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83A -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283A
KR20080053283A KR1020087005129A KR20087005129A KR20080053283A KR 20080053283 A KR20080053283 A KR 20080053283A KR 1020087005129 A KR1020087005129 A KR 1020087005129A KR 20087005129 A KR20087005129 A KR 20087005129A KR 20080053283 A KR20080053283 A KR 2008005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s
data
mbms
communication node
comm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모테기
야스히로 카토
미나미 이시이
타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5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기지국을 통괄하는 중앙 제어 노드에 의하지 않고, 복수의 기지국이 동기하여 MBMS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유저 공통 데이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와, 상기 통신 노드에 접속된 1 이상의 무선기지국과, 1 이상의 이동국을 갖는다. 본 시스템에서는, 1 이상의 기지국 각각은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절대시간에 동기한다. 통신 노드는, 1 이상의 유저용의 유저 공통 데이터를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1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수단을 갖는다.
MBMS, 데이터 전송 시스템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MISSION SYSTEM, COMMUNICATION NOD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가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회선교환형(circuit-switching)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패킷교환방식(packet-switching)에 따른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다. 제3세대 표준화 기구에서는 패킷교환형 시스템의 MBMS가 표준화되고, 그에 관련된 아키텍처나 무선 채널에 관한 구성이 공표되고 있다.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노드 B(Node B)는 MBMS로의 가입을 촉구하는 MBMS 통지 인디케이터(NI:Notification Indicator)를 배하(配下)의 이동국(UE)으로 고지한다. 이동국은 수신한 NI 중에서 서비스(예를 들면, 뉴스의 동보(broadcasting of news program) 등)를 선택하고, 기지국에 그 뜻을 연락하여, 서비스 가입 수순(service subscription procedure)이 실행된다.
이러한 종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서로 비동 기(asynchronously)로 동작한다. 즉, 개개의 기지국으로의 신호는, 시간차 또는 오프셋과 함께 전송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Radio Access Network)의 구성으로서는, 복수의 기지국과, 그들을 통괄하는 중핵적인(core)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마련된다. 또, 표준규격인 Release 6(R6)에서는, U 플레인(U-plane)의 프로토콜(PDCP, RLC, MAC-c/sh, MAC-d 등)은, RNC에 배치되고, MBMS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간에 하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및 RLC가 공통으로 사용된다.
RNC로부터 전송되는 MBMS 데이터는, RNC와 기지국과의 사이의 인터페이스(Iub)에서는, 프레임 프로토콜(FP:Frame Protocol)이 사용된다. FP의 헤더에는, MBMS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지시하는 CFN(Connection Frame Number:커넥션 프레임 넘버)이 부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접 셀 간의 송신 타이밍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MBMS용 논리 채널은, FACH(순방향 액세스 채널(FACH:Forward Access Channel))에 맵핑되어 있으며, FACH를 전송하는 물리 채널은 SCCPCH이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RAN은, 중핵적인 통신 노드(RNC)와, RNC에 접속된 다수의 기지국(노드 B)을 가지며, 기지국간은 비동기로 동작한다. MBMS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채널 SCCPCH(제2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은, 부호 또는 코드로 분할되어 있다. CFN이 부여된 MBMS 데이터가 RNC로부터 전송되므로, 기지국간에 타이밍을 맞춰서 MBM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중핵적인 통신 노드를 마련하는 것은, RAN 내에서의 통신의 지연 등을 초래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적어도 하나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복수의 기지국을 통괄하는 중앙 제어 노드에 의하지 않고, 복수의 기지국이 동기하여 MBMS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 공통 데이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와, 상기 통신 노드에 접속된 1 이상의 무선기지국과, 1 이상의 이동국을 갖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사용된다. 본 시스템에서는, 상기 1 이상의 기지국 각각은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절대시간에 동기한다. 상기 통신 노드는, 1 이상의 유저용 유저 공통 데이터를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1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수단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을 통괄하는 중앙 제어 노드에 의하지 않고, 복수의 기지국이 동기하여 MBMS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M-SC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 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M-SC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 B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 B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MBMS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경로 제어 장치
12 망
13 BM-SC
14 무선기지국
15 이동국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 노드(BM-SC)는, 유저 공통 데이터를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수신하고, 1 이상의 기지 국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전송 타이밍을 결정한다. 중핵적인 노드가 갖는 기능을 기지국에 집약시키기 때문에, 중핵적인 노드를 없애도 좋다. 각 기지국은 절대시간(absolute time)에 동기하고 있으므로, 각자(各自) MBMS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좋은 시간(타이밍)을 스스로 도출할 수 있다. 기지국 각자에게 좋은 전송 타이밍 등은 BM-SC에 통지되고, BM-SC는 다수의(이상적으로는 모든) 기지국에게 적절한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여, 각 기지국에 지시한다.
