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324A -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324A
KR20080052324A KR1020070096135A KR20070096135A KR20080052324A KR 20080052324 A KR20080052324 A KR 20080052324A KR 1020070096135 A KR1020070096135 A KR 1020070096135A KR 20070096135 A KR20070096135 A KR 20070096135A KR 20080052324 A KR20080052324 A KR 2008005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aft
knob
l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976B1 (ko
Inventor
정우철
양진규
이상운
박은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947,313 priority Critical patent/US7903997B2/en
Priority to EP07122167A priority patent/EP1930791A3/en
Publication of KR2008005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bstract

적은 공간 내에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노브에 대한 가압력 해제시 자동으로 커플링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커플링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커플링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서 샤프트와 독립적으로 샤프트와 동축 상에서 회동하는 커플링 노브와; 프레임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플링 노브의 회동에 연동되어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커플링 링크와;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커플링 링크의 운동에 연동되어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커플링 위치와 커플링해제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는 커플링 유니트와; 커플링 해제 위치로 커플링 유니트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브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플링하는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공간 내에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노브에 대한 가압력 해제시 자동으로 커플링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 등의 기기는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커버 열림시 자동으로 동력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력원과 구동기기 사이에 커플링장치를 구비한다.
도 1a 및 도 1b 각각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커플링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커플링장치는 프론트 커버(미도시)의 여닫는 동작에 연동되어 구동기어(25)와 동력전달기어(35)가 상호 맞물리거나 그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기어(25)는 전사벨트(미도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롤러의 축(27)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커플링레버(21)의 동 작에 의하여, 축(27)의 길이 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한 커플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의 커플링장치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레버(15)와, 록킹레버(15)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커플링레버(21) 및, 상기 프레임(10)과 록킹레버(15) 사이에 마련된 인장 스프링(17)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레버(15)는 프론트 커버의 여닫는 동작에 의하여 회동되는 것으로, 프론트 커버를 닫을 때 도 1a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b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프론트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도 1a에 도시된 위치에 상기 록킹레버(15)가 위치되도록 상기 인장 스프링(17)은 록킹레버(15)를 당기고 있다. 한편, 상기 인장 스프링(17)은 상기 록킹레버(15)의 회전 동작시 그 회전 각도가 탄성 바이어스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에 상기 록킹레버(15)의 회전을 가속화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레버(15)를 잡아당긴다. 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록킹레버(15)는 스냅(snap) 동작을 하고,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커플링레버(21)는 상기 구동롤러의 축(27)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록킹레버(15)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레버(21)에는 장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레버(15)에는 상기 장공(21a)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레버(15)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기(15a)가 상기 장공(2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커플링레버(21)의 회동을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레버(21)와 상기 구동기어(25) 사이에는 캠구조(미도시) 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플링레버(21)의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25)가 상기 구동롤러의 축(27) 상에서 이동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커플링레버(21)는 상기 구동기어(25)가 상기 동력전달기어(35)에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커플링레버(21)는 상기 구동기어(25)를 구동롤러 축(2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기어(25)와 상기 동력전달기어(35)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플링장치를 구성한 경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프론트 커버가 열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및 외부 충격에 의하여 록킹레버의 회전 및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바뀌게 되면서, 구동기어와 동력전달기어가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커플링 구조가 파손될 수 있다. 즉, 록킹레버의 스냅 동작에 의하여 이미 커플링 된 상태에서 프론트 커버를 닫고자 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커버와 커플링장치 사이의 비정상적인 접촉에 의하여 프론트 커버 또는 커플링 구조가 파손될 수 있다.
