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869A -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869A
KR20080040869A KR1020060108793A KR20060108793A KR20080040869A KR 20080040869 A KR20080040869 A KR 20080040869A KR 1020060108793 A KR1020060108793 A KR 1020060108793A KR 20060108793 A KR20060108793 A KR 20060108793A KR 20080040869 A KR20080040869 A KR 2008004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gear
latch
door
locking
insid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869A/ko
Publication of KR2008004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인사이드핸들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2)의 작동으로서 도어의 래치어셈블리(A)측의 래치 구동으로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레버(2)의 일단에 걸림턱(2a)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록킹 레버(2)의 회동에 따른 일단측 가압으로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이송스크류축(10)과, 상기 이송스크류축(10)을 나사체결 형태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이송스크류축(10)이 수용되는 내측에 탄성 복원력으로 이송스크류축을 역회전시키는 압축스프링(S)이 구비되고, 외측둘레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된 제1디퍼런셜 기어(20)와, 인사이드핸들이 설치되는 도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디퍼런셜 기어(20)의 가이드홈(21)을 안내시켜 회전지지하기 위한 지지틀(30)과, 상기 제1디퍼런셜기어(20)와 치합되며, 중앙에 스플라인공(41)이 형성된 제2디퍼런셜 기어(40)와, 상기 제2디퍼런셜 기어(40)의 스플라인공(41)에 안내되어 교합되도록 길이방향에 스프라인 기어부(51)가 형성되며, 일단은 래치 어셈블리(A)측의 래치와 연결 설치되어 래치를 구동시키는 와이어로드(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차량의 실내측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는 인사이드핸들측의 록킹/언록킹 구조에 있어, 인사이드핸들과 함께 록킹 레버측에서 래치로 이어지는 두개의 와이어로드 방법을 탈피하여 록킹레버측의 회동에으로 스크류의 직선운동과 더불어 회전 작용으로서 제1디퍼런셜기어, 제2디퍼런셜기어를 구동하고, 제2디퍼런셜기어 를 관통하는 와이어로드를 회전운동 만들어 하나의 와이어로드 회전동작으로 래치어셈블리측의 래치를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와이어로드를 통한 도어의 록킹/언록킹을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도어트림 내부측으로 설치되는 각종부품과의 간섭을 최대로 억제시켜 기타 장치의 설치가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인사이드핸들, 록킹 레버, 래치, 기어, 도어,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Locking device for inside handle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도어트림에 적용되는 인사이드핸들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서의 제1디퍼런셜 기어와 록킹측과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 작동레버 2a: 걸림턱
10: 이송스크류축 20: 제1디퍼런셜기어
21: 가이드홈 30: 지지틀
40: 제2디퍼런셜기어 41: 스플라인공
50: 와이어로드 51: 스플라인 기어부
A: 래치어셈블리 S: 압축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측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는 인사이드핸들측의 록킹 장치를 개선하여 인사이드핸들과 함께 록킹을 위한 레버측에서 래치로 이어지는 두개의 와이어로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구조로 채택하여 도어트림 내부측으로 설치되는 각종부품과의 간섭을 최대로 억제시켜 기타 장치의 유리한 설치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는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마련된 도어 인/아웃 사이드핸들의 회동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로드부재가 연동되어 도어의 록킹, 언록킹을 담당하는 래치를 로크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혹은 접속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 차량도어의 록킹을 위한 메커니즘은 상기한 바와 같은 래치가 사용되는바, 이전에는 인사이드 록킹 레버가 차체프레임에 있어, B 필러 내측에 설치되어 운영되었으나, 록킹레버의 고저차이에 따른 간단한 식별로서 도어의 개방상태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차량의 도난문제를 감안하여 인사이드핸들측에 록킹 레버를 위치시켜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그 구조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핸들(1)을 포함하는 록킹 레버(2)와, 래치어셈블리(A)와, 상기 인사이드핸들(1)과 록킹 레버(2)로부터 