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631A - 고팽창포 소화 설비 - Google Patents

고팽창포 소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631A
KR20080049631A KR1020070120937A KR20070120937A KR20080049631A KR 20080049631 A KR20080049631 A KR 20080049631A KR 1020070120937 A KR1020070120937 A KR 1020070120937A KR 20070120937 A KR20070120937 A KR 20070120937A KR 20080049631 A KR20080049631 A KR 2008004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foam
fire extinguishing
spinning nozzl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487B1 (ko
Inventor
신지 무라타
아키히코 요코오
타카시 아사미
Original Assignee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32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86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12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39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04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9740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소망의 발포 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물(W)에 계면활성제(18)를 포함하는 포 소화 약제(16)가 혼합되어 있는 포 수용액(Wg)이 압송되는 방사 노즐(9)과, 당해 방사 노즐(9)이 내장되고, 상기 방사 노즐(9)로부터 상기 포 수용액(Wg)을 방출함으로써 방출 구획(1) 내의 공기(K)가 흡인되는 유로통(2)과, 상기 유로통(2)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 노즐(9)로부터 방출된 상기 포 수용액(Wg)이 충돌하는 발포용 망(7)을 구비한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포 수용액(Wg)에 대한 상기 포 소화 약제(16)의 혼합 비율을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조정 혼합 비율로 하거나, 혹은 상기 포 소화 약제(16)에 대한 계면활성제(18)의 함유율이 표준 함유율보다 큰 설계 함유율로 한 포 소화 약제(16)를 이용하여, 상기 포 수용액 중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설계 발포 배율 농도로 한다.
Figure P1020070120937
발포 배율, 포 소화, 고팽창, 방사 노즐, 유로통, 발포용 망

Description

고팽창포 소화 설비{HIGH EXPANSION FOAM FIREFIGHTING EQUIPMENT}
이 발명은 각종 창고, 격납고, 위험물을 취급하는 공장, 혹은 선실, 선창(船倉) 등에 이용되는 고팽창포(high expansion foam) 소화 설비에 관한 것이고, 더 말하자면, 발포 배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포(foam) 소화 설비에서는 방사 노즐로부터 포 수용액(이하 간단히 「수용액」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을 방출하고, 그것을 발포용 망에 충돌시켜 공기를 흡입하게 함으로써 발포시키고, 이 포로 화원(火源)을 다 덮어 질식 소화를 하고 있다. 이 포 소화 설비에는 저발포 소화 설비와 고발포(고팽창포) 소화 설비가 있다.
상기 양 소화 설비에서는 발포 배율이 다르고, 예를 들면 저발포 소화 설비의 발포 배율(배)은 20 이하로 포 헤드(foam head) 등으로부터 마루면 등을 덮도록 방출되고, 포 소화 약제로서 수성막포(水成膜泡) 소화 약제 등이 사용된다. 또, 고팽창포 소화 설비의 발포 배율은 80 이상 1000 미만으로 발포기 등으로부터 공간을 다 채우도록 방출되고, 포 소화 약제로서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발포 배율이라는 것은 포 생성에 사용된 포 수용액과 생성된 포의 체적비를 말한다.
고팽창포, 예를 들면 발포 배율 500 이상으로 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발포기(방사 노즐(nozzle))의 상류측으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취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대량의 공기를 취할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를 흡인하는 방식(「아웃사이드 에어(outside air)」라고 한다)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아웃사이드 에어(outside air)에서는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에 덕트(duct)를 뚫어 설치하거나 격벽에 구멍을 뚫어 포 발생기를 배치하거나 하므로, 비용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를 방출하는 구획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방식(「인사이드 에어(inside air)」라고 한다)의 고팽창포 소화 설비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1994-165837호 공보
인사이드 에어(inside air)의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서는, 화재시에 발생하는 연기의 양, 질에 따라서는 발포 배율이 설계대로 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설계된 발포 배율이 500인 경우에는, 실제의 발포 배율이 100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발포 배율이 저하하면, 포로 화원을 완전히 다 덮을 수가 없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질식 소화를 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 발포 배율의 저하는 후술하듯이 흡인 공기 중의 연기가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인사이드 에어(inside air)의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 있어서, 확실히 소망의 발포 배율을 얻을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물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포 소화 약제가 혼합되어 있는 포 수용액이 압송되는 방사 노즐(nozzle)과, 당해 방사 노즐이 내장되고, 상기 방사 노즐로부터 상기 포 수용액을 방출함으로써 방출 구획 내의 공기가 흡인되는 유로통과, 상기 유로통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상기 포 수용액이 충돌하는 포 발생용 망을 구비한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포 수용액에 대한 상기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조정 혼합 비율로 하거나, 혹은 상기 포 소화 약제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함유율이 표준 함유율보다 큰 설계 함유율로 한 포 소화 약제를 이용하여, 상기 포 수용액 중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설계 발포 배율 농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포 소화 약제가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막포(水成膜泡) 소화 약제이고, 상기 수성막포 소화 약제의 조정 혼합 비율이 4% 이상, 혹은 상기 설계 발포 배율 농도가 0.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포 소화 약제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이고, 상기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의 조정 혼합 비율이 4% 이상, 혹은 상기 설계 발포 배율 농도가 0.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방사 노즐이 내장되어 있는 유로통에 방출 구획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수용액을 발포용 망에 충돌시켜 발포시키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상기 방사 노즐과 상기 발포용 망의 사이에 유로를 차단하는 방향을 향하여 유체를 분무하는 분무 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분무 노즐의 축심이 상기 유로통의 축심에 대해서 직교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분무 노즐의 축심이 상기 방사 노즐측 또는 그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분무 노즐은 상기 방사 노즐의 수용액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발포부에 방출 구획의 공기를 흡인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수용액을 발포용 망에 충돌시켜 발포시키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상기 발포용 망의 상류측에 유속 규제망을 인접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유속 규제망의 망목(網目)은 상기 발포용 망의 망목보다 크 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발포부에 방출 구획의 공기를 흡인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수용액을 발포용 판에 충돌시켜 발포시키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상기 발포용 판은 발포공과 유속 규제 수단을 구비한 감속 발포용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상기 유속 규제 수단은 통 형상 돌기, 삼각뿔 형상의 돌기, 또는 개구 규제 경사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상기 포 수용액에 대한 상기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조정 혼합 비율로 하거나, 혹은 상기 포 소화 약제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함유율이 표준 함유율보다 큰 설계 함유율로 한 포 소화 약제를 이용하여, 상기 포 수용액 중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설계 발포 배율 농도로 하였으므로, 유로통 내로 흡인된 방출 구획 내의 공기에 연기(연기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 포 수용액은 소망의 발포 배율로 발포한다. 그 때문에 설계대로의 고팽창포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확실히 소화를 할 수가 있다.
