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327A -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327A
KR20080048327A KR1020060118584A KR20060118584A KR20080048327A KR 20080048327 A KR20080048327 A KR 20080048327A KR 1020060118584 A KR1020060118584 A KR 1020060118584A KR 20060118584 A KR20060118584 A KR 20060118584A KR 20080048327 A KR20080048327 A KR 20080048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 display
common
image data
display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705B1 (ko
Inventor
안응진
이상윤
최운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7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46Flicker reduction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패널에 균일한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국부적인 화면잔상을 제거한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패널의 다수 영역별로 서로 다른 공통전압을 인가하여 표시 패널의 중앙부와 측단부에서 불균일한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현상을 개선하고, 이에 소스드라이버 및 표시패널의 제조 특성에 의해 불균일한 공통전압이 인가됨으로 인해 발생하던 플리커 및 화면 잔상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고품위의 화질을 제공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LC panel an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액정패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일 기술에 따른 액정패널에서의 공통전압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액정패널 내 위치별로 요구되는 공통전압의 전압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h : 서브 표시영역 100,200 : 액정패널
110 :250 : 단선부 220a~220h : 소스드라이버
210a~210d : 게이트드라이버 240a~240h : 공통배선
Vcom1~Vcom8 : 공통전압 230 : 공통전압생성부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패널에 균일한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국부적인 화면잔상을 제거한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및 박형화와 저전력 소모의 장점을 가지며, 노트북 컴퓨터, 사무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스위치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가 이용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동적인 이미지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크게 액정패널(2)과 LCM구동회로부(26)로 구분된다.
각 구성을 보면, 인터페이스(10)는 퍼스널 컴퓨터등과 같은 구동시스템으로부터 LCM구동회로부(26)로 입력되는 데이터(RGB Data) 및 제어신호(입력 클럭,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들을 입력받아 타이밍 컨트롤러(12)로 공급한다. 주로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신호전송을 위해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인터페이스와 TTL 인터페이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모아서 타이밍컨트롤러(12)와 함께 단일 칩(Chip)으로 집적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액정패널(2)은 도 2와 같이, 글라스를 이용한 기판 상에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과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이 교차되어 다수의 화소영역을 형성하며, 각각의 화소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액정(LC)이 구성되어 화면을 표시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는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드라이브 집적회로들로 구성된 소스드라이버(18)와 복수개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들로 구성된 게이트 드라이버(2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소스드라이버(18)로 전송한다.
기준전압생성부(16)는 소스드라이버(18)에서 사용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의 기준전압들을 생성한다. 기준전압들은 패널의 투과율-전압특성을 기준으로 생산자에 의해서 설정된다.
소스드라이버(18)는 타이밍 컨트롤러(1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의 기준전압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전압을 액정패널(2)에 공급하여 액정 분자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게이트드라이버(20)는 타이밍 컨트롤러(1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액정패널(2)상에 배열된 박막트랜지스터(TFT)들의 온/오프(on/off) 제어를 수행하는데, 액정패널(2) 상의 게이트라인(GL1~GLn)을 1 수평동기 시간씩 순차적으로 인에이블(enable) 시킴으로써 액정패널(2) 상의 박막트랜지스터들(TFT)을 1 라 인 분씩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소스드라이버(18)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들이 각 박막트랜지스터(TFT)들에 접속된 픽셀들로 인가되도록 한다.
전원전압생성부(14)는 각 구성부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액정패널(2)의 공통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램프(lamp)를 구비하여 상기 액정패널(2)로 광(light)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액정패널(2)의 구동을 위해서는 각각의 화소마다 상기 소스드라이버(18)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와의 전압차를 만들어 액정분자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통전압(Vcom)을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통상 상기 소스드라이버(18)를 통해 액정패널(2)로 공급한다.