래치어셈블리측(A)의 래치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개의 와이어로드(3)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인사이드핸들(1)측의 와이어로드(3)와 록킹 레버(2)의 와이어로드 및 래치어셈블리(A)의 구성요소는 도어트림을 통한 도어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됨에 있어, 상기 2가닥의 와이어로드(3)는 내부측에 도어의 윈도루 글래스 및 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장치와의 교섭이 일어나며, 와이어로드의 전후진 조작에 있어서도 특히 도어프레임의 두께를 감안하여 본다면 그 조작공간의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실내측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는 인사이드핸들측의 록킹장치를 개선하여 인사이드핸들과 함께 록킹 레버측에서 래치로 이어지는 두개의 와이어로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구조로 채택하여 도어트림 내부측으로 설치되는 각종부품과의 간섭을 최대로 억제시켜 기타 장치의 유리한 설치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인사이드핸들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의 작동으로서 도어의 래치어셈블리측의 래치 구동으로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레버의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록킹레버의 회동에 따른 일단측 가압으로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변환시키는 이송스크류축과, 상기 이송스크류축을 나사체결 형태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이송스크류축이 수용되는 내측에 탄성 복원력으로 이송스크류축을 역회전시키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고, 외측둘레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디퍼런셜 기어와, 인사이드핸들이 설치되는 도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디퍼런셜 기어의 가이드홈을 안내시켜 회전지지하기 위한 지지틀과, 상기 제1디퍼런셜기어와 치합되며, 중앙에 스플라인공이 형성된 제2디퍼런셜 기어와, 상기 제2디퍼런셜기어의 스플라인공에 안내되어 교합되도록 길이방향에 스프라인 기어부가 형성되며, 일단은 래치 어셈블리측의 래치와 연결 설치되어 래치를 구동시키는 와이어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인 인사이드핸들의 록킹 레버장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레버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서의 제1디퍼런셜 기어와 록킹스위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인사이드핸들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2)의 작동으로서 도어의 래치어셈블리(A)측의 래치 구동으로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레버(2)의 일단에 걸림턱(2a)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록킹 레버(2)의 회동에 따른 일단측 가압으로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변환시키는 이송스크류축(10)과, 상기 이송스크류축(10)을 나사체결 형태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이송스크류축(10)이 수용되는 내측에 탄성 복원력으로 이송스크류축을 역회전시키는 압축스프링(S)이 구비되고, 외측둘레에 가이드홈(21)이 형성 된 제1디퍼런셜 기어(20)와, 인사이드핸들이 설치되는 도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디퍼런셜 기어(20)의 가이드홈(21)을 안내시켜 회전지지하기 위한 지지틀(30)과, 상기 제1디퍼런셜기어(20)와 치합되며, 중앙에 스플라인공(41)이 형성된 제2디퍼런셜 기어(40)와, 상기 제2디퍼런셜 기어(40)의 스플라인공(41)에 안내되어 교합되도록 길이방향에 스프라인 기어부(51)가 형성되며, 일단은 래치 어셈블리(A)측의 래치와 연결 설치되어 래치를 구동시키는 와이어로드(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사이드핸들측의 록킹레버(2)를 회동시키키는 과정은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화살표방향으로 이송스크류축(10)의 일단을 가압하게 되느데, 이때 록킹레버(2)의 가압하는 정도는 회동되는 록킹레버(2)의 일단측 걸림턱(2a)이 이송스크류축의 일단에 걸려지는 정도에서 이송스크류축(10)의 가압이 이루어져 제1디퍼런셜기어(20)측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스크류(10)축은 제1디퍼런셜기어(20)의 중앙 내부로 나사 체결되는 통상의 나사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전진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스크류축(10)의 전진은, 그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S)을 가압하는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결국 상기 제1디퍼런셜기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제1디퍼런셜기어(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은 지지틀(30) 변에 안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와 치합된 제2디퍼런셜기어(40)를 회전 구동한다.
