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367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367A
KR20080046367A KR1020060115723A KR20060115723A KR20080046367A KR 20080046367 A KR20080046367 A KR 20080046367A KR 1020060115723 A KR1020060115723 A KR 1020060115723A KR 20060115723 A KR20060115723 A KR 20060115723A KR 20080046367 A KR20080046367 A KR 2008004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pu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6367A/ko
Publication of KR2008004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입출력 커넥터부와, 전원의 온(ON)/오프(OFF)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상태 신호에 따라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르 제어하여 메인 집적회로의 손상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 USB, 메인 IC, 논리소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전원 완충부로 사용되는 논리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전원 완충부로 스위치부가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USB 커넥터부
200 : 제어부 202 : GPIO
204 : 트랜시버 210 : 전원 완충부
212 : 앤드 게이트 214 : 스위치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 중에 하나가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등을 USB 케이블로 연결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업로드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컴퓨터 또는 PA 어답터를 통해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OFF)한 상태에서 USB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등과 연결되는 경우에 USB 5V 전원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IC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입출력 커넥터부와, 전원의 온(ON)/오프(OFF)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상태 신호에 따라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완충부는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제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제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커넥터부는 USB 커넥터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 완충부로 전원상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및 입출력 커넥터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완충부는 하나 이상의 논리(Logic)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완충부의 논리 소자는 앤드 게이트(AND Gate)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완충부는 소정의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의 부호는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 는 상폴더부(100), 하폴더부(110), 입출력 커넥터부(120) 및 힌지부(130)를 포함한다.
상폴더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1 몸체로서 디스플레이부(102)를 포함한다.
하폴더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2 몸체로서 키패드(112)와 배터리(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폴더부(110) 내에는 메인 인쇄회로 기판(116)이 실장된다.
입출력 커넥터부(120)는 하폴더부(110)에 형성되며, 하폴더부(110)에 실장되는 메인 인쇄회로 기판(116)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 커넥터부(120)는 외부에서 입출력 커넥터부(120)에 연결되는 소정의 입출력 케이블(12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힌지부(130)는 상폴더부(100)와 하폴더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입출력 커넥터부(120)에 전류를 공급하는 장치가 연결된 경우에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입출력 커넥터부(120), 제어부(200) 및 전원 완충부(210)를 포함한다.
입출력 커넥터부(120)는 메인 인쇄회로 기판(도1의 116)의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의 입출력 케이블(도1의 122)과 연결된다. 이때, 입출력 케이블(도1의 122)은 외부에 위치한 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제어부(200)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반적인 입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전원의 온(ON)/오프(OFF)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를 전원 완충부(210)로 출력한다.
전원 완충부(210)는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상태 신호에 따라 입출력 커넥터부(120)로부터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성의 일례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원 완충부가 논리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도 3은 도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인 인쇄회로 기판(116) 상에는 USB 커넥터부(120), 메인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200) 및 전원 완충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메인 집적회로(200)는 제어부(200)로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202)와 트랜시버(transceiver, 204)를 포함한다.
GPIO(202)는 메인 집적회로(200)가 이를 통해 특정 장치를 제어하거나, 특정 입력을 받거나, 어떤 특정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특정장치가 동작하게 제어하는 등 의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입/출력 핀을 말한다. 따라서, 메인 집적회로(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전원의 온(ON)/오프(OFF)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를 GPIO(202)를 통해 전원 완충부(210)로 출력한다.
USB 트랜시버(transceiver, 204)는 트랜시버의 일례로서 입출력 커넥터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특정 신호란 입출력 커넥터부(120)가 USB 커넥터부(120)인 경우에 외부 컴퓨터에서 USB 케이블(도1의 122)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의 신호를 말한다.
따라서, USB 트랜시버(204)는 USB 커넥터부(120)의 핀과 대응되는 기능과 개수를 갖을 수 있다. 즉, USB 커넥터부(120)는 전원핀(Vcc), 데이터핀(Data+, Data -) 및 그라운드핀(GND)을 갖으며 USB 트랜시버(204)도 이에 대응하는 핀을 갖는다.
전원 완충부(210)는 앤드 게이트(AND Gate, 212)인 논리 게이트(Logic Gate)를 포함한다.
여기서, 앤드 게이트(212)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전원 완충부로 사용되는 논리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완충부로 사용되는 논리회로인 앤드 게이트(212)는 A와 B의 두 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X인 하나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입력 A, B가 (0, 0)의 신호가 입력되면 "0"의 신호가 출력되고, 입력 A, B가 (0, 1)의 신호가 입력되면 "0"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입력 A, B에 (1, 0)의 신호가 입력되면 "0"의 신호가 출력되고, 입력 A, B가 모두 (1, 1)의 신호가 입력되야지만 "1"값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앤드 게이트(21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제어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제어방법은, 먼저 USB 커넥터(120)에 USB 케이블(도1의 122)이 연결되어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5볼트의 전류가 공급된다(S400).
이러한 전류는 전원 완충부(210) 앤드 게이트(212)의 B 제어라인으로 입력되면 앤드 게이트(212)에서는 이를 "1"값의 입력으로 인지된다.
