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326A -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326A
KR20080051326A KR1020060122184A KR20060122184A KR20080051326A KR 20080051326 A KR20080051326 A KR 20080051326A KR 1020060122184 A KR1020060122184 A KR 1020060122184A KR 20060122184 A KR20060122184 A KR 20060122184A KR 20080051326 A KR20080051326 A KR 2008005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analysis
commercial
input
structure analysis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2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326A/ko
Publication of KR2008005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소정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런 다음,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생성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실행한 후 함수 라이브러리가 반환하는 구조해석 결과파일의 출력을 대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에 숙련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도 구조해석에 필요한 데이터 입력과 구조해석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전체 알고리즘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컴퓨터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구조해석이 가능해진다.
구조해석, 입출력 인터페이스, ANSIS, MIDAS

Description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output interfacing using commercial structure interpreting program}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해석의 대상이 되는 구조물을 설계하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물성값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구조해석 기초파일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매개로 생성한 구조해석 결과파일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의 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한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의 절차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번호>
10: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 20: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
30: 중앙연산처리 수단 40: 기록매체
50: 메모리 60: 표시수단
본 발명은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해석시 프로그램의 복잡한 기능을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구조해석에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그램의 구조해석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SYS, MIDAS 등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은, 해석의 대상이 되는 구조물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하면 구조해석을 위해 제공되는 함수 라이브러리가 실행되어 각종 구조해석 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수치화된 자료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해석범위가 너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많은 숙련과 학습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구조해석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기관에 구조해석을 의뢰하거나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구조해석을 시행하여 왔다.
하지만 구조해석 업무가 필요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기능 중 극히 일부만을 이용하고 있고 구조해석의 대상이 되는 구조 모델의 종류도 일부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위와 같은 사용자의 입장을 감안하여 장시간의 학습을 통한 숙련이 없이도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에 대한 숙련도가 없더라도 구조해석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의 입력과 구조해석 결과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은, (a) 소정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실행한 후 함수 라이브러리가 반환하는 구조해석 결과 파일의 출력을 대기하는 단계; (d)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정보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 간 절점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성정보는 적어도 부재의 항복강도, 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점 좌표는 3차원 좌표계로 표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재 간 절점 좌표의 입력은, 부재 간 절점 좌표에 의해 구조물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구조물 미리보기 창과 3차원 절점 좌표의 입력을 지원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d)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부재 식별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에 의해 플로팅된 그래프와 그래프 상의 각 지점별 물성값을 표시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소정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에 의한 구조해석 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실행한 후 함수 라이브러리가 반환하는 구조 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중앙연산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정보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 간 절점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성정보는 적어도 부재의 항복강도, 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점 좌표는 3차원 좌표계로 표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은 부재 간 절점 좌표에 의해 구조물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구조물 미리보기 창과 3차원 절점 좌표의 입력을 지원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부재 식별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에 의해 플로팅된 그래프와 그래프 상의 각 지점별 물성값을 표시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10),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20), 중앙연산처리 수단(30), 함수 라이브러리가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40), 메모리(50) 및 표시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10)은 소정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구비된 키보드, 마우스 등이다.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정보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 간 절점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성정보는 적어도 부재의 항복강도, 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점 좌표는 3차원 좌표계로 표현된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20)은 구조해석 기초정보의 입력과 구조해석 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출력하기 위해 그래픽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구비된 그래픽 카드이다.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20) 은 모니터 등의 표시수단(60)과 결합되며, 후술하는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의 제어에 의해 표시수단(60)을 통하여 각종 그래픽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구조해석 결과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모듈의 제어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구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상기 제어 알고리즘을 실행한 후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20)을 통하여 표시수단(60)에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구조해석 기초정보의 입력,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구조해석을 실행한 후 함수 라이브러리가 반환하는 구조해석 결과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구조해석 결과를 출력하는 등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1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때, 구조해석 기초정보의 편리한 입력을 위해,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3차원 절점 좌표의 입력을 지원하는 테이블 매트릭스와 사용자가 입력한 부재 간 절점 좌표에 의해 구조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구조물 미리보기 창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수단(60)에 출력시킨다.
