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562A -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 Google Patents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562A
KR20080050562A KR1020087001897A KR20087001897A KR20080050562A KR 20080050562 A KR20080050562 A KR 20080050562A KR 1020087001897 A KR1020087001897 A KR 1020087001897A KR 20087001897 A KR20087001897 A KR 20087001897A KR 20080050562 A KR20080050562 A KR 2008005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k
chain
curvatur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르틴 포오네엠
미하엘 피츄라
안톤 시모노프
안트레아스 트릴러
마르쿠스 쥬니그
올가 이스폴라토바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5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5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4Toothed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link plate (4) and a plate link chain for a vehicle drive, comprising a plurality of chain links which are connected together in an articulated manner by means pressure parts (2). Said pressure parts extend in a transversal manner in rela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 chain. Bearing surfaces are embodied on the pressure pieces and chain links, along which the pressure pieces and the chain links a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in order to transmit power. The respective bearing surfaces have an optimum shape.

Description

링크 플레이트,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체인, 그리고 상기 링크 체인에 의해서 형성된 체인 구동 장치 및 상기 링크 체인이 설치된 차량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링크 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로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 그리고 이와 같은 유형의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현된 체인 구동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형의 체인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ink play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Further possib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late link chain formed using a link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o a chain drive device comprising a link plate of this ty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 of chain drive device.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링크 플레이트 그리고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추후에도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링크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동력 전달 능력이 제한됨으로써, 우선 링크 플레이트가 예를 들어 파워 피크에 의해서 손상되고 파괴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내용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장들은 링크 플레이트가 끊어질 때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로부터 시작해서 전체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파괴 혹은 끊어짐이 야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동일한 조인트 부재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추가의 링크 플레이트들이 상기 끊어진 링크 플레이트의 동력 전달을 함께 담당할 수밖에 없음으로써, 더 강한 하중을 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더욱 강한 하중에 의해서는, 개별 링크 플레이트들이 동력 전달 능력과 관련한 자신의 한계에 더욱 근접하게 되거나 또는 심지어는 상기 한계를 초과하게 된다.Link plates and plate link chains of the type mentioned in the preamble are known in the art in a variety of ways, a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It is also known that by this type of link plate and the power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plate link chain formed using the link pl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nk plate is first damaged and destroyed by, for example, a power peak. . Such failures may occur when the link plate breaks, in which case starting from the link plate may cause breakage or breakage of the entire plate link chain, since an additional arrangement is placed between the same joint members,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the link plates are forced to bear the power transmission of the broken link plate together, and thus receive a stronger load. Such stronger loads cause the individual link plates to be closer to or even exceed their limits with regard to power transmission capacity.

본 발명의 과제는, 더욱 높은 강성을 갖는 링크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마모도 줄어들어야 하고, 링크 플레이트 혹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탄성적인 팽창도 덜 발생 되어야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서는, 하나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제작하기 위하여 더욱 적은 개수의 부품들이 조립되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소수의 링크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두께가 더욱 크게 구현됨으로써,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가 더 두꺼움으로써 해결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link plate having a higher rigidity and a plate link chain using the link pl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reduce wear and less elastic expansion of the link plate or plate link chain. In particular with the present invention, fewer parts have to be assembled to make one plate link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implementing a larger plate thickness of at least a few link plates, that is to say thicker link pl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구현에 의해서는, 링크 플레이트와 압력 부재 혹은 체인 링크 내에 있는 롤러 사이에서 크기가 큰 지지면이 형성되고, 더욱 깨끗한 천공면을 갖는 매우 매끈한 단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현에 의해서는, 롤러 또는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서 매우 우수한 직각도(perpendicularity)가 성취된다. 이와 같은 더욱 깨끗한 지지면에 의해서는, 체인 길이의 전단 변형이 줄어들거나 또는 완전히 피해질 수 있다. 압착이 더욱 적음으로써, 에지 흐름도 줄어들고, 최상의 경우에는 피해질 수 있다.With such an implementation, a large support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link plate and the roller in the pressure member or chain link, and a very smooth cross section with a cleaner perforated surface is formed. Also with such an implementation, very good perpendicularity is achieved between the roller or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By this cleaner support surface,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chain length can be reduced or completely avoided. By less compression, the edge flow is reduced and in the best case can be avoided.

하지만, 플레이트 두께는 천공 품질 그리고 롤러 또는 압력 부재의 만곡 하중을 고려해서 임의로 상승할 수 없다. 또한, 공구 비용이 천공 두께에 따라 과잉 비율적으로 상승한다는 사실도 고려되어야만 한다.However, the plate thickness cannot rise arbitrarily in consideration of the drilling quality and the bending load of the roller or pressure member. It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tool cost rises excessively with the drilling thickness.

링크 플레이트를 본 발명에 따라 형성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톱니 체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인이 톱니 휠 내부에 삽입될 때에 톱니와 플레이트 사이의 토크에 의해서 야기되는 기울어짐 작용이 유리한 영향을 받게 된다는 추가의 장점이 나타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톱니에 대한 플레이트의 우수한 직각도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더욱 우수한 가이드가 야기되고, 톱니 맞물림 부분에서는 전단 하중이 줄어들거나 또는 피해진다. 그밖에,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압축이 더욱 적어짐으로써, 에지 흐름도 줄어들거나 또는 피해질 수 있다.When the link plat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nk plate is used in the tooth chain, the tilting effect caused by the torque between the tooth and the plate is advantageously affected when the chain is inserted into the tooth wheel. The further advantage is that the good squareness of the plate relative to the teeth is ensured. As a result, a better guide is caused, and the shear load is reduced or avoided at the tooth engagement portion. In addition, as the compression becomes smaller by the above-described action, the edge flow can be reduced or avo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숫자를 통해 알 수 있는 측정 비율들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치(l)(pitch) 대 플레이트 두께(d)의 비율은 3.7 내지 5.5의 범위 안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와 마찬가지로, 롤러 높이 또는 압력 부재 높이(h) 대 플레이트 두께(d)의 비율은 1.3 내지 1.9인 것이 유리하다. 롤러 폭(w) 대 플레이트 두께(d)의 비율도 0.8 내지 1.2의 범위 안에 있는 경우가 특히 유리하다. 또한, 웹(web)의 폭(s) 대 플레이트 두께(d)의 비율은 0.8 내지 1.2의 범위 안에 있는 경우가 특히 유리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easuring ratios which can be seen from the numbers have turned out to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Thus, for example, the ratio of pitch to plate thickness d is advantageously in the range of 3.7 to 5.5. Likewise, the ratio of roller height or pressure member height h to plate thickness d is advantageously between 1.3 and 1.9. 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f the ratio of roller width w to plate thickness d is also in the range of 0.8 to 1.2. It is also particularly advantageous if the ratio of width s to plate thickness d of the web is in the range of 0.8 to 1.2.

