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646A -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646A
KR20080041646A KR1020087003365A KR20087003365A KR20080041646A KR 20080041646 A KR20080041646 A KR 20080041646A KR 1020087003365 A KR1020087003365 A KR 1020087003365A KR 20087003365 A KR20087003365 A KR 20087003365A KR 20080041646 A KR20080041646 A KR 2008004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ing
wireless
switch
signals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022B1 (ko
Inventor
엔드레스 슈우스터
부르노 펠하우어
Original Assignee
슈운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스판-운트 그레이프테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운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스판-운트 그레이프테크닉 filed Critical 슈운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스판-운트 그레이프테크닉
Publication of KR2008004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6Detection of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28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21Chucks or sockets with measuring, indicating or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은, 상기 기계 요소의 특정 상태 또는 상기 기계 요소의 일부의 특정 위치에서 파워 없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 요소 단부에 배열되는 폴링 서브유닛;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모드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스위칭 신호들을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과 함께 전송하는 무선 전송 유닛; 및 상기 무선 전송 유닛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기 파워 소스(6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링 시스템은 상기 폴링 서브유닛에 대해 고정적이고, 상기 무선 전송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수신,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Figure P1020087003365
폴링, 기계 요소, 이동 기계, 파워

Description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Polling system for a moved machine component}
본 발명은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폴링 시스템은 DE 103 07 565 A1 특허에 잘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회전 파워 척(chuck)에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공간들이 압력 센서들을 이용해서 모니터된다. 상기 압력 센서들은 상기 척과 함께 회전하는 재충전가능 배터리로부터 파워를 전기적으로 공급받는다. 고정적이고 비회전적인 수신기가 상기 압력 센서들에 할당된다. 상기 압력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평가하는 유닛에 상기 수신기가 연결된다.
종래에는 전기적 파워를 필요로 하는 압력 센서에 의해서 압력이 측정되었으며,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은 무선으로(by radio) 상기 수신기에 전송된다. 압력 측정을 하는 동안에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무선파를 전송하는 것은 모두 전기적 파워를 한다. 상기 재충전가능 배터리로부터의 전기적 파워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작동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적은 전기적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적은 에너지 소비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유지 간격을 갖는,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계 요소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기계 요소의 특정 상태 또는 상기 기계 요소의 특정 위치에서 파워 없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제공받는 제1 폴링 서브유닛,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모드들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스위칭 신호들을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과 함께 전송하는 무선 전송 유닛, 및 상기 무선 전송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적 파워 소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링 시스템은, 상기 폴링 서브유닛에 대해 고정적이고 상기 무선 전송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수신,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더 나은 장점을 가지며, 상기 장점은 파워 없이 작동하여 어떠한 전기적 파워도 소비하지 않는 스위치이다. 상기 스위치는, 이동가능한 기계 요소의 특정 상태 또는 상기 기계 요소 부분의 특정 위치에서 작동한다. 본 발명의 폴링 시스템은, 상기 스위칭 신호들을 평가하는데, 상기 스위칭 신호들을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로 변환하는데, 및 상기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을 전송하는데에만 전기적 파워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기계 요소 단부에서의 폴링 서브유닛의 파워 소스는 상기 라디오 전송 유닛에만 파워를 공급한다. 전송된 상기 스위칭 모드의 신호들이 아날로그 신호가 아니라 이미 평가된 디지털화된 라디오 스위칭 신호들이기 때문에, 전송기의 에너지 소비는 감소된다. 디지털 신호들의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행되고, 따라서 1 밀리초 범위에서의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링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수신 유닛은 상기 무선 전송 유닛에서의 디지털 신호들을 수신,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은 상기 이동 기계 요소들을 제어하는 기계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의 에너지 소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스위치의 스위칭 모드가 변경될 때 상기 무선 스위칭 신호들만이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위칭 모드가 실질적으로 변경될 때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서만 전기적 파워가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파워 소스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련된 에너지 체크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이러한 신호들을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이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파워 소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파워 소스가 너무 약한지 여부 및/또는 상기 파워 소스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필요하면, 상기 기계 요소의 움직임을 중단시키는 등의 보호 조치가 취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은, 무선 접촉 신호들이 전송되고 상기 수신 유닛이 이러한 신호들을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절한 무선 접촉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만약에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이 수신되지 않으면, 예컨대 경보가 발생,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링 시스템의 기능적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파워 소스 체크 신호들 및/또는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이 사용된다. 