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052A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052A
KR20080046052A KR1020060115496A KR20060115496A KR20080046052A KR 20080046052 A KR20080046052 A KR 20080046052A KR 1020060115496 A KR1020060115496 A KR 1020060115496A KR 20060115496 A KR20060115496 A KR 20060115496A KR 20080046052 A KR20080046052 A KR 20080046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image
image informa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130B1 (ko
Inventor
조성봉
윤형운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1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파일 보호기능을 설정하여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와 관련된 보조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보조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조영상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선택하여, 선택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자체에 구비된 저장매체의 용량 부족 또는 저장 기간의 경과로 인하여 중요한 파일이 자동으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File protecting apparatus and method in digital video recor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보안 감시 분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각 구성요소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영상정보와 영상보조정보가 결합되어 출력된 예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1~100n: 영상 입력 장치 110, 1101~110n: 영상 보조 장치
20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200': 파일 보호 장치
210: 영상정보 저장기 220: 보조정보 결합기
230: 보호파일 추출기 240: 보호파일 전송기
300: 통신망 400: 사용자 단말
500, 5001~500m: 외부 저장매체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파일에 대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파일 보호기능을 설정하여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 및 저장매체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를 저장하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Video Cassette Recorder)를 대체하여 개발된 영상 저장 장치 중 하나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비디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과 같은 저장매체를 사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정보를 저장하며, 따라서 녹화를 여러 번 반복하더라도 화질이 떨어지지 않고,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편리하며, 또한 편집 및 전송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금융기관이나 중요 시설물, 회사 등과 같이 보안 및 감시가 필요한 분야에서 각광받아 왔으며, 점차 널리 보급되어 지하주차장, 일반 상점,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일반 시설물은 물론 TV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영역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매체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구비되는 저장매체는 그 용량에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러한 저장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저장매체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저장기간이 경과한 경우 기 저장된 파일을 부분적 또는 일괄적으로 삭제하여 저장 가능한 용량을 유지하였으며, 물론 중요한 파일의 경우에는 삭제 전에 별도의 저장매체에 백업(backup)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파일을 삭제하는 시점에서, 미래에 필요할 지도 모르는 범죄 사실의 확인이나 특정 화면의 열람 등을 고려하여 기 저장된 파일을 계속 보관할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우며,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전체적으로 백업하여 보관하지 않는 이상, 종래기술과 같이 기 저장된 영상정보를 자동 삭제할 경우 추후에 꼭 필요하게 될 영상정보까지 삭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엘리베이터, 전동차, 비행기, 선박, 은행 등에 설치되었을 경우 영상정보만으로는 현재의 운행방향, 하중 정보, 시간 정보, 내부 온도 정보, 공기 성분 등과 같은 정보들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나 이에 내장된 저장 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기 저장된 영상정보가 손실되어 영구히 복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매체의 용량 부족 또는 저장 기간의 경과로 인하여 중요한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이 자동으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운행방향, 하중 정보, 시간 정보, 내부 온도 정보, 공기 성분 등과 같은 영상보조정보를 영상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또는 이에 내장된 파일 저장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사전에 중요 파일을 별도의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함으로써 정보 손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영상정보 저장 시 영상과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될 경우 이를 별도의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제1 영상정보 저장부; 상기 제1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상기 제1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보조정보 변환부; 상기 제1 영상정보와 상기 변환된 영상보조정보를 결합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보조정보 결합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상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는,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 저장기; 상기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추출하는 보호파일 추출기; 상기 보호파일 추출기에서 추출된 파일을 제외하고 상기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파일 삭제기; 및 상기 보호파일 추출기에서 추출된 파일 중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보호파일 전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방법은, a)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영상정보 중 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 상기 파일보호 조건은 파일 삭제 금지, 우선순위에 따른 파일 삭제, 실시간 파일 전송, 및 일정 기간 경과 후 파일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임 - 및 c) 상기 추출된 파일을 제외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보안 감시 분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는 영상 입력 장치(1001~100n), 영상 보조 장치(1101~110n)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또한 통신망(3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400)이나 외부 저장매체(5001~500m)와 연결된다(n, m은 양의 정수).
