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067A - 인클로저를 구비한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인클로저를 구비한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067A
KR20080036067A KR1020087002904A KR20087002904A KR20080036067A KR 20080036067 A KR20080036067 A KR 20080036067A KR 1020087002904 A KR1020087002904 A KR 1020087002904A KR 20087002904 A KR20087002904 A KR 20087002904A KR 20080036067 A KR20080036067 A KR 2008003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absorbent article
cover
seam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씨. 코헨
케네스 토마스 보로우스키
로드니 리 제이알 밀러
마틴 조셉 가로팔로
데이비드 윌리암 코에닉
테이텀 마리 젤렌크
에릭 도날드 존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3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용품은 신체측 라이너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와 외측 커버 사이에 위치된 흡수체와,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내부에 물건이 배치되는 포켓의 형성을 위해 서로 접합되는 커버 및 배면재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흡수용품과 접합되며, 인클로저 내에 배치된 물건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흡수용품, 인클로저, 외측 커버, 신체측 라이너, 흡수 코어, 포켓

Description

인클로저를 구비한 흡수용품{ABSORBENT ARTICLE WITH ENCLOSURES}
일반적으로, 일회용 흡수용품은 예컨대 소변 및 배설물과 같은 신체 삼출물(body exudate)을 수용 및 흡수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허리 및 다리 주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회용 흡수용품은 일반적으로 톱시트, 백시트 및 흡수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부 일회용 흡수용품들은 신체 삼출물의 수용 및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흡수용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랩(flap), 커프(cuff), 체결구(fastener), 탄성체(elastics) 및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러 특허 및 특허 출원에서,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용품이 파우더, 타월, 베이비 오일 및 유아 위생에 유용한 다른 물품(accessories)들로 채워지는 용기 및/또는 포켓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기 및/또는 포켓은 흡수용품의 기능성이나 심미성을 고려하지 않고서 단지 흡수용품의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부가될 뿐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물건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흡수용품의 디자인에 기능적으로 그리고 미적으로 통합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응하여, 흡수용품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와, 전방 허리 영역과, 후방 허리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탄성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탄성 인클로저는 포켓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허리 영역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며, 이러한 포켓 내에 물건이 배치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탄성 인클로저는 허리 탄성체 부재 또는 체결구 안착재(fastener landing material)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는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를 갖는다. 탄성 인클로저는 폐쇄 상태 시와 개방 상태 시에 흡수용품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포켓 내에 배치된 물건은 패키지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self-contained)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흡수용품은 종방향 및 횡방향을 또한 한정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당김 개방 시임(pull open se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한정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당김 개방 시임은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고, 인클로저 내에 배치된 물건에 접근이 불가능하다. 당김 개방 시임은 손으로 분리가능하여, 인클로저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킨다. 개방 상태에서, 포켓 내에 배치된 물건에 접근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당김 개방 시임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건은 손수건(wipe)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는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흡수용품은 전방부와 후방부를 구비한다. 흡수용품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와, 체결 시스템을 포함한다. 체결 시스템은 후방부에서 흡수용품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는 한 쌍의 후크 체결구(hook fastener)와, 전방부에서 외측 커버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어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루프 체결구(loop fastener) 안착재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 개방 시임을 구비하고,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갖는 포켓을 형성한다. 당김 개방 시임은 손으로 분리가능하여, 분리시에 인클로저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포켓은 그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손수건을 구비한다. 인클로저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손수건에 접근이 불가능하며, 포켓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손수건에 접근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흡수용품은 종방향 및 횡방향을 가지며, 시임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체결구 안착재는 시임의 분리 후에 체결구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포켓 내에 배치된 손수건은 패키지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당김 개방 시임은 랩 시임(lap seam), 지퍼 시임(zipper seam) 또는 취약선 시임(line of weakness seam)이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당김 개방 시임은 점착제로 접합되는 랩 시임이며, 인클로저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흡수용품은 전방부와 후방부를 구비한다. 흡수용품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와,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와, 전방 허리 영역에서 외측 커버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외주(periphery)를 구비한 보조 커버(sub-cover)를 포함한다. 보조 커버는 외주를 따라 배면재(backing)와 접합되어 포켓을 형성한다. 보조 커버는 포켓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개구를 구비한다. 외주를 구비한 커버가 외주를 따라 보조 커버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된다. 커버는 개구에 걸쳐 연장되며, 포켓을 폐쇄시킨다. 커버는 루프 안착재이며, 포켓 내에 적어도 하나의 손수건이 배치된다. 체결 시스템은 후방부에서 흡수용품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고 루프 안착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후크 체결구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는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커버는 점착제에 의해 보조 커버에 접합되며, 인클로저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면재, 보조 커버 및 커버는 증기 투과성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포켓 내에 배치된 손수건은 패키지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된다.