이것은 폴링 시스템의 결함을 신뢰있고 적시적으로 탐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적 파워의 소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체크 신호들 및/또는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폴링 및/또는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시간 간격은 상기 이동 기계 요소의 안전 관련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되는 파워 소스가 배터리이면, 매 수초마다 한번씩 파워 소스 체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워 소스 체크 신호 및/또는 무선 접촉 체크 신호는 상기 무선 전송 유닛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은 작동 모드, 설정 모드, 및 저장 모드로 스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기계 요소의 일반적 작동 동안에 사용되며, 특히 에너지를 절약한다. 상기 설정 모드는, 상기 폴링 시스템을 설정하고 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무선 스위칭 신호들의 전송 또는 상기 무선 스위칭 신호들의 수신을 광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 신호 외에도 광학 신호 전송기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모드에서는 더 높은 에너지 소비가 용인된다. 제3 모드(저장 모드)에서는, 어떠한 파워 소비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파워 소스가 상기 무선 전송 유닛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세 모드들의 제공은 파워 소비를 더욱 최적화한다.
상기 모드들 간의 스위칭은 비접촉 자기 스위칭 요소(contactless magnetic switching element)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 자기 스위칭 요소의 제공은,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이 오랫동안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부식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고, 상기 폴링 시스템의 기능적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자기 요소는 예컨대 서로 다른 모드들을 설정하는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자기 핀(magnetic pin)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워 소스는 배터리, 또는 이용가능한 외부 에너지로부터 전기적 파워를 발생시키는 자체 파워 제네레이터일 수 있다. 상기 파워 제네레이터는 태양 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상기 스위치들은, 순간-접촉(momentary-contact) 스위치들, 유지-접촉(maintained-contact) 스위치들, 압력 스위치들, 또는 자기 근접 스위치들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들의 중요한 특징은, 그들이 전기적 파워 없이도 기능한다는 것이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래디얼 방향에서의 클램핑 조오(clamping jaws)를 지지하는 척 바디(chuck body)를 구비한 파워 척의 형태를 갖도록 배열되는 기계 요소에 의해서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목적이 수행된다. 이러한 척 바디는, 폴링 서브유닛이 상기 척 바디에 위치하는 폴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폴링 시스템에 의해서 상기 파워 척은 장점을 지니며, 예컨대 상기 클램핑 조오가 제품을 붙잡는 클램핑 압력 및/또는 상기 클램핑 조오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전기적 파워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수신 유닛으로 폴링되어 전송된다.
이 경우에, 파워 없이 작동하는 스위치가, 클램핑 압력 장비의 클램핑 압력 상태 및/또는 클램핑 조오의 클램핑 위치를 모니터하는 압력 스위치이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그러한 압력 스위치는 일반적인 클램핑 압력에 의해 작동되고, 예컨대 의도된 클램핑 압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척은, 무선 전송 유닛이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척 바디 표면 외부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최적의 무선 접촉이 척 바디의 무선 전송 유닛, 또는 관련된 안테나, 및 무선 수신 유닛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해준다.
상기 안테나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안테나는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척 바디 표면 외부의 곡선을 따라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의 나선형 형태 및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척 바디 표면 외부의 안테나 돌출로 인해 무선 신호가 적은 전송 파워를 이용하여 최적으로 신뢰도 있게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된 안테나는 실제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및 파워 소스와 더불어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은, 플라스틱 주조(plastic casting) 내에서 완전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에멀전 및/또는 칩들의 절단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을 보호한다.
자동화 요소 및 상기 자동화 요소에 대해서 고정적인 무선 수신 유닛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된 폴링 서브유닛인 폴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화 요소의 형태를 갖는 핸들링 시스템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는 기계 요소에 의해서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목적이 해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동화 요소는, 예컨대 로봇 팔과 같은 핸들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자동화 요소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링 시스템에 의해서, 상기 자동화 요소의 특정 위치 및/또는 특정 상태 또는 자동화 요소의 부분이 폴링될 수 있다.