영상 입력 장치(1001~100n)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는 감시용 카메라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 복수개의 영상 입력 장치(1001~100n)를 연결함으로써 동시에 복수개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는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보조정보로는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설치된 시설물이나 제조물과 관련된 상태정보 또는 위치정보, 영상 입력 장치(1001~100n)에서 영상정보가 생성된 시각정보, 영상정보와 관련된 음성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는 각종 센서, 타이머, 마 이크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영상보조정보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장치에서 보호할 파일을 선택할 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하에서는 영상 보조 장치가 실제 적용된 예를 몇 가지 설명한다.
우선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경우인데, 관리자는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내부 화면을 봄으로써 엘리베이터에 탄 사람이나 사물의 출입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내부에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층 입력 버튼이 있는 제어판)가 가려져 현재 몇 층에 위치하는지, 상향 중인지 하향 중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더 나아가, 영상정보만으로는 현재의 하중이나 시간, 내부 온도, 공기 성분(예, CO2 성분) 등에 대한 정보를 전혀 알 수 없는데, 영상 입력 장치(1001~100n)와 함께 하중 감지 센서, 타이머, 온도 감지 센서, 공기 성분 분석 센서 등의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를 엘리베이터에 설치함으로써 관리자는 현재 촬영되고 있는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알 수 있다. 물론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는 전술한 센서들과 같이 자체적으로 영상보조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형태도 있지만,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제어부가 제공하는 위치(층수) 정보, 운행(상향 또는 하향) 정보 등을 수집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만약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은행에 설치된 경우에는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를 현금자동인출기나 비상벨 등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현금자동인출기에서 인출된 금액, 인출 시간, 비상벨 작동 여부 등의 영상보조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전동차, 선박, 비행기 등 운송수단에 설치된 경우에는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 속도, 운행 방향, 연료 상태, 동작 상태 등의 영상보조정보를 얻을 수 있는 영상 보조 장치(1001~100n)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제2 영상 입력 장치(1002)와 같이 영상 입력 장치만(1001~100n)으로도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면, 영상 입력 장치(1001~100n)와 함께 반드시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를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하나의 영상 입력 장치(1001~100n)에 복수개의 영상 보조 장치(1101~110n)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역으로 복수개의 영상 입력 장치(1001~100n)와 하나의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정보 저장기(210), 보조정보 결합기(220), 보호파일 추출기(230), 보호파일 전송기(240) 등을 포함한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영상정보 저장기(210)는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보조정보 결합기(220)는 영상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보조정보를 영상정보와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장치(200')는 보호파일 추출기(230)와 보호파일 전송기(240)를 포함하는데, 보호파일 추출기(230)는 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보호파일 전송기(240)는 보호파일 추출기에서 추출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파일 보호 장치에 대하여 상세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각 구성요소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정보 저장기(210)는 제1 영상 저장부(211)와 제2 영상 저장부(212)를 포함한다.
제1 영상정보 저장부(211)는 영상 입력 장치(1001~100n)로부터 수신한 원래의 영상정보인 제1 영상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제2 영상 저장부(212)는 상기 제1 영상정보 저장부(211)에서 전송된 제1 영상정보와 영상 보조 장치(1101~110n)에서 전송된 영상보조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제1 영상정보 저장부(211)와 제2 영상정보 저장부(212)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DVD, CD 등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정보 저장부(211)의 경우 제1 영상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처리속도가 빠른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영상정보 저장부(212)는 장기간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비교적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정보 결합기(220)는 보조정보 변환부(221)와 보조정보 삽입부(222)로 구성된다.
먼저 보조정보 변환부(221)는 영상 보조 장치(1101~110n)로부터 수신한 영상보조정보를 제1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format)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으로는 텍스트(tex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텍스트 이외에 음성이나 이미지 등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보조정보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가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경우 영상 보조 장치(1101~110n)에서 입력되는 엘리베이터의 층 정보, 방향 정보(상향 또는 하향), 하중 정보, 온도 정보 등의 보조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보조정보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은행에 설치된 경우 현금자동인출기에서 인출된 금액, 인출 시간, 비상벨 작동 여부 등의 보조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보조정보는 상기 영상 입력 장치(1001~100n)가 전동차, 선박, 비행기 등 운송수단에 설치된 경우 해당 운송수단의 운행 속도, 운행 방향, 연료 상태, 동작 상태 등의 보조정보일 수 있다.