둘째, 서로 다른 회전 중심을 가지는 록킹레버와 커플링레버를 구비하므로,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록킹레버와 커플링레버가 서로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바,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상 프론트 커버의 여닫음 동작을 반복해야 하며, 견고한 커플링 여부는 칼라 레지스트레이션과 연관된 문제이므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슬라이딩 구조를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동을 축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커플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력이 미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커플링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일 축 상에 구성요소들을 배치하여 전체 구성의 콤팩트화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와 독립적으로 상기 샤프트와 동축 상에서 회동하는 커플링 노브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 노브의 회동에 연동되어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커플링 링크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플링 링크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커플링 위치와 커플링해제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는 커플링 유니트와; 상기 커플링 해제 위치로 상기 커플링 유니트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유니트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 링크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상대물과 커플링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와 제2상대물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릴레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캐비넷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를 구비한 커버와; 상기 캐비넷 내에 마련되며,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된 구동원과; 상기 커버가 닫힌 경우 가압돌기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상기 전사유니트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가 열린 경우 가압돌기의 가압력 해제에 의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며,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커플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유니트는,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전사벨트를 회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이 상기 커플링장치의 샤프트와 동축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장치는,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커플링링크와; 상기 커플링링크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외력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커플링레버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 되며 상기 샤프트에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상대물과 커플링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플링부재가 상기 제1상대물과 커플링되는 커플링 위치와 상기 커플링 위치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한 커플링해제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커플링노브와; 상기 커플링레버에 결합하여 외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커플링노브가 상기 커플링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레버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링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크본체와; 상기 링크본체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노브의 회전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절환하는 제3운동절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노브본체와;  상기 노브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노브본체를 회전시키는 노브부재와; 상기 노브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브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운동절환부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여 상기 노브본체를 축방향 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고, 제2상대물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로 전달하는 기어부와; 상기 커플링위치에서 제1상대물과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1상대물로 전달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장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커플링 노브에의 가압력 해제시 커플링 해제 위치로 자동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커버가 열린 상태 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커플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커플링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커플링장치의 오동작에 의하여 캐비넷의 커버을 여닫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가운데 회동 구조의 구성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샤프트의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체 구성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장치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사유니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의 회전축 상에 커플링장치의 회전 중심을 배치함으로써 작은 공간에도 커플링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체 구성을 콤팩트화함으로써 강도를 높일 수 있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110)와, 상기 프레 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플링 노브(120)와,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플링 링크(130)와, 상기 샤프트(110)에 결합된 커플링 유니트(141)(145)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유니트는 상기 커플링 링크(130)에 결합되는 커플링부재(141)와, 상기 샤프트(110)와 상대물(도 3b의 22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릴레이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프레임 본체(101)와, 이 프레임 본체(101)에 형성된 제1설치부(103) 및 제1가이드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101)는 상기 샤프트(110), 상기 커플링 노브(120) 및 상기 커플링 링크(130)가 설치되는 설치공(101a)을 가진다. 상기 제1설치부(103)는 제1설치공(101a)의 둘레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커플링 노브(120)가 상기 샤프트(110)의 회전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05)는 상기 커플링 링크(130)의 운동방향을 가이드 한다. 즉, 상기 커플링 링크(130)가 상기 커플링 노브(120)의 회동에 연동되어 운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부(105)는 상기 커플링 링크(130)가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그의 회전을 규제한다.
상기 커플링 노브(120)는 상기 프레임(100)의 제1설치부(10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110)와 독립적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노브(120)의 회동 중심은 상기 샤프트(110)의 회전 중심과 같다. 즉, 상기 샤프트(110)와 상기 커플링 노브(120)는 동축 상에서 회전 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축 상에 커플링 노브(120)와 샤프트(110)를 배치한 경우는 프레임(100)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전체 구성을 콤팩트화 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노브(120)는 상기 샤프트(110)가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공(121a)을 가지는 노브 본체(121)와, 상기 노브 본체(121)의 일면에 형성된 제1운동절환부(123) 및, 제2설치부(1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노브(120)는 상기 노브 본체(121)로부터 돌출 형성된 노브부재(1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브부재(127)는 사용자의 손이나, 별도의 구성요소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노브 본체(121)가 회전 되도록 한다.