또,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막포 소화 약제는 통상 표준 혼합 비율로 혼합되어 저발포 배율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수성막포 소화 약제의 기포성(起泡性)이 낮기 때문에, 표준 혼합 비율에서의 발포 배율이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의 발포 배율에 훨씬 미치지 않는 것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이 수성막포 소화 약제에서도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조정 혼합 비율로 함으로써 고발포 배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물성으로서 친수기 이외의 친유성 이 낮고 연기의 영향이 적다. 따라서, 상기 수성막포 소화 약제는 저발포 배율용 및 고발포 배율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은 분무 노즐로부터 분사된 유체는 물방울 형상으로 되면서 유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비산하여 유속 규제 커튼(curtain)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수용액은 상기 커튼에 충돌하여 속도를 줄일 수 있은 후 발포용 망에 충돌하므로, 발포하기 쉬워진다.
또, 분무 노즐로부터 수용액을 분무하면, 발포용 망(7)에 충돌하여 발포하는 수용액의 양은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되는 수용액의 양에,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수용액의 양을 가산한 값으로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방사 노즐만으로부터 수용액을 방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발포량을 많게 할 수가 있으므로, 조기에 또한 효율적으로 소화를 할 수가 있다. 즉, 분무 노즐에 수용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안개 형상의 유속 규제 커튼이 형성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되는 수용액의 유속이 감속됨과 아울러, 종래예에 비하여 다량의 수용액을 발포시킬 수가 있다.
또, 이 발명은, 방사 노즐로부터 분사된 포 수용액은 감속된 후에 발포용 망의 망목 또는 발포용 판의 발포공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포막이 형성되기 쉬운 상태로 되므로, 발포 배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건 발명자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의 발포 배율의 저하 원인에 대해서 연구, 실험한 바, 「연기」에 주된 원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기는 화재의 발생에 의해 실(室)(포의 방출 구획) 내에 발생하지만, 연 기의 미립자, 예를 들면 입경 1μm 이하의 미립자로 되어 실내에 부유한다. 이 미립자가 방출 구획의 공기에 섞여 공기 흡인부에 흡인되었을 때에, 공기와 하나로 되어 기포부에 공급되고 발포 배율을 저하시키고 있다.
본건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기 입자를 제거하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그것을 제거하지 않고도 발포 배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하였다.
우선 제1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서는 포 소화 약제의 성능, 포 소화 약제비, 설비비 등의 관계상, 물과 포 소화 약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포 수용액을 생성하고 있지만, 이 소정의 비율은 소방법의 검정 규정이나 포 소화 약제의 사용 설명서의 지정에 따르고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소정의 혼합 비율을 「표준 혼합 비율」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표준 혼합 비율에서는 구획 내의 공기를 이용할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연기의 영향으로 소망의 발포 배율을 얻을 수가 없다.
본건 발명자는 연기가 존재하는 방에 배치되어 있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 포 수용액을 공급할 때에, 상기 포 수용액의 물과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상기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크게 하면, 발포 배율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상기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혼합 비율로 하면 발포 배율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게 됨과 아울러, 연기가 존재해도 소망의 발포 배율을 얻기 위해서는 그 혼합 비율을 소정의 비율로 조정하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조정된 소정 의 비율을 「조정 혼합 비율」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조정 혼합 비율로 하면 발포 배율이 향상되는 것은, 발포 배율의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는 포 수용액 중의 계면활성제 농도가 진해짐으로써, 연기 입자의 작용(발포 배율을 저하시킨다)을 없애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기에 의해 발포할 수 없었던 계면활성제의 부분을 표준 혼합 비율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의 계면활성제가 보완하여 발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은 포 수용액 중의 계면활성제 혼합 비율(농도)을 제어함으로써, 발포 배율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후술의 실험예로부터 분명하듯이, 종래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는 부적합으로 되어 있던 수성막포 소화 약제에서도 조정 혼합 비율로 하면 연기를 흡인해도 발포 배율이 높아지는 것도 알아내었다. 제1발명은 상기 지식과 견문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또, 포 수용액 중의 계면활성제 농도는, 포 소화 약제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율을 제어해도 발포 배율을 조정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고팽창포 등의 포(foam)는 포 원액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의 2층막이고, 친수 영역을 사이에 두는 내측 박막과 외측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양 박막은 나란히 동시에 형성되면서, 공기를 안아 들여 포 형상체로 된다고 말해지고 있다. 그리고, 본건 발명자는 연기 입자 등의 이물이 존재하면 발포율이 좋지 않은 것은, 상기 양 박막의 형성 속도가 늦어지고, 표준 설정으로 방사 노즐을 운전한 경우에는, 상기 방사된 포 수용액의 액체 방울의 속도가 너무 빨라, 상기 양 박막을 나란히 동시에 형성할 수가 없게 되고, 망목을 빠져 나가 버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상기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방사 압력을 표준 설정보다 작게 하여 방사 노즐의 분사 속도를 떨어뜨리고, 포 수용액의 액체 방울이 망목을 통과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래서, 방사 노즐의 분사 압력을 변화시켜 소정 농도의 포 수용액의 발포 상태를 실험해 본 바, 분사 압력 0.5MPa에서는 발포 배율이 정상시에 비하여 1/5 이하까지 저하하는 연기 조건 하에서, 0.2MPa에서는 4/5 정도까지 밖에 저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포 수용액의 방사 압력을 떨어뜨리면 발포하기 쉬워지지만, 공기 흡인량 및 방사포 수용액의 양이 표준 설정보다 적게 된다. 