보조정보 삽입부(222)는 보조정보 변환부(221)에서 변환된 영상보조정보를 제1 영상정보에 결합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영상정보와 관련 영상보조정보가 결합되어 생성된 제2 영상정보가 출력된 화면을 예시하는데, 도 4a는 제1 영상정보와 영상보조정보가 단순 결합된 경우로 제1 영상정보가 출력되면서 동시에 그 하단에 영상보조정보가 텍스트화되어 제2 영상정보가 생성된 것이며, 도 4b는 제1 영상의 일부에 영상보조정보가 삽입되어 재구성됨으로써 제2 영상정보가 생성된 것이다. 여기서 텍스트가 삽입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단 또는 우측 등 화면을 식별하는데 곤란함이 없는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제2 영상정보는 전술한 제2 영상정보 저장부(212)에 파일(file)의 형태로 저장되고,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 연결된 CRT 모니터, LCD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출력된다.
파일 삭제기(214)는 제2 영상 정보 저장부(212)에 저장된 파일 중 저장할 기간이 만료되면 자동적으로 삭제하거나, 상기 제2 영상 정보 저장부(212)의 여유공간이 부족해지는 등의 이유로 파일을 삭제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시 해당 파일 삭제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파일 삭제기(214)를 통하여 자동으로 파일을 삭제 또는 수동으로 파일을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자동으로 파일을 삭제하도록 설정할 경우, 파일의 정보를 기초로 저장하도록 설정한 기간이 경과한 파일을 일괄적으로 삭제하거나, 여유공간이 전체공간 중 일정 비율 이하로 감소했을 때 파일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기초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파일을 여유공간을 확보할 때까지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보호파일 추출기(230)에서 각 파일에 설정된 보호기능을 통하여 보호할 필요성이 있는 파일까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저장매체의 여유공간이 전체공간의 10%이하가 되었을 때 최근 1개월 이전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도록 설정하면, 파일 삭제기(214)는 제2 영상정보 저장부(212)의 여유공간이 10%가 남게 될 때 각 파일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통하여 최근 1개월 이전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한다. 이때, 파일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어있다면 해당파일은 삭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파일 삭제기(214)는 영상정보 저장기(210)에 포함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파일 추출기(230)는 보호파일 선택부(231)와 보호기능 설정부(232)를 포함한다.
보호파일 선택부(231)는 제2 영상정보 저장부(212)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는 제2 영상정보를 포함함) 중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조건(이하, ‘파일보호 조건’이라 함)에 따라 보호할 파일을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특정한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선택할 수 있고(수동 선택), 미리 설정을 통하여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상황 시 자동으로 해당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자동 선택).
상기 파일보호 조건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은행의 경우 현금자동인출기에서 일정한도 이상의 금액이 인출될 때, 엘리베이터의 경우 소정 인원 초과 탑승 또는 일정 온도 초과나 공기 성분의 급격한 변화 발생시, 차량의 경우 제한속도 초과시 또는 급격한 속도 변동시 등을 파일보호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 영상 입력 장치(1001~100n), 영상 보조 장치(1101~110n) 등의 장비에 각종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파일보호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호파일 선택부(231)는 이러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영상보조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보조정보는 영상이 촬영 또는 생성되는 시점에서의 얻어진 보조 정보이며, 사용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사용 목적에 따라 영상 보조 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파일보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보호기능 설정부(232)는 보호파일 선택부(231)에서 선택한 파일에 보호기능을 설정한다. 여기서 보호기능은 파일의 특정 영역에 해당 파일에 대한 전송정보, 저장정보 등을 삽입함으로써 추후 저장 용량 부족으로 자동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정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구성도를 도시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의 특정 영역에 보호기능 설정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파일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파일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시간정보, 영상 입력 장치의 채널정보, 영상 내의 움직임 정보인 모션벡터(motion vector) 그리고 영상 데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시간정보는 현재 저장되 는 시간을 시, 분, 초 단위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정보는 현재 영상을 전송하고 있는 영상 입력 장치(1001~100n)의 채널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동영상 압축 기법에 의하여 모션벡터를 이용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며 영상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파일의 특정 영역에 보호기능 설정 영역을 별도로 할당하여 보호기능 설정여부를 표시한다. 도 5에서 파일1은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파일이며, 파일2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파일인데, 이는 보호기능 설정 비트로 1비트를 할당하여 '0(미설정)' 또는 '1(설정)'로서 보호기능 설정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보호기능 설정 영역은 2비트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기능 미설정, 파일 삭제 금지, (저장용량이 부족한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파일, 실시간 파일 전송, 일정 기간 경과 후 파일 전송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파일을 전송할 외부 저장매체나 외부 저장매체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보호파일 전송기(240)는 보호파일 전송부(241)와 접근권한 획득부(242)를 포함한다.