상기 제1운동절환부(123)는 상기 노브 본체(121)의 회동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절환한다. 이 제1운동절환부(123)는 상기 노브 본체(121)의 상기 커플링 링크(130)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프로파일의 슬라이드 캠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설치부(125)는 상기 제1설치부(103)에 대향되는 상기 노브 본체(12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설치부(103)(125)는 서로 상대적인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2설치부(125)가 상기 제1설치부(103)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플링 노브(120)가 상기 프레임(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제1 및 제2설치부(103)(125)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설치부(103)는 상기 설치공(101a) 주변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 장공이고, 상기 제2설치부(125)는 상기 노브 본체(121)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는 후크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 장공에 결합 시 상기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커플링 노브(120)의 분리를 방지하며, 상기 노브 본체(121)의 회전을 규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설치부(103)(125)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설치부(103)를 결합돌기로 그리고 제2설치부(125)를 가이드 장공으로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노브부재(127)는 상기 노브본체(1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본체(121)를 회동시킨다. 이 노브부재(127)는 후술하는 커버(도 3a의 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10)나, 사용자의 손 동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노브본체(121)를 회동시킨다.
상기 커플링 링크(130)는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링크(130)는 상기 커플링 노브(120)의 회동에 연동되어 축방향으로 운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플링 링크(130)는 링크본체(131)와, 상기 링크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된 제2운동절환부(133) 및 제2가이드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본체(131)에는 상기 커플링부재(141)가 수용되는 수용부(131a)와, 상기 샤프트(110)가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공(1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운동절환부(133)는 상기 제1운동절환부(123)의 회전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절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운동절환부(123)와 대향되는 상기 링크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운동절환부(133)는 상기 제1운동절환부(123)에 대응되는 소정 프로파일의 슬라이드 캠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가이드부(135)는 상기 제1가이드부(105)에 대응되는 상기 링크본체(131)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본체(131)가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도 2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105)(135)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가이드부(105)는 상기 프레임 본체(101)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부(135)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링크본체(131)에 인입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105)(135)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가이드부(105)를 가이드 홈으로 형성하고, 제2가이드부(135)를 가이드 돌기로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커플링 유니트(141)(145)는 상기 샤프트(110)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링크(130)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커플링해제 위치(도 3a 및 도 3b의 위치)와 커플링 위치(도 4a 및 도 4b의 위치) 사이에서 운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플링 유니트는 커플링부재(141)와, 릴레이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부재(141)는 상기 커플링 링크(130)의 수용부(131a)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상대물(도 3b의 210)과 커플링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플링부재(141)는 인입 형성되며 그 내주면(142a)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커플 링부(142)와, 상기 샤프트(110)에 결합되는 제1결합공(143)을 가진다. 상기 제1상대물(210)은 단부 외주면(211)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동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커플링부(142)와 치합된다. 상기 커플링부재(141)와 상기 샤프트(110)가 함께 회전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결합공(143)과 상기 샤프트(11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D"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10)의 회전시 상기 커플링부재(141)가 상기 샤프트(1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10)에 끼워진 상기 커플링부재(141)가 상기 샤프트(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샤프트(110)에는 제1걸림턱(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커플링부재(141)의 소정 위치에는 제1후크부재(14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후크부재(144)가 상기 제1걸림턱(111)에 후크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플링부재(141)가 상기 샤프트(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부재(145)는 상기 샤프트(110)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10)와 제2상대물(220)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2상대물(220)은 예컨대, 구동원(M)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일 수 있다.
