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94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945A
KR20080047945A KR1020070040368A KR20070040368A KR20080047945A KR 20080047945 A KR20080047945 A KR 20080047945A KR 1020070040368 A KR1020070040368 A KR 1020070040368A KR 20070040368 A KR20070040368 A KR 20070040368A KR 20080047945 A KR20080047945 A KR 20080047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common
common electr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V 반전구동방식 및 커몬 반전구동방식의 양자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플리커 노이즈에 강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얻는 것으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규정되는 화소마다 커몬 전극(20) 및 표시전극(30) 을 갖고, 상기 커몬 전극(20)과 상기 표시 전극(30)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소망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몬 전극(20)은, 화소마다 분리한 각각의 커몬 전극 (20)에 대하여, 인접하는 소정의 커몬 전극들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화소에 대응하는 커몬 전극을 2그룹으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HV, 반전,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종래의 HV 반전구동방식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게이트 전극 20 : 커몬 전극
30 : 표시 전극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전력이 낮은 특징을 갖는 커몬 반전 구동방식과,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에 강한 HV 반전구동방식의 이점을 겸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은, 교류구동하지 않으면, 열화되어버리기 때문에,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을 교호로 구동하여 반전구동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부(正負)(+, -)의 전압과, 화면의 프레임 주기, 즉, 통상의 텔레비젼 방송의 16msec 마 다, 교호로 인가하고 있다. 이 반전구동의 방식은, 커몬 방식과 HV 반전 구동 방식으로 대별된다.
HV 반전구동방식에는, 커몬 전압을 전화소 공통으로 하여, 각각의 화소마다 인가하는 데이터 전압을, 예를 들어 체커 패턴(checker pattern)으로 하여,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으로 나누고 있다. 이 때문에, 플리커 노이즈에 대하여는 강함과 함께, 전압의 진폭이 크게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커몬 반전 구동방식은, 커몬 전압을 반전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화소마다 인가하는 데이터 전압의 진폭을, HV 반전구동방식의 2분의 1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대신에, 라인 방향으로 플러스나 마이너스가 나란히 나타나는 것으로, 주파수를 낮춘 경우에는 라인 방향으로 플리커 현상이 나타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여기서, IPS 액정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IPS 액정에 있어서 구동방식으로는, 화질이 좋은 HV 반전 구동방식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따라서, IPS 액정은, TN 액정에 비해 구동전압이 높다. 그것은, 개구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빗살 전극의 간격을 두지 않으면 안되며, 그 간격은, 10㎛ 정도 된다.
통상의 TN 액정에는, 5㎛ 정도의 기판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때에, 액정을 상하의 평판 ITO 전극에 끼워 넣는다. 종전계에 응답하는 것으로, 전압을 V, 갭을 d라고 하면, V/d 의 전계가 액정에 걸린다. 한편, IPS 액정에는, 횡전계를 사용함에 의해, d를 전극간격으로 하면 V/d보다 작은 전계가 된다. 이 결과, IPS 액정의 구 동전압은, TN에 비해 높게 된다.
따라서, IPS 액정에 있어서, 화질이 좋은 HV 반전구동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따라서는, 구동전압을 얼마나 낮추는 것이 큰 해결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HV 반전구동방식 및 커몬 반전구동방식의 양자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플리커 노이즈에 강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규정되는 화소마다 커몬 전극 및 표시 전극을 갖고, 상기 커몬 전극과 상기 표시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몬 전극은, 화소마다 분리한 각각의 커몬 전극에 대하여, 인접하는 소정의 커몬 전극들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화소에 대응하는 커몬 전극을 2그룹으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몬 전극은,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과 평행방향으로, 중공(cavity)을 갖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몬 전극은, 상기 데이터 라인을 개재하여 상기 표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이에 대하여, 도 2는, 종래의 HV 반전구동방식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그래프이다. 본 발명과 다른 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먼저 처음에, 도 2의 종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HV 반전 구동 방식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횡방향의 게이트 라인과 종방향의 데이터 라인으로 규정되는 각 화소에, TFT 마다, 게이트 전극(10), 커몬 전극(20), 표시전극(30)을 각각 갖추어 구성된다. 이러한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커몬 전극(20)에는, 전화소 공통의 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각각의 화소 마다의 표시를 행하기 위하여 표시 전극(30)에는, 데이터 라인 및 TFT를 개재하여, 상하좌우의 1화소마다 정부(正負) 역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인가되는 전압의 정부(正負)를 체커(checker: 바둑판) 상으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정부 각각에 대응하는 투과율이 다름에 따른 30Hz주기의 플리커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몬 전극(20)에 공통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 HV 반전구동방식에는, 구동 전압이 높게 되버리는 결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커몬 전극(20)의 형상 및 배열구조가 종래 기술과 다르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동방식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는, 횡방향의 게이트 라인과 종방향의 데이터 라인에서 규정되는 각화소에, TFT 와 함께, 게이트 전극 (10), 커몬 전극 (20), 표시 전극 (30)을 각각 갖추어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커몬 전극(20)은, 종방향으로 지나가는 데이터 라인과 평행방향으로, 중공(cavity) 상의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여, 화소마다 분리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커몬 전극(20)은, 인접하는 소정의 화소의 커몬 전극과 주변에 접속되고, 최종적으로는, 화소 전체로서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1 화소마다 체커상의 위치에 어느 각 화소(즉, 좌사시상, 우사시상, 좌사시하, 및 우사시하로 인접하는 각화소)의 커몬 전극들을 접속하여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하여, 커몬 전극은, 배선에 의해 2 그룹화 된다.
