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390A - 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 Google Patents

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390A
KR20080052390A KR1020070121529A KR20070121529A KR20080052390A KR 20080052390 A KR20080052390 A KR 20080052390A KR 1020070121529 A KR1020070121529 A KR 1020070121529A KR 20070121529 A KR20070121529 A KR 20070121529A KR 20080052390 A KR20080052390 A KR 2008005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chamb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유키 하야시다
타카시 이바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A 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is provided to minimize sewing inferiority rate by forming secure and smooth stitch and by maintaining stable decoration thread hooking. Multiple needles are established in order to move up and down and round trip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crossing the transfer direction of fabric. An upper decoration thread guide is supported by fixing to the fabric foot and the sewing machine arm, and leads the upper decoration thread from the upper part to the stitch forming region under the fabric foot. The upper decoration thread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decoration thread guide and the fabric foot, and is hooked on the thread hooking part. An upper decoration thread looper(1) is installed so as to move back and forward along parallel direction of the multiple needles, in order to draw the upper decoration thread in the direction of crossing the fabric transfer. An upper decoration thread subsidiary member presses the upper decoration thread downwardly when the upper decoration thread is reached in the neighborhood of a retreating end.

Description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본 발명은 예컨대 3개 바늘 등의 다침 편평 박음 재봉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바늘실과 루퍼실 및 상부 장식실에 의해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or example, a needle flat sewing machine such as three needles and the like, and relates to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onfigured to form a sweat by a plurality of needle threads, a looper thread, and an upper decorative thread.

이러한 종류의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로서, 종래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 61-116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4-354979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 공고 평 7-38914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시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바늘과, 천 누름쇠와, 재봉기 암에 고정 지지되어 상부 장식실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상부 장식실 안내와, 이 상부 장식실 안내와 상기 천 누름쇠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실걸이부를 가지며, 이 실걸이부에 건 상부 장식실을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의 병렬 방향으로 진출 퇴입 구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장식실 루퍼와, 박음 종료 시에 상기 바늘이 상사점 또는 그 부근에 도달하고, 상기 상부 장 식실 루퍼가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걸어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겨 절단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 실끝을 유지하는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를 구비한 것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As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of this kind, a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163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4-354979,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38914, etc., A plurality of needle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abric crossing direction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the fabric presser, and fixedly supported by the sewing machine arm to guide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sweat forming area under the fabric press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and a thread hanger for hanging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and the fabric presser. An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in a paralle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for feeding out, and at the end of A part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ulled and passed between the thread hanger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guide while reaching the top dead center or the vicinity thereof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is moved to the advance end. A number of proposals have been made to have an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which is pulled diagonally upwards and rearwards to cut and maintains the cut upper decorative thread thread end.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 부재를 구비한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에 따르면, 통상의 박음 동작 시에는 상부 장식실 안내를 통하여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보다 우측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장식실이 상부 장식실 루퍼의 진출 이동에 따라 상기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려 좌방으로 끌어당겨지고, 상기 루퍼가 진출단에 도달한 단계에서 상기 실걸이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상부 장식실 루프 내를 복수 개의 바늘 중 병렬 방향 좌측의 바늘이 하강 이동함과 아울러, 병렬 방향 우단의 바늘이 상부 장식실 루프의 바로 앞쪽을 하강 이동하고, 그 후의 상기 루퍼의 퇴입 이동 시에 상기 실걸이부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부 장식실이 상기 우단 바늘에 공급되는 우단의 바늘실에 의해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에 눌려져서 천의 상면에 꿰매붙여져서 소정의 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wing machine with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ent members, in the normal sewing operation, the upper decoration extending upward obliquely to the right than the sweat forming area under the fabric presser throug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The thread is caught by the thread hanger of the looper and pulled to the left side as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moves forward, and is formed between the thread hanger and the upper guide thread when the looper reaches the advance end. The needle on the left side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moves downward in the upper chamber loop, and the needle on the right side in the parallel direction moves down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hamber loop, and at the time of the retraction movement of the looper thereaft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released from the thread hook portion is sweat-shaped below the fabric presser by the needle thread of the right end supplied to the right end needle. Is pressed in a region so sew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oth are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stitch.

그런데, 상기한 각 특허 공보 등에서 제안된 바 있는 종래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는 모두 상부 장식실이 상부 장식실 루퍼의 진출 이동 시에 그 실걸이부에 걸려 좌방으로 끌어당겨지고, 상기 루퍼가 진출단에 도달한 단계에서 그 실걸이부와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상부 장식 루프가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루퍼의 실걸이부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부 장식실이 우단의 바늘실 에 의해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에 눌리는 동작이 반복되어 소정의 땀을 연속적으로 확실하고 순조롭게 형성할 수 있는 것, 즉 통상의 박음 동작이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부터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한 것으로서, 이전의 천에 대한 박음이 완료되고, 다음 천에 대한 박음을 시작한 경우의 최초의 땀 형성 동작(이하,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sewing machine attached to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as proposed in each of the above patent publications, etc., all the upper decorative thread is caught in the thread hanger and pulled to the left wh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moves out. In the step of reaching the exit end, the upper decorative loop is reliably formed between the thread hanger part and the upper thread guide, so that the upper thread which is released from the thread hanger of the looper is clothed by the needle thread of the right end. The premise that the pressing operation is repeated in the sweat formation area under the presser to form a predetermined sweat continuously and reliably and smoothly, i.e., assumes that the normal stitching operation can be normally performed from th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 , The first stitch forming action when the sewing on the previous fabric is completed and the sewing on the next fabric is started (hereinafter, the first needle) For the striking operation) it is not considered at all.

즉,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 시에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상부 장식실이 확실하게 걸리지 않는 사태에 대해서는 상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 시에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상부 장식실이 걸리지 않는 사태가 발생한 경우, 상부 장식실이 바늘실에 서로 얽힌 소정의 땀이 형성되지 않는 소위 뜀땀을 발생시켜 제1 바늘땀은 물론 제2 바늘땀 이후의 박음 동작 시에도 소정의 땀을 형성할 수 없고, 그 결과 봉제 불량품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That is, it is not assumed th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will not be reliably caught by the thread-hanging part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at the time of the 1st needle stitching operation. Therefore, when a situation arises in whic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is not caught in the thread hook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during th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enerates so-called skipping sweat in which the predetermined stitches intertwined in the needle thread are not formed. In addition, even when the stitching operation after the first needle stitching as well as the second needle stitching was not possible, a predetermined sweat could not be formed, and as a result, there wa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a defective sewing product.

종래의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에 있어서,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으로 소정의 땀이 형성되지 않고 뜀땀을 발생시키는 이유에 대하여, 요부의 도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conventional sewing machine with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the reason why the predetermined stitches are not formed by th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es and the skipping stitch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on of the main portion is as follows.