상기 릴레이부재(145)는 상기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릴레이부재(145)와 상기 제2상대물(220) 사이의 결합 관계는 유지된다. 즉, 상기 릴레이부재(145)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상대물(220)과 치합되는 기어부(1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레이부 재(145)가 상기 제2상대물(도 3b의 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치합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부재(145)와 상기 샤프트(110)가 함께 회전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릴레이부재(145)에 형성된 제2결합공(146)과 상기 샤프트(11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D"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부재(145)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110)가 그 회전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10)에 끼워진 상기 릴레이부재(145)가 상기 샤프트(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샤프트(110)에는 제2걸림턱(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릴레이부재(145)의 소정 위치에는 제2후크부재(14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후크부재(147)가 상기 제2걸림턱(113)에 후크 결합함으로써, 상기 릴레이부재(145)가 상기 샤프트(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커플링 노브(120)에 인가된 가압력이 해제시 커플링 해제 위치로 상기 커플링 유니트(141)(145)를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커플링 노브(120)의 회동을 축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커플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력이 미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커플링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커플링 노브(120)와 상기 릴레이부재(145)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플링 유니트(141)(145)를 커플링 해제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50) 는 상기한 압축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장 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 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 각각은 커플링 해제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 각각은 커플링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우선, 커플링 해제 상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노브(120)의 노브부재(127)는 자유로운 상태에 놓여있다. 즉, 상기 노브부재(127)는 커버(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10)나 사용자의 손 등과 접촉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부재(145)가 상기 커플링 노브(120)에서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운동절환부(123)(133) 상호 간의 캠 프로파일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커플링링크(130) 및 커플링부재(141)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상대물(210)과 상기 커플링부재(141) 사이의 스플라인 치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구동원(M)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2상대물(220)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커플링부재(141)가 상기 샤프트(110)와 함께 공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상기 제1상대물(210)에 전달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노브부재(127)에 외력이 일시적이나마 작용하였더라도 상기 노 브부재(127)에 외력이 미치지 않는 상태로 복원되면,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커플링 해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커플링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노브(120)의 노브부재(127)에는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플링 노브(120)가 회전된다. 즉, 상기 노브부재(127)는 커버(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10) 등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샤프트(110)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때, 상기 커플링 노브(120)에 형성된 제1운동절환부(123)와 상기 커플링 링크(130)에 형성된 제2운동절환부(133) 사이의 캠 프로파일이 어긋나면서, 상기 커플링 노브(120)의 회전운동이 상기 커플링 링크(130)의 직선운동으로 절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링 링크(130)가 상기 제1가이드부(105)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로 선형 운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커플링 링크(130)의 수용부(131a)에 수용된 커플링부재(141)와, 이와 함께 운동하도록 결합된 샤프트(110) 및 릴레이부재(145)가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이 증가하는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커플링 상태에서는 상기 커플링부재(141)와 제1상대물(210)이 스플라인 치합되어, 상기 구동원(M)에서 제공된 회전력이 상기 제2상대물(220), 릴레이부재(145), 샤프트(110) 및 커플링부재(141)를 통하여 상기 제1상대물(21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1상대물(210)이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노브부재(127)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 경우, 예컨대 상기 커버(300)가 개방된 경우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도 3a 내 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구성요소들이 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상대물(210)과 상기 커플링부재(141) 사이의 스플라인 치합이 해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니트 및 커플링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니트 및 커플링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캐비넷(410), 이 캐비넷(410)에 여닫힘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420), 상기 캐비넷(410) 내에 마련되며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430)(440), 상기 화상형성부(430)(440)에서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M)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450), 상기 캐비넷(410) 내에 구비된 구동원(510) 및 커플링장치(5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사유니트(450)를 통하여 기록재(M)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하는 상기 정착유니트(47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410)은 화상형성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 캐비넷(410)내에는 공급될 기록재(M)가 적재되는 공급유니트(48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공급유니트(480)를 통하여 공급되는 기록재(M)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와 전사유니트(450)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커버(420)는 상기 캐비넷(410)에 힌지(423) 결합된 것으로, 상기 힌지(423)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420)의 여닫음에 의하여, 상기 전사유니트(450)와 화상형성부(430)(44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420)는 상기 커플링장치(5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커플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가압돌기(425)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돌기(425)는 상기 캐비넷(410)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커플링장치(520)의 커플링노브(521)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커플링장치(520)는 상기 커버(420)가 닫힌 경우 가압돌기(425)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원(5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상기 전사유니트(45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420)가 열린 경우 가압돌기(425)의 가압력 해제에 의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장치(520)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화상형성부는 현상유니트(430)와, 광주사유니트(44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니트(430)는 광주사유니트(440)에서 주사된 빔에 감응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435)를 포함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감광매체(435)에 현상하여, 감광매체(435)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현상유니트(430)는 싱글 패스 방식으로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칼라별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 칼라를 각각 구현할 수 있도록 4개의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광주사유니트(440)는 상기 복수의 감광매체(435) 각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주사유니트(440)는 동시에 복수의 감광매체(435)에 빔을 주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 빔 광주사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빔을 편향 주사시키는 빔편향기와, 상기 빔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속을 피주사면 상에 주사 결상하는 결상렌즈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발광점이 복수개 가지는 구성 내지는 단일 발광점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각 칼라에 대응되게 구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사유니트(450)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기록재(M)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435)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435)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급되는 기록재(M)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사유니트(450)는 복수의 감광매체(435)와 마주하게 배치된 전사벨트(451)와 전사롤러(455) 및, 상기 전사벨트(451)를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된 벨트 구동장치(46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 구동장치(460)는 상기 전사벨트(4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461, 463, 465)와, 정상적인 벨트 구동시 상기 전사벨트(451)에 장력을 인가함과 아울러, 초기 상태에서 전사벨트(451)에 인가되는 장력을 해제하기 위한 벨트장력 인가유니트(467)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롤러로서는 상기 전사벨트(451)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461)와, 상기 전사벨트(451)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4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전사벨트(451)는 상기 구동롤러(461)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461)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구동원(410) 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한 커플링장치(520)를 통하여 전달된다.