또는, BM-SC가 사전에 설정한 전송 타이밍을 다수의 기지국에 지시하고, 기지국은, 지시된 전송 타이밍은, MBMS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기능을 노드 B에 집약하여, 복수의 노드 B를 통괄하는 RNC가 없는 시스템 구성에서도, 각 노드 B로부터 동일한 타이밍에 동일한 MBM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인접 셀 간에 전송되는 MBMS 데이터를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 할 수도 있다. 또, 코어 네트워크(CN:Core Network)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인터넷 프로토콜(IP)에 의해 이루어져 지연시간차가 커졌다 하더라도, 노드 B의 스케줄러에 의해, 노드 B 간에 동일한 타이밍에 MBM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타이밍(predetermined timing)에 유저 공통 데이터가 각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도록, 무선 채널의 리소스가 사전에 확보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유저 공통 데이터가 일정한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가 상정하는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CN:Core Network)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Radio Access Network)로 구성된다. CN은, 경로 제어 장치(11), 경로 제어 장치가 접속된 망(12), 및 MBMS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13)로 구성된다. MBMS 데이터는 유저 공통 데이터라고 불러도 좋으며, BM-SC는 유저 공통 데이터 제어 장치라고 불러도 좋다. 한편, RAN은, 복수의 기지국(노드 B)(14) 및 복수의 이동국(UE)(15)으로 구성된다. BM-SC와 UE와의 사이에서는, MBMS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의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아울러, BM-SC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도 MBMS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의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혹은 그에 준하는 시스템에 의한 절대시간에 동기하며, 따라서 기지국끼리는 서로 동기된다.
CN의 망 내의 MBMS 데이터 전송은, 기본적으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IP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IP 이외의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어도 좋다.
노드 B와 UE와의 사이에서는, 노드 B로부터 UE로의 하향방향의 채널로서 하나의 무선 물리 채널이 정의되며, 이 무선 물리 채널 상에서, MBMS용 제어신호, 및 MBMS 데이터가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M-SC의 기능 블록도이다. BM-S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유선 전송부, 전송 타이밍부, 데이터 축적부, 및 MBMS 제어부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BM-SC가 구비하는 각 기능 엔티티(entities)에 대하여 제어를 수행하며, BM-SC 장치 전체의 동작을 관리한다. 유선 전송부는, 동일 CN 내의 콘텐츠 프로바이더(CP:Contents Provider) 혹은 일반적인 데이터 네트워크(PDN:Public Data Network) 중의 CP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선 전송부는, 노드 B로 MBMS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유선 전송부는 노드 B, UE 및 BM-SC 간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도 갖는다. MBMS 제어부는, 1 이상의 노드 B와의 사이에서, MBMS의 세션(송신 개시 타이밍, 송신 계속 시간, 송신 반복 횟수 등)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축적부는, 유선 전송부에서 수신한 CP로부터의 MBMS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송 타이밍부는, MBMS 세션 내에서의 전송 타이밍에 기초하여 MBMS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기지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무선 전송부, 유선 전송부, MBMS 제어부, 스케줄링부, 데이터 축적부, 및 절대시간 취득부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기지국에 구비되는 각 기능 엔티티에 대하여 제어를 수행하며, 기지국 전체의 동작을 관리한다.
무선 전송부는, MBMS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UE에 대하여, BM-SC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데이터를 무선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TB(Transport Block)의 작성, 변조(modulation), 부호화(encoding)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무선 전송부는, 인접하는 노드 B 간에 절대시간에 동기한 타이밍에 무선 채널을 전송하는 기능도 갖는다.
유선 전송부는, BM-SC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선 전송부는 노드 B와 BM-SC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를 통신하는 기능도 갖는다.
MBMS 제어부는, 노드 B와 BM-SC와의 사이에서, MBMS 세션의 시그널링(signaling)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MBMS 제어부는, BM-SC로부터 지정된 타이밍을 노드 B의 스케줄러에 반영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예를 들면 MBMS 제어부는, MBMS 데이터의 송신 개시 타이밍, 송신 계속 시간, 송신 반복 횟수 등의 하나 이상에 대하여 어떠한 요청을 BM-SC측에 통지하여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BM-SC는 각 노드 B로부터의 그들의 요청에 따라, 절대시간에 기초한 세션 내용을 결정한다.