즉, 이전의 천에 대한 봉제 작업이 종료한 박음 종료 시에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와 재봉기 암(도시 생략)에 고정 지지된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 안내용 장공(2a)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져 있는 상부 장식실(3) 부분이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의 가동 메스(4a)에 걸려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겨져서 절단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3)의 실끝이 유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는 복 수 개(3개로 도시함)의 바늘(5L, 5M, 5R)에 공급되고 있는 바늘실(6L, 6M, 6R)은 도시 생략한 공지의 실끊기 장치에 의해 천 누름쇠의 하방에서 절단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절단 후의 바늘실(6L, 6M, 6R)의 단부(6l, 6m, 6r)가 천 누름쇠의 상면을 따라 대략 수평 이동하는 바늘실 치움(拂) 와이퍼(주지이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함)에 의해 천 누름쇠의 눈으로부터 빠져나와 다음 천의 삽입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바늘(5L, 5M, 5R)의 측방 상방으로 치워져 있다. 이때, 병렬하는 바늘(5L, 5M, 5R) 중 우단 바늘(5R)의 바늘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바늘실(6R)과 상부 장식실(3)의 관계는,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단의 바늘실(6R)의 단부(6r)가 상부 장식실(3)의 후방, 즉 천(20)의 이송 방향(X)의 후방에 자유단의 상태로 위치해 있다. That is, at the time of the end of the sewing that the sewing work for the previous fabric is finished, as shown in Fig. 7 (a), the thread hook portion 1a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nd the sewing machine arm (not shown).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which is pulled and passed between the thread guide slots 2a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guide 2 fixedly supported is caught by the movable scalpel 4a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4 A plurality of needles (shown as three) which are pulled obliquely rearward upward and are cut, the thread end of the cut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retained, and is parallel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cloth feeding direction. Needle threads 6L, 6M, and 6R supplied to 5L, 5M, and 5R are cut below the fabric press by a well-known thread cutting device, not shown, and in some cases, needle thread 6L after cutting. Needle wiper with end portions 6l, 6m, 6r of 6M, 6R moving approximately horizontally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fabric press (The description is omit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is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needles 5L, 5M, and 5R so as to escape from the eye of the fabric presser and prevent insertion of the next fabric. At this time, among the parallel needles 5L, 5M, and 5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le thread 6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inserted into the needle hole of the right end needle 5R is shown in Fig. 9A. As shown, the end part 6r of the needle thread 6R of the right end is located in the free end state behi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e, behind the conveyance direction X of the cloth 20.

이 상태에서 재봉기가 작동되어 다음 천(20)에 대한 박음이 시작되었을 때,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그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함과 아울러, 바늘 고정틀(7)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장식실길(8)이 바늘(5L, 5M, 5R)과 동기하여 하강 이동하고, 계속하여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는 그 퇴입단에 도달한 후 바늘(5L, 5M, 5R)의 병렬 방향을 향하여 진출 이동함과 아울러, 바늘(5L, 5M, 5R) 및 상부 장식실길(8)은 그 하사점에 도달한 후 상승 이동한다. 이때, 천 누름쇠의 하방에서 절단된, 또는 절단 후에 바늘(5L, 5M, 5R)의 측방 상방으로 치워진 바늘실(6L, 6M, 6R)의 단부(6l, 6m, 6r)는 천 누름쇠의 상방에 위치하여 장력을 갖지 않는 프리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5L, 5M, 5R)의 하강 이동에 따라 바늘 실(6L, 6M, 6R)의 프리한 단부(6l, 6m, 6r)가 상부 장식실(3)의 당기어 건네진 위치보다 하방에까지 끌려내려간다. When the sewing machine is operated in this state and the sewing on the next fabric 20 is started, as shown in FIG. 7 (b),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moves in and out of its advance end position. ,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8 attached to the needle fixing frame 7 moves downwar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eedles 5L, 5M, and 5R, and as shown in FIG. 7 (c),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moves forward toward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needles 5L, 5M, and 5R after reaching the exit end thereof, and the needles 5L, 5M, 5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are located at their bottom dead center. After reaching, it moves up. At this time, the ends 6l, 6m, 6r of the needle threads 6L, 6M, 6R, which are cut below the fabric presses or that are removed laterally above the needles 5L, 5M, 5R are cut. Since it is located in the free state without being tensioned above, as shown in Fig. 9B, the needle threads 6L, 6M, and 6R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needles 5L, 5M, and 5R. The free ends 6l, 6m, 6r are pulled down below the pulled-in posi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다음,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진출 이동할 때 그 실걸이부(1a)에서 상부 장식실(3) 부분을 걸 수 있다면 문제없으나, 실제로는 양호한 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바늘(5L, 5M, 5R) 및 상부 장식실 루퍼(1)의 동작 타이밍의 관계로, 실걸이부(1a)가 상부 장식실(3) 부분을 걸기 전에 상부 장식실길(8)이 상승해 있으며, 이 상부 장식실길(8)의 상승에 따라 상부 장식실(3) 부분이,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의 이동 경로보다 다소 상방으로 끌려올라가 있기 때문에, 상부 장식실(3) 부분이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에 걸리지 않거나 또는 걸렸다고 해도 그 확률은 매우 불안정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진출단에 도달하였을 때,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걸이부(1a)와 상부 장식실 안내(2) 사이에 걸쳐 상부 장식실 루프가 형성되지 않음과 아울러, 바늘(5L, 5M, 5R)의 상승에 따라 우단의 바늘실(6R)의 단부(6r)는,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식실(3)의 하방부로 끌려내려온 채로 아래 루퍼실용 루퍼(19)에 포착된 후의 바늘실(6R)의 단부(6r)가 상부 장식실(3)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계가 된다. 또한, 이 도 7(d)의 상태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7(d)를 확대한 상태를 도 8에서 도시하였다. Next, there is no problem i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can move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portion from the thread hanger 1a when moving forward, but in practice, the needle is set to form good sweat ( 5L, 5M, 5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8 are raised before the thread hanger 1a hangs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part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timing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s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rise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ortion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oving path of the thread hook portion 1a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s shown in FIG. Since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not caught or caught by the thread hanger 1a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the probability is very unstable, so that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Reaches the exit, between the thread hanger 1a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as shown in Fig. 7 (d). While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 is not formed over, the end 6r of the needle thread 6R at the right end is raised as the needles 5L, 5M, and 5R rise, as shown in Fig. 9 (c), The end 6r of the needle thread 6R after being captured by the looper 19 for the lower looper thread while being pulled down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becomes a relationship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is state of FIG. 7 (d) easier to understand, the state which expanded FIG. 7 (d) is shown in FIG.

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이 되면, 바늘(5L, 5M, 5R)이 일단 하강하여 바늘실(6L, 6M, 6R)의 단부(6l, 6m, 6r)가 천 누름쇠의 하부에서 천(20)에 연결 유지되었다고 해도, 상부 장식실(3)은 좌단 및 중간의 바늘실(6L, 6M)의 단 부(6l, 6m)의 바로 앞에, 또한 우단의 바늘실(6R)의 단부(6r)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다음 바늘(5L, 5M, 5R)의 하강 이동 시에 우단의 바늘실(6R)에 의해 상부 장식실(3) 부분을 천 누름쇠의 하방으로 누를 수가 없다. 따라서, 바늘실(6L, 6M, 6R)과 루퍼실에 의한 땀은 형성된다고 해도 상부 장식실(3)이 얽힌 소정의 땀을 형성할 수 없고,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은 물론 그 이후의 박음 동작 시에도 소정의 땀이 형성되지 않아 봉제 불량품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Whe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8 is reached, the needles 5L, 5M, and 5R are lowered once so that the ends 6l, 6m, and 6r of the needle threads 6L, 6M, and 6R are cloth at the lower part of the fabric presser. Even if it is kept connected to (20),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is located immediately before the ends 6l, 6m of the left and middle needle threads 6L, 6M, and also at the end of the needle thread 6R at the right end ( The state located behind 6r) continues,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part is pushed downward of the fabric presser by the needle thread 6R of the right end at the time of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next needle 5L, 5M, 5R. I can't. Therefore, even if the stitches of the needle threads 6L, 6M, 6R and the looper thread are forme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cannot form a predetermined stitch, and th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 as well as subsequent stitches are performed. Even during opera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predetermined sweat was not formed and sewing defects were generated.