그 때문에 발포량이 적게 되어 소정 시간 내에 소망의 발포량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실험을 한 결과, 방사 노즐과 발포용 망의 사이에 분무 노즐을 설치하면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당해 분무 노즐로부터 유체를 분무함으로써 유속 규제 커튼(curtain)을 형성하고, 당해 커튼에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포 수용액의 액체 방울을 충돌시켜 유속을 줄임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2발명은 상기 지식과 견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제3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유속 규제망, 또는 발포용 판의 유속 규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포 수용액의 액체 방울의 속도를 늦춤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였 다. 제3발명은 이상의 지식과 견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실시예> 
우선 시작으로, 제1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포의 방출 구획인 방(실(室))(1)에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소화 설비는 유로통(2)을 구비한 포 발포기이고, 그 발포 배율은 예를 들면 500배로 설정되어 있다. 당해 유로통(2)에는 방사 노즐(9)의 구동에 의해 방출 구획(1)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포 수용액을 발포시키는 기포부(起泡部)(3)(발포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로통(2)의 선단의 기포부(3)에는 발포용 망(net)(7)(포 발생용 망(7))이 팽팽하게 설치되고, 또 그 내부에는 상기 발포용 망(7)과 간격을 두어 대향하는 복수의 방사 노즐(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 발포기는 발포 배율에 맞추어 포 수용액 및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방사 노즐(9)은 물공급관(8)을 통하여 물공급원(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관(8)에는 혼합기(프로포셔너(proportioner))(10)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혼합기(10)의 부압 발생부(도시 생략)는 포 원액 탱크(tank)(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탱크(11)에는 포 소화 약제(포 원액)(16)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포 소화 약제(16)는 불소계 계면활성제(18)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막포 소화 약제, 예를 들면 메가폼 F623T(등록상표)이다. 이와 같은 포 소화 약제(16)에는 동결 방지제나 안정화제 등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이 포 소화 약제(16)의 표준 혼합 비율은 예를 들면 3%(표준 함유율)이지만, 여기에서는 상기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조정 혼합 비율(설계 함유율)로 사용된다. 이 조정 혼합 비율로서 예를 들면 10%가 선택된다. 
상기 불소계 계면활성제(18)의 수성막포 소화 약제(16)에 대한 함유율은 예를 들면 10%이다. 따라서, 상기 표준 혼합 비율(3%)에 있어서의 상기 계면활성제(18)의 포 수용액(Wg)에 대한 혼합 비율은 0.03×0.1=0.003, 즉 0.3%의 농도이고, 또 상기 조정 혼합 비율(10%)에 있어서의 상기 계면활성제(18)의 포 수용액(Wg)에 대한 혼합 비율은 0.1×0.1=0.01, 즉 1%의 농도로 된다. 여기서, 수성막포 소화 약제(16)에 대한 불소계 계면활성제(18)의 표준 함유율은 10%로 하고 있지만, 이 함유율을 크게 하여, 예를 들면 3.3배의 설계 함유율의 약제를 이용하면, 혼합 비율이 3%일 때에, 계면활성제(18)의 혼합 비율을 거의 1%로 할 수도 있다.
도 2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P는 가압 장치, P1은 가압 장치(P)로부터 압송된 물(W)(소화수(W))을 송수하는 주관, P2는 1차측 배관, V2는 예를 들면 조압 기능부(調壓 機能附) 일제 개방 밸브(valve)를 포함하는 조압 밸브, 8은 2차측 배관으로서의 물공급관(8), V3은 조압 파일럿 밸브(pilot valve), V4는 기동 밸브, V4m은 기동 밸브(V4)에 병렬로 접속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으로부터의 신호로 개폐하는 원격 기동 밸브, 10은 물공급관(8)에 입구부(10a)가 접속되고, 즉 조압 밸브(V2)의 2차측에 접속되고 포 원액 주입구(31)를 가지는 혼합기, 11은 혼합기(10)의 포 원액 주입구(31)에 포 원액 배관(P32)을 통하여 접속되고 포 소화 약제(16)(포 원액(16))가 저장되는 원액실(42)과, 포 혼합기(10)의 1차측에 급수 배관(P31)을 통하여 접속되는 수실(43)을 격막(41)으로 이격시킨 포 원액 탱크이다.
P4는 포 혼합기(10)의 2차측에 접속되고 포 수용액(Wg)을 송수하는 수용액 배관, P5는 배관(P4)으로부터 분기한 분기관, 45는 배관(P4), 분기관(P5)을 통하여 포 혼합기(10)로부터 포 수용액(Wg)이 급수되고, 방사 노즐(9)로부터 분사하고 발포시키는 유로통(2)을 구비한 포 발포기, 13은 분기관(P5)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으로부터 원격 조작으로 개폐 제어되는 개폐 기구인 선택 밸브, 1은 포 발포기(45)를 장착한 방출 구획인 방(1)이다.
다음에 제1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방(1)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도시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검지하고 제어반에 화재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하면, 당해 제어반은 고팽창포 소화 설비를 기동시키므로, 유로통(2)의 기포부(3)에 실내 공기, 즉 상기 유로통(2)이 배치되어 있는 방(방출 구획)(1)의 연기(H)를 포함하는 공기(K)가 흡인된다.
또, 물공급관(8) 내를 흐르는 물(W)은 혼합기(10)의 입구부(10a), 상기 부압 발생부, 출구부(10b)를 통과하여 하류측의 물공급관(8)으로 흘러들지만, 상기 부압 발생부에서 부압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기 부압 발생부의 부압에 의해 포 원액 탱크(11) 내의 포 소화 약제(16)가 혼합기(10) 내로 흡인되고, 상기 물(W)에 혼합되므로, 포 수용액(Wg)이 생성된다. 이때, 포 수용액(Wg)에 대한 상기 포 소화 약제(16)의 혼합 비율은 상기 조정 혼합 비율, 예를 들면 10%로 되어 있고, 그 포 수용액(Wg)에 대한 불소계 계면활성제(18)의 혼합 비율은 예를 들면 1%의 농도로 되어 있다. 이 혼합 비율은 소망의 발포 배율, 예를 들면 500배를 얻기 위한 농도이 고, 여기에서는 이 농도를 「설계 발포 배율 농도」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포 수용액(Wg)은 상기 물공급관(8)을 통과하여 방사 노즐(9)로 압송되고, 당해 방사 노즐(9)로부터 방사된다. 상기 방사된 포 수용액(Wg)은 액체 방울(Wd)으로 되어 발포용 망(7)에 충돌하고, 공기(K)를 말려들게 하여 발포하고, 고팽창포(12)를 형성한다. 이때의 발포 배율은 소망의 설계 발포 배율, 예를 들면 500배로 된다. 이와 같이 발포하여 방출된 고팽창포(12)는 방(1) 내를 쌓아 채워서 다 채운다.