특히, 자동화 요소들로서,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배열되는 조오(jaws)를 포함하는 그리핑 또는 클램핑 고정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폴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조오의 위치가 폴링되어 상기 무선 수신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화 요소는, 베이스 바디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위치하는 회전(swiveling) 요소를 포함하는 회전 유닛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링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요소의 위치를 폴링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요소는 신속-변화 시스템(quick-change system)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도구가 변경되었는지를 폴링하는데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이용되는 상기 자동화 요소는, 충돌 또는 과부하 상태로 인한 손상에 대해서 로봇 또는 로봇 조종기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충돌 또는 과부하 보호물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링 시스템은 충돌 또는 과부하 상태의 발생을 획득 또는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동화 요소는 선형 드라이브 및/또는 리프트 드라이브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브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리트프 요소의 위치를 폴링하여 전달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폴링 시스템이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자동화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들 및 장점들이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좀더 상세히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자동화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화 요소의 두 개의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전송 유닛을 도시한다.
도 3은 파워 척을 위한 제2 무선 전송 유닛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무선 전송 유닛에 결합하는 파워 척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2 또는 도 3에 따른 무선 전송 유닛을 위한 무선 수신 유닛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자동화 요소들을 도시한다. 첫째로, 회전 유닛은 베이스 하우징(12) 및 회전 요소(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둘째로, 평행 그리퍼(16)는, 베이스 하우징(18),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서 서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조오(20), 및 상기 조오 상의 그리퍼 핑거(22)를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세번째 자동화 요소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그리퍼 유닛이며, 베이스 하 우징(26) 및 서로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될 수 있는 두 개의 그리퍼 핑거들(28)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요소는 핸들링 시스템들에 의해서 3차원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기계 요소 부분들(10, 16, 24)은, 상기 이동 요소(14, 22, 28)의 방향 및 위치를 폴링하는 폴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링 시스템은, 상기 자동화 요소의 단부에 있는 폴링 서브유닛을 포함하고, 예컨대 상기 폴링 서브유닛은 회전 유닛(10)의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12) 위에; 평행 그리퍼(16)의 경우에는 베이스 하우징(18) 위에; 회전 그리퍼(24)의 경우에는 베이스 하우징(26)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폴링 서브유닛은 도 2에 도시되고, 도면 번호 30으로 식별된다. 상기 폴링 서브유닛(30)은, 파워 없이 작동하고 전기적으로 절연된 케이블(34)에 의해서 무선 전송 유닛(36)과 연결되는 두 개의 스위치들(32)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스위치들(32)은, 강자기성 요소 또는 영구 자석이 그들의 탐지 범위에 진입하였을 때 작동하는 리드(Reed) 스위치들의 형태를 갖는 자기 근접 스위치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스위치들은 파워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은 상기 스위치들(32)의 스위칭 신호들을 평가하고,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을 예컨대 무선 텔레그램의 형태로서 도 5에 도시된 무선 수신 유닛(38)으로 전송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상기 폴링 서브유닛(30)은 배터리의 형태를 갖는 파워 소스(미도시)를 포함한다. 태양 전지와 같은 파워 제네레이터는, 상기 배터리를 대신하여 또는 상기 배터리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들(32)이 전기적 파워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평가된 디지털 스위칭 신호들이 전송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 전송 유닛은 상대적으로 적은 전기적 파워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전송 유닛에 의해서 초당 하나의 디지털 무선 신호가 전송된다면, 최근 이용가능한 일반적인 배터리의 수명은 5 내지 10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송되는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의 전송 시간이 1 밀리초보다 짧을 때, 이러한 긴 배터리 수명이 보장된다.