도 3은 종래 일 기술에 따른 액정패널에서의 공통전압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액정패널(30)과 소스드라이버(40a~40h) 및 상기 액정패널(30)에서의 공통전압 전파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액정패널(30)은 전체가 연결된 공통배선(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스드라이버(40a~40h) 중 최전단 및 최후단의 소스드라이버(40a 및 40h)를 통해 각각 상기 액정패널(30)로 유입된 공통전압(Vcom)은 상기 액정패널(30)의 양측부 공통배선으로 각각 인가되고, 이에 서로 연결된 공통배선을 통해 상기 액정패널(30)의 외측 화소에서 내측 화소에까지 점차로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어짐을 나타낸다.
덧붙이면, 상기와 같이 설명한 액정패널 내 공통전압 공급방법은 모든 타입 의 액정패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이나 IPS 모드 액정패널에 주로 적용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도 3과 같이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의 소스드라이버를 통해 액정패널의 양단으로 공통전압을 공급한 후 공통배선을 통해 액정패널 전체에 공통전압을 전파하는 방식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액정패널(50) 내 위치별 실제측정에 따라 요구되는 공통전압의 전압레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수의 소스드라이버(60a~60h)에 대응되는 액정패널 내 A~H까지의 영역별로 다양한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이 요구됨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처럼 동일 액정패널 내에서 다양한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이 요구되는 이유는 상기 다수의 소스드라이버(60a~60h) 각각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 영역마다 해당 소스드라이버의 특성 및 패널 특성 등에 의해 액정패널 내의 영역별로 플리커에 대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전압레벨, 다시 말해 액정패널(50)의 중앙부 영역이 측부 영역보다 더욱 높은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패널 내 모든 영역에 대해 동일한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영역별로 다양한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인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역별로 국부적인 화면 잔상을 유발하게 되어 화질의 저하라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동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액정패널의 영역별로 인가함으로써 국부적인 화면 잔상을 개선하여 최상의 화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데이터라인과;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데이터라인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과; 각각이 상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공통배선으로 이루어진 일 영역을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하여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액정화소를 포함하는 액정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액정패널에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상기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어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커패시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에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패널에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간 공통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공통배선은 매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공통배선으로 이루어진 일 영역을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하여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액정화소와;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의 액정화소로 영상데이터를 공급하며, 또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의 공통배선으로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n 개의 소스드라이버와; 상기 영상데이터가 상기 각 액정화소에 기입되도록 하는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드라이버와;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각 소스드라이버로 전달하는 공통전압생성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상기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어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커패시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횡전계 형성 구조의 액정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n 개의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어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인가되는 공통전압은 서로 다른 전압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간 공통배선은 서로 전기적으 로 단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공통배선은 매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표시영역을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제1단계와; 상기 n 개의 서브 표시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제2단계와;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으로 영상데이터를 인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방법에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액정패널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n 개의 소스드라이버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n 개의 소스드라이버의 제어영역에 대응되고, 각각 전기적으로 단선되도록 상기 액정패널의 공통배선을 형성하여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에서, 상기 제2단계는,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가지는 n 개의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n 개의 공통전압을 상기 n 개의 소스드라이버에 각각 전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의 평면도로서, 특히 공통배선의 형성 특징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액정패널(50) 상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데이터라인(미도시함)이 형성되어 있고 가로 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게이트라인(미도시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영역에는 액정 화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액정화소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액정 커패시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100)상에 형성된 액정화소들에는 공통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배선(105a~105h)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통배선(105a~105h)은 액정패널의 표시영역 전체에 걸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나 다수의 단선부(110)를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서브 표시영역(a~h)별로 독립된 다수개 분할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단선부(110)의 형성위치는 인접한 소스드라이버간 제어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형성한다.