상기 수성막포 소화 약제는 저발포 배율용이고, 통상 저발포 배율로 마루면 등을 덮도록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면, 상기 수성막포 소화 약제도 고발포 배율용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팽창포(12)에 의해 방(1)을 다 채우는, 소위 전역(全域) 방사 방식의 소화 설비로서 사용하기에는 발포 배율 500배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그것보다 낮은, 예를 들면 300배 이상이라도 사용 가능하고, 포 수용액(Wg)에 대한 포 소화 약제(16)의 혼합 비율은 7% 이상, 불소계 계면활성제(18)의 혼합 비율은 0.7% 이상이면 좋다.
또한, 상기 작동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방(1)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도시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검지하고 제어반에 화재 신호를 송출한다. 방재 요원의 판단 또는 자동으로 제어반으로부터 포 소화 설비의 기동 신호를 출력하면, 원격 기동 밸브(V4m), 가압 장치(P), 및 선택 밸브(13)에 각각 도달하고 기동한다.
원격 기동 밸브(V4m)가 열리면 가압 장치(P)에 의해 승압한 1차압이 1차측 배관(P2)으로부터 배관(P21), 원격 기동 밸브(V4m), 조압 파일럿 밸브(V3), 배관(P11)을 통하여 조압 밸브(V2)의 축압실(도시하지 않음)에 이르고 경계시 닫힌 상태인 조압 밸브를 개방시킨다(일제 개방 밸브의 기능). 물공급관(8)이 충수되면 압력 추출 배관(P12)에 의한 압력의 압력 추출처인 물공급관(8)의 압력의 상하 변동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설명하지 않지만, 조압 파일럿 밸브(V3)가 설정한 설정 압력에 가까워지도록 조정된다.
그런데, 조압 밸브(V2)를 통과한 소화수(W)가 혼합기(10)를 통과할 때, 급수 배관(P31)에도 소화수(W)는 유입하고 수실(43)로 급수된다. 이 급수된 소화수량은 그대로 밀어내는 형태로 격막(41)을 통하여 원액실(42)의 포 원액(16)이 배출되고, 포 원액 배관(P32)을 통하여 포 원액 주입구(31)로 주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포 혼합기(10)는 포 원액(16)과 소화수(W)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포 원액(16)의 혼합기(10)에의 주입을, 혼합기(10)에의 급수 압력과 동일한 1차측의 소화수(W)를 이용하여 격막식으로 섞이지 않게 하여 밀어냈으므로, 포 원액(16)의 흡인에 관해서 에너지 로스(energy loss)가 적게, 또 압력 손실이 적게 완료된다. 또, 도 2와 같은 격막(41)부(附) 포 원액 탱크(11)를 부속한 포 혼합기(10)를 구비하면, 압력 손실이 비교적 작은 포 혼합기(10)를 통과하므로, 설계치에 대해서 오차가 비교적 작은 노즐압이 얻어지고, 안정된 발포 성능 및 소화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포 혼합기(10)의 뒤는 발포가 필요한 포 발포기(45)에 대응하는 선택 밸브(13)가 열리고, 포 발포기(45) 내의 방사 노즐(9)로부터 포 수용액(Wg)이 발포용 망(7)을 향하여 분사된다.
다음에, 이 제1발명에 있어서의 제1및 제2의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험예
상기 실시예의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서, 상기 메가폼 F623T(등록상표)의 혼합 비율을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크게 하고(조정 혼합 비율), 포 수용액에 대한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설계 발포 배율 농도로 하여 발포시키는 실험을 하기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1과 같은데, 당해 표 1에 있어서 포 소화 약제(%)의 난은 조정 혼합 비율, 불소계 계면활성제 농도(%)의 난은 설계 발포 배율 농도, 발포 배율의 난은 실제의 발포 배율을 각각 나타낸다.
이 표 1로부터 분명하듯이, 예를 들면 조정 혼합 비율 4.0%에서는 설계 발포 배율 농도 0.4%, 발포 배율 240배로, 소망의 고팽창포의 발포 배율을 얻을 수가 있었다.
모기향 연기 내에서의 발포 배율
실험 조건: 연기 농도(광 감소율) 15∼20%/m
      실온       10∼20℃
      포 발생기     0.5MPa, 40L/분
      포 방출 구획    4m×4m×2m
Figure 112007084854370-PAT00001
제2실험예
제2실험예에서는 포 소화 약제를 수성막포 소화 약제 대신에,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를 이용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발포 실험을 한 것인데, 이 실험 조건은 상기 제1실험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 소화 약제로서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스노우랩 H(등록상표)를 사용하였는데, 이 소화 약제의 표준 혼합 비율은 3%로 되어 있다. 실험 결과는 표 2와 같은데, 당해 표 2에 있어서 포 소화 약제(%)의 난은 조정 혼합 비율,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 농도(%)의 난은 설계 발포 배율 농도, 발포 배율의 난은 실제의 발포 배율을 각각 나타낸다.
이 표 2로부터 분명하듯이, 예를 들면 조정 혼합 비율 4.0%에서는 설계 발포 배율 농도 0.8%, 발포 배율 110배로, 소망의 고팽창포의 발포 배율을 얻을 수가 있었다.
Figure 112007084854370-PAT00002
이상과 같이, 방출 구획 중에 연기가 존재하고 있어도, 포 수용액에 대해서 수성막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4% 이상, 혹은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0.4%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240배 이상으로 되어 고팽창포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수성막포 소화제의 혼합 비율을 7% 이상, 혹은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0.7%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300배 이상으로 되어, 전역(全域) 방사 방식의 소화 설비로서 이용할 수 있는 고팽창포로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수성막포 발포 약제의 혼합 비율을 10% 이상, 혹은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1% 이상으로 하면, 발포 배율이 500배 이상으로 되어, 전역 방사 방식으로서 최적인 발포 배율로 된다.
