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362A -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362A
KR20080051362A KR1020060122298A KR20060122298A KR20080051362A KR 20080051362 A KR20080051362 A KR 20080051362A KR 1020060122298 A KR1020060122298 A KR 1020060122298A KR 20060122298 A KR20060122298 A KR 20060122298A KR 20080051362 A KR20080051362 A KR 2008005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odel frame
groove
fixing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이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명 filed Critical 이상명
Priority to KR102006012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362A/ko
Publication of KR2008005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7Telescopic anchoring, i.e. using spring biased de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가 탈락된 공간을 인공치아로서 채우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치아가 탈락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한쌍의 정상치아 뒷면에 긴밀하게 접하는 커버형상으로서, 정상치아의 뒷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요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평형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모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모형틀을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에 끼움고정하면 시술자는 평형한 관통공을 통해 한쌍의 정상치아의 뒷면에 평형한 요입홈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형성할수 있게 됨으로써 평형하게 형성된 요입홈에 치아 보철물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정상치아를 본뜬 석고모형을 성형하는 단계(1단계);
상기 석고모형을 이용하여 상기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의 뒷면에 밀접하게 커버되는 모형틀의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2단계);
상기 모형틀로서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에 평형한 관통공을 천공함으로써 모형틀을 완성하는 단계(3단계);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모형틀을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에 끼워 흔들리지 않도록 끼움고정하는 단계(4단계);
시술자는 모형틀의 관통공을 통해 드릴로서 정상치아의 뒷면에 요입홈을 간편하게 형성하는 단계(5단계);
상기 모형틀을 벗겨낸 후, 평형하게 형성된 요입홈에 치아 보철물을 정확하게 고정하는 단계(6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술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하고 평형하게 요입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요입홈의 정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므로서 치아 보철물의 고정력 또한 증대되어 쉽게 탈락되지 아니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 보철물, 투키 브리지(2key-Bridge), 요입홈, 드릴

Description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A fixing method of two-key bridge at tooth}
도 1은 본 발명의 모형틀 장착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형틀을 사용한 시술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형틀 사용 후의 요입홈 형성도
도 4는 본 발명으로 형성된 요입홈에 정확하게 고정되는 보철물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형틀을 사용하여 형성한 요입홈 작업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모형틀 1A : 관통공 1B : 몸체부
2 : 요입홈 3 : 정상치아 4 : 드릴
5 : 보철물 6 : 인공치아 7 : 삽입핀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가 탈 락된 공간을 인공치아로서 채우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치아가 탈락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한쌍의 정상치아 뒷면에 긴밀하게 접하는 커버형상으로서, 정상치아의 뒷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요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평형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모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모형틀을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에 끼움고정하면 시술자는 평형한 관통공을 통해 한쌍의 정상치아의 뒷면에 평형한 요입홈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형성할수 있게 됨으로써 평형하게 형성된 요입홈에 치아 보철물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보철물 시술방식 중 투키 브릿지(2key Bridge) 방식은 탈락된 치아로 인한 빈 공간에 치아 보철물을 끼워넣을 때에 메릴랜드 방식처럼 양측의 정상치아를 깍지 아니하고 양측 정상치아의 뒷면이나 측면에 치아 보철물 고정용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치아 보철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치아가 탈락된 공간을 인공치아로 채우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종전의 메릴랜드 방식에 비하여 치아가 탈락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정상치아를 깍지 아니한다는 점으로 인해 시술이 매우 간편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시술시 통증이 없으며, 임플란트 방식과 비교하여 저렴하면서도 효과는 임플란트 방식에 의한 인공치아에 못지 않아 이에 대해 등록특허 제10-0416247호와 등록실용 제20-0183838호로 관련기술이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다대한 효과가 있는 투키 브릿지 방식에 대한 관심과 시술율은 날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치과용 드릴을 이용하여 치아가 탈락된 빈 공간의 양측에 위치 한 정상치아의 뒷면에 일정개수의 치아 보철물 고정용 요입홈을 정확하고 평형하게 형성하는 부분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는 바,
먼저, 치아 보철물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양측 정상치아의 뒷면에 형성되는 요입홈이 정확하고 평형해야 한다. 상기 요입홈이 평형하느냐 평형하지 아느냐의 차이는 치아 보철물의 고정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러한 작업은 매우 조심스럽게 행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정상치아의 뒷면에 요입홈을 형성할 때에 시술자들은 드릴을 이용하여 대충 눈짐작으로 요입홈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요입홈을 평형하게 형성하기는 매우 힘들다.