특히, 바늘실의 절단 단부가 측방 상방으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라도, 신축성이 풍부한 바늘실(6L, 6M, 6R)을 사용한 경우에는 박음 종료 시에 절단된 바늘실(6L, 6M, 6R)이 수축되어 그 단부(6l, 6m, 6r)가 짧아지기 때문에, 바늘실(6L, 6M, 6R)과 상부 장식실(3) 부분 위치 관계는 도 7(d) 및 도 9(c)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상부 장식실(3)을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에까지 누르는 것이 훨씬 곤란하며, 제1 바늘땀 및 그 이후의 박음 동작 시에 소정의 땀을 형성할 수가 전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even when the cutting end of the needle thread is not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when the elastic needle thread 6L, 6M, 6R is used, the needle thread 6L, 6M, 6R cut at the end of the shrinkage contracts. Since the ends 6l, 6m, 6r are shortene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le threads 6L, 6M, 6R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shown in Figs. 7 (d) and 9 (c).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pres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to the sweat forming area under the fabric press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no predetermined sweat can be formed at the time of the first needle stitching and subsequent stitching operat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 시의 상부 장식실 루퍼에 의한 상부 장식실의 걸림 유지를 확실하게 안정화하여, 박음 종료 시의 바늘실의 절단 단부의 상황 및 사용하는 바늘실의 종류에 관계 없이 제1 바늘땀부터 소정의 땀을 확실하고 순조롭게 형성할 수 있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stabilize the holding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by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at the time of the first needle stitch stitching opera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cutting end of the needle thread at the end of the stitching. And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apable of reliably and smoothly forming predetermined stitches from the first needle stitches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needle thread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제1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는,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시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바늘과, 천 누름쇠와, 재봉기 암에 고정 지지되어 상부 장식실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상부 장식실 안내와, 이 상부 장식실 안내와 상기 천 누름쇠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실걸이부를 가지며, 이 실걸이부에 건 상부 장식실을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의 병렬 방향으로 진출 퇴입 구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장식실 루퍼와, 박음 종료 시에 상기 바늘이 상사점 또는 그 부근에 도달하고,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걸어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겨 절단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 장식 기구가 달린 재봉기에 있어서, 박음의 시작에 따라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상기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하여 퇴입단 근방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걸쳐져 있는 상부 장식실 부분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리도록 그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누르는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wing machine with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has a plurality of needles install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loth conveying direction so as to be capable of vertically reciprocating movement, and pressing the fabric. An upper swag guide fixedly supported by the iron and the sewing machine arm to guide the upper icing chamber from above to the sweat forming area below the fabric brace, and an upper icing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icing guide and the fabric zip An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having a thread hanging portion for hanging a thread portio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provided in the thread hanging portion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in a paralle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in order to fee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loth feeding direction; At the end of the driving, the needle reaches the top dead center or its vicinity, and the upper thread looper moves to the advance end. In the state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is pulled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d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is pulled diagonally upward and rearward cutting to maintain the thread end of the cut upper decorative thread In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having an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is performed wh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moves in and out of the advance end position and reaches near the entrance end according to the start of the punching. And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assistance means for pressing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downward so th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spanned between the device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is caught by the threading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I am doing it.

또한, 상기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제2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는,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시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바늘과, 천 누름쇠와, 재봉기 암에 고정 지지되어 상부 장식실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상부 장식실 안내와, 이 상부 장식실 안내와 상기 천 누름쇠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실걸이부를 가지며, 이 실걸이부에 건 상부 장식실을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의 병렬 방향으로 진출 퇴입 구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장식실 루퍼와, 박음 종료 시에 상기 바늘이 상사점 또는 그 부근에 도달하고,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걸어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겨 절단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 장식 기구가 달린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선단부 부근에는, 박음의 시작에 따라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상기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하여 퇴입단 근방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후크부가 상기 실걸이부에 대향하여 실출입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바늘의 하방에의 이동에 동기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는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Further,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ewing machine with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claim 2, which is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objec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eedles install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loth conveying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vertically. And, a fabric presser, an upper chamber guide fixedly supported by the sewing machine arm to guide the upper decoration thread from above to the sweat forming area below the fabric press, between the upper thread guide and the fabric presser. An upper part having a thread hanger for hanging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sitioned therein, the upper part provided to enable the advance in and out drive movement in parallel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needles in order to fee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of the gu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loth conveying direction. The decorative thread looper and the needle reach or close to the top dead center at the end of the seizure,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is advanced In the state of moving up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pulled between the thread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d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is pulled obliquely to the rear upwards and cut, and the thread end of the cut upper decorative thread In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having an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to be held, near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moves in and out of the advance en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of the punching. When it reaches near the end, a hook portion for hanging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span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is provided to form a thread opening facing the thread hook portion. I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needle downward Spanning across between the pressing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downwardly and wherein the upper ornament yarn pressing means for assist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looper thread decoration distal end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제1 및 제2 발명에 따르면,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 사이에 걸쳐 상부 장식실 부분이 걸쳐져 유지되어 있는 박음 종료 상황 하에서 다음 천에 대한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이 시작되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진출단 위치부터 퇴입 이동하여 퇴입단 근방에 도달하였을 때,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 또는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이 하방으로 눌려져서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 또는 후크부에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다음으로 진출단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그 실걸이부 또는 후크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 부분에 우단의 바늘을 절곡 중심으로 하는 굴곡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굴곡실 부분을 바늘실의 절단 단부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박음 종료 시에 천 누름쇠의 하방에서 절단된, 또는 절단 후에 바늘의 측방 상방으로 치워진 바늘실 단부 가 프리한 상태에 있었다고 해도, 또한 신축성이 풍부한 바늘실의 사용에 의해 절단 후의 바늘실 단부가 매우 짧아졌다고 해도, 바늘의 하강 이동 시에 우단의 바늘 및 바늘실에 의해 상부 장식실의 굴곡실 부분을 천 누름쇠의 하방으로 확실하게 누를 수 있어 제1 바늘땀의 동작으로부터 상부 장식실, 바늘실 및 아래 루퍼실이 서로 얽힌 소정의 땀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바늘땀에서 상부 장식실을 천 누름쇠의 하방으로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제2 바늘땀 이후에 있어서는 소정의 땀을 당연히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봉제 불량품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end of the stitching state in whic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is held and held between the thread-hanging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moving to the advance end. When the first needle stitching operation to the next fabric is started and the upper yarn looper moves out from the advance end position to reach the vicinity of the exit end, by means of the upper yarn trap assistance means or the upper yarn press means.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is pressed down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hang the thread hanger portion or the hook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reaches the advance end, the needle of the right end is bent 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thread hook portion or the hook portion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A bent portion can be formed to position the bent chamber portion in front of the cut end of the needle thread. Therefore, even if the needle thread end cut | disconnected below the fabric presser at the end of the sewage, or the needle thread end removed to the side of the needle after cutting was in a free state, the needle thread after cutting by use of the elastic needle thread rich in Even if the end is very short, the bending thread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n be reliably pressed downward of the fabric presser by the needle and the needle thread of the right end during the lowering movement of the needle. The needle thread and the lower looper thread can reliably form a predetermined sweat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n be pressed below the fabric presser in the first needle stitch in this manner, a predetermined sweat can be reliably formed after the second needle stitch, thus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defective sewing. Has