이와 함께, 메인 집적회로(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전원상태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전원상태 신호를 GPIO(202)로 출력한다(S410).
여기서, 전원 완충부(210)내 앤드 게이트(212)는 GPIO(202)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상태 신호에 따라 전원이 오프(OFF)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20).
이때, 메인 집적회로(200)는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에 "1"값을 GPIO(202)를 통해 전원 완충부(210) 앤드 게이트(212)의 A 제어라인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앤드 게이트(212)는 A 제어라인으로 입력되는 값이 "1"값이고, USB 커넥터(120)에서 B 제어라인으로 입력되는 값이 모두 "1"값이므로 "1"의 값을 X 제어라인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메인 집적회로(200) 내에 USB 트랜시버(204)의 전원핀(Vcc)에 USB 커넥터(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공급된다(S430).
그러나, S420 단계에서 USB 커넥터(120)에서 B 제어라인으로 입력되는 값이 "1"값이지만, 전원이 온(OFF) 상태인 경우에는 GPIO(202)로부터 앤드 게이트(212)의 A 제어라인에 "0"값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앤드 게이트(212)는 전술한 원리에 따라 X 제어라인으로 "0"값을 출력하여 메인 집적회로(200) 내에 USB 트랜시버(204)의 전원핀(Vcc)에 USB 커넥터(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S440).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전원 완충부(210)가 앤드 게이트(212)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병의 전원 완충부(210)에는 OR, NOT, NAND, NOR, XOR 또는 XNOR 등과 같은 논리 게이트와 이들의 조합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 논리 게이트들이 두 입력을 받아 두 입력이 모두 "1"값인 경우에 "1값"을 출력하도록 설계하면 된다.
2. 전원 완충부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경우
도 6은 전원 완충부로 스위치부가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완충부(210)로 소정의 스위치부(214)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2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A 제어라인과 B 제어라인으로부터 "1"값이 입력되어야만 스위치가 온(ON) 된다.
즉, USB 커넥터(120)에 USB 케이블(도1의 122)이 연결되어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5볼트의 전류가 공급되면 B 제어라인으로 "1"값이 입력된다. 이와 함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에 GPIO(202)를 통해 A 제어라인으로 "1"값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A 제어라인과 B 제어라인 모두가 "1"값일 때에만 스위치가 온(ON)되어 USB 트랜시버(204)의 전원핀(Vcc)에 USB 커넥터(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또는 바(Bar) 타입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입출력 커넥터부(120)가 USB 커넥터인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의 입출력 커넥터부(120)는 USB 커넥터뿐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류를 공급하는 모든 장치들이 연결되는 각각의 커넥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르 제어하여 메인 집적회로의 손상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입출력 커넥터부;
    전원의 온(ON)/오프(OFF)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완충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완충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대응하는 전원상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입출력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는,
    USB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완충부로 상기 전원상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및
    상기 입출력 커넥터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완충부는,
    하나 이상의 논리(Logic)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완충부의 논리 소자는 앤드 게이트(AND G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완충부는,
    소정의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15723A 2006-11-22 2006-11-22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46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723A KR20080046367A (ko) 2006-11-22 2006-11-22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723A KR20080046367A (ko) 2006-11-22 2006-11-22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367A true KR20080046367A (ko) 2008-05-27

Family

ID=3966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723A KR20080046367A (ko) 2006-11-22 2006-11-22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63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795B1 (ko)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9509422B (zh) 显示面板驱动电路及显示装置
US6907492B2 (en) Interface circuit which meets universal serial bus standard and performs host and device functions
TWI492044B (zh) 通用序列匯流排裝置的偵測系統及其方法
CN101387944B (zh) 卡式外围设备
US7802044B2 (en) Pin sha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module and a universal serial bus module
JP5283719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20070115954A1 (en) Transmitting circuit, receiving circuit, interface switching module and interface switching method for SATA and SAS interfaces
US20070075680A1 (en) Charging mode control circuit
JP4039948B2 (ja) Usbにおけるデバイスの接続状態の認識
US20130132740A1 (en) Power Control for Memory Devices
CN110554990A (zh) 兼容pcie与sata线路的主板电路
CN101464821B (zh) Pci负载卡
US7278042B2 (en) Circuit for protecting a motherboard by removing power to the motherboard based on the status of an attached component
KR20080046367A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07015494B (zh) 多路电压源电路
KR100659986B1 (ko) 유에스비 장치의 연결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US7051057B2 (en) General-purpose functional circuit and general-purpose unit for programmable controller
US7166934B2 (en) Package-based voltage control
KR100606750B1 (ko) 휴대 전화기용 프로그램 다운로딩 장치
JP7091456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
CN212083943U (zh) 一种电压自动调节电路及系统
KR100256973B1 (ko) 플래쉬 메모리의 프로그램 다운로딩 장치
KR101896018B1 (ko) 집적회로 칩,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방법
US7812640B2 (en) Bridge design for SD and MMC data b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