본 발명은 - 전술된 바와 같이 - 롤러 또는 압력 부재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차량 구동 장치, 차량 파워 트레인(vehicle power train) 또는 차량 엔진 보조 구동 시스템(vehicle motor auxiliaries drive system)을 위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력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연장되고, 상기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상에는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 각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을 따라 상기 압력 부재 및 링크 플레이트가 동력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면은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연장되는 폭을 갖고, 상기 폭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는 한 단면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으로 관찰할 때 원호 길이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s mentioned above, a vehicle drive, vehicle power train or vehicle motor auxiliaries drive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 plates articulated to each other in a joint form via a roller or pressure member. It also relates to a plate link chain for a system), in which case the pressure member extends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and each support surface is formed o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in a curved shape.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power transmission along the support surface, each support surface having a width exten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In one section runn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three It has an arc length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본 출원서에 언급된 유형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들을 위해서는, 차량 구동 장치에 적용하는 예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이 존재한다. 차량 구동 장치의 부분으로서 무단 원추형 디스크-체인 변속 장치(CVT)에 사용하는 경우에, 압력 부재는 특별하게 형성된 정면을 가지며, 상기 정면을 통해 인장력은 원추형 디스크와 체인 사이에 마찰력으로서 전달된다. 차량 구동 장치에서 대부분의 다른 적용예의 경우에,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하나의 톱니 체인인데, 다시 말해 링크 플레이트들은 적어도 한 측면에 톱니를 가지며, 상기 톱니를 통해 인장력이 톱니 휠과 체인 사이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톱니 체인들은 선행 기술, 예컨대 US-PS 4,906,224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톱니 체인들은 차량 구동 장치의 다수의 장소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4-휠-동력 분배 장치에서, 프런트-가로-구동 장치에서 차동 장치에 대한 축 간격을 브리징 하기 위하여, 기어 내부에 있는 유압식 보조 장치의 구동 체인으로서, 연소 엔진의 밸브 구동-제어 체인으로서 또는 차량의 다른 보조 장치(냉각제 펌프, 윤활제 펌프, 냉난방 장치용 압축기, 전등용 발전기, 시동 엔진, 하이브리드 추가 엔진, 제동력 증폭기 등)의 구동 체인으로서도 사용된다.For plate link chains of the type mentio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are various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example applied to the vehicle drive device. When used in an endless conical disc-chain transmission (CVT) as part of a vehicle drive, the pressure member has a specially formed front, through which tension is transmitted as friction between the conical disk and the chain. In most other applications in a vehicle drive, the plate link chain is one tooth chain, ie the link plates have teeth on at least one side, through which the tensi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tooth wheel and the chain. Tooth chains of this type are known from the prior art, such as US-PS 4,906,224. Such tooth chains are used in a number of places in a vehicle drive, for example in a four-wheel-drive distribution device, in a front-horizontal-drive device, in order to bridge the axial spacing to the differential in the gear. As a drive chain of a hydraulic auxiliary device, as a valve drive-control chain of a combustion engine or other auxiliary devices of a vehicle (coolant pumps, lubricant pumps, compressors for heating and cooling systems, light generators, starting engines, hybrid additional engines, braking power amplifiers, etc.). It is also used as a drive chain.

본 출원서에 언급된 유형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압력 부재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로부터 구성된다.Plate link chains of the type referred to in this application are constructed from a plurality of link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joints via pressure members.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동력 전달은 지지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면은 압력 부재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링크 플레이트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을 따라 압력 부재 및 링크 플레이트가 서로 인접한다. 압력 부재는 핀으로서도 언급되는데, 상기 핀들은 각각 쌍으로 두 개의 플레이트 개구 내에서 롤러 조인트로서 사용되며, 원추형 디스크 벨트 구동 장치를 위한 체인의 경우에 상기 개구들은 종종 크기가 큰 하나의 개구로 합쳐져 있다.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is made at the support surface, which is formed not only on the pressure member but also on the link plate, and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upport surface. Pressure members are also referred to as pins, which are each used as roller joints in pairs of two plate openings, in the case of a chain for a conical disc belt drive, the openings are often combined into one large opening. .

압력 부재 상에는 상이한 기능면들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한 개구 내에서 서로 마주 놓여 있는 압력 부재 쌍은 롤링 영역 또는 롤링 면에서는 상호 인접한다. 체인이 꺾어지는 경우에, 상기 장소에서는 압력 부재의 구조로 인해 사전에 결정된 꺾임 각만큼 롤링 동작이 이루어진다.Different functional surfaces are formed on the pressure member. The pair of pressure members facing each other in one opening of the plate link chain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rolling area or the rolling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chain is bent, the rolling operation is carried out at this place by a predetermined angle of ben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 member.

압력 부재의 지지면에서는 상기 압력 부재가 링크 플레이트의 지지면에 인접함으로써, 이 경우에 링크 플레이트의 지지면과 압력 부재의 지지면 사이에서는 표면 압착력이 생성된다. 상기 지지면들은 다수의 요구 조건들을 충족해야만 한다. 한편으로, 상기 생성되는 표면 압착력은 상기 지지면들의 형상으로 인해 지나치게 커서는 안 되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면들은 압력 부재가 링크 플레이트의 개구들 내부로 회전 삽입되지 않도록 회전 보호 장치로서도 이용된다.At the support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the pressure member is adjacent to the support surface of the link plate, whereby a surface press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of the link plate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The support surfaces must meet a number of requirements. On the one hand, the resulting surface compressive force should not be too large due to the shape of the support surfaces,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urfaces are also used as a rotational protection device such that the pressure member is not rotation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s of the link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세그먼트 당 확연하게 상이한 두 가지 반경을 갖는 세그먼트로 나누어진 지지면들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US 6277046호는 두 가지 상이한 반경을 갖는 압력 부재 상에 두 개의 지지면을 갖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상이한 반경에 의해 회전 보호 기능이 성취됨으로써, 압력 부재는 링크 플레이트의 개구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US 5236399호에는, 재차 두 가지 상이한 반경들이 각각 지지면에 제공되어 있거나 또는 반경 중심점이 변위 됨으로써 회전 보호 기능이 구현된 추가의 한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기술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plate link chains are already known which have supporting surfaces divided into segments with two significantly different radii per segment. Thus, US 6277046 shows a plate link chain having two support surfaces on pressure members having two different radii. The rotation protection function is achieved by such a different radius so that the pressure member does not rotate in the opening of the link plate. US 5236399 again describes a further known plate link chain in which two different radii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upport surface or the rotational center is implemented by displacement of the radial center point.

