은, 작용극이나 반대극이 분단된 바이오센서에 한하지 않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작용극이나 반대극이 분단되어 있지 않은 바이오센서(도 10 내지 도 12 참조)를 이용한 혈당치 측정에 있어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피크 검출 후에 재차 피크가 검출될 때(도 6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서 모식적으로 예시한 타임 코스가 될 때)에는, 그것을 혈액의 추방이 있었던 것으로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더욱 동일 평면 위에 작용극 및 반대극이 설치된 분석 용구에 한하지 않고, 작용극 및 반대극이 그들의 두께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된 분석 용구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작용극 및 반대극의 쌍방에 대해서, 모세관 내에 있어서 분단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혈당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는 분석 장치에 한하지 않고, 다른 분석 용구에 사용하는 분석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기타의 분석 용구로서는, 예를 들어 혈액 중의 글루코스 이외의 성분(예를 들면 락트산이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 혈액 이외의 시료를 이용한 분석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Claims (20)

  1.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에 공급된 시료에 전압을 인가하고, 또 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에 검출되는 검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작용극 및 반대극을 구비한 분석 용구를 이용해서 시료를 분석할 경우에, 상기 유로에 대하여 필요량의 시료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스텝;
    상기 제1스텝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검출 전류가 상기 역치를 초과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의 타임 코스(time course)에 있어서의 피크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스텝;
    상기 제2스텝에 있어서 상기 피크가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피크의 검출 후의 검출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3스텝; 및
    상기 제1 내지 제3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유로에 대하여 필요량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텝에서는, 상기 제2스텝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유로에 대하여 분석에 필요한 양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텝에서는, 상기 제3스텝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피크의 검출 후의 상기 검출 전류가 단조 감소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유로에 대하여 분석에 필요한 양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스텝에서는, 상기 제2스텝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피크가 검출되고, 또한 상기 제3스텝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피크의 검출 후의 상기 검출 전류가 단조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상기 유로에 대하여 분석에 필요한 양의 시료가 적절하게 공급되었다고 판단하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0.1 내지 3.0초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시간인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류의 타임 코스는 특정 시간마다 측정되는 복수의 검출 전류값에 의거해서 취득하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은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활성부를 지니고 있고,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활성부는 상기 유로 내에 있어서 분단된 제1 및 제2활성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용구는 분석 장치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은 해당 분석 용구를 상기 분석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분석 장치의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은 상기 접촉 단부 및 상기 제1활성부분을 가지는 제1전극부와, 상기 제2활성부분을 가지는 제2전극부를 구비하고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성부분 및 상기 제2활성부분은 상기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극은 상기 제2활성부분에 연결되고, 또한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추가의 활성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추가의 활성부분, 상기 작용극의 활성부분, 상기 반대극의 활성부분은, 이 순서로, 상기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극의 활성부 및 상기 반대극의 활성부를 하나로 이어서 덮고, 또, 전자 전달 물질을 함유하는 시약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활성부분, 상기 작용극의 활성부분, 상기 반대극의 활성부분을 하나로 이어서 덮고, 또, 전자 전달 물질을 함유하는 시약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모세관 힘에 의해 시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14.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에 공급된 시료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또한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활성부를 가지는 작용극 및 반대극을 구비하고, 또 분석 장치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활성부는, 상기 유로 내에 있어서 분단된 제1 및 제2활성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용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은 해당 분석 용구를 상기 분석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분석 장치의 단자에 접촉되는 접촉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작용극 및 상기 반대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은 상기 접촉 단부 및 상기 제1활성부분을 가지는 제1전극부와, 상기 제2활성부분을 가지는 제2전극부를 구비하고 있는 분석 용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성부분 및 상기 제2활성부분은 상기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분석 용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극은 상기 제2활성부분에 연결되고, 또한 시료에 접촉시키기 위한 추가의 활성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추가의 활성부분, 상기 작용극의 활성부분, 상기 반대극의 활성부분은, 이 순서로, 상기 유로에 있어서의 시료의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분석 용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극의 활성부 및 상기 반대극의 활성부를 하나로 이어서 덮고, 또한 전자 전달 물질을 함유하는 시약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분석 용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활성부분, 상기 작용극의 활성부분, 상기 반대극의 활성부분을 하나로 이어서 덮고, 또 전자 전달 물질을 함유하는 시약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분석 용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모세관 힘에 의해 시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석 용구.
KR1020087007935A 2005-09-02 2006-08-29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및 분석 용구 KR101009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5219 2005-09-02
JPJP-P-2005-00255219 2005-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328A true KR20080053328A (ko) 2008-06-12
KR101009365B1 KR101009365B1 (ko) 2011-01-19