또, 방사 구획 중에 연기가 존재하고 있어도, 포 수용액에 대해서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4% 이상, 혹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0.8%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110배 이상으로 되어 고팽창포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14% 이상, 혹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2.8%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300배 이상으로 되어, 전역 방사 방식의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이용할 수 있는 고팽창포로 할 수가 있다.
여기서,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21% 이상, 혹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4.2% 이상으로 하면, 발포 배율이 500배 이상으로 되어, 전역 방사 방식으로서 최적인 발포 배율로 된다.
이 제1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포 소화 약제로서 상기 수성막포 소화 약제,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 이외의 포 소화 약제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2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3,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2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포 발포기(본 실시예의 포 발생기)의 구성이 다르고, 그 이외의 시스템 구성은 거의 마찬가지이다.
포의 방출 구획인 방(실(室))(1)에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소화 설비는 유로통(2)을 구비한 포 발생기이고, 발포 배율은 500으로 설정되어 있다. 당해 유로통(2)에는 방출 구획(1)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기포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로통(2)의 선단의 기포부(3)에는 발포용 망(net)(7)이 팽팽하게 설치 되고, 또 그 내부에는 상기 발포용 망(7)과 간격을 두어 대향하는 복수의 방사 노즐(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 노즐(9)은 포 원액과 물의 혼합액인 포 수용액(수용액)을 생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수용액 공급원(혼합기)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포용 망(7)과 상기 방사 노즐(9)의 사이에는 분무 노즐(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무 노즐(50)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어 복수 라인 설치되고, 그 축심(50c)은 유로통(2)의 축심(2c)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분무 노즐(50)로서 예를 들면, 이른바 부채형 노즐 4개가 이용되지만, 안개 형상의 유속 규제 커튼(F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나 개수 등은 자유로이 선택할 수가 있다. 이 분무 노즐(50)은 상기 방사 노즐(9)의 수용액 공급원에 연통하고 있다.
다음에, 제2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방(1)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도시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검지하고 제어반에 화재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하면, 당해 제어반은 고팽창포 소화 설비를 기동시키므로, 유로통의 기포부(3)에 실내 공기, 즉 상기 유로통(2)이 배치되어 있는 방(방출 구획)(1)의 연기(H)를 포함하는 공기(K)가 흡인됨과 아울러, 방사 노즐(9)로부터 수용액(Wg)이 액체 방울로 되어 방출된다. 
이때, 분무 노즐(50)로부터 포 수용액(Wg)이 분무되므로, 유로통(2) 내에는 안개 형상의 유속 규제 커튼(FC)이 형성된다. 이 커튼(FC)은 유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거의 균등하게 액체 방울이 분포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커튼과 같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방사 노즐(9)로부터 방사된 수용액의 액체 방울은 당해 커튼(FC)에 충돌하여 감속된 후, 발포용 망(7)에 충돌하고 망목에 들어가지만, 그 삽입 속도는 종래예(상기 분무 노즐(50)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늦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발포하기 쉬운 상태로 되므로, 수용액의 액체 방울은 효율적으로 고팽창포(1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분무 노즐(50)로부터 분무된 포 수용액(Wg)은 안개 형상의 유속 규제 커튼(FC)을 형성하지만, 이 포 수용액(Wg)의 액체 방울은 상기 방사 노즐(9)로부터 방사된 수용액(Wg)의 액체 방울에 이끌려 기포부(3)의 발포용 망(7)에 충돌하고 발포한다. 그 때문에 본 소화 설비에 있어서의 수용액의 공급 총량은 방사 노즐(9)로부터의 부분, 예를 들면 40L와 분무 노즐(50)로부터의 부분, 예를 들면 20L의 합의 값, 즉 60L로 된다. 따라서, 종래예에 비하여 수용액의 공급량이 많아지므로, 발포량이 많아지고 조기에 소화 효과를 올릴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통상의 40L형 포 소화 설비(포 발생기)에서도 분무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60L형 포 발생기의 성능을 구비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예에 비하여 포 발생기의 배치 개수를 줄일 수가 있다.
이 제2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5에 의해 설명하지만, 도 3, 도 4와 동일 도면 부호는 그 명칭도 기능도 동일하다.
이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분무 노즐의 축심 방향과 분무 노즐에 공급되는 유체이다.
이 분무 노즐(50)의 축심(50c)은 방사 노즐(9)측으로 경사지고, 유로통(2)의 축심(2c)에 대해서 경사 각도 θ로 교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사시키면, 분무 노즐(50)로부터의 유체는 방사 노즐(9)로부터 방사된 수용액(Wg)의 액체 방울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하여, 유속 규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경사 각도 θ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감속시킬 수가 있으면, 상기 분무 노즐(50)의 축심(50c)을 상기와 역방향, 즉 방사 노즐(9)과 반대측으로 경사시킬 수도 있다.
이 분무 노즐(50)에 공급되는 유체로서 수용액(포 수용액) 대신에 물, 또는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되는 포 수용액이 묽어지므로, 상기 포 수용액으로서 조금 진한 듯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또, 방사 노즐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분무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보다 높게 하고, 예를 들면 전자가 0.5MPa/cm2, 후자가 0.20MPa/cm2로 설정되지만, 이들 압력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다음에, 제3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6,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3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포 발포기의 구성이 다르고, 그 이외의 시스템 구성은 거의 마찬가지이다.
포의 방출 구획인 방(실(室))(1)에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소화 설비는 예를 들면 발포 배율 500이고, 방출 구획(1)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기포부(3)가 설치되어 있다.
기포부(3)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발포용 망(net)(7)이 팽팽하게 설치되고, 또 그 내부에는 상기 발포용 망(7)과 간격을 두어 대향하는 복수의 방사 노즐(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 노즐(9)은 포 수용액을 생성하는 혼합기(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포용 망(7)의 상류측에는 유속 규제망(60)이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유속 규제망(60)의 망목의 사이즈(size)는 발포용 망(7)의 그것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그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이 유속 규제망(60)은 도 7에 나타내듯이, 1매의 철망을 파(wave) 형상으로 절곡하고, 상기 발포용 망(7)과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유속 규제망(6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 유속 규제망(60)은 상기 발포용 망(7)으로부터 간극 t만큼 이간하고 있지만, 이 간극 t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다음에 제3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방(1)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도시하지 않은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검지하고 제어반에 화재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하면, 당해 제어반은 고팽창포 소화 설비를 기동시키므로, 기포부(3)에 실내 공기, 즉 상기 기포부(3)가 배치되어 있는 근방의 방(방출 구획)(1)의 공기(K)가 흡인됨과 아울러, 방사 노즐(9)로부터 포 수용액(간단히 「수용액」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Wg)이 액체 방울로 되어 방출된다.