지지면은 상기와 같은 회전 보호 기능 이외에도 파괴에 강하고 내구성이 있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요구 조건도 충족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압착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접촉 구역에서 발생하는 표면 압착력은 사전에 결정된 값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의 이해에 따르면, 본 경우에는 곡률이 적고 그와 더불어 곡률 반지름이 큰 지지면이 필요했다. 그렇기 때문에, 전술된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따르면, 지지면에서 발생하는 접촉 압착력을 줄일 수 있기 위해서는 곡률 반지름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o the rotational prot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surface must also meet the requirements of a plate link chain that is resistant to breakage and durable. For this purpose, the surface compressive force occurring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crimping member and the link plate should not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so far, in this case, a support surface with a small curvature and a large radius of curvature was requir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known plate link chain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radius of curvature in order to be able to reduce the contact compression force generated at the support surface.

놀라운 것은, 압력 부재 및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지지면의 접촉 영역에서 압축 응력 피크가 발생하는 원인은, 곡률 반지름이 작기 때문이 아니라(그리고 그와 더불어 곡률 반지름이 크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곡률 반지름이 상이한 영역들 간에 존재하는 천이 영역에서는 국부적인 응력 피크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경우에는 한 곡률 반지름으로부터 다른 곡률 반지름으로 변환되는 천이 영역에서 전압 피크가 확연하게 나타난다는 것, 그리고 특히 상기 천이가 접선 방향으로, 즉 꺾임 없이 진행하는 경우에도 전압 피크가 확연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Surprisingly, the cause of compressive stress peaks in the contact area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pressure member and the plate link chain is not due to the small radius of curvature (and not because of the large radius of curvature), but rather the radius of curvature. This is because local stress peaks appear strongly in transition regions existing between different regions. It is understood from this situation that, in the case of known plate link chains, the voltage peaks are evident in the transition region from one radius of curvature to the other, and in particular in the tangential direction,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process proceeds without bending, the voltage peak appears clearly.

상응하는 도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K로 표기된 작은 곡률 반지름과 G로 표기된 큰 곡률 반지름 간에 존재하는 천이 영역에서 압축 응력 피크가 발생하지만, 상기 압축 응력은 곡률 반지름이 작은 영역에서는 곡률 반지름이 큰 영역에서보다 월등하게 더 높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와 달리 발견된 사실은, 크기가 작은 곡률 반지름이 국부적으로 높은 압축 응력 피크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 곡률 반지름으로부터 다른 한 곡률 반지름으로 변환되는 천이 영역이 장애를 일으키는 장소가 된다는 것이다.Corresponding figures are shown in FIG. 1. 1 shows a compressive stress peak in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small radius of curvature denoted by K and the large radius of curvature denoted by G, but the compressive stres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gion of large curvature radius in the region of small curvature radius. It is not high. The other finding is that the small radius of curvature does not cause locally high compressive stress peaks, but rather the transition region where the radius of curvature is converted from one radius of curvature to the other is the point of failure. .

다시 말해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꺾어질 때의 회전을 위해 압력 부재 상에 롤링 면이 제공되었지만, 이와 같은 상황은 지지면 상에서 압력 부재의 회전을 야기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플레이트 링크 체인 및 압력 부재의 링크 플레이트들의 접촉면 영역에 회전 보호 장치를 갖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경우에도 상대적인 회전이 야기되며, 다시 말해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지지면 상에서 전단 동작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사실에 의해서는 한 곡률 반지름으로부터 다른 한 곡률 반지름으로 변환되는 천이부에서 지지면 에러 쌍이 야기되며, 다시 말해 링크 플레이트의 곡률은 더 이상 압력 부재의 곡률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In other words, although a rolling surface is provided on the pressure member for rotation when the plate link chain is bent, this situation causes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member on the support surface, that is, the plate link chain and the link plate of the pressure member. Relative rotation is also caused in the case of plate link chains with rotational protection in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m, ie shearing action occurs on the supporting surface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and this fact causes At the transition to one radius of curvature, a support surface error pair is caused, ie the curvature of the link plate no longer coincides with the curvature of the pressure member.

상기와 같은 전단 변형에 의해서는,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구역에서 발생하는 면 형상 접촉으로부터 압력 부재의 폭에 걸쳐서 발생하는 선형 접촉으로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와 더불어 상기 접촉 구역에서 접촉 압축력이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압착 최대값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지금까지 고려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인 이해에 따라,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면 영역에서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곡률 반지름을 가급적 크게 하는 것만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Such shear deformations result in a conversion from a planar contact occurring i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to a linear contact occurring across the width of the pressure member, with the contact compression force in the contact zone. By this increase, as a result, in the present case, the compression maximum shown in Fig. 1 is reached. This situation has not been considered so far, because, in general understanding, the only aim is to increase the radius of curvature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다시 말하자면, 한편으로는 허용되는 표면 압착의 요구 조건을 고려해야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링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부재의 회전도 저지해야만 한다는 목적 충돌이 존재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re is a conflict of interest that, on the one hand, the requirements of acceptable surface compression must be taken into account, and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member relative to the link plate must also be prevented.

압력 부재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를 구비한, 차량 구동 장치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력 부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고, 상기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는 곡선으로 형성된 각각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을 따라 압력 부재 및 링크 플레이트는 동력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면은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연장되는 폭 그리고 상기 폭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는 한 단면에서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서 관찰할 때 원호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원호 길이를 따라 상이한 곡률을 갖는 세 개 이상의 영역을 갖는다.A plate link chain for a vehicle drive device can be formed having a plurality of link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joint form via a pressure member, in which case the pressure member extends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and the pressure member Each support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link plate and the link plate,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power transmission along the support surface, each support surface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Three arcs having a length exten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and transversely transverse to the width with an arc length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the support surface having different curvatures along the arc length. It has the above area.