먼저 접근권한 획득부(242)를 설명하면, 이는 보호파일 추출기(230)에서 추출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5001~500m)에 저장하기 위하여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접근권한 획득부(242)는 IP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주소, 주민등록 번호, 사업자 번호 중 하나 이상을 접근권한을 얻기 위한 인증정보로써 사용한다. 물론, 외부 저장매체와의 상호 인증정보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기타 보안성이 유지되는 정보들을 접근권한 획득을 위한 인증정보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파일 전송부(241)는 보호기능이 설정된 파일 중 파일전송이 선택된 파일을 기 설정된 외부 저장매체(5001~500m)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파일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호파일 전송부(241)는 외부 저장매체 접근 또는 접속을 위해 별다른 사용자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면, 인증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보호기능이 설정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한다. 그러나, 외부 저장매체에 대한 접근을 위한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면 전술한 접근권한 획득부(242)와 연동하여 접근권한을 획득한 후 파일을 전송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 자체에 구비된 사용자 입출력 수단(미도시)과는 달리 별개의 단말로 구현된 것으로, 이는 통신망(300)을 통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또한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단말(예, 컴퓨터, 휴대인터넷 단말, 이동통신 단말, PCS 단말, ETCS 단말, PDA, PMP 등)이다. 즉, 사용자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서 보호할 파일을 선택하고 외부 저장매체 (5001~500m)로 전송하도록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 더(200)로부터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할 외부 저장매체의 여유공간을 확인하고, 공간이 부족한 경우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확보하거나 또는 다른 외부 저장매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저장매체(5001~500m)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로부터 통신망(300)을 통하여 전송된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저장매체는 통신망(300)을 통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의 직접적인 제어를 받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별개의 시스템이나 단말에 구비되어 해당 시스템 또는 단말의 제어를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저장매체에 대한 접근을 위하여 인증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전술한 접근권한 획득부(242)이다. 한편, 외부 저장매체(5001~500m)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몇 개의 저장매체가 그룹을 형성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파일보호 기능 설정시 파일을 백업할 저장매체를 미리 선택하여 설정(예컨대, 파일의 보호기능 설정 영역에 저장매체 식별자가 포함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방법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보호 방법은 전술한 파일 보호 장치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단계 S610에서,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제1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620에서는, 영상보조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1 영상정보와 결합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영상정보는 파일의 형태로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다. 단계 S630에서는,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 파일 중 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파일을 선택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파일보호 조건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640에서는, 선택된 파일에 대하여 파일보호 기능을 설정한다. 파일보호 기능은 파일 삭제 금지, 우선순위에 따른 파일 삭제, 실시간 파일 전송, 일정 기간 경과 후 파일 전송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는, 선택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기 위하여 해당 외부 저장매체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한다. 이 과정에서, 외부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파일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하거나 아니면 또 다른 저장매체에 접근을 시도하여 접근권한을 획득한다. 마지막으로, 외부 저장매체에 대한 접근권한이 획득되면, 단계 S660에서, 선택된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요한 사건이 기록된 파일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고 백업함으로써 저장장치의 용량부족 또는 저장기간 경과로 인한 자동삭제 등으로부터 중요한 사건이 기록된 파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또는 영상정보 저장기에 이상이 발생시에도 외부 저장매체로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파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입력 장치가 설치된 장비의 운행방향, 동작상태 등과 같은 보조정보들을 영상정보에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해당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제1 영상정보 저장부;
    상기 제1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상기 제1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보조정보 변환부;
    상기 제1 영상정보와 상기 변환된 영상보조정보를 결합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보조정보 결합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제2 영상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정보 중 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선택하는 보호파일 선택부; 및
    상기 보호파일 선택부에서 선택된 파일의 소정 영역에 파일 보호기능을 설정하는 보호기능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제1 영상의 시간정보, 채널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영상보호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보호기능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능이 설정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보호파일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접근권한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조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상태정보,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은 텍스트, 이미지, 및 음성 포맷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8.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로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 저장기;
    상기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추출하는 보호파일 추출기;
    상기 보호파일 추출기에서 추출된 파일을 제외하고 상기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파일 삭제기; 및
    상기 보호파일 추출기에서 추출된 파일 중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보호파일 전송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파일 추출기는,