상기 액체 방울은 유속 규제망(60)에 충돌하여 감속된 후 망목(60a)을 통과하여 발포용 망(7)에 충돌하고 망목으로 들어가지만, 그 삽입 속도는 종래예에 비하여 늦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발포하기 쉬운 상태로 되므로, 포 수용액의 물방울은 효율적으로 고팽창포(1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이 유속 규제망(60)의 설치에 의한 또 하나의 작용은 상기의 액체 방울을 2회 충돌시키고 발포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방울의 일부가 상기 유속 규제망(60)과의 충돌로 발포하고, 발포하고 있지 않은 일부의 액체 방울은 망목(60a)을 통과하여 발포용 망(7)에 충돌하여 발포한다. 그리하면, 액체 방울의 발포 기회가 증가하고, 효율적으로 고팽창포(1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3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8∼도 10에 의해 설명하지만, 도 6, 도 7과 동일 도면 부호는 그 명칭도 기능도 동일하다.
이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차이점은 발포용 망과 유속 규제망을 이용하는 대신에, 발포 기능과 유속 규제 기능을 가지는 1매의 감속 발포용 판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감속 발포용 판(65)은 발포 기능을 가지는 발포공(65a)과, 방사 노즐(9)에 대향하는 측의 면(전면)에 설치되고, 또한 유속 규제 기능을 가지는 통체(65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포공(65a)은 복수개 설치되고, 또 통체(65b)는 상기 발포공(65a)을 포위하고 있다. 상기 발포공(65a)의 크기, 개수, 통체(65b)의 높이 등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방사 노즐(9)로부터 분사된 포 수용액(Wg)은 액체 방울로 되어 감속 발포용 판(65)의 통체(65b)에 충돌하고 감속된다. 그 후 공기(K)와 함께 발포공(65a)에 진입하고, 공기(K)를 흡입하여 발포하고 고팽창포(12)로 된다.
또한, 통체(65b)는 그 저해로 액체 방울이 발포공(65a)의 주위로 떨어지고, 그 많은 떨어짐에 의해 액체 방울의 발포의 기회가 많아져, 효율적으로 고팽창포(1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3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 11, 도 12에 의해 설명하지만, 도 8∼도 10과 동일 도면 부호는 그 명칭도 기능도 동일하다.
이 제3실시예와 제2실시예(도 8∼도 10)의 차이점은 유속 규제 수단으로서 통체 대신에 삼각뿔 형상의 돌기(68b)를 이용한 것이다. 이 돌기(68b)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지만, 그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고, 예를 들면 발포공(68a)의 테두리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돌기(68b)의 단면은 반드시 삼각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돌기(68b)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방사 노즐(9)로부터 분사된 포 수용액(Wg)은 액체 방울로 되어 감속 발포용 판(68)의 돌기(68b)에 충돌하고 감속된다. 그 후 공기(K)와 함께 발포공(68a)에 진입하고, 공기(K)를 흡입하여 발포하고 고팽창포(12)로 된다.
또한, 돌기(68b)는 그 저해로 액체 방울이 발포공(68a)의 주위로 떨어지고, 그 많은 떨어짐에 의해 액체 방울의 발포의 기회가 많아져, 효율적으로 고팽창포(1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3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 13, 도 14에 의해 설명하지만, 도 8∼도 10과 동일 도면 부호는 그 명칭도 기능도 동일하다.
이 제4실시예와 제3실시예(도 11, 도 12)의 차이점은 유속 규제 수단으로서 통체 대신에 개구 규제 경사편(70b)을 이용한 것이다. 이 개구 규제 경사편(70b)은 발포공(70a)을 형성할 때에 잘라 일으켜져 절곡된 부분으로, 그 경사 각도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발포공(70a)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 규제 경사편(70b)도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가 있다.
이 제4실시예에서는 방사 노즐(9)로부터 분사된 포 수용액(Wg)은 액체 방울로 되어 감속 발포용 판(70)의 개구 규제 경사편(70b)에 충돌하고 감속된다. 그 후 공기(K)와 함께 발포공(70a)에 진입하고, 공기(K)를 흡입하여 발포하고 고팽창포(12)로 된다.
또한, 개구 규제 경사편(70b)은 그 저해로 액체 방울이 발포공(70a)의 주위로 떨어지고, 그 많은 떨어짐에 의해 액체 방울의 발포의 기회가 많아져, 효율적으로 고팽창포(12)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제2발명 및 제3발명과 마찬가지로, 공기 흡인량 및 방사 포 수용액의 양이 표준 설정보다 적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방사 노즐(9)의 수용액 공급관(P4)(도 2의 수용액 배관(P4))에 공기(K1) 또는 불활성 가스(g)의 혼합 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제4발명). 도 15는 제4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제4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수용액 공급관(P4)에 각각 혼합 수단으로서의 공기 혼합기(80), 가스 봄베(gas cylinder)(85)를 설치한 것이다.
이 제4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방사 노즐(9)에는 기액 혼합 유체(WK)가 공급된다. 이 기액 혼합 유체(WK)는 포 수용액(Wg)에 공기(K1) 또는 불활성 가스(g)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방사 노즐(9)에 공급되는 수용액의 밀도는 전부 수용액(Wg)인 경우에 비하여 작고, 방사된 수용액의 액체 방울(Wd)의 수도 적고 가벼워진다.
또, 상기 기액 혼합 유체(WK)의 공기(K1)는 압축되어 있으므로, 대기 중에 방사되면 팽창하고, 발포용 망(7)을 향하여 진행하는 수용액의 액체 방울(Wd)에 저항을 주기 때문에, 당해 액체 방울(Wd)의 유속은 늦어진다. 따라서, 방사 노즐(9)로부터 방사된 수용액의 액체 방울(Wd)은 충분히 감속된 상태에서 완만하게 발포용 망(7)에 충돌하여 발포하므로, 효율 좋게 발포시킬 수가 있다.