따라서, 다른 말로 하자면, 자신의 곡선 길이를 따라 한 단면에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을 따라 관찰할 때에 상이한 곡률 갖는 세 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면을 갖춘 하나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나타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곡률이 크게 도약하는 현상이 피해지지만, 그럼에도 링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하여, 곡률 반지름이 작은 영역 및 곡률 반지름이 큰 영역이 제공되었다.Thus, in other words, one plate link chain with a support surface comprising three or more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s appears when view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in one section along its curved length, resulting in Although the phenomenon of large curvature leap is avoided,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pressure member relatively made relative to the link plate, a region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nd a region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have been provided.

그럼으로써, 공지된 인식들과 달리 지지면 영역에서 곡률 반지름이 큰 가급적 작은 곡률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지 않고, 오히려 압력 부재의 지지면의 곡률 및 링크 플레이트의 지지면의 곡률이 충분한 개수만큼 상이하게 제공되더라도, 높은 전압 피크를 야기하는 곡률 도약은 피해지게 된다는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진다.Thereby, unlike known perceptions, it is not important to make the smallest curvature as large as possible in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support surface region, but rather provide a sufficient number of curvatures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and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link plate. Even so, a shift in perception is made that curvature jumps that cause high voltage peaks are avoided.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가장 큰 곡률 대 가장 작은 곡률의 비율은 적어도 팩터 2다. 이와 같은 형성에 의해서는, 링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 조치가 제공되고, 지지면이 자신의 원호 길이 또는 곡선 길이를 따라 세 가지 이상의 상이한 곡률을 갖는다는 특징으로 인해 충분히 작은 곡률 도약이 발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지면 상에 있는 곡률 도약의 영역에서는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refinement, the ratio of the largest curvature to the smallest curvature is at least factor two. This formation provides sufficient protection against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member relative to the link plate and due to the feature that the support surface has three or more different curvatures along its arc length or curve length. A sufficiently small curvature jump results in an unacceptably high compressive stress in the region of curvature jump on the support surface.

세 개 이상 영역에서의 곡률들은 개별 영역들 안에서는 원호 길이를 따라 각각 동일할 수도 있는데, 다시 말해 한 단면에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축 세로 방향을 따라 관찰할 때, 곡선 길이 또는 원호 길이는 세 개 이상의 원호 세그먼트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원호 세그먼트의 상이한 곡률들 사이에서는 도약이 작게 발생하고, 차량 구동 장치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압력 부재에서 곡률 반지름을 관찰할 때, 개별 곡률 반지름들의 도약은 예를 들어 지나치게 높은 전압 피크를 야기하는 1 mm로부터 5 mm로의 큰 반지름 도약에 비해, 처음에는 1 mm로부터 3 mm로 그리고 그 다음에는 5 mm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rvatures in three or more areas may be the same along the length of the circle within the individual areas, that is, when viewed along the axi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link chain in one section, the curve length or the length of the circle may be three or more arcs. It can be configured by a segment. As a result, the hopping occurs between different curvatures of the arc segments, and when observing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pressure member of the plate link chain for the vehicle drive, the leap of the individual curvature radii causes, for example, an excessively high voltage peak. Compared to a large radius jump from 1 mm to 5 mm, it may consist initially of 1 mm to 3 mm and then of 5 mm.

또한, 세 개 이상 영역에서의 곡률들은 개별 영역 안에서 원호 길이를 따라 각각 변동될 수 있다. 그 의미를 다른 말로 하자면, 세 개의 상이한 영역에서는 일정한 곡률들이 제공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곡률들은 예를 들어 개별 영역들 안에서 연속으로 변동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축 방향 종단면도에서 관찰할 때, 원호 길이를 따라 연속으로 변동되는 곡률 및 그와 더불어 곡률 반지름을 갖는 나선형 세그먼트로 구성된 지지면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나선형 세그먼트 이외에, 축 방향 종단면도에서 관찰할 때,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연속으로 변동되는 곡률을 갖는 타원형 세그먼트로 구성된 지지면 형태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들 이외에, 쌍곡선 또는 포물선으로 이루어진 세그먼트, 또는 아주 일반적으로는 원호 길이를 따라 곡선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곡선 세그먼트의 2차 도함수가 일정한 지지면도 곡선 길이의 세그먼트로서 가능하다.Further, the curvatures in three or more regions can be varied along the arc length in individual region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constant curvatures are not provided in three different regions, but rather the curvatures can vary continuously, for example in individual regions. This makes it possible, when viewed in the ax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e link chain, to a support surface composed of spiral segments having a curvature continuously varying along the arc length and, in addition, a radius of curvature. In addition to such helical segment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upport surface consisting of elliptical segments with a curvature that continuously varies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when viewed in the axial longitudinal section.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above forms, it is also possible for a segment of hyperbolic or parabolic, or even generally, support, bearing segments having a curved segment along the arc length and having a constant second derivative of the curved segment.

더 나아가 한 개선예에 따르면, 지지면은 원호 길이를 따라 곡선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원호 길이를 따라 가장 작은 상기 곡선 세그먼트의 곡률 반지름은 대체로 상기 원호 길이의 중앙에 놓여 있다.According to one further refinement, the support surface has curved segments along the arc length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mallest curved segment along the arc length lies generally in the center of the arc length.