상기와 같이 대충 눈짐작으로 형성된 요입홈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현실적으로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고자 할 때에 요입홈은 2~3개로 형성하게 되는데 치아 하나당 2개의 요입홈을 형성하는 것은 일부 평형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치아 보철물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각 치아의 뒷면에 3개 정도의 요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바, 양측 합하여 6개의 요입홈을 평형하게 한다는 것은 매우 힘들며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요입홈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아니하고 또한 평형하지 못함에 따라 치아 보철물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므로 그 고정력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탈락되는 경우가 많으며, 2개의 요입홈도 평형하게 형성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치아가 탈락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정상치아에, 긴밀하게 씌움되는 모형틀에 일정개수의 관통공을 미리 평형하게 천공한 후 상기 관통공이 천공된 모형틀을 요입홈을 형성하고자하는 정상치아에 끼운 다음, 시술자는 미리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을 통해 드릴로서 요입홈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해 시술시간이 대폭 단축될 뿐 아니라 요입홈의 평형 정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므로서 치아 보철물의 고정력 또한 증대되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형틀 장착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형틀을 사용한 시술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형틀 사용 후의 요입홈 형성도, 도 4는 본 발명으로 형성된 요입홈에 정확하게 고정되는 보철물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형틀을 사용하여 형성한 요입홈 작업공정도로서,
본 발명에 의해 치아 보철물(5)이 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정상치아를 본뜬 석고모형을 성형하는 단계(1단계);
상기 석고모형을 이용하여 상기 요입홈(2)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3)의 뒷면에 밀접하게 커버되는 모형틀(1)의 몸체부(1B)를 형성하는 단계(2단계);
상기 모형틀(1)로서 요입홈(2)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에 평형한 관통공(1A)을 천공함으로써 모형틀(1)을 완성하는 단계(3단계);
를 통하여 모형틀(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된 모형틀(1)을 이용하여 정상치아(3)의 뒷면에 평형한 요입홈(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모형틀(1)로서 요입홈(2)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3)에 끼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4단계), 시술자는 미리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A)을 따라 드릴(4)로서 작업하게 되면 정상치아(3)의 뒷면에는 관통공(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요입홈(2)이 형성되며(5단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된 평형한 요입홈(2)에 치아 보철물(5)의 모든 삽입핀(7)이 정확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철물(6)은 정상치아(3)에 견고하게 고정(6단계)되는 것이다.
또한, 치아 보철물(5)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치아가 탈락된 빈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정상치아(3)의 뒷면에 치아 보철물(5) 고정용 요입홈(2)을 형성한 후, 이에 치아 보철물(5)을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하나의 인공치아(6)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공치아(6)의 양측에 체결되는 보철물(5)이 정상치아(3)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상기 보철물(5)의 고정을 위해서는 치아가 탈락된 공간 양측의 정상치아(3), 즉 두 개의 정상치아(3)의 뒷면에 요입홈(2)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한쌍의 모형틀(1)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형틀(1)의 형태는 그 실시예로서, 치아가 탈락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정상치아(3)의 뒷면과 앞면 일부에 긴밀하고 밀접하게 씌워지는 커버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상치아(3)의 뒷면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평형한 관통공(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A)은 정상치아(3)의 뒷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요입홈(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관통장치로서 두 개의 모형틀(1)에 형성되는 관통공(1A)은 평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모형틀(1)의 형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형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일정거리 이격된 한쌍의 정상치아(3)의 뒷면에 눈짐작으로 드릴(4)로서 직접 작업할 때에 일정거리 떨어진 요입홈(2)들을 평형하게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본 발명에 의한, 평형한 관통공(1A)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모형틀(1)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1A)을 따라 드릴(4)로서 작업하게 되면, 평형한 요입홈(2)이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치아 보철물(5)을 고정할 때에 필요한 요입홈(2)의 개수는 치아 하나당 2~3개로서, 상기 2~3개는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기재한 것으로, 4개 이상의 요입홈(2)을 형성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관통공(1A)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모형틀(1)을 사용하면 얼마든지 정확한 위치에 형성가능하며 다만 상기 모형틀(1)은 환자의 고유의 치아형태에 맞춰 제작되는 것이므로 한번 사용하고 나면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될 수도 있으나, 그 제작비용은 극히 적게 소요되고, 제 작시간 또한 오래 소요되지 아니할 뿐 아니라, 한번의 정확하고 평형한 요입홈(2)의 형성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치아보철물(5)은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설치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에 비하면 그 단점은 