도 2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A)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테이블 매트릭스(70) 내에서 각 부재 간 절점의 3차원 좌표를 입력하게 되 며, 절점 좌표가 입력되면 미리보기 창(75)을 통하여 절점을 중심으로 부재가 서로 연결된 모습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A)를 통해 사용자는 해석 대상이 되는 구조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손쉽게 구조물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A)는 해석 대상이 되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값을 입력할 수 있는 물성값 입력 인터페이스(8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물성값 입력 인터페이스(8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각 부재의 물성값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4번' 부재에 대한 물성값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사용자가 입력한 구조해석 기초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매체(40)에 수록되어 있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50)에 수록한다. 도 3은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ANYSIS인 경우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이 생성한 구조해석 기초파일의 내용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구조해석 기초정보와 함께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해석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규격으로 각종 시뮬레이션 환경 설정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그런 다음,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실행한 후 실행된 함수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실행한다. 이 때, 함수 라이브러리는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에 수록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구조해석을 실행하고 구조해석 결과파일을 생성하여 메모 리(50)에 저장한다. 이러한 구조해석 결과파일을 메모리(50)에 생성하는 프로세스 자체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조해석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론에 있지 않으므로 구조해석 결과파일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조해석 결과파일은 각 부재의 지점(지점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음)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총변형율 등 각종 구조해석 인자에 대한 수치값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구조해석 결과파일이 메모리(50)에 생성되면,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구조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표시수단(60)을 통해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출력한다. 상기 구조해석 데이터의 지정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이루어진다.
도 4는 구조해석 결과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B)는 사용자가 구성한 구조물에서 구조해석 결과를 출력하고자 하는 부재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해석 대상 지정 인터페이스(90), 지정된 구조해석 대상(도면에서는 '1'번 부재)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 데이터가 출력되는 테이블 매트릭스(110), 테이블 매트릭스(110)에 포함된 구조해석 결과 중 특정 인자에 대한 데이터에 의해 플로팅된 그래프를 출력시키는 그래프 출력창(100)을 포함한다. 도 4의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물 중 1번 부재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테이블 매트릭스(110)에서 '하중스텝'은 부재를 여러 개의 분절로 구획하는 지점을 지칭하고, 각 분절의 지점별로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총변형율'이 각각 표시되어 있으 며, 그래프 출력창(100)에는 부재의 각 지점별로 총 변형율의 변화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해석 결과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조작하지 않고도 해석 대상이 되는 구조물의 구조해석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B)의 구체적인 화면 구성이나 구조해석 결과로서 표시하는 인자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B)는 얼마든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사용되는 함수 라이브러리에 따라 다양한 구조해석 인자에 대한 데이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B)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은, 크게 구조해석 기초정보 입력 단계(S10), 구조해석 기초파일 생성 단계(S20), 구조해석 실행 단계(S30), 구조해석 결과 파일 생성 단계(S40), 및 구조해석 결과 표시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S10 단계에서, 중앙연산처리 수단(30)는 표시수단(60)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2의 A 참조)를 제공한다. 그런 다음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석 대상이 되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값과 각 부재 사이의 절점 좌표를 입력받는다.
그런 다음, S20 단계에서,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사용자가 입력한 물성값과 각 부재 사이의 절점 좌표를 이용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도 3 참조)을 생성하여 메모리에 수록한다.
이어서, S30 단계에서,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메모리에 생성된 구조해석 기초파일에 토대로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함으로써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매개로 구조해석을 간접적으로 실행한다.