대체로 원호 길이의 중앙에 가장 작은 곡률 반지름을 배치하면, 가장 큰 곡률은 지지면의 개별 단부 영역 밖에 놓이게 되고, 그럼으로써 압력 부재의 경우에는 지지면의 개별 단부 영역에서 곡률 반지름이 가장 작은 배치 상태와 비교할 때 상기 압력 부재의 강성은 더 높고, 그에 따라 휘어짐도 덜하다. 다시 말해서, 압력 부재의 휘어짐이 덜한 경우에는 인장력이 나란히 배치된 모든 링크 플레이트에 더욱 균일하게 분배되고, 링크 플레이트는 더욱 높은 피로 강도(fatigue strength)에 도달하며, 전체적으로 볼 때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더욱 높은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다.In general, placing the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in the center of the arc length causes the largest curvature to lie outside the individual end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so that, in the case of pressure members, the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at the individual end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In comparison, the stiffness of the pressure member is higher and therefore less warped.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less bending of the pressure member, the tensile force is distributed more evenly to all the link plates arranged side by side, the link plates reach higher fatigue strength, and as a whole the plate link chain is higher Tensile force can be transmitted.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의해서는, 지지면의 상이한 곡률 반지름들 사이에 있는 천이 영역에서 더 이상 두드러진 접촉 응력 도약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 개구 내에서 구현되는 압력 부재의 회전에 대한 안전 조치도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비해 개선된다.With such a plate link chain, there is no longer noticeable contact stress jump in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of the support surface. In addition, safety measures against rotation of the pressure member implemented within the link plate opening are also improved compared to known plate link chains.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확연하게 상이한 두 가지 곡률 반지름을 갖는 공지된 구성에서 압력 부재의 지지면과 링크 플레이트의 지지면의 접촉면 영역에서 진행하는 표면 압착력의 파형이다.1 is a waveform of surface compaction force which proceeds in the contact surface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link plate in a known configuration with two distinctly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도 2는 CVT-구동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known plate link chain for use in a CVT-driven device.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 및 압력 부재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link plate and a pressure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압력 부재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essure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압력 부재의 확대도 그리고 상기 압력 부재로부터 구성된 톱니 체인의 사시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essure memb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chain constructed from the pressure member.

도 6은 소수의 명칭들을 설명하기 위한 압력 부재의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a pressure member for explaining a few names.

도 7은 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접촉 영역에서의 표면 압착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imilar to FIG. 1 for explaining the surface compressive force waveform in the contact region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of a plate link chai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압력 부재를 구비한 링크 플레이트의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of a link plate with a rolling pressur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플레이트 링크 체인 2, 3: 압력 부재1: plate link chain 2, 3: pressure member

4: 링크 플레이트 5: 압력 부재4: link plate 5: pressure member

6: 링크 플레이트 7: 플레이트 링크 체인6: link plate 7: plate link chain

8: 지지면 영역 9: 압력 부재의 지지면8: Support surface area 9: Support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10: 링크 플레이트의 지지면 11: 지지면 영역10: Supporting surface of the link plate 11: Supporting surface area

12: 휘어진 클램프 13 - 16: 곡률 반지름12: Curved Clamp 13-16: Radius of curvature

17: 롤링 면 18, 19: 지지면17: rolling face 18, 19: supporting face

20 - 23: 화살표 24: 압력 부재20-23: arrow 24: pressure absence

25: 롤링 면 26: 상부 지지면25: rolling surface 26: upper support surface

27: 하부 지지면 28: 원호 길이27: lower support surface 28: arc length

29: 접선 30: 체인 진행 방향29: tangent 30: chain direction

B, C: 곡률 최대값을 갖는 지점B, C: point with maximum curvature

D: 원호 길이의 40 내지 60 %를 차지하는 영역D: area occupies 40 to 60% of the arc length

d: 플레이트 두께 s: 웹의 폭d: plate thickness s: width of web

l: 피치l: pitch

h: 롤러 높이(롤링 압력 부재의 높이 또는 압력 부재의 높이)h: roller height (height of the rolling pressure member or height of the pressure member)

w: 롤러 폭 b: 웹의 내부 폭w: roller width b: internal width of the web

앞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은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지지면 영역에서 진행하는 표면 압착력의 파형을 보여준다. K로 표기된 작은 곡률 반지름과 G로 표기된 큰 곡률 반지름 사이에 있는 천이 영역에서는, 압력 부재와 링크 플레이트 간 접촉 압착력이 확연하게 최대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작은 곡률 반지름(K)과 상기 큰 곡률 반지름(G) 사이에서 곡률 반지름의 도약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As already explained above, FIG. 1 shows the waveform of the surface compressive force running in the area of the support surface between the link member and the pressure member of the known plate link chain. In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small radius of curvature denoted by K and the large radius of curvature denoted by G, the contact compression force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link plate is apparently maximized, because the small curvature radius K and the large curvature This is because the radius of curvature takes place between the radii (G).

도 2는 다수의 롤러 또는 압력 부재(2, 3) 그리고 링크 플레이트(4)로 구성된 공지된 CVT-플레이트 링크 체인(1)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2에 A로 표기된 영역이 도 1에는 확대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도 1은 압력 부재(2) 및 링크 플레이트(4)를 재현한다.2 shows a cross section of a known CVT-plate link chain 1 consisting of a number of rollers or pressure members 2, 3 and a link plate 4. Since the area marked A in FIG. 2 is shown enlarged in FIG. 1, FIG. 1 eventually reproduces the pressure member 2 and the link plate 4.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7)의 링크 플레이트(6) 및 압력 부재(5)를 확대도로 보여준다.3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link plate 6 and the pressure member 5 of the plate link chain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면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력 부재(5)와 링크 플레이트(6) 사이에는 두 개의 지지면 영역(8 및 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면 영역(8)은 상기 압력 부재(5)에 있는 지지면(9) 및 상기 링크 플레이트(6)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지지면(1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지지면 영역(11)도 유사하게 상기 압력 부재(5)에 있는 지지면 및 상기 링크 플레이트(6)에 있는 지지면으로 구성되었다.As can be readily seen from the figure, two support surface regions 8 and 11 are formed between the pressure member 5 and the link plate 6, in which case the support surface region 8 is the pressure. It was formed by a support surface 9 in the member 5 and a support surface 10 complementary to the link plate 6. The support surface region 11 similarly consisted of a support surface in the pressure member 5 and a support surface in the link plate 6.

