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325A -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 Google Patents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325A
KR20080037325A KR1020060104254A KR20060104254A KR20080037325A KR 20080037325 A KR20080037325 A KR 20080037325A KR 1020060104254 A KR1020060104254 A KR 1020060104254A KR 20060104254 A KR20060104254 A KR 20060104254A KR 20080037325 A KR20080037325 A KR 2008003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heater
hot water
heater
heater cor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길
김무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7325A/ko
Publication of KR2008003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28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96Constructional features integration into fluid/air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를 포함하여 방열핀으로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의 방열핀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세라믹히터; 및 상기 세라믹히터를 따라 배치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를 포함하여, 세라믹히터가 공기 및 냉각수를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터코어, 관로, 세라믹히터, 냉각수

Description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HOT WATER HEATER CORE HAVING CERAMICS HEATER}
도 1은 종래 PTC 히터를 구비하는 차량용 히터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에서 유입탱크와 유출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에서 방열핀과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에서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에서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히터코어 110, 210 : 관로
115, 215 : 세라믹히터 120, 220 : 방열핀
본 발명은 온수히터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믹히터를 온수히터코어에 배치하여, 공기와 냉각수를 동시 가열시키는 것을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순환되고, 냉각수는 엔진에서 가열되며 히터코어의 방열핀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차량의 실내에 온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상기 냉각수는 차량의 운행으로 엔진에서 가열되어 온수로 되는데, 이러한 온수는 차량의 실내로 연결된 송풍경로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어 차량 실내를 따뜻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PTC 히터를 구비하는 차량용 히터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코어(10)는 온수가 유동되면서 방열핀(12)으로 열을 방출한다. 이러한 방열핀(12) 사이에는 PTC 히터(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코어(10)는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로(15)는 방열핀(12)을 통해 공기 중으로 열을 발산한다.
이때, 상기 PTC히터(17)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15)와 더불어 방열핀(12)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터코어(10)의 방열핀(12) 사이에 배치되는 PTC 히터(17)는 차량의 축전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차량엔진의 워밍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방열핀(12)에 열을 전달하여 차량의 실내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PTC 히터(17)는 히터의 온도가 변화되더라도 온도계수의 변화가 작은 정특성 서미스터(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로 만들어진다.
상기 PTC 히터(17)는 PTC 소자 및 전극들로 구성되어 히터코어(10)에 납땜된다.
그러나, PTC 히터(17)는 방열핀(12)과 관로(17)를 구비하는 히터코어(10)를 생산한 다음 후공정으로 히터코어(10)에 납땜 결합되므로 작업수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TC 히터(17)의 납땜 과정에서 결합 부분에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납땜 과정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PTC 히터(17)를 히터코어(10)에 브레이징(brazing) 처리하게 되면, 고온에 의해 PTC 히터(17)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PTC 히터(17)는 공기만을 가열시켜 줌으로써, 히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브레이징 처리가 가능하고 공기 및 냉각수를 동시에 가열하여 히터 성능을 향상시키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히터코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를 포함하여 방열핀으로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의 방열핀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세라믹히터; 및 상기 세라믹히터의 일방에서 상기 세라믹히터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를 제공한다.
상기 세라믹히터는 상기 방열핀과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부는 상기 세라믹히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U"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핀과 접촉되는 상기 세라믹히터 부분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복수의 관로; 상기 관로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교환하는 복수의 방열핀; 상기 방열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와 상기 관부측으로 폐쇄되게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관로 겸용 장착유닛; 및 상기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를 제공한다.