스케줄링부는, MBMS 제어부에서 지정한 타이밍에, MBMS 데이터를 무선 채널로 전송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축적부는, 유선 전송부로부터 수신한 MBMS 데이터가 송신 스케줄이 될 때까지, MBMS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능을 갖는다.
절대시간 취득부는, GPS 혹은 그에 준하는 절대시간(예를 들면, NW상의 마스터나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동기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을 갖는 것으로부터 절대시간을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절대시간 취득부는, 스케줄러의 절대시간을 맞추는 기능도 갖는다. 절대시간 취득부는, 무선 채널을 절대시간에 동기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M-SC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BM-SC는, 자(自) 망 내의 CP 혹은 PDN에 있는 CP로부터 MBMS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1). 단계 S1의 판단 결과, MBMS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종료한다. 단계 S1의 판단 결과, MBMS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BM-SC 내에서 일단 MBMS 데이터를 축적하고, MBMS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의사를 확인한다(S2). 즉, 기지국이 MBMS의 광고(통지 인디케이터(NI))를 고지하고, UE가 그 광고에 응답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된다.
유저가 어떠한 흥미를 나타내며 응답하고 있는 상태는, 액티베이션(activation)이라고도 불린다. 단계 S2의 판단 결과, 해당 MBMS에 대한 액티베이션의 UE가 없는 경우에는, 흐름은 종료한다. 단계 S2의 확인 결과, MBMS 데이터에 대한 UE의 액티베이션이 확인된 경우에는, 그 UE에 MBMS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노드 B와 BM-SC 간에 MBMS 세션에 관한 협정(agreement)이 수행된다(S3). 이 협정 또는 제어 지시에서는, 해당 MBMS 데이터를, 예를 들면 15시 0분 0초 00에 전송을 개시하고, MBMS 데이터의 전송시간이 1분 계속되며, 그것이 5분 간격으로 5회 반복되는 것이 결정되어도 좋다. 특히, 각 노드 B는, 전송 개시 시간 등에 관한 요구를 BM-SC에 제시하고, BM-SC가 그것들에 기초하여 적절한 송신 개시 시간 등이 결정되어도 좋다. 또, 송신 간격 등의 전송 타이밍은, CN으로부터 노드 B까지의 전송로에서의 지연 변동을 고려하여 마진과 함께 결정되어도 좋다. MBMS 세션의 내용이 복수의 노드 B 및 BM-SC 간에 협정으로 결정되는 것은, MBMS 세션의 내용이 BM-SC 또는 RNC 측에서 일방적으로 결정되던 종래의 수법과 크게 다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노드 B의 각각이 절대시간에 동기하고 있으므로, 중핵적인 RNC에 의하지 않고, MBMS 세션의 내용을 상기한 협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에서는, MBMS 데이터는 노드 B와의 사이의 협정에 의한 전송 타이밍에 맞도록 전송된다. 현재의 타이밍이 MBMS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인지 여부가 판단되고(S4), MBMS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의 타이밍인 경우에는, 순차 MBMS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된다(S5). 지시된 간격으로 규정 횟수 전송이 수행되면, 흐름은 종료한다. 단계 S4의 판단 결과, MBMS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스케줄링 타이밍까지 흐름은 대기한다.
또한, MBMS 데이터를 복수회 전송하는 것은 본 발명에 필수는 아니다. 그러나, 기존의 IMT-2000 시스템과의 정합성을 꾀하는 관점에서는, 본 실시 예와 같이 MBMS 데이터를 복수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MBMS 데이터는, 무선구간에서의 개개의 재송제어(R6의 경우에는, RLC에서의 재송 제어)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고, 그 대신 동일 데이터가 복수회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 B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노드 B는, BM-SC로부터 MBMS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 단계 S1의 판단 결과, 시그널링이 있는 경우에는, 시그널링이 나타내는 파라미터(콘텐츠의 QoS, 스트리밍 지연 시간 등)가 확인된다. 단계 S1의 판단 결과, BM-SC로부터의 시그널링이 없는 경우에는, 흐름은 종료한다. BM-SC와의 사이에서 결정된 MBMS 전송 타이밍은 MBMS 제어부에서 기억된다(S2). 다음으로, BM-SC로부터 해당 MBMS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S3). 단계 S3의 판단 결과, 해당 MBMS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종료한다. 단계 S3의 판단결과, MBMS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MBMS 데이터 축적부에서 일시적으로 해당 MBMS 데이터의 축적이 수행된다(S4). 다음으로, 현시점이 MBMS 제어부에서 기억한 스케줄링 타이밍에 이르렀는지 여부가 확인된다(S5). 단계 S5의 판단 결과, BM-SC와의 사이에서 결정된 MBMS 데이터의 전송 스케줄링 타이밍에 이른 경우에는, MBMS 데이터가 전송된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정되는 통신 시스템은,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신 시스템과 거의 동일하나, 무선 채널 상에서 MBMS용 논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개소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MBMS의 데이터 전송용으로 무선 채널의 리소스(타이밍이나 주파수 등)가 미리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도록 리소스가 주기적으로 확보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비 주기적으로 리소스가 확보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 상정되는 노드 B에 관한 블록도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나, 각 요소의 기능은 다르다. 노드 B는 제어부, 무선 전송부, 유선 전송부, 스케줄링부, 데이터 축적부, MBMS 제어부 및 절대시간 취득부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노드 B에 구비되는 각 기능 엔티티에 대하여 제어를 수행하며, 노드 B 전체의 동작을 관리한다.