본 제1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의 상기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으로서, 바늘 고정틀에 부착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장식실길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상부 장식실길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부 장식실 안내의 실안내용 장공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실누름편으로 구성하거나(청구항 3), 또는 상기 바늘 고정틀의 측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설되어, 바늘 및 바늘 고정틀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에 맞닿아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르는 실누름 부재로 구성하는(청구항 5) 등 바늘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동기하여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누르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동 기구가 불필요하여 전 체를 구조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바늘이나 상부 장식실 루퍼 등과의 동작 타이밍도 적정하게 설정하여 유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있어서도 소기의 목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As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cking aid of the sewing machine with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is integrally installed downward from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that is attached to the needle fixing frame and reciprocates up and down. When reaching the lower end, press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rt downwardly so th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rt can be hooked into the thread hanger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by inserting and moving through the thread guide hole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composed of a thread pressing piece that can be formed (claim 3), or is laid so as to project downwards on the side of the needle holding frame, when the needle and the needle holding frame reaches the moving end downwards, A thread pressing member which presse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ortion downward to hook the thread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In the case of using the one configured to press dow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needle downward, such as the structure (claim 5), a special dri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cking aid up and down is unnecessary. The whole structure can be configured simply and inexpensively, and the operation timing with the needle or the upper decorative looper can be appropriately set and maintained, and the desired purpose can be reliably achieved even during long-term use. .

또한, 상부 장식실 루퍼의 선단부 부근에 실걸이부에 대향하여 후크부를 설치하고 있는 본 제2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의 상기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으로서, 바늘 고정틀에 부착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장식실길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상부 장식실길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부 장식실 안내의 실안내용 장공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실누름편으로 구성하거나(청구항 4), 또는 상기 바늘 고정틀의 측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설되어, 바늘 및 바늘 고정틀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에 맞닿아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도록 형성된 실 누름 부재로 구성하는(청구항 6) 경우에도,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동 기구가 불필요하여 전체를 구조 간단하게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바늘이나 상부 장식실 루퍼 등과의 동작 타이밍도 적정하게 설정하여 유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있어서도 소기의 목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Furth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of the sewing machine with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near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which is attached to the needle fixing frame and moves up and down. It is installed integ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reciprocating, and wh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reaches the moving end downwar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inserts and moves through the upper side through the thread guide hole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decorative thread portion is composed of a thread pressing piece which is formed to be pushed downward to assist the hook portion near the tip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claim 4), or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side of the needle fixing frame. When the needle and the needle holder reaches the moving end downward, the needle and the upper part of the decorative chamber abuts the A special drive for moving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ressing means up and down even when the lower decorative section is configured by pressing the lower decorative portion downward to support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near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tip (claim 6). Since the mechanism is not necessary, the whole structure can be simply and inexpensively configured, and the operation timing with the needle or the upper chamber looper can be appropriately set and maintained, and the desired purpose can be reliably achieved even during long-term use. can do.

또한, 상기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 또는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으로는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 자체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장식실 부 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 수 있도록, 또는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구성한 것일 수도 있다. Furth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means o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may be able to hook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rt to the thread hook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by moving downwar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itself. Or may be configured to be pushed downward to assist the hook portion near the tip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그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Other configurations and effects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의 일례인 3개 바늘 세로통 편평 박음 재봉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그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주요부의 구성, 동작 및 배치 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도 7(a)~(d) 및 도 9(a)~(c)에서 설명한 구성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hree-needle longitudinal flat needle sewing machine which is an example of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its main parts, and FIG.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member same as the structural member demonstrated in FIGS. 7 (a)-(d) and 9 (a)-(c).

도 1~도 3에서, 5L, 5M, 5R은 3개의 바늘로서, 재봉기 암(9) 내에 설치한 재봉기 주축(도시 생략함)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바늘대(10)의 하단부에 바늘 고정틀(7)을 통하여 천 이송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 바늘실(6L, 6M, 6R)을 공급하는 것이다. 11은 통형 실린더 베드부로서, 그 상면에는 바늘판(12)이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부에는 아래 루퍼실용 루퍼(도 9 참조)나 천 이송 이빨 등의 박음을 형성하는 부품이나 기구(주지이기 때문에 그들의 기재를 생략함)가 설치되어 있다. 13은 천 누름쇠로서, 누름대(14)를 통하여 봉제 천을 상방으로부터 바늘판(12)에 누르는 하강 위치와 천의 누름을 해제하는 상승 위치로 위치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3개의 바늘(5L, 5M, 5R)이 삽입 관통하는 바늘 낙하부 및 바늘실(6L, 6M, 6R) 및 상부 장식실(3)이 통과하는 실 통과부를 포함하는 관통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1 to 3, 5L, 5M, and 5R are three needles, and the needle fixing frame at the lower end of the needle bar 10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not shown) installed in the sewing machine arm 9 (not shown). It is attach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cloth feed direction X via (7), and supplies needle thread 6L, 6M, 6R, respectively. 11 is a cylindrical cylinder bed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fixed to the needle plate 12, and inside the parts and mechanisms that form the sewn, such as the looper for the lower looper seal (see Fig. 9), cloth transfer teeth, etc. Therefore, their description is omitted). 13 is a fabric presser, which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osition switching to a lowered position for pressing the sewing fabric to the needle plate 12 from above through a presser bar 14 and a raised position for releasing the press of the fabric; , A through hole 13a including a needle drop portion through which 5M and 5R are inserted, and a thread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the needle chambers 6L, 6M, 6R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ass.

2는 재봉기 암(9)에 고정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상부 장식실 안내로서, 그 하단부에는, 도 3에 명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식실(3)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 결합시켜 그 조출을 안내하는 실 안내용 장공(2a)이 형성되어 있다. 8은 상부 장식실길이며, 그 하단부 가까이에 상부 장식실(3)이 삽입 관통하는 실 구멍(8a)을 가지며, 상기 바늘 고정틀(7)에 부착되어 상기 바늘(5L, 5M, 5R)에 동기하여 상하로 왕복 구동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 is an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fixedly supported by the sewing machine arm 9 and extended downward. As shown in FIG. 3,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is inserted and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pproximately as shown in FIG. 3. The thread guide long hole 2a which guides the drawing is formed. 8 is an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and has a thread hole 8a through which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inserted near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attached to the needle fixing frame 7 to synchronize with the needles 5L, 5M, and 5R. It is comprised so that a reciprocating drive may move up and down.