또, 제2발명 및 제3발명과 마찬가지로, 공기 흡인량 및 방사 포 수용액의 양이 표준 설정보다 적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기포부(3)에 방출 구획(1)의 공기(K)를 공급하는 공기 흡인부(5)에, 공기(K)의 흡인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조 노즐(91)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제5발명). 도 17은 제5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공기 흡인부(5)는 상기 기포부(3)와 동일 직경의 덕트(duct)에 의해 형성되고, 그 입구측에는 복수의 보조 노즐(9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노즐(91)은 포 수용액을 분사함과 아울러, 공기 흡인부(5)로 방출 구획(1)의 공기를 흡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당해 보조 노즐(91)의 분사 압력은 방사 노즐(9)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방사 노즐(9)의 방출 압력은 0.15∼0.3MPa, 보조 노즐(91)의 분사 압력은 0.6∼0.8MPa로 설정된다.
또한, 방사 노즐(9)의 분사 압력은 통상 사용되는 표준 설정 압력보다 작고, 따라서 그 분사되는 수용액의 유속도 표준 설정 속도보다 늦어지므로, 발포용 망(7)을 빠져 나가기 어려워진다.
이 제5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방사 노즐(9) 및 보조 노즐(91)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상기 방사 노즐(9)을 분사 압력을 표준 설정압보다 낮게 하여도, 발포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를 공기 흡인부(5)로 흡인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기 방사 노즐(9)의 분사 압력을 작게 하고, 방출되는 포 수용액(Wg)의 속도를 표준 설정 속도보다 늦게 할 수가 있으므로, 소망의 발포율을 얻을 수 있다.
보조 노즐(91)로부터 포 수용액(Wg)이 분출되면, 당해 포 수용액(Wg)은 발포용 망(7)에 충돌하여 발포한다. 그 때문에 방사 노즐(9)의 방사 압력의 저하에 수반하여, 수용액(Wg)의 분사량이 없게 되어도, 상기 보조 노즐(91)로부터도 포 수용액(Wg)이 분출하므로, 기포부(3)에 공급되는 포 수용액(Wg)의 양은 거의 표준량으로 된다. 따라서, 소정 시간에 소망량의 고팽창포(12)를 얻을 수 있다.
보조 노즐(91)로부터 포 수용액(Wg)이나 물을 분출하면, 그 물방울에 흡인 공기 중에 혼재하고 있는 연기(액상의 미립자)가 흡착되므로, 깨끗한 공기(K)를 기포부(3)에 공급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발명은 흡인 공기 중의 연기 입자를 제거하지 않고도, 발포 배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었지만, 물론 흡인 공기 중의 연기 입자를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도 18은 제6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공기 흡인부(5)에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미립자 필터(100)를 설치한 것이다.
이 제6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공기 흡인부(5)에 흡인된 공기(K) 중의 연기(H)는 제거되고, 기포부(3)에는 청정한 공기(K)가 공급된다. 그 때문에 발포 배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소화를 할 수가 있다.
또, 도 19는 제7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공기 흡인부(5)의 내부에 정화용 분무 노즐(110)을 설치한 것이다.
이 제7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공기 흡인부(5)에 흡인된 실내 공기(K), 즉 상기 공기 흡인부(5)가 배치되어 있는 실내의 공기(K)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연기(H)는, 정화용 분무 노즐(110)로부터 분출하는 안개 형상의 물방울에 흡착되면서 낙하한다. 그 때문에 발포 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발포 성능을 얻을 수 있고, 효과적으로 소화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7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좋다.
도 1은 제1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발명의 실시예의 고팽창포 소화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제2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6은 제3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유속 규제망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3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감속 발포용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발명의 제3실시예의 감속 발포용 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발명의 제4실시예의 감속 발포용 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4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제4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도 15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17은 제5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6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7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Claims (11)

  1. 물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포 소화 약제가 혼합되어 있는, 포 수용액이 압송되는 방사 노즐과, 당해 방사 노즐이 내장되고, 상기 방사 노즐로부터 상기 포 수용액을 방출함으로써 방출 구획 내의 공기가 흡인되는 유로통과, 상기 유로통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상기 포 수용액이 충돌하는 포 발생용 망을 구비한 고팽창포 소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포 수용액에 대한 상기 포 소화 약제의 혼합 비율을 표준 혼합 비율보다 큰 조정 혼합 비율로 하거나, 혹은 상기 포 소화 약제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함유율이 표준 함유율보다 큰 설계 함유율로 한 포 소화 약제를 이용하여, 상기 포 수용액 중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혼합 비율을 설계 발포 배율 농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 소화 약제가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막포 소화 약제이고, 상기 수성막포 소화 약제의 조정 혼합 비율이 4% 이상, 혹은 상기 설계 발포 배율 농도가 0.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 소화 약제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합성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이고, 상기 계면활성제 포 소화 약제의 조정 혼합 비율이 4% 이상, 혹은 상기 설계 발포 배율 농도가 0.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4. 방사 노즐이 내장되어 있는 유로통에 방출 구획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수용액을 발포용 망에 충돌시켜 발포시키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상기 방사 노즐과 상기 발포용 망의 사이에 유로를 차단하는 방향을 향하여 유체를 분무하는 분무 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의 축심이 상기 유로통의 축심에 대해서 직교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의 축심이 상기 방사 노즐측 또는 그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은 상기 방사 노즐의 수용액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8. 발포부에 방출 구획의 공기를 흡인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수용액을 발포용 망에 충돌시켜 발포시키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상기 발포용 망의 상류측에 유속 규제망을 인접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규제망의 망목은 상기 발포용 망의 망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10. 발포부에 방출 구획의 공기를 흡인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된 수용액을 발포용 판에 충돌시켜 발포시키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로서,
    상기 발포용 판은 발포공과 유속 규제 수단을 구비한 감속 발포용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규제 수단은 통 형상 돌기, 삼각뿔 형상의 돌기, 또는 개구 규제 경사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포 소화 설비.