도1은 신장되어 평탄하게 놓인 상태의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을 부분적으 로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흡수용품의 표면이 관찰자 쪽을 향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인클로저가 폐쇄 상태에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흡수용품을 선 3-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인클로저가 개방 상태에 있는 도2의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흡수용품을 선 5-5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인클로저가 폐쇄 상태에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7은 인클로저가 개방 상태에 있는 도6의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8은 인클로저가 폐쇄 상태에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9는 인클로저가 개방 상태에 있는 도8의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10은 인클로저가 폐쇄 상태에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11은 인클로저가 개방 상태에 있는 도10의 흡수용품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12는 신장되어 평탄하게 놓인 상태의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로서, 착용자의 의복과 접촉하는 흡수용품의 표면이 관찰자 쪽을 향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2의 흡수용품을 선 13-1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인클로저의 형성을 위해 커버가 배면재에 접합된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인클로저는 물건이 내부에 위치되는 포켓을 형성한다. 커버 및/또는 배면재는 예컨대 체결구 안착재 또는 허리부 탄성재와 같은 흡수용품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물건을 내부에 수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유아의 하반신에 착용되는 기저귀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흡수용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용품은 예컨대 성인용 요실금 제품, 배변 연습용 팬츠, 여성용 케어 제품(feminine care product) 등과 같은 다른 용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접합(join)"이라는 용어 및 그의 파생 용어는, 하나의 부재를 다른 하나의 부재에 직접 부착시켜서 하나의 부재가 다른 하나의 부재에 직접 고정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를 중간 부재를 통해 다른 하나의 부재에 부착시켜서 상기 하나의 부재가 상기 다른 하나의 부재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의 용어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흡수용품(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착용자와 접촉하는 흡수용품의 표면이 관찰자 쪽을 향하고 있다. 흡수용품(20)은 전방부(22) 와, 후방부(24)와, 전방부(22)와 후방부(24)를 연결하는 가랑이부(26)를 구비한다. 전방부(22)는 전방 허리 영역(23)을 한정하며, 전방 허리 에지(41)를 포함한다. 후방부(24)는 후방 허리 영역(25)을 한정하며, 후방 허리 에지(43)를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또한 종방향(48) 및 횡방향(50)을 한정한다. 흡수용품(20)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34)를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60)를 포함한다. 인클로저(60)는 커버 외주(57)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면재(59)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56)를 포함한다. 인클로저(60)는 하나 이상의 포켓(61)을 한정하며, 각각의 포켓(61)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물건(62)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방부란 사용시에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흡수용품의 부분을 말한다. 전방 허리 영역이란 일반적으로 허리 개방부(waist opening) 근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의 부분을 말한다. 후방부란 사용시에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흡수용품의 부분을 말한다. 후방 허리 영역이란 일반적으로 허리 개방부 근방에 위치하는 후방부의 부분을 말한다. 가랑이부란 사용시에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다리들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가랑이부(26)는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종방향 연장 다리 커프(cuff)(36)를 포함하는 대향된 종방향 측부(28)들을 구비한다. 다리 커프(36)는 사용시에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맞게 형성되며, 신체 삼출물의 측방향 유동에 대한 기계적 장벽의 역할을 한다. 다리 커프(36)는 한 쌍의 다리 탄성체(38)에 의해 탄성 을 갖는다. 흡수용품(20)은 전방 허리 탄성체(40) 및/또는 후방 허리 탄성체(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수용품(20)의 후방부(24)는 사용시에 착용자의 허리 주위로 흡수용품(20)을 유지시키는 체결 수단(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수용품(20)은 흡수용품(20)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신체 삼출물의 유동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봉쇄 플랩(containment flap)(4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용품(20)의 개별 구성요소, 예컨대 탄성 부재는 흡수용품(20)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선택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성"이란 용어 및 그의 파생 용어는 일반적으로 변형력의 제거시 변형 전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재료나 구성요소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성 또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이라는 용어는, 편의력(biasing force)의 인가시 이완된 비편의 길이의 적어도 대략 125 퍼센트, 즉 1.25배인 신장된 편의 길이로 재료나 구성요소가 신장될 수 있도록 하고, 신장력의 해제시 재료가 신장 길이의 적어도 40 퍼센트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재료나 구성요소의 특성을 말한다.