상기 세라믹히터는 상기 방열핀과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핀과 접촉되는 상기 세라믹히터 부분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세라믹히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 단부를 갖는 "U"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히터의 열이 상기 관부의 냉각수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장착부는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히터의 열이 상기 관부의 냉각수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장착부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은 상기 관부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은 두 개의 방열핀 사이에 상기 관로 대신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은 상기 장착부의 길이가 상기 관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의 길이는 상기 관부의 길이의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관부의 길이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양 측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방열핀과 상기 관로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히터를 구비하는 온수히터코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의 수직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온수히터코어에서 유입탱크와 유출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방열핀과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히터(115) 일체형의 차량용 온수히터코어는 차량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110)를 포함하여 방열핀(120)으로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100), 상기 히터코어(100)의 방열핀(120)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세라믹히터(115) 및 상기 세라믹히터(115)의 일방에서 상기 세라믹히터(115)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부는 상기 세라믹히터(115)의 후방에서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U"관(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U"관(135)은 냉각수의 유동로를 제공하여 냉각수의 유동저항을 줄이고, 방열핀(120)으로 냉각수의 열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관부는 세라믹히터(115)가 관로(110)를 대체하여 히터코어(100)에 배치될 때, 히터코어(100)에서 냉각수 순환에 대한 보다 많은 유로를 확보해 주어 냉각수의 유동저항을 줄이고, 세라믹히터(115)에서 직접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므로 엔진이 신속하게 워밍업(WARMING UP)되도록 하며, 신속하게 가열되는 냉각수에 의해 차량의 실내로 신속하게 온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세라믹히터(115)는 열이 발생하는 세라믹소자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전 도판이 구비되고, 방열핀(120)과 함께 브레이징(brazing)되어 히터코어(100)와 일체화된다.
이때, 세라믹히터(115)의 전도판은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고, 브레이징 가능한 클래드재가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온수히터코어(200)는 냉각수 유입관(260)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탱크(265)와, 유입된 냉각수가 냉각수 유출관(275)으로 유출되는 유출탱크(270)와, 유입탱크(265) 및 유출탱크(270)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관로(210)를 구비한다. 또한, 온수히터코어(200)는 복수의 관로(2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열핀(220)과, 복수의 방열핀(220) 사이에 배치되는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 및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에 장착되는 세라믹히터(215)를 구비한다.
유입탱크(265)는 온수 또는 엔진 냉각수가 차량의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관(260)을 구비한다. 유출탱크(270)는 유입탱크(265)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관로(210)를 통과한 냉각수가 차량의 엔진으로 되돌아가는 냉각수 유출관(275)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냉각수는 유동시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 즉 F1 → F2 → F3 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또한, 공기는 화살표 I 방향으로부터 유입된 후 온수히터코어(200)를 지나 화살표 O 방향으로 유출된다. 이때, 고온의 냉각수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는 관로(210)의 표면을 따라 후술하는 방열핀(220)으로 전달되므로,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들과 방열핀(22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열 교환에 의해 차량 실내에 따뜻한 공기가 공급된다.
열 교환을 행하고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각수는, 유출탱크(270)에 모아져 냉각수 유출관(275)을 따라 다시 엔진 측으로 순환되어 엔진의 냉각을 행하고, 다시 냉각수 유입관(260)을 통해 공급되어 차량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복수의 관로(210)는 유입탱크(265) 및 유출탱크(27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유입탱크(265)에서 유출탱크(270) 쪽으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관로(210)는 유입탱크(265)와 유출탱크(270) 각각의 대향되는 측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장착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기 관로(210)는 납작한 형상의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방열핀(220)은 관로(210) 사이에 배치되며, 관로(210)를 따라 흘러가는 냉각수와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한다. 일 실시예로서, 각각의 방열핀(220)은 인접된 두 개의 관로(210) 사이에 설치된다. 방열핀(220)은 열교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름핀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핀은 열교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I)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방열핀(220) 사이에 배치된다. 유입탱크(265)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는 관로(210)를 거쳐 유출탱크(270) 쪽으로 흘러간다. 따라서, 관로(210)가 배치되는 위치에 관로(210) 대신에 세라믹히터가 장착되면 냉각수의 유동로가 부족하여 냉각수의 유동저항이 발생되고, 냉각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세라믹히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인접된 두 개의 방열핀(22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관로(210)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로(210) 대신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인접된 방열핀(220)으로의 열전달 및 후술하는 관부(236)로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두 개의 방열핀(220) 사이에 관로(210) 대신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탱크(265)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동로를 확보하기 위해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의 양 측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방열핀(220)과 관로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온수히터코어는 ..., 관로(210), 방열핀(220), 관로(210), 방열핀(220),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 방열핀(220), 관로(210), 방열핀(220), 관로(210), ...와 같은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236)와, 관부측(238)으로 폐쇄되게 형성되고 타측(239)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장착부(237)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방열핀(220)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장착부(237)는 관부측(238)으로 폐쇄되게 형성되고 세라믹히터(215)가 삽입되는 방향(239)으로 개방 단부를 갖는 "U"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라믹히터(2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37)의 측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냉각수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 로 삽입될 수도 있다.