도 3은 폴링 서브유닛(4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폴링 서브유닛은, 파워 척(44)이 회전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척 바디(42)를 구비한 파워 척(44)의 형태를 갖는 이동 기계 요소에 배열된다. 상기 척 바디(42)는, 래디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클램핑 조오(50)를 위한 래디얼 방향으로의 조오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조오(50)는 회전함으로써 기계화를 위해 중앙에 위치하는 제품들을 잡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링 서브유닛(40)은 파워 없이 작동하는 스위치(52), 특히 조오(50)의 클램핑 압력을 생성하는 클램핑 압력 장비의 클램핑 압력 상태를 모니터하는 압력 스위치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폴링 서브유닛(40)은, 상기 압력 스위치(52)의 스위칭 모드를 평가하고 디지털 무선 신호들에 의해서 상기 평가된 스위칭 신호들을 전송하는 무선 전송 유닛(54)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전송 유닛(54)은,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척 바디(42) 표면(60) 외부의 곡선(58)을 따라 돌출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안테나(56)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안테나(56)가 연장될 수 있는 상기 곡선(58)은 도 3에 명확히 도시된 다. 상기 폴링 서브유닛(40)이 상기 척 바디(42)에 장착될 때, 상기 안테나(56)의 주변 모서리(62)는 그 표면(42)과 함께 발광된다. 상기 배열은, 무선 신호들이, 상기 파워 척(44)이 빠르게 회전할 때도 상기 표면(42)으로부터 돌출되는 안테나(56)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소비를 이용해 최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4에서, 상기 폴링 서브유닛(40)은 상기 파워 척(44) 또는 파워 척의 척 바디(42)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척 바디(42)는 폴링 서브유닛(40)의 외부 치수들과 매칭되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봐와 같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안테나(56)는 회전축(46)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 외부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링 서브유닛(40)은 배터리(62)의 형태를 갖는 파워 소스를 포함한다. 배터리(62), 무선 전송 유닛(54), 및 안테나(56)는 플라스틱 주조에 완전하게 넣어진다. 장착될 때, 케이블을 통해 상기 무선 전송 유닛(54)에 연결되는 압력 스위치(52)는, 상기 클램핑 압력 장비의 압력 공간 내에 또는 위에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에 따른 무선 전송 유닛(36) 및/또는 도 4에 따른 무선 전송 유닛(40)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64)를 포함하고, 고정적인 무선 수신 유닛(38)을 도 5에서 도시한다. 상기 무선 전송 유닛(38)은 기계 제어기 특히 도 1에 따른 자동화 요소들(10, 16, 14) 및/또는 도 4에 따른 파워 척(44)을 제어하는 기계 제어기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66)를 포함하 며, 또한 전송된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은 상기 무선 수신 유닛(38)을 이용해 폴링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무선 전송 유닛은, 파워 소스들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련된 파워 소스 체크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에 상기 파워 소스 체크 신호들이 특정한 값 이하로 떨어지면, 이것은 상기 무선 수신 유닛(38)에 의해서 탐지, 디스플레이 및/또는 상기 기계 제어기로 전달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수신 유닛(38)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을 상기 무선 전송 유닛(30, 44)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만약에 일정하게 전송되는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것은 경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위치들(32, 52)의 스위칭 모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 수신 유닛(38)은 다양한 표시 램프, 즉 무선 전송 유닛(40)의 파워 소스 표시 램프(68), 무선 접촉 체크 램프(70), 및 두 개의 스위칭 접촉 표시 램프들(72)을 갖는다. 게다가, 무선 수신 유닛(38)의 파워 공급을 위해서 지표 램프(74)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이동 기계 요소(10, 16, 24, 44)용 폴링(polling)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계 요소의 특정 상태 또는 상기 기계 요소 일부의 특정 위치에서 파워 없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32, 52)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 요소 단부에 배열되는 폴링 서브유닛(30, 40);
    상기 스위치(32, 52)의 스위칭 모드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스위칭 신호들을 디지털 무선 스위칭 신호들과 함께 전송하는 무선 전송 유닛(36, 54); 및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 54)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기 파워 소스(62)를 포함하고,
    상기 폴링 서브유닛(30, 40)에 대해 고정적이고, 상기 무선 전송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수신,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수신 유닛(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 54)은 상기 스위치(32, 52)의 스위칭 모드가 변화될때만 상기 무선 스위칭 신호들이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 54)은, 상기 파워 소스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련 파워 소스 체크 신호들을 전송하며 상기 무선 수신 유닛이 상기 파워 소스 체크 신호들을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 54)은,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 수신 유닛이 상기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을 평가, 전달 및/또는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 54)은, 상기 파워 소스 체크 신호들 및/또는 무선 접촉 체크 신호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폴링 및/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36, 54)은 작동 모드, 설정 모드 및 저장 모드로 스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들 간의 스위칭은 비접촉 자기 스위칭 요소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소스(62)는 배터리 또는 파워 제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 52)는, 순간-접촉 스위치, 유지-접촉 스위치, 압력 스위치, 또는 자기 근접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링 시스템.