흡수용품(20)의 신체측 라이너(30)는,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착용되도록 의도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유연하고, 촉감이 부드럽고 비자극성인 신체 대면 표면(bodyfacing surface)을 구비한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30)는 착용자에게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흡수 코어(34)보다 덜 친수성일 수 있으며, 액체 투과성이도록 충분히 다공성일 수 있어서 액체가 라이너의 두께를 통해 쉽게 투과할 수 있게 한다. 적합한 신체측 라이너(30)는 다공성 폼(porous foam), 망상 폼(reticulated foam),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apertured plastic film), 천연 섬유(예를 들어, 목섬유 또는 면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조합과 같은 광범위한 웨브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30)는 흡수 코어(34) 내에 유지되는 유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격리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채택된다.
신체측 라이너(30)에 대해서 여러 가지 직포 및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측 라이너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웨브(meltblown web) 또는 스펀본드 웨브(spunbonded web)로 구성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또한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본디드-카디드 웨브(bonded-carded web)일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수성 재료는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원하는 레벨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게 달리 처리될 수 있다.
흡수용품(20)의 외측 커버(32)는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외측 커버(32)는 실질적으로 유체 불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외측 커버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커버(32)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의복에 근접한 촉감을 갖는 외측 커버(32)를 마련하고자 하는 경우에, 외측 커버(32)는 부직포 웨브가 외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필름, 예컨대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복형 외측 커버의 형성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또한, 외측 커버(32)는 흡수 코어(34)에 인접하거나 근접한 선택 영역에 원하는 레벨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할 수 있게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처리된 섬유상의 직포 웨브층이나 부직포 웨브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버(32)는 선택적으로 미공성의 "통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기성 재료는 증기가 복합 흡수 코어(34)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체 삼출물이 외측 커버(32)를 투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신체측 라이너(30) 및 외측 커버(32)는 일반적으로 상호 부착되어 포켓을 형성하며, 이러한 포켓 내에 복합 흡수 코어(34)가 위치된다. 신체측 라이너(30) 및 외측 커버(32)는 예컨대 접착제 본딩, 음파 본딩 또는 열 본딩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흡수용품(20)의 외주를 따라 상호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일한 연속 접착층, 패턴화된 접착층, 분무 또는 멜트블로운 패턴의 접착제, 또는 일련의 라인 형태, 스월 형태 또는 점 형태의 접착제가 신체측 라이너를 외측 커버(32)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딩 수단은 본 발명의 흡수용품과 복합 흡수 코어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서로 부착시키는 데에도 적합할 수 있다. 다리 커프(36)는 복합 흡수 코어(34)의 종방향 측부를 넘어 연장되는 외측 커버(32)의 부분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30)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다리 커프(36)는 외측 커버(32)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30)에 부착된 별도의 재료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 커프(36)는 다리 탄성체(38)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 탄성체(40, 42)도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다리 탄성체(38)는 착용자의 다리에 대해 흡수용품(20) 을 끌어당겨 유지시킬 수 있게 배치된다. 허리 탄성체(40, 42)도 또한 착용자에 대해 흡수용품(20)을 끌어당겨 유지시킬 수 있게 배치된다. 다리 탄성체(38) 및 허리 탄성체(40, 42)의 형성에 사용되는 적합한 재료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들의 예로서, 신장된 상태로 흡수용품(20)에 부착되거나 흡수용품이 주름진 상태에서 흡수용품에 부착되어, 흡수용품(20)에 탄성 수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중합체 엘라스토머 재료의 스트랜드(strand)나 리본(ribbon)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태양에 있어서, 탄성체는 미국 캔자스주 위치타에 소재한 인비스타 코포레이션(INVISTA Co.)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라이크라(LYCRA)의 개별 스트랜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리 탄성체(38) 및 허리 탄성체(40, 42)는 원하는 성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탄성체(38) 및 허리 탄성체(40, 42)는 탄성 재료의 단일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탄성 재료의 수개의 평행 또는 비평행 스트랜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탄성체(38)는 일반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으로 착용자의 다리와 둔부의 윤곽에 보다 근접하게 맞고 보다 우수하게 신체 삼출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리 탄성체(38) 및 허리 탄성체(40, 42)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여러 가지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으로 흡수용품(2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는 흡수용품(20)에 초음파 본딩, 열 본딩 또는 접착제 본딩될 수 있다.