무선 전송부는, MBMS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UE에 대하여, BM-SC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데이터를, 복수의 UE에서 수신 가능한 무선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포트 블록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무선 전송부는, 변조, 부호화 등의 무선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도 갖는다.
유선 전송부는, BM-SC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선 전송부는 노드 B 및 BM-SC 간에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유선 전송로 상에서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도 갖는다.
스케줄링부는, MBMS 제어부에서 지정된 MBMS용 무선 채널의 전송 타이밍에, 무선 채널 내의 MBMS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축적부는, BM-SC로부터 수신한 MBMS 데이터가 송신 스케줄이 될 때까지, MBMS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능을 갖는다.
MBMS 제어부는, 노드 B와 BM-SC와의 사이에서, MBMS 세션을 위한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MBMS 제어부는, MBMS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노드 B의 스케줄러에 반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절대시간 취득부는, GPS 혹은 그에 준하는 절대시간을 갖는 클록원(clock source)으로부터 절대 시간을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절대시간 취득부는, 스케줄러의 절대시간을 맞추는 기능도 갖는다. 절대시간 취득부는, 무선 채널을 절대시간에 동기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드 B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과 마찬가지로, 노드 B는, BM-SC로부터 MBMS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 단계 S1의 판단 결과, 시그널링이 있는 경우에는, 시그널링이 나타내는 파라미터(콘텐츠의 QoS, 스트리밍 지연 시간 등)가 확인된다. 단계 S1의 판단 결과, BM-SC로부터의 시그널링이 없는 경우에는, 흐름은 종료한다. BM-SC와의 사이에서 결정된 MBMS 전송 타이밍은 MBMS 제어부에서 기억된다(S2). 다음으로, BM-SC로부터 해당 MBMS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S3). 단계 S3의 판단 결과, 해당 MBMS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종료한다. 단계 S3의 판단결과, MBMS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MBMS 데이터 축적부에서 일시적으로 해당 MBMS 데이터가 축적된다(S4). 그리고, 현시점이 MBMS용 채널의 전송 타이밍에 이르렀는지 아닌지가 확인된다(S5). 단계 S5의 판단 결과, MBMS 채널의 전송 스케줄링 타이밍에 이른 경우에는, 해당 MBMS 데이터가 전송되고(S6), 흐름은 종료한다. 제1 실시 예의 경우와는 달리, MBMS 데이터 전송용 무선 채널의 리소스는 이미 확보되어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의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MBMS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전송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10시부터 1분마다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05년 9월 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5-26137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5-261374호의 전 내용을 여기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5)

  1. 유저 공통 데이터(user common data)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와, 상기 통신 노드에 접속된 1 이상의 무선기지국과, 1 이상의 이동국을 갖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기지국 각각은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절대시간에 동기하고,
    상기 통신 노드는, 유저용의 유저 공통 데이터를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및
    1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에 송신할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에 유저 공통 데이터가 각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도록, 무선 채널의 리소스가 사전에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1 이상의 기지국과 1 이상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며, 상기 1 이상의 기지국에 접속된 통신 노드에 있어서,
    유저용의 유저 공통 데이터를 프로바이더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및
    1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은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절대시간에 동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노드.
  4. 제 3항에 있어서,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전송 타이밍은,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찾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노드.