  10. 회전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 가능한 클램핑 조오(jaw)(50)를 지지하는 척(chuck) 바디(42)를 구비한 파워 척(44)의 형태를 갖는 기계 요소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폴링 서브유닛(40)은 상기 척 바디(42)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척(44).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2)는, 상기 클램핑 압력 장비의 클램핑 압력 상태 및/또는 상 기 클램핑 조오(50)의 클램핑 위치를 모니터하는 압력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척(44).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유닛(54)은, 회전축(46)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척 바디(42) 표면(60) 외부의 축 방향에서 돌출되는 안테나(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척(44).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58)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를 갖고, 회전축(46)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척 바디(42) 표면(60)의 외부의 곡선(58)을 따라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척(44).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56) 및 상기 파워 소스(62)와 함께 상기 무선 전송 유닛(54)은, 단일의 플라스틱 주조 내에 완전하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척(44).
  15. 핸들링 시스템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자동화 요소(10, 16, 24)의 형태를 갖는 기계 요소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폴링 서브유닛(36)은 상기 자동화 요소 및 상기 자동화 요소에 대해 고정적인 상기 무선 수신 유닛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요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요소는 그리핑(gripping) 또는 클램핑 고정물(16, 24), 회전 유닛(10), 신속-변화 시스템, 충돌 또는 과부하 보호, 선형 드라이브 및/또는 리프팅 매카니즘이며, 상기 자동화 요소 또는 그 부분의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상태가 폴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요소.
KR1020087003365A 2005-07-27 2006-07-11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장치 및 파워 척 KR101322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5042A DE102005035042A1 (de) 2005-07-27 2005-07-27 Abfragesystem für eine bewegte Maschinenkomponente
DE102005035042.9 2005-07-27
PCT/EP2006/006753 WO2007012397A2 (de) 2005-07-27 2006-07-11 Abfragesystem für eine bewegte maschinen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646A true KR20080041646A (ko) 2008-05-13
KR101322022B1 KR101322022B1 (ko) 2013-10-28

Family

ID=3707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365A KR101322022B1 (ko) 2005-07-27 2006-07-11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장치 및 파워 척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090261982A1 (ko)
EP (2) EP1910022B1 (ko)
JP (1) JP2009503962A (ko)
KR (1) KR101322022B1 (ko)
CN (1) CN100581726C (ko)
AT (2) ATE514520T1 (ko)
CA (1) CA2616465C (ko)
DE (1) DE102005035042A1 (ko)
WO (1) WO20070123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G20110036A1 (it) * 2011-08-11 2013-02-12 S P D S P A Sistema magnetico elettropermanente con indicatore di stato magnetico
JP5734368B2 (ja) * 2013-08-07 2015-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50236B2 (ja) * 2015-03-27 2019-01-0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スチールコードコンベヤベルトの縦裂検出装置及びスチールコードコンベヤベルトの縦裂検出システム
DE102019122147A1 (de) * 2019-08-19 2021-02-25 Röhm Gmbh Spannfutter
DE102021107499A1 (de) * 2021-03-25 2022-09-29 Röhm Gmbh Spannbacke, spannfutter sowie werkzeug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0802A (en) * 1976-12-27 1978-05-23 Otto Bilz Werkzeugfabrik Radio detector for detecting dull and broken tools