상기 압력 부재(5) 및 링크 플레이트(6)는 상기 지지면(9) 혹은 상기 지지면(10)에서 동력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한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6)가 도 3의 투영면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들이 동일한 압력 부재(6)에서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7)에 의해 전달되는 인장력은 상기 압력 부재들과 상기 링크 플레이트들 사이에 있는 개별 지지면 영역들에 분배된다.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7)의 폭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는 하나의 축 방향 종단면에서는, 각각의 지지면(9, 10)이 원호 길이 또는 곡선 길이를 가지며, 상기 원호 길이 또는 곡선 길이는 도면에서는 각각 휘어진 클램프(12)에 의해서 나타난다.The pressure member 5 and the link plate 6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power transmission on the support surface 9 or on the support surface 10. Since the link plate 6 has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surface of FIG. 3, and the plurality of link plate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side by side in the same pressure member 6, the plate link chain 7 The tensile force transmitted by the force is distributed to separate support surface regions between the pressure members and the link plates. In one axial longitudinal section runn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plate link chain 7, each support surface 9, 10 has an arc length or curve length, the arc length or curve length in the figure respectively. It is represented by the curved clamp 1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경우 지지면(9)은 압력 부재(5)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상보적인 지지면(10)은 곡률이 상이한 영역들을 갖는 링크 플레이트(6)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곡률들을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기 위하여, 도 3에는 상이한 곡률 그리고 그에 상응하게 상이한 곡률 반지름(13, 14, 15, 16)을 갖는 영역들이 각각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각각의 곡률 반지름(13, 14, 15, 16)은, 상기 지지면(9, 10)에서 나타나는 육안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상이한 곡률들을 그림으 로 나타낼 수 있기 위하여, 상이한 곡률을 갖는 영역들에 대하여 수직으로 표시되어 있다.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plate link chai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which case the support surface 9 is formed on the pressure member 5 and the support surface 10 complementary to the support surface is It is formed in the link plate 6 having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s. In order to be able to represent such curvatures in FIG. 3,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s and correspondingly different curvature radii 13, 14, 15 and 16 are respectively shown in broken lines, in which case the respective curvature radii 13, 14, 15, and 16 are vertically displayed with respect to region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so that the different curvatures that are difficult to grasp with the naked eye appearing on the support surfaces 9 and 10 can be represented graphically. have.

곡률 반지름 영역(13)에서의 곡률이 곡률 반지름 영역(14)에서의 곡률보다 작다는 사실이 도 3을 통해 명확해짐으로써, 상기 영역(13)에서의 곡률 반지름은 상기 영역(14)에서의 곡률 반지름보다 더 크다. 그에 상응하게 영역(15)에서의 곡률 반지름은 상기 영역(14)에서의 곡률 반지름보다 더 작고, 그에 상응하게 상기 영역(15)에서의 곡률 반지름은 상기 영역(14)에서의 곡률 반지름보다 더 크다. 그럼으로써, 상기 압력 부재(5)의 지지면(9) 그리고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상보적인 상기 링크 플레이트(6)의 지지면(10)은 상기 지지면 영역(8)에서 이미 상기 지지면(9, 10)의 원호 길이 또는 곡선 길이를 따라서 세 가지 상이한 곡률을 갖게 된다. 도 3은 또한 상기 지지면(9, 10)에 원호 길이를 따라 또 하나의 제 4 영역(16)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상기 추가 영역은 상기 곡률 반지름 영역들(13, 14, 15)과 상이한 곡률 반지름(16)을 갖는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지지면 영역(11)도 상이한 곡률을 갖는 영역들을 포함하며, 본 경우에는 단지 상이한 곡률을 갖는 세 개의 영역들만 제시되어 있다.It becomes clear from FIG. 3 that the curvature in the radius of curvature region 13 is less than the curvature in the radius of curvature region 14, so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region 13 is the curvature in the region 14. Greater than the radius Correspondingly, the radius of curvature in region 15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in region 14, and correspondingly the radius of curvature in region 15 is grea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in region 14. . Thereby, the support surface 9 of the pressure member 5 and the support surface 10 of the link plate 6 complementary to the support surface are already at the support surface region 8 in the support surface 9. , Three different curvatures along the arc length or curve length. 3 also shows that another fourth region 16 is further formed on the support surface 9, 10 along the length of the arc, which further comprises the radius of curvatures 13, 14, Has a radius of curvature 16 different from 15). Correspondingly, the support surface region 11 also comprises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s, in this case only three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s are presented.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압력 부재를 보여주며, 이 경우 압력 부재로서는 재차 원추형 디스크 벨트 구동 장치를 위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압력 부재가 사용된다.Fig. 4 shows the pressure member of the plate link cha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case the pressure member of the plate link chain for the conical disc belt drive device is used again.

상기 압력 부재(5)의 경우에는 도면 부호 (17)로써 롤링 면이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롤링 면에 의해서는 압력 부재(5)가 마주 놓인 압력 부재(재차 한 쌍의 압력 부재가 사용됨)에서 롤링되며, 이 경우 기본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다. 압력 부재(5)는 재차 두 개의 지지면(18, 19)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한 링크 플레이트의 상보적으로 형성된 지지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면(18)은 곡률이 최대인 지점, 다시 말해 설명을 목적으로 상기 지지면(18)에 대하여 재차 수직으로 도시된 곡률 반지름이 자신의 최소값을 갖는, B로 표기된 지점을 갖는다. 상기 지점(B)부터는 곡률 반지름이 두 가지 방향으로 계속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곡률은 상기 지지면(18)에 있는 지점(B)부터는 두 가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축소된다. 이 경우 곡률 반지름은 상기 지점(B)부터 시작하여 화살표(20)의 방향으로는 타원형 세그먼트에 상응하게 계속 증가하고, 화살표(21)의 방향으로는 나선형 세그먼트에 상응하게 계속 증가한다.In the case of the pressure member 5, a rolling surface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7, which is rolled by a pressure member (a pair of pressure members are used again) facing the pressure member 5 by the rolling surface. In this case, the basic configuration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The pressure member 5 again has two support surfaces 18, 19, which are arranged on the complementary support surface of the link plate, unles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support surface 18 has a point at which the curvature is maximum, that is to say B, for which the radius of curvature, again show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18, has its minimum value. From this point B the radius of curvature continues to increase in two directions, as a result of which the curvature is continuously reduced in two directions from point B on the support surface 18. In this case, the radius of curvature continues to increase from the point B, corresponding to the elliptical seg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0, and to the corresponding spiral seg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1.