Family

ID=3780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935A KR101009365B1 (ko) 2005-09-02 2006-08-29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및 분석 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30999B2 (ko)
EP (2) EP2916126A1 (ko)
JP (1) JPWO2007026683A1 (ko)
KR (1) KR101009365B1 (ko)
CN (1) CN101253405B (ko)
TW (1) TW200722746A (ko)
WO (1) WO20070266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7979A2 (en) * 2009-09-04 2011-03-10 Philosys Co., Ltd. Biosensor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codes and cod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12298A (en) * 2007-04-12 2009-03-16 Arkray Inc Analyzing tool
CN101842697B (zh) 2007-10-31 2016-06-15 爱科来株式会社 分析工具及其制造方法
US20110057671A1 (en) * 2009-09-04 2011-03-10 Lifescan Scotland, Ltd. Methods, system and device to identify a type of test strip
WO2012140888A1 (ja) * 2011-04-12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US9733205B2 (en) 2011-06-16 2017-08-15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Sensor and sensor system equipped with same
JP2013257310A (ja) * 2012-05-18 2013-12-26 Arkray Inc バイオセンサ
US9523653B2 (en) 2013-05-09 2016-12-20 Changsha Sinocare Inc. Disposable test sensor with improved sampling entrance
US9435764B2 (en) * 2013-06-27 2016-09-06 Lifescan Scotland Limited Transient signal error trap for an analyte measurement determined from a specified sampling time derived from a sensed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analyte
US9518951B2 (en) 2013-12-06 2016-12-13 Changsha Sinocare Inc. Disposable test sensor with improved sampling entrance
US9897566B2 (en) 2014-01-13 2018-02-20 Changsha Sinocare Inc. Disposable test sensor
US9939401B2 (en) 2014-02-20 2018-04-10 Changsha Sinocare Inc. Test sensor with multiple sampling routes
US20180149565A1 (en) * 2015-09-18 2018-05-31 Panasonic Corporation Chemical substance concentrator and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device
TWI596335B (zh) * 2015-09-23 2017-08-21 達爾生技股份有限公司 電化學感測試片之檢測方法及檢測裝置
KR20210020578A (ko) * 2019-08-16 2021-02-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7326T2 (de) * 1998-04-02 2008-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substrates
JP4621839B2 (ja) * 1999-11-15 2011-01-2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
CN100347537C (zh) * 1999-11-15 2007-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生物传感器
JP4226756B2 (ja) 1999-11-15 2009-0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それを用いた定量方法及び定量装置
DE60019547T2 (de) * 1999-12-27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Biosensor
WO2002044705A1 (en) * 2000-11-30 2002-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 measuring instrument for biosensor, and method of quantifying substrate
JP3972063B2 (ja) 2001-01-17 2007-09-0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センサを用いる定量分析方法および定量分析装置
EP2230508A1 (en) * 2001-04-16 2010-09-22 Panasonic Corporation Biosensor
EP1452854B1 (en) * 2001-11-20 2015-02-25 ARKRAY, Inc. Fail judging method for analysis and analyzer
ATE510208T1 (de) * 2002-07-25 2011-06-15 Arkray Inc Probenanalyseverfahren und probenanalyseeinrichtung
JP4318084B2 (ja) * 2002-10-25 2009-08-19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分析用具
CN100442047C (zh) * 2002-12-02 2008-12-10 爱科来株式会社 分析用具
EP3399047A1 (en) * 2003-12-04 2018-11-07 PHC Holdings Corporation A biosens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7979A2 (en) * 2009-09-04 2011-03-10 Philosys Co., Ltd. Biosensor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codes and cod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1027979A3 (en) * 2009-09-04 2011-04-28 Philosys Co., Ltd. Biosensor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codes and cod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033649B1 (ko) * 2009-09-04 2011-05-12 주식회사 필로시스 자동코드인식을 위한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코드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26683A1 (ja) 2009-03-05
EP1939611A4 (en) 2011-10-05
TWI333063B (ko) 2010-11-11
EP1939611A1 (en) 2008-07-02
KR101009365B1 (ko) 2011-01-19
US8430999B2 (en) 2013-04-30
CN101253405B (zh) 2012-10-31
EP1939611B1 (en) 2015-07-08
WO2007026683A1 (ja) 2007-03-08
TW200722746A (en) 2007-06-16
EP2916126A1 (en) 2015-09-09
CN101253405A (zh) 2008-08-27
US20090120806A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365B1 (ko) 시료공급상태의 검출 방법 및 분석 용구
JP4621863B2 (ja) 分析装置
EP2149792B1 (en) Sample analyzing method
AU2008279274B2 (en) Electrochemical test strip
US7862695B2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US7955554B2 (en) Analytical tool
JPWO2009057793A1 (ja) 分析用具、分析装置、試料不足の検知方法および試料分析方法
US20080169799A1 (en) Method for biosensor analysis
MXPA06008846A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