그러고 나서, S40 단계에서, 호출된 함수 라이브러리로부터 구조해석 결과가 포함된 파일이 출력되면,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출력된 구조해석 결과파일을 메모리에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S50 단계에서, 중앙연산처리 수단(30)은 구조해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4의 B 참조)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구조해석 대상을 지정받은 후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구조해석 결과파일로부터 리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을 구성하는 전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기능에 숙련되어 있 지 않더라도 손쉽게 구조물의 해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구조해석 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구조해석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고 구조해석 결과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전체 제어 알고리즘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컴퓨터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구조해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a) 소정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실행한 후 함수 라이브러리가 반환하는 구조해석 결과 파일의 출력을 대기하는 단계; 및
    (d)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정보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 간 절점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정보는 적어도 부재의 항복강도, 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포함하 고, 상기 절점 좌표는 3차원 좌표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각 부재간 절점 좌표의 입력은,
    부재 간 절점 좌표에 의해 구조물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구조물 미리보기 창과 3차원 절점 좌표의 입력을 지원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부재 식별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를 구조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리드하는 단계; 및
    리드된 구조해석 데이터로부터 플로팅된 그래프와 그래프 상의 각 지점별 물성값을 표시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
  7. (a) 소정 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필요한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
    (b)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에 의한 구조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c)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규격으로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함수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구조해석 기초파일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실행한 후 함수 라이브러리가 반환하는 구조해석 결과 파일로부터 지정된 구조해석 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중앙연산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해석 기초정보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물성정보와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 간 절점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정보는 적어도 부재의 항복강도, 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포함하고, 상기 절점 좌표는 3차원 좌표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은 부재 간 절점 좌표에 의해 구조물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하는 구조물 미리보기 창과 3차원 절점 좌표의 입력을 지원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해석 결과 파일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산처리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부재 식별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부재의 지점별 하중, 탄성변형율, 소성변형율 및 총변형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해석 데이터에 의해 플로팅된 그래프와 그래프 상의 각 지점별 물성값을 표시하는 테이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60122184A 2006-12-05 2006-12-05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KR20080051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84A KR20080051326A (ko) 2006-12-05 2006-12-05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84A KR20080051326A (ko) 2006-12-05 2006-12-05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26A true KR20080051326A (ko) 2008-06-11

Family

ID=3980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184A KR20080051326A (ko) 2006-12-05 2006-12-05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3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39B1 (ko) * 2020-06-21 2021-01-28 곽의신 구조물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09071B1 (ko) 2020-11-11 2021-10-07 (주)매그파이소프트 환경시설물의 지진피해예측 및 가시화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39B1 (ko) * 2020-06-21 2021-01-28 곽의신 구조물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09071B1 (ko) 2020-11-11 2021-10-07 (주)매그파이소프트 환경시설물의 지진피해예측 및 가시화 시뮬레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üller et al. The indicator side of ecosystem services
US6750887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layout manager
CN110249300B (zh) 内置于数据集成工作流编辑器中的测试用例生成器
JPH10254690A (ja) グラフィカル ユーザー インタフェース システム及び方法
Yalcinkaya et al. Evaluating the usability aspects of construction operation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standard
US9921811B2 (en) Multiple display environment for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CN114270313A (zh) 一种计算机实现的方法、计算机程序以及物理计算环境
JP2013120396A (ja) 製造ライ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データ入力支援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支援方法
CN106484389A (zh) 动作流分段管理
US20180074659A1 (en) Application user interface design tool
KR20140045101A (ko) 파라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방법
KR20080051326A (ko)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장치
US20070225953A1 (e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CAD data
JP2006244000A (ja) 工程管理装置および工程管理プログラム
JP2014197329A (ja) 支援装置及び支援方法
KR102209839B1 (ko) 구조물 시뮬레이션 장치
Jayaraman et al. The Impact of Visualizing Traceability Links for Evolving Requirements in Software Maintenance-A Controlled Experiment.
KR20140045102A (ko) 파라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JP2018180711A (ja) テストケースを選択する計算機及びテストケースの選択方法
Puerta et al. Ui fin: a process-oriented interface design tool
KR100887187B1 (ko) 실험 고안 정보 지정 방법, 기계 액세스 가능 매체, 데이터 프로세싱 컴퓨터 시스템 및 실험 고안 정보 분석 방법
Al-Sayegh et al. BASYS-MTB: An integrative structural simulation platform based on adjacency matrices
Botterweck et al. S2T2-Configurator: interactive support for configuration of large feature models
JP2001318811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6132325B1 (ja) システム開発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