상기 구동롤러(461)는 앞서 설명된 제1상대물(도 3b의 210)에 해당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커플링장치(5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플라인부(4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커버(420)의 여닫는 동작에 연동되어, 커플링장치(520)의 커플링부재(525)와 선택적으로 커플링되어 회전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461)의 회전축이 상기 커플링장치(520)의 샤프트(523)와 동축 상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롤러(461)와 커플링장치(520)를 동축 상에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커플링장치(520)를 구성하는 회전 가능한 구성요소들이 상기 샤프트(523)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공간에 동력 전달을 위한 구성을 모두 배치할 수 있어서 공간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600)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600)는 프레임(P)에 고정결합되는 커플링링크(610)와, 커플링링크(610)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640)와; 외력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커플링레버(650)와, 샤프트(640)에 결합되며 샤프트(640)에 제2상대물(도7의 410 참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상대물(도11의 211)과 커플링되는 커플링부재(630)와, 커플링레버(650)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플링부재(630)가 제1상대물(211)과 커플링되는 커플링 위치와 커플링 위치로부터 샤프트(640)의 축방향으로 이동한 커플링해제 위치 사이를 운동 하는 커플링노브(620)와, 커플링레버(650)에 결합하여 외력이 해제된 경우 커플링노브(620)가 커플링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커플링레버(650)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660)를 포함한다.
커플링링크(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P)에 고정결합되어, 커플링노브(620)가 커플링레버(650)의 회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커플링링크(610)는 프레임(P)에 결합하는 링크본체(611)와, 링크본체(6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커플링레버(650)의 제2가이드부(625)를 안내하는 제3절환부(613)를 포함한다.
커플링노브(620)는 커플링레버(650)에 결합되어 커플링레버(65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샤프트(64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커플링노브(620)는 커플링링크(610)의 링크본체(611)를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노브본체(621)와, 노브본체(62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커플링레버(650)의 노브결합리브에 수용되는 노브부재(623)와, 노브본체(623)의 회동시 제3절환부(613)를 수용하여 노브본체(621)를 커플링위치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625)를 포함한다.
노브본체(621)는 링크본체(611)의 외경보다 소정 간격 크게 마련되어 커플링레버(650)의 회동시 노브본체(621)를 사이에 두고 회동한다. 제2가이드부(625)는 커플링레버(650)가 회동하지 않은 경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므로 제3절환부(613)를 수용하지 않고, 커플링레버(650)가 회동한 경우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본체(621)의 회동에 따라 제3절환부(613)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노브본체(621)는 제3절환부(613)를 따라 커플링위치로 축방향 이동하게 된다.
커플링부재(630)는 커플링노브(620)의 축방향이동시 함께 이동하며 제2상대물의 회전운동을 제1상대물(211)로 전달한다. 즉, 커플링부재(630)는 커플링노브(620)가 커플링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상대물(211)과 결합하여 제2상대물(도7의 410)의 회전력을 제1상대물(211)로 전달한다.
커플링부재(630)는 샤프트(6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플링부재본체(631)와, 커플링부재본체(631)의 외주연에 마련되어 제2상대물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부(633)와, 샤프트(640)를 수용하며 제1상대물(211)과 결합하는 커플링부(635)를 포함한다. 커플링부(635)는 내주면에 제1상대물(211)과 치합할 수 있는 기어열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640)는 커플링링크(610), 커플링노브(620) 및 커플링부재(630)에 결합하여 제2상대물()의 회전력을 제1상대물(211)로 전달한다. 샤프트(640)는 회전시 커플링부재(630)와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그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거나 D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640)와 커플링부재(630)를 커플링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부재(643)가 포함될 수 있다.
