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866A -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866A
KR20080041866A KR1020060110010A KR20060110010A KR20080041866A KR 20080041866 A KR20080041866 A KR 20080041866A KR 1020060110010 A KR1020060110010 A KR 1020060110010A KR 20060110010 A KR20060110010 A KR 20060110010A KR 20080041866 A KR20080041866 A KR 2008004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ideo
screen
image
time peri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866A/ko
Publication of KR2008004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Abstract

영상 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영상 탐색 방법은,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복수의 제1 시구간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시구간들의 동영상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시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시구간을 복수의 제2 시구간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구간들의 동영상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동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되어 영상 탐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영상, 탐색

Description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The method searching image and the image de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탐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5 : 파일 저장부 135 : 표시정보 조합부
145 : 디스플레이 170 : 제어부
190 : 조작부
본 발명은 영상탐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면서 영상을 탐색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영상기기(예를 들면, TV, Set Top Box)는 파일이 저장되는 기록매체를 내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따라서, 영상기기는 내장된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뿐만 아니라, 영상기기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양자는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기에, 영상기기는 외부기기에 내장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영상을 탐색하고자 할 경우, 영상기기의 트릭 재생(trick play) 중 고속 재생(Fast Forward Play) 또는 고속 역재생(Fast Reverse Play)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트릭재생을 이용하여 특정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재생하고자 하는 특정 영상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미리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고속 재생의 경우 원하는 장면을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다시 역재생(Reverse Play)이나, 고속 역재생(Fast Reverse Play)을 이용하여 특정 영상을 탐색해야 하는 시행착오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특정 영상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며, 특정 영상의 위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노말 재생(Normal Forward Play), 저속 재생(Slow Forward Play), 또는 역재생(Reverse Play) 등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영상 탐색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 의 목적은, 사용자가 영상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러 개의 동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은, a)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복수의 제1 시구간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제1 시구간들의 동영상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제1 시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시구간을 복수의 제2 시구간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제2 시구간들의 동영상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2 시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내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동영상을 확대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 재생가능시간은 다른 시구간들의 재생가능시간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하나의 화면에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들 각각의 일 영역에 시구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긴는,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구성하는 시구간을 복수의 다른 시구간으로 세분화하고, 상기 세분화된 시구간의 동영상들 각각이 상기 표시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기기(100)는 방송수신부(110), 파일저장부(115), 입력단자부(120), 스위칭부(125), A/V 처리부(130), 표시정보 조합부(135), 비디오 구동부(140), 디스플레이(145), 출력단자부(150), 오디오 구동부(155), 스피커(160), 제어부(170), 메모리(180) 및 조작부(190)를 구비한다.
방송수신부(110)는 TV방송을 선국하여 복조한다. 파일저장부(115)는 동영상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동영상을 읽어들인다. 파일저장부(115)에는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기록매체가 이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HDD(Hard Disk Drive)를 들 수 있다.
입력단자부(120)는 외부기기(200)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력단자부(12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로서 PC, 카메라, 캠코더, DVD 플레이어, PMP, HDD 플레이어 및 메모리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외부기기(200)를 예시한데 불과한 것으로, 동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내장한 기기라면 어느 기기라도 외부기기로서 역할가능하다.
스위칭부(125)는 방송수신부(110), 파일저장부(115) 및 입력단자부(120)의 출력들 중 어느 하나가 A/V 처리부(130) 또는 제어부(17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동작 한다. 스위칭부(125)의 스위칭동작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른다.
신호 처리부(130)는 스위칭부(125)를 통해 전달받은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가 재생가능하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30)는 비디오 신호는 표시정보 조합부(135)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구동부(155)로 각각 전달한다.
표시정보 조합부(135)는 A/V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에 문자, 기호, 도형, 그래픽 등의 표시정보를 조합처리한다. 이때, 표시정보 조합부(135)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정보 조합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시정보 조합부(135)의 조합처리동작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른다.
비디오 구동부(140)는 표시정보 조합부(135)에서 출력되는 표시정보가 조합처리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145)에 표시하거나 출력단자부(150)를 통해 연결된 또 다른 외부기기(미도시)로 전송한다.
오디오 구동부(155)는 A/V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출력단자부(150)를 통해 연결된 또 다른 외부기기(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후술할 조작부(19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영상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파일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또는 입력단자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파악하고, 재생가능시간을 복수의 시구간으로 세분화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복수의 시구간 각각의 동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게 하기 위해 파일 저장부(115) 등에 저장되어 있는 시구간에 해당하는 각각의 동영상을 독출하여 A/V 처리부(130)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 부(170)는 A/V 처리부(130)가 인가받은 동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신호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조작부(19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영상기기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9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컨과 리모컨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수광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또한, 조작부(190)는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도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을 탐색하는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탐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영상 재생명령이 입력되면(S210-Y),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영상기기를 제어한다(S215).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파일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명령을 조작부(190)를 통해 입력하면, 스위칭부(125)는 파일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스위칭부(125)에서 출력된 동영상은 A/V 처리부(130)로 인가되어 신호처리된 다음, 비디오신호는 표시정보 조합부(135), 비디오 구동부(140) 및 디스플레이(145)를 거쳐 출력되는 반면,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구동(155)부 및 스피커(160)를 거쳐 출력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 탐색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2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작부(190)에 구비된 영상 탐색 버튼을 이용하여 영상 탐색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동영상 탐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영상 탐색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220-Y), 제어부(170)는 스위칭부(125)를 통해 파일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9개의 시구간으로 세분화한다(S225).