관부(236)와 장착부(23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라믹히터(215)의 열이 관부(236)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관부(236)와 장착부(237)는 일체로 설치되거나, 관부(236)와 장착부(237)는 분리 가능하게 제조된 후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부(236)와 장착부(237)의 경계부(239)는 장착부(237)에 장착되는 세라믹히터(215)의 열이 관부(236)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열전달율이 높은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세라믹히터(215)로부터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관부(236)와 장착부(237)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관부(236)를 따라 유동되는 냉각수와 유입되는 공기가 만나 액화되어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에 수분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화된 공기 중의 수분이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어 세라믹히터(215)에 부착되면 세라믹히터(215)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은 관부(236)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I)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부(236)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I)으로 배치되면, 수분이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더라도 세라믹히터(215)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라믹히터(215)는 엔진의 시동 초기에 단시간 내에 열을 발생시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를 단시간 내에 가열할 수 있는 충 분한 용량을 갖는 세라믹히터(215)가 장착부(237)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237)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세라믹히터(215)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237)의 길이가 관부(236)의 길이보다 길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라믹히터(215)가 공기를 가열하여 차량의 실내로 따뜻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장착부(237)의 길이가 관부(236)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부(236)를 통해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장착부(237)의 길이는 관부(236)의 길이의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부(237)에 장착되는 세라믹히터(215)의 성능과 냉각수의 유량을 적절하게 확보하기 위해 장착부(237)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관부(236)의 길이의 대략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히터(215)는 장착부(237)에 삽입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세라믹히터는 납작한 형상으로 열이 발생되는 세라믹소자 및 세라믹소자의 대향 표면에 배치되는 길고 납작한 전도판으로 구성되는 3개층의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세라믹소자와 전도판은 양호한 전기전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압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세라믹히터(215)는 방열핀(120)과 함께 브레이징(brazing)되어 히터코어(200)와 일체화된다. 즉, 세라믹히터(215)를 장착부(237)에 삽입시키고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세라믹히터(215)를 장착부(237)에 결합시킨다. 이때, 세라믹히터(215)의 전원 공급을 담당하는 부분(미도시)은 외부로 누출된다. 그리고, 세라믹히터(115)의 전도판은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고, 브레이징 가능한 클래드재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세라믹히터(215)가 장착되는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을 통해서도 냉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입탱크(265)로부터 유출탱크(270)로 흘러가는 냉각수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히터(215)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입되는 공기뿐 아니라 관부(236)를 통해 흘러가는 냉각수에도 전달됨으로써 공기를 가열하는 동시에 냉각수의 온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온수히터코어(200)에서 보다 많은 유로를 확보하여 냉각수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고, 관부(236)를 통해 흘러가는 냉각수가 세라믹히터(215)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므로 엔진이 신속하게 워밍업(WARMING UP)될 수 있으며, 신속하게 가열되는 냉각수에 의해 차량의 실내로 신속하게 온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코어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시동을 걸면 냉각수 순환장치(미도시)에 의해 냉각수가 유로를 따라 순환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관(260)을 따라 유입탱크(265)로 유입되고, 관로(210)를 따라 유출탱크(270)로 모아진 후에 냉각수 유출관(275)을 따라 배출된다.