  5. 유저 공통 데이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와, 상기 통신 노드에 접속된 1 이상의 무선기지국과, 1 이상의 이동국을 갖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기지국 각각은 복수의 기지국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절대시간에 동기하고,
    상기 통신 노드가, 유저용의 유저 공통 데이터를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통신 노드가, 1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1 이상의 기지국이 유저 공통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87005129A 2005-09-08 2006-09-05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80053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1374A JP2007074577A (ja) 2005-09-08 2005-09-08 データ伝送システム、通信ノード及びデータ伝送方法
JPJP-P-2005-00261374 2005-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83A true KR20080053283A (ko) 2008-06-12

Family

ID=3783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129A KR20080053283A (ko) 2005-09-08 2006-09-05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16433A1 (ko)
EP (1) EP1924012A1 (ko)
JP (1) JP2007074577A (ko)
KR (1) KR20080053283A (ko)
CN (1) CN101258697A (ko)
TW (1) TW200718085A (ko)
WO (1) WO2007029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2671B2 (ja) 2006-10-06 2013-01-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移動無線通信制御方法
CN101051889B (zh) * 2007-03-23 201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网络控制器间业务数据一致的方法及系统
CN101350663A (zh) * 2007-07-18 2009-0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多播广播业务数据同步方法及系统
CN101370156B (zh) * 2007-08-15 2012-05-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多播组播业务传输的方法和网络系统
CN101389071B (zh) * 2007-09-12 2012-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重叠关系的mbs区域间的共享mbs无线资源的协调方法
JPWO2009091042A1 (ja) * 2008-01-16 2011-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データの配信方法、基地局、基地局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911642A (zh) * 2008-02-04 2010-12-0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对信令消息进行同步的方法和基站
CN102204369B (zh) * 2008-10-31 2015-10-21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核心网络节点、控制站、基站和通信方法
US9497731B2 (en) 2008-10-31 2016-11-15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0051851A1 (en) * 2008-11-07 2010-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ending data from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node
CN102055724B (zh) 2009-10-27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广播多播业务同步处理方法、上层网元及下层网元
WO2014136246A1 (ja) * 2013-03-07 2014-09-12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収集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
US9226266B2 (en) * 2013-09-03 2015-1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determining delay parameters for user data flow synchronization for eMBMS
CN113055373A (zh) 2017-03-30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410A (ja) * 1999-02-09 2000-08-22 Nec Corp セルラー式移動携帯電話用基地局装置及び端末装置
PL345394A1 (en) * 1999-05-14 2001-12-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converting a packetized stream of information signals into a stream of information signals with time stamps and vice versa
JP2002335556A (ja) * 2001-05-08 2002-11-22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7986724B2 (en) * 2001-07-13 2011-07-26 Rhomson Licensing Digital audio/video broadcast on cellular systems
CN1203695C (zh) * 2002-08-13 2005-05-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临时移动组标识的产生与分配方法
EP1528723A1 (en) * 2003-10-31 2005-05-04 Siemens Mobile Communications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ass software downloa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mass software download
SE0303031D0 (sv) * 2003-11-12 2003-11-12 Ericsson Telefon Ab L M Inter-Frequency and inter-rat handover measurements
US20050243721A1 (en) * 2004-04-29 2005-11-03 Zhijun Cai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DE502005007418D1 (de) * 2004-05-05 2009-07-16 Siemens Ag Verfahren zum empfangen von in einer folge gesendeten daten in einem mobilfunksystem mit empfangslücken
FR2870063B1 (fr) * 2004-05-07 2006-09-22 Nortel Networks Ltd Procede pour assurer une continuite de service de multidiffusion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et controleurs de reseau radio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P1771956A4 (en) * 2004-07-29 201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FOR 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8085A (en) 2007-05-01
US20090116433A1 (en) 2009-05-07
EP1924012A1 (en) 2008-05-21
TWI320647B (ko) 2010-02-11
JP2007074577A (ja) 2007-03-22
WO2007029708A1 (ja) 2007-03-15
CN101258697A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3283A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통신 노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US7664070B2 (en) Method for providing a multicast and/or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601702B2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セル再設定
AU2006241612B2 (en) Changing a radio access configur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network
KR100663423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부분결합 방법및 장치
KR100762669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신신호의 신호이득을 최대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1162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KR10092971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통신 방법
US922626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delay parameters for user data flow synchronization for eMBMS
KR2004009839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케스트/멀티케스드서비스에 따른 호출 정보 전송방법
JP2007525914A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をスケジューリング及び同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422176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無線端末及びそのデータ配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9693372B2 (en) eMBMS control plane synchronization
WO200501811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on transport channel for mbms
CN110677212A (zh) 一种时间同步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CN104284300B (zh) 一种数据发送方法和设备
KR1021786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 패킷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법
JP5533933B2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JP5522196B2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