상기 제2디퍼런셜기어(40)의 회전에 다라 그 중앙에 형성된 스플라이공(41) 에 결합된 와이어로드(50)는 스플라인 기어부(51)의 교합으로서 도시된 화살표방향과 같이 회전되어 그 일단에 연결 설치되는 래치어셈블리(A)측의 래치(도면에서 생략함)를 작동시켜 도어를 언록킹(개방) 상태로 만들어준다.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역동작으로 와이어로드(50)의 역회전동작은 제2디퍼런셜기어(40), 제1디퍼런셜기어(20)를 역구동하고, 제1디퍼런셜기어(20)측 내이 압축스프링(S)의 복원으로 하여금 이송스크류축(10)을 역회전시켜 처음과 같은 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즉, 본 발명에서의 인사이드핸들 및 이에 따른 록킹 레버(2)의 동작은 하나의 와이어로드(50)를 회전시켜주는 동작으로서 래치어셈블리(A)의 래치를 구동하여 로크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언록킹을 구현하는 것으로, 기존의 복수로 설치되는 와이어로드에 비해 도어의 차체 내에 설치되는 기타 부품과의 간섭이 적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상대적인 기타 내장부품의 설치가 간편해지고, 래치로부터 정확한 동작으로서 도어의 안정된 록킹 및 언록킹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측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는 인사이드핸들측의 록킹/언록킹 구조에 있어, 인사이드핸들과 함께 록킹 레버측에서 래치로 이어지는 두개의 와이어로드 방법을 탈피하여 록킹레버측의 회동에으로 스크류의 직선운동과 더불어 회전 작용으로서 제1디퍼런셜기어, 제2디퍼런셜기어를 구동하고, 제2디퍼런셜기어를 관통하는 와이어로드를 회전운동 만들어 하 나의 와이어로드 회전동작으로 래치어셈블리측의 래치를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와이어로드를 통한 도어의 록킹/언록킹을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도어트림 내부측으로 설치되는 각종부품과의 간섭을 최대로 억제시켜 기타 장치의 설치가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인사이드핸들측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록킹 레버(2)의 작동으로서 도어의 래치어셈블리(A)측의 래치 구동으로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레버(2)의 일단에 걸림턱(2a)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록킹 레버(2)의 회동에 따른 일단측 가압으로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이송스크류축(10)과, 상기 이송스크류축(10)을 나사체결 형태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이송스크류축(10)이 수용되는 내측에 탄성 복원력으로 이송스크류축을 역회전시키는 압축스프링(S)이 구비되고, 외측둘레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된 제1디퍼런셜 기어(20)와, 인사이드핸들이 설치되는 도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디퍼런셜 기어(20)의 가이드홈(21)을 안내시켜 회전지지하기 위한 지지틀(30)과, 상기 제1디퍼런셜기어(20)와 치합되며, 중앙에 스플라인공(41)이 형성된 제2디퍼런셜 기어(40)와, 상기 제2디퍼런셜 기어(40)의 스플라인공(41)에 안내되어 교합되도록 길이방향에 스프라인 기어부(51)가 형성되며, 일단은 래치 어셈블리(A)측의 래치와 연결 설치되어 래치를 구동시키는 와이어로드(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KR1020060108793A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KR20080040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793A KR20080040869A (ko)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793A KR20080040869A (ko)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869A true KR20080040869A (ko) 2008-05-09

Family

ID=3964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793A KR20080040869A (ko)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8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6168A (zh) * 2015-10-13 2016-01-27 哈尔滨东安汽车发动机制造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6168A (zh) * 2015-10-13 2016-01-27 哈尔滨东安汽车发动机制造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0854B2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integrated door check mechanism
CN107558830B (zh) 电吸锁
JP5612484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KR200418883Y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US6134838A (en) Power door having a drive member disposed within a hanger portion and rollers of a door support engaging the hanger portion for motion therealong
US20170130490A1 (en) Motor vehicle lock arrangement
EP1932985B1 (en) A powerless helical locking mechanism for door
US7234736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09339617B (zh) 汽车自动门和汽车
JP4659559B2 (ja) 電動式アクチュエータ
US6983962B2 (en) Deadlock arrangement for locks
JPS6250576A (ja) 複動式植設クレモンボルト
KR10072844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US11365567B2 (en) Power child lock system for vehicle
CN209908112U (zh) 一种离合式门锁
KR20080040869A (ko)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록킹장치
CN101634202A (zh) 一种锁具的锁紧机构
CN207847284U (zh) 双电机驱动离合机构及双电机电子锁
CN206581743U (zh) 用于车辆锁闩致动器机构的弹簧保持组件
CN213683664U (zh) 一种联动多点锁链式开窗器
US1414000A (en) Actuating and locking mechanism
US4786091A (en) Device for locking detachable roof in motor vehicle
GB2457680A (en) A latch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door
CN113338729A (zh) 一种隐藏式把手装置
CN101915014B (zh) 一种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