커몬 전극 (20)을 2그룹으로 나누어 접속한 결과로서, 커몬 전극(20)에는, 전화소에 공통의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에, 도 3과 같이, 각각의 그룹에 정부(正負)의 반전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라인을 통해 표시전극 (30)에 기입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커몬 전극 (20)에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커몬 전압을 DC(Direct Current)로 하여 구동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낮은 데이터 라인 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은 커몬 전극 (20)의 2 그룹화 접속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IPS 액정에 있어서, 화소마다 극성을 반전하는 HV 반전표시를 보유하며, 커몬 전극 (20)을 반전하는 것으로 구동전압을 낮추는 화소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각각의 커몬 전극 (20)의 접속패턴으로서, 1 화소마다 체커상(바둑판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2화소마다 접속하면, 이른바 2HV 반전하게 된다. 또, 2HV를 3HV로 하는 경우도 있고, 그 때에는 3화소의 커몬 전극을 통합하게 된다.
또, 일반적으로는, N 화소를 통합하는 것도 좋다. 반전패턴은 임의로 한다. 예를 들어, 횡방향으로,
++-++-++-++-++-++-++-++ 으로 되도록 하는 패턴, 또는
++---++---+++--+++--으로 되도록 하는 임의의 패턴일 수 있고, 본 발명에는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 라인들을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면, 커몬 전극을 2그룹으로 분리한 것으로, HV 반전과 커몬 반전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IPS 액정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종래의 HV 반전구동방식에 의한 구동전압보다도 낮춘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소비전력을 억제하며, 플리커 노이즈에 강한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커몬 전극을 2그룹으로 분리한 구성을 갖고, 표시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극성의 전압을 커몬 전극에 인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HV 반전구동방식 및 커몬 반전 구동방식의 양자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플리커 노이즈에 강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규정되는 화소마다 커몬 전극 및 표시 전극을 갖고, 상기 커몬 전극과 상기 표시 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몬 전극은, 화소마다 분리한 각각의 커몬 전극에 대하여, 인접하는 소정의 커몬 전극들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화소에 대응하는 커몬 전극을 2그룹으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몬 전극은, 각각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과 평행방향으로, 중공(cavity)을 갖는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몬 전극은, 상기 데이터 라인을 개재하여 상기 표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70040368A 2006-11-27 2007-04-25 액정표시장치 KR20080047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8959A JP2008134338A (ja) 2006-11-27 2006-11-27 液晶表示装置
JPJP-P-2006-00318959 2006-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945A true KR20080047945A (ko) 2008-05-30

Family

ID=3955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368A KR20080047945A (ko) 2006-11-27 2007-04-25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34338A (ko)
KR (1) KR200800479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3099B (zh) * 2011-03-17 2014-04-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的驅動方法與採用此方法的顯示裝置
US10031391B2 (en) 2013-09-06 2018-07-24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plurality of common electrodes
CN104460126B (zh) * 2013-09-16 2017-08-25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与液晶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34338A (ja)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182B1 (ko) 액정표시소자
KR100882699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50001249A (ko) 액정표시장치
JP5048970B2 (ja) 表示装置
JP2010079301A (ja) アレイ基板、液晶パネル、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10316843A1 (en) Liquid crystal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ith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20040084443A (ko) 액정표시장치
CN113409718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9645453B2 (en)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ommon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first pixel electrodes alternately arranged on a low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TWI582745B (zh) 液晶顯示裝置
TW200521934A (e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KR20060078575A (ko)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4794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5085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650280B2 (ja) 横電界型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KR100640215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JP5301223B2 (ja) 強誘電液晶表示装置
CN114333726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08233416A (ja) 液晶表示装置
KR19990080837A (ko) 액정표시소자
WO2011081160A1 (ja) 液晶表示装置
JPH09152627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KR10068732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577796B2 (ja) 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のための駆動回路
KR100466389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