US5065035A (en) * 1981-04-30 1991-11-12 Gte Valenite Corporation Optical data system having flash/receiver head for energizing/receiving information from a battery operated transmitter
US4509266A (en) * 1982-06-14 1985-04-09 Gte Valeron Corporation Touch probe
EP0108857B2 (de) * 1982-11-10 1992-11-19 Günter Horst Röhm Kraftbetätigtes Spannfutter
US4608763A (en) * 1983-06-14 1986-09-02 Gte Valeron Corporation Probe
US4633361A (en) * 1984-10-01 1986-12-30 Walker Magnetics Group, Inc. Chuck control for a workpiece holding electromagnet
DE8702611U1 (ko) * 1987-02-20 1987-05-07 Peko Konstruktions Gmbh, 8960 Kempten, De
DE3732595A1 (de) * 1987-09-28 1989-04-13 Gerhard Dipl Ing Meinl Verfahren zur signalisierung von fehlern in gewindebohrer-schnellwechselfuttern mittels einer ir-fernwirkanlage
DE4229569C1 (de) * 1992-09-04 1994-02-24 Weidmueller Interface Werkzeug mit telemetrisch überwachter Welle
DE4417057C5 (de) * 1994-05-14 2004-07-29 Wolfgang Madlener Meßtaster
DE29507033U1 (de) * 1995-04-26 1995-09-14 Glimpel Emuge Werk Gewindeschneidfutter mit berührungsfreiem Überwachungssystem
US5923254A (en) * 1997-01-29 1999-07-13 Innotek Pet Products, Inc. Programmable animal collar
JP3465021B2 (ja) * 1997-02-14 2003-11-10 エヌティ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作業機械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6647840B2 (en) * 2000-04-25 2003-11-18 Ilmar Luik Combined video camera and toolholder
DE10307565A1 (de) * 2002-10-09 2004-04-22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Kraftspannfutter oder dgl.
US7102505B2 (en) * 2004-05-27 2006-09-05 Lawrence Kates Wireless sensor system
DE102005008488B4 (de) * 2005-02-24 2011-08-18 VEGA Grieshaber KG, 77709 Datenübertragungssystem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022B1 (ko) 2013-10-28
WO2007012397A3 (de) 2007-06-21
EP2308640A1 (de) 2011-04-13
EP2308640B1 (de) 2012-05-09
EP1910022A2 (de) 2008-04-16
US20110143679A1 (en) 2011-06-16
CN101228002A (zh) 2008-07-23
ATE556815T1 (de) 2012-05-15
WO2007012397A2 (de) 2007-02-01
ATE514520T1 (de) 2011-07-15
DE102005035042A1 (de) 2007-02-01
JP2009503962A (ja) 2009-01-29
CA2616465C (en) 2013-09-10
US20090261982A1 (en) 2009-10-22
CA2616465A1 (en) 2007-02-01
WO2007012397A8 (de) 2008-02-28
EP1910022B1 (de) 2011-06-29
CN100581726C (zh)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2815B (zh) 模块化测量探头
KR101322022B1 (ko) 이동 기계 요소용 폴링 장치 및 파워 척
EP2063217B1 (en) Sensor
US9454148B2 (en) Machine control device
JP2008171403A (ja) 無線出力センサ、近接センサ、加工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20120034040A1 (en) Cutting tool setting system
US6370789B1 (en) Probe for machine tools with a tool spindle
EP3693130B1 (en) Machining apparatus
US6257077B1 (en) Remotely powered sensing arrangement for a rotatable device
US9142988B2 (en) Workpiece detection mechanism
EP1684938B1 (en) Machine adaptation
CN103538018A (zh) 具有冲击机构的旋转冲击螺丝刀
KR20170141254A (ko)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측정 조립체 및 인식 방법
JP2008216115A (ja) アブソリュートエンコーダ
CN115867458A (zh) 用于移动机器人的电池的充电
CN219659697U (zh) 一种角磨机及园林工具的防误接通直流集成开关
JP6016118B2 (ja) 機械装置
CN219997205U (zh) 检测装置
JP2019140791A (ja) 接地器具
CN213381615U (zh) 用于镀膜工件的机械手
JP2007007813A (ja) 回転テーブル搬送設備
CN116388743A (zh) 一种角磨机及园林工具的防误接通直流集成开关
WO2019188084A1 (ja) エンコーダ装置、駆動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JP2016080422A (ja) 圧力測定装置および圧力測定装置システム
JP2022135103A (ja) モジュール装置、制御盤装置、ロボット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