이 상부 장식실길(8)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 안내용 장공(2a)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 가능한 실 누름편(8b)이 하향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5L, 5M, 5R)의 하강 이동에 동기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길(8)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그 실 누름편(8b)이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 안내용 장공(2a)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함으로써 상기 실구멍(8a)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후술하는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3) 부분을 하방으로 누르는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안내용 장공(2a)은 상기 실누름편(8b)이 상하로 삽입 관통 이동 가능하도록 확대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is integrally extended downwardly and integrally provided with a thread pressing piece (8b) which can be inserted through the thread guide long hole (2a)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from the top to the bottom Wh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reaches the moving end downwar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needles 5L, 5M, and 5R, the thread pressing piece 8b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It penetrates into the thread hole 8a by inserting and moving the inside of the thread guide long hole 2a from the upper side downward, and spans between the upper chamber thread guide 2 and the upper chamber thread cutting device 4 described later. An upper decorative chamber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ortion downward is configured. Further, the thread guide long hole 2a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guide 2 is enlarged so that the thread pressing piece 8b can be inserted and moved upward and downward.

1은 상부 장식실 루퍼이며, 그 기단부가 세로축(15)에 고정 장착된 홀더(16)에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 부분이 대략 수평면을 따르도록 굴곡되어 3개 바늘(5L, 5M, 5R)의 바로 앞을 원호형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 늘대(10)의 상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3개 바늘(5L, 5M, 5R)의 바로 앞 위치의 원호형 경로를 따라 진출 퇴입 구동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선단부 가까이의 상면측에는, 도 3에 명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박음 동작 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천 누름쇠(13) 하부의 땀 형성 영역 사이에 걸쳐 비스듬히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3) 부분을 걸어 3개 바늘(5L, 5M, 5R) 중 좌단 바늘(5L)의 좌방 위치에까지 조출 이동시키는 실걸이부(1a)가 형성되어 있다. 1 is an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the proximal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holder 16 fixedly mounted to the longitudinal axis 15, and the lower part is bent so as to substantially follow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ree needles 5L, 5M, 5R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shape of an arc right in front of, and moves in and out along the arc-shaped path just in front of the three needles (5L, 5M, 5R)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needle bar (10) It is comprised so that drive movement is possible. On the upper surface side near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s shown in Fig. 3,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and the sweat formation region under the fabric presser 13 in the normal sewing operation. The thread-hanging part 1a which hangs the part of the upper decoration chamber 3 located at an angle to and feeds and moves to the left position of the left needle 5L among the three needles 5L, 5M, and 5R is formed.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상면에서 상기 실걸이부(1a)보다 더 선단부 측에는 박음 동작의 시작에 따라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하여 그 퇴입단 근방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3) 부분을 거는 후크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크부(18)는 상부 장식실 루퍼(1)의 표면 선단으로부터 세워져올라가는 상승부(18a)와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간부(18b)와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강부(18c)로 이루어지고, 그 하강부(18c)의 하단부와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상면 사이에 상기 실걸이부(1a)에 대향하여 개구하는 실 출입구부(18d)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moves in and out from the advance end position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upper end thread looper 1a and reaches near the exit end position. The hook part 18 which hangs the part of the upper decoration chamber 3 extended between the said upper decoration chamber guide 2 and the upper decoration chamber cutting device 4 is provided. The hook portion 18 extends downwardly from the raised portion 18a rising from the surface tip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18b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 seal entrance portion 18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18c of the lower portion 18c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so as to face the thread hanger portion 1a. have.

또한,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는 박음 종료 시에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안내용 장공(2a)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진 상부 장식실(3) 부분에 돌입 이동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3) 부분을 걸어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기는 가동 메 스(4a)와 고정 메스(4b)로 이루어지며, 끌어당긴 상부 장식실(3) 부분을 양 메스(4a, 4b)에 의해 절단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3)의 실끝을 실끝 유지 스프링(4c) 및 실 유지 보조 스프링(4d)으로 끼워눌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4 is a thread guide part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a)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which is moved to the advance end at the end of the sequel ( It consists of a movable blade 4a and a fixed blade 4b which intrudes and moves to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ortion which is pulled and passed between 2a) and walks over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ortion and pulls it upward obliquely upwar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pulled by both scalpels 4a and 4b, and the thread end of the cut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thread end retaining spring 4c and thread retaining auxiliary spring 4d. It is configured to hold in place.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3개 바늘 세로통 편평 박음 재봉기에 의한 상부 장식 박기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4 with respect to the upper decorative punching operation by the three-needle longitudinal flat sew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4(a)는 이전의 천에 대한 봉제 작업이 종료한 박음 종료 시의 상태이며, 도 7(a)에 도시한 상태와 완전히 동일하게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와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안내용 장공(2a) 사이에 걸쳐 상부 장식실(3) 부분이 당기어 건네져 있음과 아울러, 절단된, 또는 절단 후에 측방으로 치워진 바늘실(6L, 6M, 6R)의 단부(6l, 6m, 6r)가 상부 장식실(3) 부분의 후방에 프리한 상태에서 위치해 있다. Fig. 4 (a) is a state at the end of the sewing operation in which the sewing work for the previous fabric is finished, and the thread hook portion 1a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is exactly the same as the state shown in Fig. 7 (a). And the needle thread 6L, 6M which is cut or laterally removed after cutting, while a part of the upper decoration thread 3 is pulled and passed between the thread guide slot 2a of the upper decoration thread guide 2. 6R, 6m, 6r are positioned in the free state behi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ortion.

이 상태에서 재봉기가 작동되어 다음 천에 대한 박음이 시작되었을 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그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함과 아울러, 바늘(5L, 5M, 5R) 및 상부 장식실길(8)이 동기하여 하강 이동하고, 그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실누름편(8b)이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안내용 장공(2a)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실 구멍(8a)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3) 부분이 하방으로 눌린다. When the sewing machine is operated in this state and the sewing on the next fabric is started, as shown in FIG. 4 (b),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moves in and out of its advance end position and the needle ( 5L, 5M, and 5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move downward in synchronization, and when the moving end reaches the moving end, the thread pressing piece 8b moves into the thread guide slot 2a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nserted and moved upwardly and downwardly and thus inserted through the thread hole 8a and span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guide 2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4. This is pressed downwards.

계속하여,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그 퇴입단에 도달한 후 바늘(5L, 5M, 5R)의 병렬 방향을 향하여 진출 이동을 시작함과 아울러, 바늘(5L, 5M, 5R) 및 상부 장식실길(8)이 그 하사점에 도달한 후 상승 이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즉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가 퇴입단에 도달하였을 때, 하방으로 눌린 상태에 있는 상부 장식실(3) 부분이 상부 장식실 루퍼(1) 선단의 후크부(18) 내로 들어가 상기 후크부(18)에 걸리고,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진출 이동에 따라 차례대로 인출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c), aft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reaches its exit end, it moves forward toward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needles 5L, 5M, and 5R. When the needles 5L, 5M, 5R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reach their bottom dead center, they start to move up, that is, when the upper decorative looper 1 reaches the exit end,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which is pressed downward, enters into the hook portion 18 at the tip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and is caught by the hook portion 18, so as to move out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It is withdrawn in turn accordingly.