체결 수단(44)은 흡수용품(20)을 착용자에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통상적으로 흡수용품(20)의 후방부(24)의 코너에 적용된다. 적합한 체결 수단(44) 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테이프 탭 체결구(tape tab fastener), 후크 및 루프 체결구(hook and loop fastener), 머쉬룸 및 루프 체결구(mushroom and loop fastener), 스냅, 핀, 벨트 등과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체결 수단(44)은 재고정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소정의 설계 구성을 갖는 흡수용품의 경우에는 체결 수단(44)을 배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체결 수단(44)은 체결구 안착재(45)와 결합되거나 또는 달리 접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체결구 안착재(45)는 전방 허리 영역(23)의 외측 커버(32)에 접합되는 루프 재료로서, 후크형 체결 수단(44)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체결구 안착재(45)는 테이프 탭 체결 수단(44)과 결합되는 필름일 수 있다.
흡수 코어(34)는 흡수용품(20)의 형성을 위해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 사이에 위치된다. 흡수 코어(34)는 일반적으로 정합형(conformable)으로서,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흡수 코어(34)는 단일의 일체형 재료편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는 작동가능하게 함께 조립되는 복수의 개별 재료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코어(34)는 여러 가지 형상들 및 크기들 중에서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흡수 코어(34)는 여러 가지 유형의 습윤성의 친수성 섬유상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로서,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같이 본래 습윤성인 재료로 형성된 천연 유기 섬유와, 예컨대 레이온 섬유와 같이 셀루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형성된 합성 섬유와, 예컨대 유리 섬유와 같이 본래 습윤성인 재료로 형성된 무기 섬유와, 예컨대 특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이 본래 습윤성인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합성 섬유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이 비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형성된 합성 섬유로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화 처리된 합성 섬유가 있다. 흡수 코어(34)는 또한 상술한 여러 가지 유형의 섬유들을 선택적으로 혼합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코어(34)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웨브와 같은 친수성 섬유를 일반적으로 초흡수성(superabsorbent) 재료로 알려진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와 혼합한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용품(20)은 또한 흡수 코어(34)의 전체적인 유체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지부(surge portion)(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서지부(70)의 친수성은 흡수 코어(34)의 친수성보다 낮으며, 서지부(70)는 유체 서지를 수집하여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유체 삼출물이 흡수 코어(34)의 일부에 고여 모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서지부(70)를 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직포 및 부직포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지부(70)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 웨브의 층일 수 있거나,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본디드-카디드 웨브일 수 있다. 서지부(70)는 실질적으로 소수성의 재료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원하는 레벨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게 계면활성제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서지부(70)는 예컨대 면, 레이온, 목재 펄프, 본래 습윤성인 합성 중 합체, 친수화 처리 또는 표면 처리된 중합체 등과 같은 다른 습윤성 섬유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지부(70)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 및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인클로저(60)는 예컨대 외측 커버(32), 신체측 라이너(30) 또는 그들 모두와 같이 흡수용품의 내면 또는 외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60)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재(56)와 적어도 하나의 배면재(59)로 구성된다. 커버재(56)는 커버 외주(57)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외주"라는 용어는 재료 또는 물건의 내측 영역과 구별되는 외측 경계부를 나타낸다. 커버재(56)는 인클로저(60)의 형성을 위해 커버 외주(57)를 따라 배면재(59)와 접합된다. 인클로저(6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건(62)이 배치되는 포켓(61)을 형성한다. 물건(62)은 하나 이상의 커버재(56)와 하나 이상의 배면재(59) 사이에 위치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신체측 라이너(30), 및/또는 외측 커버(32), 및/또는 흡수용품(20)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면재(59)는 흡수용품(20)에 접합되어 보호자나 사용자가 커버재(56)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다기능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기능성"이라는 용어는 인클로저(6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인클로저(60)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능과는 다른 기능으로 흡수용품에서 작용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커버재(56)로서 기능하는 체결구 안착재(45)를 포함하는 인클로 저(60)가 다기능성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배면재(59)로서 기능하는 외측 커버(32)가 다기능성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허리 탄성체(40 및/또는 42)는 커버재(56)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신체측 라이너(30)는 배면재(59)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으로 허리 탄성체(40 및/또는 42)는 인클로저(60)의 형성을 위해 전방 허리 영역(23) 및/또는 후방 허리 영역(25)에서 외주(57)를 따라 신체측 라이너(30)에 접합된다. 인클로저(6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건(62)이 배치되는 포켓(61)을 형성한다. 허리 탄성체(40 및/또는 42)는 예컨대 접착제 본딩, 점착제 본딩, 음파 본딩, 열 본딩, 기계적 본딩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허리 탄성체(40 및/또는 42)의 외주(57)를 따라 신체측 라이너(30)에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일한 연속 접착층, 패턴형 접착층, 분무 또는 멜트블로운 패턴의 접착제, 또는 일련의 라인 형태, 스월 형태 또는 점 형태의 접착제가 허리 탄성체(40 및/또는 42)를 신체측 라이너(30)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1은 체결구 안착재(45)[커버재(56)로서 기능함]와 외측 커버(32)[배면재(59)로서 기능함]에 의해 형성되는 인클로저(6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체결구 안착재(45)는 인클로저(60)의 형성을 위해 전방 허리 영역(23)에서 외주(57)를 따라 외측 커버(32)에 접합된다. 인클로저(6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건(62)을 수용하는 포켓(61)을 형성한다.