    상기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상기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선택하는 보호파일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파일의 소정 영역에 파일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보호기능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보호 조건은 파일 삭제 금지, 우선순위에 따른 파일 삭제, 실시간 파일 전송, 일정 기간 경과 후 파일 전송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파일 전송기는,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접근권한 획득부: 및
    상기 접근권한이 획득되면, 상기 보호파일 추출기에서 추출된 파일을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보호파일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IP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주소, 주민등록 번호, 사업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에 상기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결합하는 보조정보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디지털 비 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 결합기는,
    상기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조정보를 상기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보조정보 변환부; 및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변환된 영상보조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영상정보 저장기에 저장되도록 하는 보조정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와 결합하기 위한 포맷은 텍스트, 이미지, 및 음성 포맷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조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상태정보, 위치정보, 및 방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7.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입력 영상의 시간정보, 채널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 고, 영상보호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보호기능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18. 적어도 하나의 영상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방법으로서,
    a)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영상정보 중 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 상기 파일보호 조건은 파일 삭제 금지, 우선순위에 따른 파일 삭제, 실시간 파일 전송, 및 일정 기간 경과 후 파일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임 - 및
    c) 상기 추출된 파일을 제외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설정된 파일보호 조건이 파일 전송인 경우 상기 추출한 영상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관련된 영상보 조정보를 상기 영상정보에 결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정보에 결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방법.
KR1020060115496A 2006-11-21 2006-11-2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849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96A KR100849130B1 (ko) 2006-11-21 2006-11-2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96A KR100849130B1 (ko) 2006-11-21 2006-11-2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52A true KR20080046052A (ko) 2008-05-26
KR100849130B1 KR100849130B1 (ko) 2008-07-30

Family

ID=3966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496A KR100849130B1 (ko) 2006-11-21 2006-11-2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1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037B1 (ko) * 2008-10-2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Iptv에서의 방송 녹화 장치 및 방송 녹화 방법
WO2016027940A1 (ko) * 2014-08-21 2016-02-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리코더
KR101865500B1 (ko) * 2017-02-14 2018-07-13 한국광기술원 자막영상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835B1 (ko) * 2002-08-14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백업 제어방법
KR20040032191A (ko) * 2002-10-01 2004-04-17 (주)한기술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KR101044602B1 (ko) * 2004-08-31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백업 장치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037B1 (ko) * 2008-10-2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Iptv에서의 방송 녹화 장치 및 방송 녹화 방법
WO2016027940A1 (ko) * 2014-08-21 2016-02-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비디오 리코더
KR101865500B1 (ko) * 2017-02-14 2018-07-13 한국광기술원 자막영상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130B1 (ko)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7143B2 (en) Digital video authenticator
US8724964B2 (en) Managing multiple user locks and deletion requests for a digital video recorder
US8350907B1 (en) Method of storing digital video captured by an in-car video system
JP4343670B2 (ja) 映像保存システムおよび映像保存方法
CN102088586A (zh) 控制设备、控制方法和程序
JP4201570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20100019011A (ko) 영상제공장치, 영상출력장치, 영상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방법
KR100710271B1 (ko) 외부기기와 티브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80035423A (ko) 연결된 외부기기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적합한 메뉴화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0849130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US8689322B2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US20040146282A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data to be deleted in digital video recorder
JP5460497B2 (ja) 監視映像レコーダ装置及び監視映像表示端末
JP2008118627A (ja) 映像記録再生システム
KR101133125B1 (ko) 촬영시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US7457512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JP2006294100A (ja) 記録制御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US20120120242A1 (en) Security-enhanced cctv system
JP2007188377A (ja) 電子装置とその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及びバックアップサービス提供方法
JP450822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38493A1 (ja) 映像管理システム
KR100936516B1 (ko)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JP2011108108A (ja) デジタルビデオシステム
JP4977834B2 (ja) 記録装置
US20130034342A1 (en)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