그리고, 상부 장식실 루퍼(1)가 다음으로 진출단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18)에 걸려 인출된 상부 장식실(3)로서 상기 후크부(18)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3) 부분이 우단의 바늘(5R)을 그 전방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우단의 바늘(5R)을 중심으로 하는 굴곡 부분(3a)이 형성되게 되고, 이 굴곡 부분(3a)과 상기 후크부(18) 사이의 상부 장식실 부분(3b)은 우단의 바늘실(6R)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4(d)의 상태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이 도 4(d)를 확대한 상태를 도 5에서 도시하였다. Then,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reaches the advance end next, as shown in FIG. 4 (d), the hook a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drawn out by the hook unit 18 is drawn out.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located between the portion 18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4 is bent from the front of the needle 5R at the right end to the rear to bend around the needle 5R at the right end. The part 3a is formed,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rt 3b between this bent part 3a and the said hook part 18 is located in front of the needle thread 6R of the right en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state of FIG. 4 (d), the state which expanded this FIG. 4 (d) i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바늘(5L, 5M, 5R)을 한 번 하강 이동시켜 각 바늘실(6L, 6M, 6R)의 단부(6l, 6m, 6r)를 천 누름쇠(13)의 하부에서 천(20)(도 9 참조)에 연결 유지시킨 후에, 다음으로 바늘(5L, 5M, 5R)을 하강 이동시키면, 바늘(5L, 5M, 5R)의 하강 이동에 따라 우단의 바늘(5R) 및 바늘실(6R)에 의해 상부 장식실(3)의 굴곡실 부분(3a)이,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누름쇠(13) 아래의 땀 형성 영역에 확실하게 눌려지게 되고, 제1 바늘땀의 동작부터 상부 장식실(3), 각 바늘실(6L, 6M, 6R) 및 아래 루퍼실이 서로 얽힌 소정의 땀이 확실하게 형성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needles 5L, 5M, and 5R are moved downward once to move the ends 6l, 6m, and 6r of each of the needle threads 6L, 6M, and 6R to the fabric 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bric presser 13. (Refer to FIG. 9), and then the needles 5L, 5M, and 5R are moved downward, and the needle 5R and the needle thread at the right end are moved as the needles 5L, 5M, and 5R move downward. By 6R), the bent chamber portion 3a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reliably pressed to the sweat formation region under the fabric presser 13, as shown in Fig. 4E. From the operation of the needle stitches, a predetermined stitch in whic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the respective needle threads 6L, 6M, and 6R and the lower looper thread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is surely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으로 소정의 땀이 형성되면, 그 이후에는 상부 장식실(3)이 천 누름쇠(13) 하부의 땀 형성 영역과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안내용 장공(2a) 사이에 걸쳐 우측 비스듬히 상방을 향한 자세에 걸쳐진 상태가 되므로, 제2 바늘땀 이후의 박음 동작에서는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진출 이동에 따라 상기 루퍼(1)의 실걸이부(1a)가 상부 장식실(3)을 걸어 좌방으로 끌어당기는 작용을 반복하여 소정의 땀이 확실하고 순조롭게 형성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determined stitches are formed by th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e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thereafter the yarn-forming region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underneath the fabric presser 13. Since i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an upwardly obliquely upward posture between the contents long holes 2a, in the stitching operation after the second needle stitch, the thread hook portion of the looper 1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ing movement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By repeating the action of pulling (1a)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to the left, the predetermined sweat is surely and smoothly formed.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도 4(d)부터 도 4(e)에의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이동 중에 상기 후크부(18)에 걸린 상부 장식실(3) 부분은 상기 후크부(18)의 실 출입구(18d)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나와 해방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caught by the hook portion 18 dur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from FIGS. 4 (d) to 4 (e) is the hook portion 18. It escapes naturally from the thread entrance and exit 18d of (), and is liberated.

따라서, 박음 종료 시에 천 누름쇠(13)의 하부에서 절단된, 또는 절단 후에 바늘(5L, 5M, 5R)의 측방 상방으로 치워진 바늘실(6L, 6M, 6R)의 단부가 프리한 상태에 있었다고 해도, 또한 신축성이 풍부한 바늘실(6L, 6M, 6R)의 사용에 의해 절단 후의 바늘실 단부(6l, 6m, 6r)가 매우 짧아졌다고 해도, 다음 천에 대한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 시에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선단부에 부설한 후크부(18)의 작용에 의해 상부 장식실(3) 부분을 확실하게 걸어 전술한 바와 같은 굴곡 부분(3a)을 형성하고, 이 굴곡 부분(3a)과 후크부(18) 사이의 상부 장식실 부분(3b)을 우단의 바늘실(6R)의 전방에 위치시켜 상부 장식실(3)을 천 누름쇠(13)의 아래의 땀 형성 영역에 확실하게 누를 수 있으므로, 제1 바늘땀의 동작부터는 장식실(3), 바늘실(6L, 6M, 6R) 및 아래 루퍼실이 서로 얽힌 소정의 땀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2 바늘땀 이후에 있어서도 당연히 소정의 땀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 고, 이에 따라 봉제 불량품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Accordingly, the end portions of the needle threads 6L, 6M, 6R, which are cut at the lower part of the cloth press 13 at the end of the punching or are removed laterally above the needles 5L, 5M, 5R after cutting, are free. Even if the needle thread ends 6l, 6m, 6r after cutting were very shorted by the use of the elastic needle thread 6L, 6M, 6R, even when The hook portion 18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securely hook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portion to form the bent portion 3a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3b between 3a) and the hook portion 18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needle thread 6R at the right end so th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3 is placed in the sweat formation area under the fabric presser 13. Since it can be pressed reliably, star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 the decorative thread 3, the needle threads 6L, 6M, and 6R and the lower looper thread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Silhage can be formed, and also the second and also in the subsequent stitch course, there can be reliably form a predetermined stitch, so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occurrence of sewing rejects.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상부 장식실길(8)의 실 구멍(8a)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3)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후크부(18)에의 상부 장식실(3)의 걸림을 보조하는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 장식실길(8)의 하단부에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의 실안내용 장공(2a)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 가능한 실누름편(8b)을 일체로 연장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였으나, 이 대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 고정틀(7)의 좌측면부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대략 L형의 실 누름 부재(21)를 부설한 것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nserted through the thread hole 8a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and span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guide 2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4.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for assisting the latch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to the hook portion 18 by pressing down), and the yar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th 8.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integrally extended the thread press piece 8b which can be penetrated and moved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ide of the long hole 2a was employ | adopted integrally, instead, as shown in FIG. 6, the left side of the needle clamp 7 is provided. The L-shaped thread pressing member 21 which protrudes below the surface part may be provided.