체결구 안착재(45)는 예컨대 접착제 본딩, 음파 본딩, 열 본딩, 기계적 본딩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외측 커 버(32)에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일한 연속 접착층, 패턴형 접착층, 분무 또는 멜트블로운 패턴의 접착제, 또는 일련의 라인 형태, 스월 형태 또는 점 형태의 접착제가 체결구 안착재(45)를 외측 커버(32)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는 설계자가 원하는 기능적 목적 및/또는 미적 목적의 달성에 필요한 추가적인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 같은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탄성을 추가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증기 투과성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액체 불투과성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다른 목적을 위해서, 추가적인 층들이 부가될 수 있다.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는 다공성 폼, 망상 폼,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조합과 같은 광범위한 웨브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에 대해서 여러 가지 직포 및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웨브 또는 스펀본드 웨브, 그리고/또는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의 본디드-카디드 웨브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는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는 증기 투과성 또는 액체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는 부직포 웨브가 외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필름, 예컨대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 웨브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는 비신장성이거나, 신장성이거나, 탄성일 수 있 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포켓(61) 내에 위치된 물건(62)으로의 체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포일, 열전도성 접착제로 처리한 부직포, 열전도성 중합체 등과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가지 적합한 중합체로서,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워릭에 소재한 쿨 폴리머즈 인코포레이티드(Cool Polymer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E-시리즈 열전도성 플라스틱(E-SERIES Thermally Conductive Plastic)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커버(56) 및/또는 배면재(59)와 흡수용품(20)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들)는 예컨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한 쓰리엠 코포레이션(3M Corporation)에서 제조하는 열전도성 테이프(Thermally Conductive Tape) 9882, 9885 또는 9892FR과 같이 열전도성일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인클로저(60)는 하나 이상의 시임(seam)(64)을 구비할 수 있다. 시임(64)은 예컨대 지퍼 시임, 랩 시임, 취약선 시임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당김 개방 시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임(64)은 사용자가 손으로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폐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클로저(60) 내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물건(62)에 접근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시임(64)은 바람직하게는 커버재(56)에 위치되지만,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배면재(59)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당김 개방 시임(pull open seam)"이라는 용어는 손으로 시임에 힘을 가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는 시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힘에 의해 시임의 양쪽에서 재료를 양방향으로 당겨 분리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지퍼 시임(zipper seam)"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백과 함께 사용되는 자가 정합 리브 및 플랜지 시임(self-mating rib and flange seam)을 말한다. 적합한 지퍼 시임이 2003년 4월 15일자로 갈키비츠(Galkiewicz)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544,60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랩 시임(lap seam)"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재료를 대면시켜 접합시킨 것, 즉 하나의 재료가 다른 재료와 "중첩"되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외피 상의 밀봉된 플랩(sealed flap)이 랩 시임일 수 있다. 사용한 접착제의 유형에 따라서, 외피의 랩 시임은 당김 개방 시임으로서 고려되거나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취약선(line of weakness)" 시임은 부분 가압 절단, 부분 초음파 절단, 부분 열변형, 기계적 박화(mechanical thinning), 천공, 또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공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재료편에 형성되는 시임을 말한다. 취약선 시임은 제공된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천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재료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통해 구멍, 슬릿, 개구, 공극 등이나 이들의 조합들을 형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라는 용어는, 인클로저(60)를 파괴하지 않고서는, 그리고/또는 인클로저(60)와 접합된 흡수용품(20)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시임(64)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물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을 때의 인클로저(60) 상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개방 상태"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시임(64)이 분리된 후 그리고 사용자가 인클로저 내의 하나 이상의 물건(62)에 접근할 수 있을 때의 인클로저(60) 상태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임(64)은 일반적으로 종방향(48), 횡방향(50) 및 이들의 조합으로 배향될 수 있다. 