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이라 함은 하나의 동영상이 재생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이 90분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0, 10-20, ......80-90인 10분 단위의 9개 시구간으로 세분화한다. 시구간을 세분화함에 있어서, 시구간들의 재생가능시간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구간들의 재생가능시간이 일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어부(170)는 세분화된 시구간의 동영상들 각각을 시간 순서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재생되도록 영상기기를 제어한다(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세분화된 9개의 시구간 중 0분, 10분, ....80분에 해당하는 영상을 파일저장부(115)에서 독출하여 A/V 처리부(130)로 인가한다. A/V 처리부(130)는 상기한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으로 신호처리하여 표시정보 조합부(135), 비디오 구동부(140)를 거쳐 디스플레이(145)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비디오 신호만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어 재생되도록 하기 때문에 제어부(170)는 파일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를 독출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어부(170)는 세분화된 9개의 시구간의 시작시점에서부터 시간 순서 대로 동영상을 독출하여 A/V 처리부(130)로 인가하기 때문에 상기한 시구간에 해당하는 동영상들 각각은 하나의 화면에 할당된 특정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70)는 상기 동영상이 어느 시구간내에 있는 동영상인지에 대한 정보인 시구간에 대한 정보가 동영상들 각각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조합부(135)를 제어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이 9개의 셀로 세분화되어 있고, 좌측 상단의 셀에는 0-10분에 해당하는 시구간의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다는 정보인 시구간에 대한 정보(0-10)를 상기한 셀의 일 영역인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9개의 시구간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235).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9개의 동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시청하다가, 탐색하고자 하는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시구간을 조작부(19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이 40-50분의 시구간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90)에 구비된 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40-50분의 시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시구간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235-Y), 제어부(170)는 선택된 시구간을 9개의 시구간으로 세분화한다(S240).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50분의 시구간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40-50분의 시구간을 9개의 시구간인 40-41분, 41-42분,..., 47-48.5분, 48.5-50분으로 세분화한다.
제어부(170)는 세분화된 시구간의 동영상들 각각을 하나의 화면에 재생되도록 영상기기를 제어한다(S245). 즉, S230과 마찬가지로, 제어부(170)는 세분화된 9 개의 시구간의 시작시점에서부터 시간 순서대로 영상들이 하나의 화면에 할당된 특정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들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이 선택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250). 사용자가 하나의 세분화된 시구간의 동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서 시청하다가, 탐색하고자 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조작부에 구비된 확인버튼을 이용하여 상기한 영상이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S250-Y), 제어부(170)는 선택된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S255). 이후, 사용자는 탐색하고자 하는 영상부터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반면, S250단계에서 사용자는 동영상의 시구간을 다시 세분화하고자 할 경우, 즉,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지 않고(S250-N), 재생되고 있는 9개의 시구간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면(S235-Y), 제어부(170)는 다시 선택된 시구간을 9개의 시구간으로 세분화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90)를 통해 44-45분의 시구간을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44-45분의 시구간을 9개의 시구간인 44분 00초-44분 06초, 44분 06초-44분 12초, ... 44분 48초-45분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구간의 동영상들 각각이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기기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들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없는 블록은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기기가 셋탑박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피커는 생략하고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동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되어 영상 탐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a)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복수의 제1 시구간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제1 시구간들의 동영상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제1 시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시구간을 복수의 제2 시구간들로 세분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제2 시구간들의 동영상들 각각을 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시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시구간내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동영상을 확대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구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 재생가능시간은 다른 시구간들의 재생가능시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화면에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들 각각의 일 영역에 시구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5.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가능시간을 구성하는 시구간을 복수의 다른 시구간으로 세분화하고, 상기 세분화된 시구간의 동영상들 각각이 상기 표시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60110010A 2006-11-08 2006-11-08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20080041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10A KR20080041866A (ko) 2006-11-08 2006-11-08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10A KR20080041866A (ko) 2006-11-08 2006-11-08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66A true KR20080041866A (ko) 2008-05-14

Family

ID=3964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10A KR20080041866A (ko) 2006-11-08 2006-11-08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8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5285A2 (en) Channel switching method in broadcast recorder
CN101513048A (zh) 控制接收机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接收机
JP2006135851A (ja) 映像機器一体型映像表示装置
JP2007067593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101053732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KR20080100609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콘텐츠 재생방법
KR20070121206A (ko) 통합 파일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7938753B2 (en) Training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KR1008548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목록 표시 장치 및 방법
JP4686628B2 (ja) 電子機器及び番組表表示方法
KR20080041866A (ko) 영상탐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N100414640C (zh) 通过单个在屏显示控制多个设备的组合系统及控制方法
JP2007274446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2011071585A (ja) 電子機器
JP3132432U (ja) 動画分割表示装置
CN101552894A (zh) 用于记录和再生图像的方法和装置
KR100664830B1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기에서의 녹화 화질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182568A (ja) 記録再生複合機
JP2005020597A (ja) 映像受信装置、及び映像受信システム
JP200810931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6094410A (ja) 放送受信装置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513329B1 (ko) 복합 영상기기에서의 오에스디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JP4818471B2 (ja) 電子機器
KR100513330B1 (ko) 복합 영상기기에서의 오에스디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