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 누름 부재(21)를 채용한 경우에는, 바늘(5L, 5M, 5R) 및 바늘 고정틀(7)이 하방으로의 이동단 가까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3) 중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에 가까운 실 부분에 실 누름 부재(21)가 맞닿아 상기 후크부(18)에의 상부 장식실(3)의 걸림을 보조하게 되고,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부터 소정의 땀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thread pressing member 21 as shown in FIG. 6, when the needles 5L, 5M, and 5R and the needle holder 7 reach near the moving end downwar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The thread pressing member 21 abuts on the thread portion close to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4 among the upper decorative chambers 3 spanned between the guide 2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4 so that the hook portion ( The hooking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to 18) is assisted, and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said embodiment, predetermined | prescribed sweat can be formed reliably from the stitching operation of 1st needle stitch.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선단부에 본래의 실걸이부(1a)에 대향시켜 후크부(18)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1 바늘땀의 박음 동작 시에 후크부(18)에의 상부 장식실(3)의 걸림을 보조하기 위하여 실누름편(8b)이나 실 누름 부재(21)를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 대신, 상부 장식실 루 퍼(1)의 선단부에는 후크부를 설치하지 않고 본래의 실걸이부(1a)만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늘(5L, 5M, 5R) 및 바늘대(10)와 별개로 상하로 구동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2)와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3)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한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을 별개로 설치할 수도 있다.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hook portion 18 is provided to face the original thread hook portion 1a at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nd the hook portion (at the time of the needle stitching operation) Although the thread pressing piece 8b or the thread pressing member 21 is provided in order to assist the latch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to 18, the tip part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1 is replaced instead of this structure. While only the original thread hook portion (1a) is provided without a hook portio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2) by moving up and down separately from the needle (5L, 5M, 5R) and the needle bar (10) Separate the upper chamber thread assisting means which can be pushed downward to hook the upper chamber 3 spanned between the upper chamber thread cutting device 4 to the thread hook portion 1a of the upper chamber looper 1 You can also install

더욱이,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으로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 자체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장식실(3)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1)의 실걸이부(1a)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를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에 겸용시키도록 상하로 구동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3 is moved downward by moving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4 itself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cking assisting means. It may be possible to push downward to hang on 1a). That i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4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riving up and down so as to be used a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cking aid.

단, 이러한 별개의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을 설치하거나,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에서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을 겸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에어 실린더 등 상기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나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4)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동 기구가 필요함과 아울러, 바늘(5L, 5M, 5R)이나 상부 장식실 루퍼(1) 등과의 동작 타이밍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 및 그 설정 타이밍을 항상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조정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도 비용적으로도 유지 관리의 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이다. However, when such a separate upper decorative thread locking aid is provided, or wh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cking aid is combined wit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4, for example,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ressing means such as an air cylinder o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A special drive mechanism for moving the cutting device 4 up and down is required, and the operation timing with the needles 5L, 5M, 5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1, and the like are set appropriately, and the setting timing thereof is set. It is always necessary to maintain regular adjustments to avoid disruptions. In that sense, it is preferable to adopt the configuration as disclos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n terms of structure, cost, and maintenance.

더욱이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3개 바늘 세로통 편평 박음 재봉기에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랫 베드형 편평 박음 재봉 기나 실린더 베드형 편평 박음 재봉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Moreov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three needle longitudinal barrel flat sewing machine is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for example, a flat bed flat sewing machine or a cylinder bed flat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의 일례인 3개 바늘 세로통 편평 박음 재봉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three needle longitudinal flat needle sewing machine which is an example of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재봉기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도 3은 상기 재봉기의 주요부의 구성, 동작 및 배치 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main parts of the sewing machine.

도 4(a)~(e)는 제1 바늘땀의 상부 장식 박기 동작의 요부의 설명도이다. 4 (a) to 4 (e) are explanatory diagrams of the main parts of the upper decorativ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titches.

도 5는 도 4(d)의 상태의 확대도이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ate of Fig. 4 (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요부의 확대 도이다.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d)는 종래의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에 의한 제1 바늘땀의 상부 장식 박기 동작의 요부의 설명도이다. 7 (a) to 7 (d) are explanatory diagrams of the principal parts of the upper decorative st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needle stitch by a conventional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도 8은 도 7(d)의 상태의 확대도이다.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ate of Fig. 7 (d).

도 9(a)~(c)는 상부 장식실과 바늘실과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9 (a) to 9 (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and the needle thread.