도 4는 하부 지지면(18)에서 곡률이 최대인 지점(C)으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 유사한 특성을 보여주며, 이 경우 곡률 반지름은 화살표(22)의 방향으로는 쌍곡선형 세그먼트에 상응하게 계속 증가하고, 화살표(23)의 방향으로는 포물선의 한 만곡부로 이루어진 세그먼트에 상응하게 계속 증가한다.FIG. 4 shows similar properties starting from point C at the curvature maximum at the lower support surface 18, in which case the radius of curvature continues to increase corresponding to the hyperbolic seg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2. In the direction of arrow 23, it continues to increase, corresponding to a segment consisting of a curve of parabola.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을 보여주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압력 부재(24)로서는 톱니 체인의 압력 부재가 사용되는데, 상기 톱니 체인은 예를 들어 구동 장치용 톱니 체인으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이송 장치용 톱니 체인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부재(24)도 또한 롤링 면(25)을 가지며, 상기 롤링 면에서는 상기 압력 부재 쌍의 해당 압력 부재가 롤링 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부재(24)도 상부 지지면(26) 및 하부 지지면(27)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지지면(26) 의 구성은, 지점(B)부터 곡률 반지름 - 이 곡률 반지름은 재차 상기 지지면의 외부 윤곽에 대하여 수직으로 파선으로 도시됨 - 이 상기 지지면(26)의 두 가지 방향으로, 재차 휘어진 클램프(12)를 통해 나타난 원호 길이를 따라 증가하도록 선택되었다. 그에 상응하게, 지지면(27)에서의 곡률 반지름도 곡률이 최대인(그에 상응하게 곡률 반지름은 최소인), C로 표기된 지점부터 두 가지 방향으로 계속 증가한다.FIG. 5 shows a view similar to FIG. 4, in which case the pressure member 24 of the tooth chain is used as the pressure member 24 shown in FIG. 5, which tooth chain is for example used as a tooth chain for a drive device or It can be used as a tooth chain for a conveying device. The pressure member 24 also has a rolling surface 25, in which the corresponding pressure member of the pair of pressure members can be rolled. The pressure member 24 also has an upper support surface 26 and a lower support surface 27.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support surface 26 in this case is a radius of curvature from point B, the radius of curvature being again shown in dashed lines perpendicular to the outer contour of the support surface-two of these support surfaces 26. In the limb direction, it was again chosen to increase along the arc length shown through the curved clamp 12. Correspondingly,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support surface 27 also continues to increase in two directions from the point marked C, where the curvature is maximum (and correspondingly the radius of curvature is minimum).

더 알려진 바와 같이, 지지면의 최대 곡률 그리고 그로 인한 최소 곡률 반지름이 상기 지지면의 중앙에서 상기 지지면의 원호 길이 혹은 곡선 길이에 걸쳐 진행하는 경우, 압력 부재는 압력에 더 안정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As is further known, the pressure member can be designed to be more stable to pressure if the maximum curvature of the support surface and thus the minimum radius of curvature runs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over the arc length or curve length of the support surface. .

도 6은 상기와 같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철자 (B) 혹은 (C)에 의해서는 재차 상부 지지면 혹은 하부 지지면에 있는 지점들이 표기되며, 상기 지점들은 각각의 지지면 안에서 최대 곡률 그리고 그로 인해 최소 곡률 반지름을 갖는다. 도면을 통해 확연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점(B 혹은 C)은 대략 원호 길이(28)의 중앙에 있고, 상기 원호 길이 아래에서는 파선으로 표시된 곡률 반지름을 갖는 영역도 뻗는다. 최대 곡률을 갖는 지점이 원호 길이를 따라 대략 지지면의 중앙(원호 길이(28)를 통해 측정됨)에 있다는 내용이 앞에서 언급되었지만, 상기 지점(B 혹은 C)이 원호 길이(28)의 40 내지 60 %의 영역(D)에 놓이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바람직한 효과에 도달한다고 나타났다. 상기 영역은 압력 부재의 하부 지지면에 대한 접선의 30 내지 60 °의 각도 범위와 합동이며, 이 경우 상기 30 내지 60 °의 각도는 접선(29)과 체인 진행 방향(30) 사이에서 측정된다. 이때 개별 지지면의 최대 곡률을 갖는 지점이 원호 길이(28)의 전체 길이의 40 내 지 60 % 안에 있거나 혹은 상기 체인 진행 방향(3)에 대한 접선(29)의 30 내지 60 °안에 있으면, 단단하고도 휨 발생 가능성이 작은 압력 부재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재차 플레이트 링크 체인 또는 톱니 체인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인장력을 높여준다.6 is used to explain the above relationship. Spells (B) or (C) again indicate the points on the upper or lower support surface, which points have a maximum curvature and hence a minimum radius of curvature within each support surface. 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figure, the point B or C is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arc length 28 and below the arc length also extends an area with a radius of curvature indicated by dashed lines. Although it was mentioned earlier that the point with the maximum curvature is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along the arc length (measured through the arc length 28), the point B or C is between 40 and 40 of the arc length 28. Similarly, when placed in the area D of 60%, a similarly desirable effect is reached. The area is congruent with the angular range of 30 to 60 ° of the tangent to the lower support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in which case the angle of 30 to 60 ° is measured between the tangent 29 and the chain travel direction 30. If the point with the maximum curvature of the individual support surfaces is within 40 to 60% of the total length of the arc length 28 or within 30 to 60 ° of the tangent 29 with respect to the chain travel direction 3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ssure member that is less likely to cause warpage, which in turn increases the tensile force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plate link chain or the tooth chain.

도 7은 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압력 부재(5)와 링크 플레이트(6) 사이에 있는, 도면에서 선택된 하부 지지면에서 나타나는 또 하나의 접촉 압착력 파형을 보여준다(이 경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라는 용어는 톱니 체인도 포괄한다). 도 1에 따른 한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접촉 압착력 파형과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도 7에 따른 접촉 압착력 파형을 상호 비교해보면, 도 1에 두드러지게 도시된 접촉 압착력 최대값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금방 알 수 있다. 지지면에서의 접촉 압착력 파형을 도시하기 위하여, 상기 두 개의 도면에서는 상호 정규화된 하나의 도면이 선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별 화살표의 길이는 또한 개별적으로 관찰된 지지면 지점에서 측정된 접촉 압착력의 레벨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럼으로써, 시각적인 확인을 통해 확연하게 알 수 있는 사실은, 도 1에 두드러지게 도시된 접촉 압착력 최대값이 사라졌다는 것이다.FIG. 7 shows another contact compressive force waveform appearing at the lower support surface selected in the figure between the pressure member 5 and the link plate 6 of one plate link chain (in this case the term plate link chain is a tooth chain). Also encompasses). Comparing the contact compressive force waveforms of a known plate link chain according to FIG. 1 with the contact compressive force waveforms according to FIG. 7 of the plate link chain, it can be readily seen that the maximum contact compressive force values shown in FIG. 1 have disappeared. Can be. In order to show the contact compressive force waveform at the support surface, in the two figures, one mutually normalized drawing is selected, so that the length of the individual arrows also determines the level of the contact compressive force measured at the individually observed support surface points. It may also be indicated. In this way, it is clear from the visual confirmation that the contact squeezing force maximum shown in FIG. 1 has disappeared.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4) 그리고 롤러 또는 한 쌍의 압력 부재의 압력 부재(2)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사용된 명칭들은 이미 앞에서 언급된 측정 비율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아래에 기재된 의미를 갖는다:8 shows a link plate 4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a pressure member 2 of a roller or a pair of pressure members. The names used in the figures are already used to describe the aforementioned measurement ratios and have the meanings described below:

d: 플레이트 두께 d: plate thickness

s: 웹의 폭s: width of web

l: 피치l: pitch

h: 롤러 높이(롤링 압력 부재의 높이 또는 압력 부재의 높이)h: roller height (height of the rolling pressure member or height of the pressure member)

w: 롤러 폭w: roller width

b: 웹의 내부 폭b: inner width of web

그에 따라, 앞에서 이미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비율들은 아래와 같다:Accordingly, the measurement ratio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ready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l/d = 3.7 내지 5.5 및/또는l / d = 3.7 to 5.5 and / or

h/d = 1.3 내지 1.9 및/또는h / d = 1.3 to 1.9 and / or

w/d = 0.8 내지 1.2 및/또는w / d = 0.8 to 1.2 and / or

s/d = 0.8 내지 1.2.s / d = 0.8 to 1.2.

상기 측정 비율들로부터 나타나는 장점들은 이미 앞에서 기술하였다.The advantages resulting from these measurement ratios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Claims (11)

롤러, 압력 부재 또는 롤링 압력 부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부재와의 기능적 결합을 위해 제공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용의, 특히 차량 구동 장치용의 링크 플레이트로서,As a link plate for a plate link chain, in particular for a vehicle drive, provided for functional engagement with one or more joint members such as rollers, pressure members or rolling pressure members, 롤러 폭 대 플레이트 두께의 숫자로 나타낸 비율은 0.8 내지 1.2인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 wherein the numerical ratio of roller width to plate thickness is 0.8 to 1.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롤러 높이 대 플레이트 두께의 숫자로 나타낸 비율은 1.3 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플레이트.A link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erical ratio of roller height to plate thickness is between 1.3 and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피치 대 플레이트 두께의 숫자로 나타낸 비율은 3.7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플레이트.And a numerical ratio of pitch to plate thickness of said plate link chain is between 3.7 and 5.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웹 폭 대 플레이트 두께의 숫자로 나타낸 비율은 0.8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플레이트.A link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erical ratio of web width to plate thickness is between 0.8 and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천공부, 특히 정밀한 천공부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as a perforation, in particular a perfora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매끈한 단면부가 상기 플레이트 두께의 적어도 거의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ooth cross section is at least almost 70% of the plate thickness.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Plate lin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plate according to claim 1 is use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VT-체인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Plate lin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CVT-chai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톱니 체인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A plate link chain, formed as a tooth chain.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구동 장치.Chain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e link chain is used. 제 10 항에 따른 체인 구동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n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is used.
KR1020087001897A 2005-10-06 2006-09-21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KR2008005056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7877 2005-10-06
DE102005047877.8 2005-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562A true KR20080050562A (en) 2008-06-09

Family

ID=3762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897A KR20080050562A (en) 2005-10-06 2006-09-21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34500A1 (en)
JP (1) JP2009510367A (en)
KR (1) KR20080050562A (en)
CN (1) CN101283196B (en)
DE (1) DE112006002562A5 (en)
WO (1) WO200703890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7711D0 (en) 2005-04-15 2005-05-25 Vectura Group Plc Improved blister piercing
JP5252183B2 (en) * 2008-02-28 2013-07-3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DE102012024395A1 (en) * 2012-12-13 2014-06-18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Low-friction sleeve joint chain
GB201301192D0 (en) 2013-01-23 2013-03-06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A blister piercing element for a dry powder inhaler
DE112015002138A5 (en) * 2014-05-07 2017-02-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radle joint for a link chain
CN105598354B (en) * 2015-12-29 2018-05-18 杭州东华链条集团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continuous punch forming process of CVT chain and chain-plates
DE102019110493A1 (en) * 2019-04-23 2020-10-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ressure piece with optimized thickness ratio as well as link chain with pressure pie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224A (en) 1982-09-30 1990-03-13 Lois Yoder Process for debittering soybean grit
JPH0484851U (en) 1990-11-30 1992-07-23
HUP0204184A2 (en) * 1998-07-04 2003-03-28 Renold Plc A chain
JP3076023B1 (en) 1999-03-03 2000-08-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Low wear elongation silent chain
US7048665B2 (en) * 1999-04-28 2006-05-23 Borgwarner Inc. Power transmission chain having links with lateral spacing elements
JP3905322B2 (en) * 2001-03-05 2007-04-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Silent chain
NL1023120C2 (en) * 2002-04-10 2006-04-25 Luk Lamellen & Kupplungsbau Method for optimizing links of a link chain as well as links for a link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10367A (en) 2009-03-12
WO2007038909A1 (en) 2007-04-12
CN101283196B (en) 2011-09-21
EP1934500A1 (en) 2008-06-25
DE112006002562A5 (en) 2008-07-03
CN101283196A (en)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562A (en)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JP5160444B2 (en) Silent chain with high strength and rigidity with improved noise
KR20070085627A (en) Flat link articulated chain particularly for a vehicle drive
US8192313B2 (en) Plate for a rocker joint chain
JP4923799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090186731A1 (en) Silent chain
US8057342B2 (en) Plate-link chain for a motor vehicle drive system
KR20080015396A (en) Chain
US7967710B2 (en) Link-plate chain for a v-pulley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494800B1 (en) Wear-resistant silent chain
JP4997537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396049B1 (en)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the thus obtained chain drive and a motor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20080050597A (en)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WO2008069319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080077349A (en) Flat link chain
US20070087882A1 (en) Link plate for a plate-link chain
US20070142151A1 (en) Link plate for a plate-link chain
US20070026987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00120568A1 (en) Silent chain with bushings
JP4899074B2 (en) Link plate chain especially used in vehicle drive systems
KR20080050598A (en) Link plate, chain comprising said link plate, chain drive formed therewith and vehicle fitted therewith
EP1801454B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2008144825A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JP4893561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211609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