이때, 소정 온도 이상의 냉각수는 관로(210)를 지나면서 열에너지가 배출된다. 냉각수의 열은 관로(210)의 표면을 지나 방열핀(220)으로 전달된다. 이때,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차량 실내로 순환되는 공기는 온수히터코어(200)를 지나면서 방열핀(220), 관로(210) 및 관로 겸용 장착유닛(235)과 접촉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을 통해 따뜻해진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차량의 주행이 개시된 초기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기가 어려우므로, 전원을 인가하여 세라믹히터(215)를 발열시킨다. 세라믹히터(215)에서 공급되는 열에너지 또한 방열핀(220)으로 전달되므로, 공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히터코어는 종래 발명과 달리 세라믹히터가 포함된 방열핀 사이에 유로를 확보하여 세라믹히터가 방열핀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냉각수가 온수히터코어를 원활하게 순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열핀과 세라믹히터, 세라믹히터와 관부 사이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어, 공기와 냉각수를 동시에 가열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겸용 장착유닛를 장착함으로써 냉각수의 수온과 공기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관부와 장착부를 일체로 제조하거나, 분리되게 제조한 후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세라믹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관부의 냉 각수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관부를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세라믹히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히터를 온수히터코어에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세라믹히터가 온수히터코어에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일체화 됨으로써, 온수히터코어의 방열핀과 함께 세라믹히터가 결합되어, 세라믹히터의 별도 결합공정이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차량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를 포함하여 방열핀으로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
    상기 히터코어의 방열핀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하는 세라믹히터; 및
    상기 세라믹히터의 일방에서 상기 세라믹히터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히터는 상기 방열핀과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는 상기 세라믹히터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U"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과 접촉되는 상기 세라믹히터 부분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5. 차량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복수의 관로;
    상기 관로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교환하는 복수의 방열핀;
    상기 방열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관부와 상기 관부측으로 폐쇄되게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관로 겸용 장착유닛; 및
    상기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히터는 상기 방열핀과 함께 일체로 브레이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과 접촉되는 상기 세라믹히터 부분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세라믹히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 단부를 갖는 "U"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히터의 열이 상기 관부의 냉각수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장착부는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히터의 열이 상기 관부의 냉각수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관부와 상기 장착부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1.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은 상기 관부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2.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은 두 개의 방열핀 사이에 상기 관로 대신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3.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은 상기 장착부의 길이가 상기 관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길이는 상기 관부의 길이의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관부의 길이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16.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겸용 장착유닛의 양 측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방열핀과 상기 관로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KR1020060104254A 2006-10-26 2006-10-26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KR20080037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254A KR20080037325A (ko) 2006-10-26 2006-10-26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254A KR20080037325A (ko) 2006-10-26 2006-10-26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25A true KR20080037325A (ko) 2008-04-30

Family

ID=3957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254A KR20080037325A (ko) 2006-10-26 2006-10-26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73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55B1 (ko) * 2008-05-14 2009-03-10 팅크웨어(주) 텍스처 맵핑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CN103273822A (zh) * 2012-08-13 2013-09-04 无锡优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汽车暖风装置
CN103587378A (zh) * 2013-11-29 2014-02-19 无锡优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维护的汽车暖风装置
WO2018034442A1 (ko) * 2016-08-19 2018-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히터 및 이동수단용 히팅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55B1 (ko) * 2008-05-14 2009-03-10 팅크웨어(주) 텍스처 맵핑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CN103273822A (zh) * 2012-08-13 2013-09-04 无锡优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汽车暖风装置
CN103587378A (zh) * 2013-11-29 2014-02-19 无锡优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维护的汽车暖风装置
WO2018034442A1 (ko) * 2016-08-19 2018-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히터 및 이동수단용 히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4600B2 (ja) 発熱体冷却構造及びその構造を備えた駆動装置
KR101764598B1 (ko) 냉각수 히터
CN110430733A (zh) 一种电子元器件高效散热装置
KR20080037325A (ko) 세라믹히터 일체형 온수히터코어
KR20130093883A (ko)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JP6918066B2 (ja) 貫通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の空調装置
KR100683216B1 (ko) 차량용 히터코어유닛
JP6531099B2 (ja) 熱交換器、加熱装置、加熱システム、および水を加熱するための方法
JP4697171B2 (ja) 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2587588B1 (ko) 냉각수 히터
JP3812031B2 (ja) 車両暖房用熱交換器
KR100683215B1 (ko) 차량용 히터코어유닛
KR20160117966A (ko) 보일러
KR100633128B1 (ko) Ptc히터 일체형의 차량용 온수히터코어
JP6698434B2 (ja)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KR100745455B1 (ko) 보조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히터
KR100798840B1 (ko) 온수히터코어
CN108082014A (zh) 用于通风座椅的通风模块
CN220607365U (zh) 一种加热不燃烧装置
IT202100015299A1 (it) Dispositivo, in particolare flow through heater, per riscaldare o raffreddare un flusso di liquido, in particolare acqu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KR20100034791A (ko) 냉온풍을 겸용 공급하는 이중진공중합관의 열교환기
CN217727595U (zh) 水冷板焊接辅助装置
KR100797580B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열교환기
KR101345912B1 (ko) 유체 가열식 피티씨 히터
JPH0351666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