Claims (8)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시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바늘과, 천 누름쇠와, 재봉기 암에 고정 지지되어 상부 장식실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상부 장식실 안내와, 이 상부 장식실 안내와 상기 천 누름쇠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실걸이부를 가지며, 이 실걸이부에 건 상부 장식실을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의 병렬 방향으로 진출 퇴입 구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장식실 루퍼와, 박음 종료 시에 상기 바늘이 상사점 또는 그 부근에 도달하고,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걸어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겨 절단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에 있어서,A plurality of needle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abric crossing direction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the fabric presser, and fixedly supported by the sewing machine arm to guide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sweat forming area under the fabric press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and a thread hanger for hanging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and the fabric presser. An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in a paralle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for feeding, and the needle reaches a top dead center or its vicinity at the end of the pressing,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moves to the advance end The upper decoration pulled and passed between the thread part of the upper decoration room looper and the upper decoration room guide while being present Cutting part by pulling the hang obliquely pulled rearward and upward, in that the maintaining the tail yarn of the cut upper thread is decorated top decor mechanism which comprises a decorative upper thread cutting device attached to the machine, 박음의 시작에 따라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상기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하여 퇴입단 근방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걸쳐져 있는 상부 장식실 부분이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리도록 그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누르는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Whe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moves in and out of the advance end position and reaches near the entrance end according to the start of the driving,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ortion span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and the upper decorative guide is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assistance means is provided for pressing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downward so th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hangs.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시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바늘과, 천 누름쇠와, 재봉기 암에 고정 지지되어 상부 장식실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천 누름쇠 아래의 땀 형성 영역을 향하여 안내하는 상부 장식실 안내와, 이 상부 장식실 안내와 상기 천 누름쇠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실걸이부를 가지며, 이 실걸이부에 건 상부 장식실을 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바늘의 병렬 방향으로 진출 퇴입 구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장식실 루퍼와, 박음 종료 시에 상기 바늘이 상사점 또는 그 부근에 도달하고,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진출단에까지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당기어 건네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걸어 비스듬히 후방 상방으로 끌어당겨 절단하고, 그 절단된 상부 장식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에 있어서,A plurality of needle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abric crossing direction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the fabric presser, and fixedly supported by the sewing machine arm to guide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sweat forming area under the fabric press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and a thread hanger for hanging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and the fabric presser. An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in a paralle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eedles for feeding, and the needle reaches a top dead center or its vicinity at the end of the pressing,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moves to the advance end The upper decoration pulled and passed between the thread part of the upper decoration room looper and the upper decoration room guide while being present Cutting part by pulling the hang obliquely pulled rearward and upward, in that the maintaining the tail yarn of the cut upper thread is decorated top decor mechanism which comprises a decorative upper thread cutting device attached to the machine,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선단부 부근에는, 박음의 시작에 따라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가 상기 진출단 위치로부터 퇴입 이동하여 퇴입단 근방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거는 후크부가 상기 실걸이부에 대향하여 실출입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바늘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동기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와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 사이에 걸쳐 걸쳐진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는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 된 재봉기. Near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whe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moves in and out of the advance end position and reaches near the entrance end according to the start of the punching, between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cutting device and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guide. The hook portion hanging ove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is formed so as to form a thread opening facing the thread hook portion,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and the upper decorative threa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needle downward.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decorative chamber pressing means is provided for pressing down a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that spans between the guides and assisting the hook portion near the tip of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이, 바늘 고정틀에 부착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장식실길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상부 장식실길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의 실안내용 장공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실누름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hamber thread assisting means is attached integ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hamber thread that is attached to the needle fixing frame to reciprocate up and down, and has reached the mobile end of the upper chamber length below It consists of a thread pressing piece formed to be pushed downward so that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can be hooked down to the thread hanger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when the inside of the thread guide hole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is inserted and moved upwards and downwards. Sewing machine is attached to the upper decorat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 바늘 고정틀에 부착되어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장식실길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상부 장식실길이 하방으로의 이동단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안내의 실안내용 장공 내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 관통 이동하여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형성된 실누름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3. Whe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is integrally installed downward from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attached to the needle fixing frame and reciprocates up and dow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ength reaches the moving end downward. And a thread press formed to be pushed downward to assist the hooking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rt to the hook portion near the tip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by inserting and moving the thread guide slot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guide from the upper side downward.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pie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이, 바늘 고정틀의 측부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설되어, 바늘 및 바늘 고정틀이 하방으로의 이동단 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에 맞닿아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르는 실누름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2.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means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side of the needle fixing frame so that the needle and the needle fixing frame touch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art when the needle and the needle fixing frame reach the moving end downward. And a thread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downward to hook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to the thread hook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 바늘 고정틀의 측부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설되어, 바늘 및 바늘 고정틀이 하방으로의 이동단 가까이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에 맞닿아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부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도록 형성된 실누름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3.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is placed so as to project downwards on the side of the needle holder so that when the needle and the needle holder reach near the moving end downward, they are fitted to the upper chamber part. And a thread pressing member which is formed so as to press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portion downward to assist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near the upper decorative chamber looper tip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걸림 보조 수단이,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 자체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의 실걸이부에 걸 수 있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2.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atching assistance means is able to hook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to the thread hook portion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by moving downwar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itself. A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res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장식실 누름 수단이, 상기 상부 장식실 절단 장치 자체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장식실 부분을 상기 상부 장식실 루퍼 선단 부근의 후크부에의 걸림을 보조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장식 기구가 부착된 재봉기. 3.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ressing means assists the hooking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portion to the hook portion near the upper decorative thread looper tip by moving downward of the upper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itself.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decorativ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pressed downwards.
KR1020070121529A 2006-12-07 2007-11-27 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KR2008005239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7152A JP5057303B2 (en) 2006-12-07 2006-12-07 Sewing machine with upper decoration mechanism
JPJP-P-2006-00357152 2006-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90A true KR20080052390A (en) 2008-06-11

Family

ID=3954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529A KR20080052390A (en) 2006-12-07 2007-11-27 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7303B2 (en)
KR (1) KR20080052390A (en)
CN (1) CN101195948B (en)
TW (1) TWI414659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15B1 (en) * 2008-09-26 2012-06-20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Sewing Machine For Flat Seam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7930B2 (en) * 2009-08-31 2014-07-16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Multi-needle flat stitch machine and decorative stitches
CN102953237A (en) * 2012-08-15 2013-03-06 宁波宇杰电子科技有限公司 Novel industrial sewing bobbin winder shuttle peg column
CN108103678B (en) * 2018-01-16 2020-06-0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Sewing machine take-up mechanism and sewing machine
JP7371915B2 (en) * 2020-03-26 2023-10-31 オルガン針株式会社 Sewing method using an interlock stitch sewing machine needle and interlock stitch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282U (en) * 1984-05-10 1985-11-28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Top thread cutting device for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S6145796A (en) * 1984-08-09 1986-03-05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Cutting of decorative yarn of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
JPS62114591A (en) * 1985-11-14 1987-05-26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Decorative needle thread looper of decorative stitch sewing machine
JPH0738914B2 (en) * 1989-06-27 1995-05-01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decorative thread of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H04354979A (en) * 1991-06-03 1992-12-09 Morimoto Mfg Co Ltd Decorative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with plural needles
CN2118744U (en) * 1991-08-20 1992-10-14 白连生 Machine for sewing a belt onto a base fabric
JP2000192363A (en) * 1998-12-25 2000-07-11 Juki Corp Upper decorating yarn control mechanism of sewing machine
US6205941B1 (en) * 1999-10-18 2001-03-27 Ming-Tung Yu Chain stitch sewing machine including a needle-thread pushing member
JP4378486B2 (en) * 2004-11-16 2009-12-0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Top decorative sewing device
JP5142454B2 (en) * 2004-12-07 2013-02-13 Juki株式会社 sewing machine
JP4354979B2 (en) * 2006-08-31 2009-10-28 春日電機株式会社 Static elimin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15B1 (en) * 2008-09-26 2012-06-20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Sewing Machine For Flat Se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57303B2 (en) 2012-10-24
CN101195948B (en) 2012-12-05
JP2008142498A (en) 2008-06-26
CN101195948A (en) 2008-06-11
TW200840900A (en) 2008-10-16
TWI414659B (en)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197B2 (en) sewing machine
RU2555807C1 (en) Method of prevention of releasing seam, device of prevention of releasing seam and seam type
KR20080052390A (en) Sewing machine with upper fancy stitch mechanism
TW201508120A (en) Multi-thread chain stitch seam structure
CN101158086B (en) End-yarn insertion device
KR20140049496A (en) Multi-thread chain stitch sewing machine with seam ravel preventing apparatus
CN112831933B (en) Automatic bottom thread breaking method for sewing and sewing machine thereof
JP2009066191A (en) Seam ravel preve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91231B1 (en) Plating knitting method on flat knitting machine
ITMI20002403A1 (en) APPARATUS TO PREVENT THE LEAVING OF SEWING LINES
JPH07194875A (en) Device for forming continuous chain by multiple needle machine for making decoration stitch free from cover stitch
KR20210044869A (en) Sewing machine and cord cutting device that can seal the cord material
TWI727017B (en) Fabric sewing method and double loop stitch sewing machine
TW200938682A (en) 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H1157268A (en) Seam running preventing method and device
CN107532358B (en) Double-thread lockstitch sewing machine with anti-thread mark opening device
JP4094867B2 (en) sewing machine
ITMI20010867A1 (en) SEW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HAIN STITCHES WITH MULTIPLE WIRES OR COVER STITCHES WITH INTERVOLVED STACKER WIRE
GB214415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itches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m
JP2687950B2 (en) Intermittent stitch sewing method and its sewing machine
JP4374313B2 (en) Flat knitting machine
CN114302987A (en) Sewing method and sewing device
JP2006192189A (en) Sewing machine and forming method of seam
JP3962317B2 (en) Decoration sewing method and sewing machine
CN112442798B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titch from being ope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