커플링레버(650)는 프레임(P)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외력(도9a의 310)이 가해질 경우 회동하여 커플링노브(620)가 커플링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커플링레버(650)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본체(651)와, 레버본체(651)로부터 연장되어 커플링노브(620)와 결합하는 노브결합리브(655)와, 프레임(P)에 결합하는 회전 축(653)을 포함한다.
노브결합리브(655)는 노브부재(623)에 수용되며 노브본체(621)가 커플링위치와 커플링해제 위치 간을 이동할 때 커플링부재(630)를 가이드한다.
탄성부재(660)는 커플링노브(620) 및 커플링부재(630)가 커플링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커플링레버(650)에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재(660)는 일단부는 커플링레버(650)의 회전축(653)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노브결합리브(655)에 결합하여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600)의 동작과정을 도9a 내지 도11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도9a와 같이 외력(310)이 커플링레버(650)에 가해지지 않은 경우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노브(620)의 제2가이드부(625)와 커플링링크(610)의 제3절환부(613)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 때, 커플링링크(610)의 외경의 크기와 노브본체(621)의 내경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커플링노브(620)는 커플링노브(620)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상대물(211)과 커플링부(635)는 상호 결합하지 못하고 제2상대물의 회전력은 제1상대물로 전달되지 못한다.
반면, 도9b와 같이 외력(310)이 가해질 경우 도10과 같이 커플링레버(65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커플링노브(620)도 함께 회전한다. 이 때,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본체(621)의 제2가이드부(621)가 회전하며 제3절환부(613)와 일치하게 되고 노브본체(621)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커플링부(630)가 제1상대물(211)과 결합하게 되고 기어부(633)의 회전에 따른 제2상대물(410)의 회전력을 제1상대물(211)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660)는 제1상대물과 커플링부(635)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커플링레버(650)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가압레버(650)을 가압하던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재(660)는 가압레버(650)가 탄성적으로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여 즉시 커플링노브(620)와 커플링부재(630)이 커플링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에 비해 커플링레버와 탄성부재의 구성이 추가되어 커플링위치에서 커플링해제 위치로 보다 빠르게 전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체 부품의 구성이 제1실시예에 비해 줄어들게 되므로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장치는 전사유니트를 구성하는 전사벨트를 구동하는 벨트 구동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구동장치는 전사유니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화상형성장치 예컨대 모노크로 프린터, 팩스, 디지털 복사기 등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외에도 출력 용지를 반송하는 종이 반송유니트, 잠상을 형성하여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감광체 벨트유니트, 토너 화상을 전사 유지하는 중간전사유니트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콘베이어 등의 벨트반송장치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프론트 커버에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용 커플링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 각각은 커플링 해제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c 각각은 커플링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니트 및 커플링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니트 및 커플링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커플링위치와 커플링해제 위치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커플링해제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커플링위치와 커플링해제 위치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프레임 103...제1설치부
105...제1가이드부 110...샤프트
111...제1걸림턱 113...제2걸림턱
120...커플링 노브 123...제1운동절환부
125...제2설치부 127...노브부재
130...커플링 링크 133...제2운동절환부
135...제2가이드부 141...커플링부재
144...제1후크부재 145...릴레이부재
147...제2후크부재 150...탄성부재
210...제1상대물 220...제2상대물
300, 420...커버 310, 425...가압돌기
410...캐비넷 430...현상유니트
435...감광매체 440...광주사유니트
450...전사유니트 451...전사벨트
455...전사롤러 460...벨트구동장치
470...정착유니트 480...공급유니트
510...구동원

Claims (17)

  1. 커플링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와 독립적으로 상기 샤프트와 동축 상에서 회동하는 커플링 노브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 노브의 회동에 연동되어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커플링 링크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플링 링크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커플링 위치와 커플링해제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는 커플링 유니트와;
    상기 커플링 해제 위치로 상기 커플링 유니트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니트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 링크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상대물과 커플링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와 제2상대물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 하는 릴레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커플링부재가 설치되는 제1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부재는,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걸림턱에 걸리는 제1후크부재와;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상대물과 치합되는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릴레이부재가 설치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부재는,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걸림턱에 걸리는 제2후크부재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상대물과 치합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샤프트, 상기 커플링 노브 및 상기 커플링 링크가 설치되는 설치공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노브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설치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 링크가 축방향 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노브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공을 가지는 노브본체와;
    상기 노브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본체의 회동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절환하는 제1운동절환부와;
    상기 제1설치부에 대향되는 상기 노브본체의 위치에 형성된 제2설치부와;
    상기 노브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본체를 회전시키는 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부는,
    상기 설치공 주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 노브의 회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장공이고,
    상기 제2설치부는,
    상기 노브본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노브본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결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링크는,
    상기 커플링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링크본체와;
