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216A -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216A
KR20080042216A KR1020060110303A KR20060110303A KR20080042216A KR 20080042216 A KR20080042216 A KR 20080042216A KR 1020060110303 A KR1020060110303 A KR 1020060110303A KR 20060110303 A KR20060110303 A KR 20060110303A KR 20080042216 A KR20080042216 A KR 20080042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ock absorbing
buffer bag
bag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차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216A/ko
Publication of KR2008004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7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시트의 내측 상/하부에 오리피스를 매개로 연결된 완충백을 설치하여 시트에 앉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210)과, 상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일단에 설된 시트백(220)로 이루어진 시트(200)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2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된 상부 완충백(212)과, 상기 시트쿠션(2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된 하부 완충백(213)과, 상기 상부 완충백(212) 및 하부 완충백(213)에 충입된 완충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완충백(212)과 하부 완충백(213)의 사이에 설치된 오리피스(211)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 시트, 시트쿠션, 오리피스, 진동, 공진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Oscillation decrease device of seat for car}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적마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시트
210 : 시트쿠션
211 : 오리피스
212 : 상부 완충백
213 : 하부 완충백
220 : 시트백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시트의 내측 상/하부에 오리피스를 매개로 연결된 완충백을 설치하 여 시트에 앉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시트(100)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110)과, 그 시트쿠션(1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120)로 크게 구분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110)의 내부에는 S'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다수개의 시트쿠션 스프링(111)이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 스프링(111)은 그 형상 때문에 보통 S-스프링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시트쿠션(110)의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쿠션 프레임(114)에 마련된 스프링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시트쿠션 스프링(111)은 착석자로부터 받는 하중을 적당한 탄력으로 흡수하여 착석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111)의 상부 표면에는 스프링(1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1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쿠션(110)의 외측면에는 커버(1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쿠션(110)에 앉은 상태에서 차량 중행 중 발생되는 진동은 스프링(111) 및 쿠션(112)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이 주행 중에는 차량의 서스펜션 및 파워트레인 강체모드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진성 진동과 시트의 구조가 가지고 있는 공진 특성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는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을 어느 정도 감소 할 수는 있지만, 공진성 진동을 감소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차량에서 발생되는 공진성 진동이 사용자(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체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영역의 진동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경우에는 쾌적한 주행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시트의 시트쿠션 내부에 상부 완충백 및 하부 완백을 마련하고, 그 상부 완충백과 하부 완충백은 오리피스를 매개로 연결하여 차량에서 발생되는 공진성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는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과, 상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일단에 설된 시트백로 이루어진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된 상부 완충백과, 상기 시트쿠션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된 하부 완충백과, 상기 상부 완충백 및 하부 완충백에 충입된 완충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완충백과 하부 완충백의 사이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적마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시트(200)가 마련되어 있되, 그 시트(200)는 운전자 및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210)과, 상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일단에 설된 시트백(220)로 크게 구분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210)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 완충백(212)이 내장되어 있되, 그 상부 완충백(212)의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210)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 완충백(213)이 내장되어 있되, 그 하부 완충백(213)의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완충백(212)과 하부 완충백(213)의 사이에는 상부 완충백(212) 및 하부 완충백(213)에 충입된 완충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211)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211)의 상단은 상부 완충백(212)의 저면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부 완충백(212)의 하단은 하부 완충백(213)의 상면 중앙부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완충백(212)과 하부 완충백(213)은 오리피스(211)를 통하여 이동하는 완충액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운전자, 탑승객)가 시트(200)에 마련된 시트쿠션(210)에 앉으면, 그 내부에 내장된 상부 완충백(212)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주행 중 공진에 의한 진동이 시트(200)로 전달되면, 그 공진에 의한 진동은 하부 완충백(213)으로 전달되고, 상기 하부 완충백(213)으로 전달된 진동은 오리피스(211)를 통과하면서 감소된다.
즉, 공진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은 오리피스(211)를 통과하면서 감소되어 상부 완충백(212)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시트의 시트쿠션 내부에 설치된 상부완충백과 하부 완충백이 오리피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공진에 의한 진동이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면서 감소되므로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시트쿠션(210)과, 상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쿠션의 일단에 설된 시트백(220)로 이루어진 시트(200)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2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된 상부 완충백(212)과, 상기 시트쿠션(2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완충액이 충입된 하부 완충백(213)과, 상기 상부 완충백(212) 및 하부 완충백(213)에 충입된 완충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완충백(212)과 하부 완충백(213)의 사이에 설치된 오리피스(21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211)의 상단은 상부 완충백(212)의 저면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부 완충백(212)의 하단은 하부 완충백(213)의 상면 중앙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완충백(212)과 하부 완충백(213)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KR1020060110303A 2006-11-09 2006-11-09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KR20080042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303A KR20080042216A (ko) 2006-11-09 2006-11-09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303A KR20080042216A (ko) 2006-11-09 2006-11-09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216A true KR20080042216A (ko) 2008-05-15

Family

ID=3964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303A KR20080042216A (ko) 2006-11-09 2006-11-09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2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299B1 (ko) 2015-07-14 2016-08-23 주식회사 씨텍코리아 진동 저감 패드의 설치 방법
US10399469B2 (en) 2017-03-08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se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299B1 (ko) 2015-07-14 2016-08-23 주식회사 씨텍코리아 진동 저감 패드의 설치 방법
US10399469B2 (en) 2017-03-08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2942B2 (ja) 乗物用座席
JP5513213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2019048626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WO2006022315A1 (ja) シート
JP2011207442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5361321B2 (ja) 車両用シート
JPH10226255A (ja) ヘッドレスト
WO2012133675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JP2004229957A (ja) 座席構造
JP6842045B2 (ja) シート
JP2015066971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トリムカバー
KR20080042216A (ko) 차량용 시트의 진동 저감 구조
CN207617583U (zh) 一种具有填充功能的安全座椅
WO2019082876A1 (ja)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乗物用シート
JP2019077437A (ja)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乗物用シート
JPH09117346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6453414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RU2666005C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706219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CN218986272U (zh) 汽车轻量化底盘减震支架
JP4141939B2 (ja) 自動車の座席
JP7052693B2 (ja) 車両シート構造
JP622417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JP5956628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車両用シート
JP2004066931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