KR1020070120937A 2006-11-30 2007-11-26 고팽창포 소화 설비 KR101367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3253A JP4808601B2 (ja) 2006-11-30 2006-11-30 高膨張泡消火設備
JPJP-P-2006-00323253 2006-11-30
JPJP-P-2007-00091277 2007-03-30
JP2007091277A JP4823955B2 (ja) 2007-03-30 2007-03-30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JPJP-P-2007-00110478 2007-04-19
JP2007110478A JP4819740B2 (ja) 2007-04-19 2007-04-19 高膨張泡消火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631A true KR20080049631A (ko) 2008-06-04
KR101367487B1 KR101367487B1 (ko) 2014-02-25

Family

ID=3899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37A KR101367487B1 (ko) 2006-11-30 2007-11-26 고팽창포 소화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5773B2 (ko)
EP (3) EP2082783B1 (ko)
KR (1) KR101367487B1 (ko)
CN (1) CN102284158A (ko)
DE (1) DE602007008933D1 (ko)
TW (1) TWI4585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82B1 (ko) * 2008-03-07 2015-04-08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고팽창포 소화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2633B2 (en) 2006-02-09 2012-12-04 Tyco Fire Products Lp Expansion nozzle assembly to produce inert gas bubbles
CN101371944B (zh) * 2008-08-22 2012-01-11 杭州新纪元安全产品有限公司 用洁净气体作为发泡剂的灭火产品及制作方法和灭火系统
KR20100004867A (ko) * 2008-07-04 2010-01-13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고팽창포 소화 설비
CN102049115B (zh) * 2009-11-03 2013-01-09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消防车及其消防泡沫系统
US8536368B2 (en) 2011-10-03 2013-09-1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acrylic acids and acrylates from a trioxane feed
US9027661B2 (en) 2011-12-28 2015-05-12 Kenneth C. Baker Foam chamber having a closable testing outlet
US11643946B2 (en) 2013-10-02 2023-05-09 Aerocore Technologies Llc Cleaning method for jet engine
DK3052252T3 (da) 2013-10-02 2022-11-28 Aerocore Tech Llc Fremgangsmåde til rensning af jetmotor
CN103656925B (zh) * 2013-10-17 2016-03-02 江苏振翔车辆装备股份有限公司 大型油罐火灾高倍泡沫灭火装置
EP3429699B1 (en) * 2016-03-18 2021-08-18 Tyco Fire Products LP Polyorganosiloxane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in fluorine free fire suppression foams
WO2017161162A1 (en) 2016-03-18 2017-09-21 Tyco Fire Products Lp Organosiloxane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in fluorine free fire suppression foams
CN116492630A (zh) * 2020-01-28 2023-07-28 爱沃特防灾株式会社 灭火系统及其制造方法
EP4135858B1 (en) 2020-04-14 2024-05-08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High-expansion foam generator having a nozzle with a solid nozzle insert with a non-sharp cross-over path
CN112933479B (zh) * 2021-03-04 2021-09-28 湖北江南专用特种汽车有限公司 一种智能大流量压缩空气泡沫喷射消防车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2037A (en) * 1945-05-08 1949-12-20 Rockwood Sprinkler Co Apparatus for generating foam
US3388868A (en) * 1965-10-29 1968-06-18 Nalco Chemical Co Foam producing nozzle
US3428131A (en) * 1966-08-16 1969-02-18 Bli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ire-fighting foam
US3780812A (en) * 1971-07-06 1973-12-25 M Lam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ire-fighting foam
JPS6137176A (ja) * 1984-07-30 1986-02-22 能美防災株式会社 泡消火装置
US4682729A (en) * 1985-06-03 1987-07-28 The Dewey Electronics Corporation Snowmaking machine with compressed air driven reaction fan
DE4012852A1 (de) * 1990-04-18 1991-10-24 Univ Magdeburg Tech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loeschschaeumen
WO1992004942A1 (en) * 1990-09-19 1992-04-02 Atlantic Richfield Company High-stability foams for long-term suppression of hydrocarbon vapors
JPH06165837A (ja) 1992-11-30 1994-06-14 Kashiwa Tec:Kk 局所用高膨脹泡消火装置
US5404957A (en) * 1993-10-18 1995-04-11 Mccormack; Pat Fire retardant foam generator
GB2294415B (en) * 1994-10-24 1998-12-09 Warnstar Ltd Foam forming nozzle
US5647539A (en) * 1994-12-01 1997-07-15 Calmar Inc. Foamer nozzl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US5820027A (en) * 1996-05-14 1998-10-13 Szczurek; Norbert Foam fire nozzle
ATE289327T1 (de) * 1999-01-21 2005-03-15 Ciba Sc Holding Ag Perfluoralkylsubstituierte aminosäure-oligomere oder -polymere und deren herstellung als schaumstabilisierungsmittel in schaumlöschungsmitteln und als oleophobierungsmittel für papier und textilappreturen
TWI241202B (en) * 2002-07-31 2005-10-11 Miyake Engineering Co Ltd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US6886639B2 (en) * 2003-08-29 2005-05-03 Hypro Corporation High flow foam system for fire fighting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82B1 (ko) * 2008-03-07 2015-04-08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고팽창포 소화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487B1 (ko) 2014-02-25
TWI458515B (zh) 2014-11-01
DE602007008933D1 (de) 2010-10-14
EP2078540B1 (en) 2010-09-01
EP2082783B1 (en) 2012-12-26
US7975773B2 (en) 2011-07-12
EP1927380A1 (en) 2008-06-04
EP1927380B1 (en) 2012-03-14
EP2078540A3 (en) 2009-07-22
US20080128141A1 (en) 2008-06-05
EP2082783A1 (en) 2009-07-29
EP2078540A2 (en) 2009-07-15
CN102284158A (zh) 2011-12-21
TW200836793A (en) 200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487B1 (ko) 고팽창포 소화 설비
EP2079530B1 (en) Dual extinguishment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high velocity low pressure emitters
US10099078B1 (en) Compressed air foam mixing device
JP4987809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US20100212920A1 (en) Inert gas flooding fire suppression with water augmentation
SK15522000A3 (sk) Metóda a veľkokapacitné zariadenie na výrobu protipožiarnej peny a rozpínacie / rozstrekovacie zariadenie peny
JP4808601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4819740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4768680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KR101510482B1 (ko) 고팽창포 소화 설비
JP3413630B2 (ja) 泡水溶液噴霧ヘッド
JP4805111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4871187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4823955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JP2008119169A (ja)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JP2013070959A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2008086454A (ja) 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CZ202129A3 (cs) Hasicí zařízení s požární proudnicí
JP2012210326A (ja) 泡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