요약하면, 상기 각각의 공통배선(105a~105h)은 다수의 단선부(11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단선됨으로 인해 결국 상기 액정패널(100)이 다수개의 서브 표시영역(a~h)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상기 각각의 서브 표시영역(a~h)에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공통배선(105a~105h)은 횡전계 방식(IPS) 구조의 액정화소에서 주로 채택하는 매쉬(Mesh) 형태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a~h)별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공통배선(105a~105h)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각 서브 표시영역별로 서로 다른 공통전압을 각각 인가하게 되면, 화면 표시에 가장 적합한 공통전압을 액정패널의 위치별로 인가할 수 있어 소스드라이버의 특성 및 패널 특성 등에 의해 액정패널 내에서 일부 영역에 발생되는 플리커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전술한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의 구성을 보면, 액정패널(200)과, 상기 액정패널(200)로 스캔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드라이버(210a~210d)와, 상기 스캔신호에 동기하여 액정패널(200)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소스드라이버(220a~220h)와, 상기 액정패널(200)로 다수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공통전압(Vcom)을 공급하는 공통전압생성부(2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액정패널(200)은 전술한 도 5의 액정패널(100) 구성 및 특징과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특히, 도면번호 240a~240h는 공통배선, 도면번호 250은 공통배선(240a~240h)간 단선부이며, 상기 단선부(250)의 형성 위치는 인접한 소스드라이버(220a~220h)간 제어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드라이버(210a~210d)는 상기 액정패널(200)에 구성된 다수의 게이트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소스드라이버(220a~220h)는 상기 스캔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액정패널(200)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소스드라이버(220a~220h)는 상기 단선부(250)에 의해 구분된 다수개의 서브 표시영역(a~h) 각각의 공통배선(240a~240h)으로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Vcom1~Vcom8)을 각각 인가한다.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a~h)으로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1~Vcom8)은 상기 공통전압생성부(230)로부터 출력되며, 이때 출력되는 각 공통전압(Vcom1~Vcom8)은 해당 서브 표시영역에서 플리커 및 화면잔상이 나타나지 않는 최적의 전압으로서 실험을 통해 미리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공통전압생성부(23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서로 다른 전압레 벨의 공통전압의 개수는 상기 액정패널(200)에 구성되는 소스드라이버의 개수 및 상기 서브 표시영역의 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6에서는 예시로 8개의 소스드라이버(220a~220h)를 구성하기 때문에 액정패널(200)의 표시영역을 단선부(250)를 통해 8개의 서브 표시영역(a~h)으로 구분하였고, 이에 상기 공통전압생성부(230)에서는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a~h)의 공통전극에 인가될 8개의 전압레벨을 가진 공통전압(Vcom1~Vcom8)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공통배선(240a~240h)은 횡전계 방식(IPS) 구조의 액정화소에서 주로 채택하는 매쉬(Mesh) 형태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서브 표시영역(a~h)별로 독립된 공통배선(240a~240h)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각 서브 표시영역별로 서로 다른 공통전압(Vcom1~Vcom8)을 각각 인가하게 되면, 화면 표시에 가장 적합한 공통전압을 액정패널의 위치별로 별로도 인가할 수 있어 소스드라이버의 특성 및 패널 특성 등에 의해 액정패널 내에서 일부 영역에 발생되는 플리커 및 화면 잔상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상기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액정패널(200)에서 상기 소스드라이버(220a~220h) 각각이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역인 제어 영역에 맞추어 공통전극에 단선부(250)를 구성하여 표시 영역을 다수의 서브 표시영역(a~h)으로 구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브 표시영역(a~h)은 다수의 단선부(250)에 의해 전기적으로 독립된 공통배선(240a~240h)에 의해 형성된 구분 영역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통전압생성부(230)를 통해 생성된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Vcom1~Vcom8)들을 상기 각각의 소스드라이버(220a~220h)에 각각 하나씩 전달하고, 이후 상기 각 공통전압(Vcom1~Vcom8)들은 소스드라이버(220a~220h)를 통해 해당 서브 표시영역(a~h)의 공통배선(240a~240h)으로 각각 인가된다.