극히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모형틀(1)은 치과용 드릴(4)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지닌 재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금속이나 경질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은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으로 투키 브리지(2key bridge) 방식을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시술자는 치아 뒷면의 평형한 요입홈을 종래에 비해 훨씬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술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하고 평형하게 요입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요입홈의 정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므로서 치아 보철물의 고정력 또한 증대되어 쉽게 탈락되지 아니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매우 다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치아가 탈락된 공간을 인공치아로 채우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에 있어서, 치아가 탈락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한 한쌍의 정상치아 뒷면에 긴밀하게 접하는 커버형상으로서, 정상치아의 뒷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요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평형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모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모형틀을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에 끼움고정하면 시술자는 평형한 관통공을 통해 한쌍의 정상치아의 뒷면에 평형한 요입홈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형성할수 있게 됨으로써 평형하게 형성된 요입홈에 치아 보철물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틀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치아 보철물 고정용 요입홈을 형성하는 과정으로는, 정상치아를 본뜬 석고모형을 형성하는 단계(1단계); 상기 석고모형을 이용하여 상기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의 뒷면에 밀접하게 커버되는 모형틀의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2단계); 상기 모형틀로서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에 평형한 관통공을 천공함으로써 모형틀을 완성하는 단계(3단계);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모형틀을 요입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상치아에 끼워 흔들리지 않도록 끼움고정하는 단계(4단계); 시술자는 모형틀의 관통공을 통해 드릴로서 정상치아의 뒷면에 요입홈을 간편하게 형성하는 단계(5단계); 상 기 모형틀을 벗겨낸 후, 평형하게 형성된 요입홈에 치아 보철물을 정확하게 고정하는 단계(6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고정방법.
KR1020060122298A 2006-12-05 2006-12-05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KR20080051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298A KR20080051362A (ko) 2006-12-05 2006-12-05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298A KR20080051362A (ko) 2006-12-05 2006-12-05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62A true KR20080051362A (ko) 2008-06-11

Family

ID=3980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298A KR20080051362A (ko) 2006-12-05 2006-12-05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3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880A (zh) * 2017-03-03 2019-10-25 西诺德牙科设备有限公司 用于构造修复体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880A (zh) * 2017-03-03 2019-10-25 西诺德牙科设备有限公司 用于构造修复体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695B2 (en) Individualized jig for orthodontic braces, assembly formed by that jig, a base and a bracket, and its design methods
KR100920727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탄성체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US7322821B1 (e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US20140322671A1 (en) Artificial tooth, a jig for arranging the same, an arrangement method of the same and a denture
WO1997031585A9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JP2006341067A (ja) 医療用ガイド部材
WO1997031585A1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JP2015510425A (ja) 歯科用補綴物を支持する歯支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11813A1 (en) Prosthesis for dental implants
JP2012517842A (ja) 順繰りにカスタマイズされる少なくとも2つの骨接合プレート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組立品
KR102105919B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CN109429483A (zh) 连结人工齿列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KR20120136858A (ko)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BR112021006266B1 (pt) Implante dentário personalizado, método para preparar um implante dentário personalizado,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o, e, sistema para projetar um implante dentário personalizado
KR101092907B1 (ko) 임플란트 영상매칭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ct촬영장치
KR20080051362A (ko) 치아보철물 고정용 모형틀의 제조방법
KR20140037719A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0726481B1 (ko) 덴탈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구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KR101516950B1 (ko)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00117384A (ko) 임플란트 영상 매칭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