    상기 링크본체의 일면에 상기 제1운동절환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운동절환부의 회동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절환하는 제2운동절환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상기 링크본체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본체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이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링크본체에 인입 형성된 가이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플링 노브와 상기 커플링유니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플링유니트를 커플링 해제방향으로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1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캐비넷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를 구비한 커버와;
    상기 캐비넷 내에 마련되며, 토너를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된 구동원과;
    상기 커버가 닫힌 경우 가압돌기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상기 전사유니트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가 열린 경우 가압돌기의 가압력 해제에 의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플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니트는,
    전사벨트와;
    상기 전사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롤러와, 상기 전사벨트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전사벨트를 회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이 상기 커플링장치의 샤프트와 동축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플링노브와 상기 커플링 유니트 사이에 마련되어, 커플링 해제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유니트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커플링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커플링링크와;
    상기 커플링링크에 회전 및 축방향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외력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커플링레버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에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1상 대물과 커플링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커플링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플링부재가 상기 제1상대물과 커플링되는 커플링 위치와 상기 커플링 위치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한 커플링해제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커플링노브와;
    상기 커플링레버에 결합하여 외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커플링노브가 상기 커플링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레버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링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크본체와;
    상기 링크본체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노브의 회전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절환하는 제3운동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노브본체와;
    상기 노브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노브본체를 회전시키는 노브부재와;
    상기 노브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브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운동절환부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여 상기 노브본체를 축방향 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고, 제2상대물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로 전달하는 기어부와;
    상기 커플링위치에서 제1상대물과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1상대물로 전달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장치.
KR1020070096135A 2006-12-06 2007-09-20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23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47,313 US7903997B2 (en) 2006-12-06 2007-11-29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07122167A EP1930791A3 (en) 2006-12-06 2007-12-03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2948 2006-12-06
KR1020060122948 2006-12-06
KR1020060129578 2006-12-18
KR20060129578 2006-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24A true KR20080052324A (ko) 2008-06-11
KR101239976B1 KR101239976B1 (ko) 2013-03-06

Family

ID=3980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135A KR101239976B1 (ko) 2006-12-06 2007-09-20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464A (ko) * 2013-12-06 2018-11-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835B2 (ja) 2000-11-13 2005-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280489A (ja) 2002-03-25 2003-10-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636230B1 (ko) 2005-04-20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464A (ko) * 2013-12-06 2018-11-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US10139777B2 (en) 2013-12-06 2018-11-27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05480B2 (en) 2013-12-06 2020-07-07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00084911A (ko) * 2013-12-06 2020-07-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210000329A (ko) * 2013-12-06 2021-01-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US10901365B2 (en) 2013-12-06 2021-01-26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10059018A (ko) * 2013-12-06 2021-05-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US11112751B2 (en) 2013-12-06 2021-09-07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85593B2 (en) 2013-12-06 2022-07-1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1614710B2 (en) 2013-12-06 2023-03-2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976B1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0802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11620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US83556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2443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witches positions of developing rollers in a predetermined fixed order
JP4750506B2 (ja) 画像形成装置
US7903997B2 (en)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749567B1 (ko) 화상형성장치
KR101305527B1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KR101766782B1 (ko) 화상형성장치
US89425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239976B1 (ko) 커플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77610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of
JP6632408B2 (ja)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401520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1520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15208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