이후 상기 게이트드라이버(210a~210d)의 스캔신호 출력 구동과 상기 소스드라이버(220a~220h)의 영상데이터 출력 구동을 통해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에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서브 표시영역(a~h)에는 해당 서브 표시영역에 적절한 상이한 공통전압들이 인가된 상태이므로 부분적인 플리커 및 화면 잔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와 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표시패널의 다수 영역별로 서로 다른 공통전압을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의 중앙부와 측단부에서 불균일한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소스드라이버 및 표시패널의 제조 특성에 의해 불균일한 공통전압이 인가됨으로 인해 발생하던 플리커 및 화면 잔상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어 보다 고품위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데이터라인과;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데이터라인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과;
    각각이 상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공통배선으로 이루어진 일 영역을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하여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액정화소
    를 포함하는 액정패널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상기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어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커패시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액정패널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간 공통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공통배선은 매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패널
  6.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공통배선으로 이루어진 일 영역을 하나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하여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액정화소와;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의 액정화소로 영상데이터를 공급하며, 또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의 공통배선으로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n 개의 소스드라이버와;
    상기 영상데이터가 상기 각 액정화소에 기입되도록 하는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드라이버와;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각 소스드라이버로 전달하는 공통전압생성부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상기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어 상기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커패시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의해 광 투과율이 제어되는 액정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8.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정화소는 횡전계 형성 구조의 액정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소스 드라이버는 상기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어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인가되는 공통전압은 서로 다른 전압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간 공통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청구항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공통배선은 매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액정패널의 표시영역을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제1단계와;
    상기 n 개의 서브 표시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전압레벨의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제2단계와;
    상기 각 서브 표시영역으로 영상데이터를 인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14. 청구항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액정패널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n 개의 소스드라이버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n 개의 소스드라이버의 제어영역에 대응되고, 각각 전기적으로 단선되도록 상기 액정패널의 공통배선을 형성하여 n 개의 서브 표시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15. 청구항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가지는 n 개의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n 개의 공통전압을 상기 n 개의 소스드라이버에 각각 전달하는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20060118584A 2006-11-28 2006-11-28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2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84A KR101329705B1 (ko) 2006-11-28 2006-11-28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84A KR101329705B1 (ko) 2006-11-28 2006-11-28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327A true KR20080048327A (ko) 2008-06-02
KR101329705B1 KR101329705B1 (ko) 2013-11-14

Family

ID=3980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584A KR101329705B1 (ko) 2006-11-28 2006-11-28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628B2 (en) 2014-05-20 2016-05-03 Xiamen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Drive circui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KR20170037127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13327538A (zh) * 2021-08-04 2021-08-3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公共电压最优值的获取方法及显示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360B (zh) * 2013-12-19 2016-03-3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859715B (zh) * 2019-04-08 2021-02-02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方法和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8720B1 (en) * 1998-11-20 2002-04-09 Toray Industries, Inc. Formable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TWI267050B (en) * 2001-11-26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40062156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61214A (ko) * 2003-12-18 2005-06-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스티치 얼룩 보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628B2 (en) 2014-05-20 2016-05-03 Xiamen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Drive circui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KR20170037127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13327538A (zh) * 2021-08-04 2021-08-3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公共电压最优值的获取方法及显示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705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9349B2 (en) Gate driving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KR101260838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811696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329705B1 (ko) 액정패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44773B1 (ko) 표시장치
KR2014008577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96907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6665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83974B1 (ko) 액정표시장치의 영상 표시방법
KR101297243B1 (ko) 액정패널과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80043081A (ko) 액정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48324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15500B1 (ko) 액정패널과 이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07017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6004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4187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58140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140166B1 (ko) 구동 드라이버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72297A (ko) 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128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00066120A (ko) 액정표시장치의 회전구동을 위한 게이트스타트펄스 인가방법
KR101336084B1 (ko)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20090059217A (ko)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2009002886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5951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