시임(64)은 예컨대 T자형, U자형, V자형, X자형, Y자형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임(64)은 사용자가 시임(64)을 분리시켜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키고, 이어서 시임(64)을 재접합시켜 인클로저(60)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재밀봉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임(64)은 시임의 분리시 시임이 재접합될 수 없어 인클로저(60)가 재밀봉될 수 없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임(64)은 시임(64)의 분리시 인클로저(60)가 흡수용품의 구성요소로서 다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60)는 또한 횡방향(50)으로 탄성을 갖는 허리 탄성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인클로저(60)는 대체로 횡방향(50)으로 정렬된 시임(6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임(64)을 분리시킬 때, 허리 탄성체는 기능적 탄성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임(64)은 시임의 분리시에 인클로저(60)가 더 이상 다기능성이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시임(64)은 하나 이상의 시임 표시물의 사용을 통해서 보다 잘 보이게 또는 두드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시임 표시물은 시임(64)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표시의 프린팅(printing), 엠보싱(embossing) 또는 본딩 등이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임 표시물은 시임(64)으로 보호자나 사용자의 주의를 끌도록 형성되며, 일정한 형상, 심볼, 텍스트 또는 그래픽 등이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시임(64)은 예컨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색상 변화 요소 또는 텍스트 정렬 요소와 같은 위조 방지 장치(tamper evident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는 인클로저(60) 또는 흡수용품(20)을 파괴하지 않고서 흡수용품(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는 흡수용품(2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흡수용품(20)에 재접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인클로저(60)는 흡수용품(2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물건으로 재충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흡수용품(20)에 재접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 내에 위치된 물건(62)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손수건, 로션, 크림, 파우더, 오물 처리 백(disposal bag), 오일, 쿠폰, 완구, 게임, 스티커, 선스크린, uv 디텍터, 방향제, 소형 책자, 사용 설명서, 트레이딩 카드(trading card), 손 세정제, 홍보물 및 시제품 등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 내에 위치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물건들이 코헨(Cohen) 등에 의해 2005년 8월 5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경품을 구비한 용품(Article with Premium)"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198,24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건(62)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손수건일 수 있다. 손수건은 임의의 적절한 비절첩(unfolded)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수건은 대략 2.0 cm 내지 대략 80.0 cm,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 cm 내지 대략 26.0 cm의 비절첩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대략 2.0 cm 내지 대략 80.0 cm,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 cm 내지 대략 45.0 cm의 비절첩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수건에 적합한 재료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손수건은 손수건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는 멜트블로운, 코폼(coform), 에어레이드(airlaid), 스펀레이스(spunlace), 본디드-카디드 웨브 재료와, 하이드로인탱글드 재료(hydroentangled material)와, 높은 습식 강도 티슈(high wet strength tissue) 등을 포함한다. 손수건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손수건은 대략 25 g/㎡ 내지 대략 140 g/㎡,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g/㎡ 내지 대략 90g/㎡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태양에 있어서, 손수건은 대략 60 g/㎡ 내지 대략 100 g/㎡, 바람직하게는 대략 80 g/㎡ 내지 85 g/㎡의 평량을 갖는, 중합체 극세사(polymeric microfiber)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코폼 기재 시트(coform base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폼 기재 시트는 일반적으로 1978년 7월 11일자로 앤더슨(Ander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00,324호에 개시된 바에 따라 제조되며, 이러한 미국 특허의 전체 내용은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코폼 기재 시트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극세사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멜트블로운 극세사의 가스 형성 매트릭스(gas-formed matrix)와, 예컨대 목재 펄프 섬유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한다. 코폼 기재 시트의 중합체 극세사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상대 비율은 젖은 손수건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폼 기재 시트는 손수건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코폼 기재 시트의 건중량(dry weight)을 기초로 하여 대략 20중량% 내지 대략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대략 20중량% 내지 대략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30중량% 내지 대략 40중량%의 중합체 극세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태양들에 따른 손수건은 손수건 내로 흡수되어 "젖은 손수건"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용액인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젖은 손수건 내에 함유된 액체는 원하는 세척 특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성분은 물, 연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 pH 완충제, 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액 체는 또한 로션, 연고 및/또는 약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건(62)은 패키지(52)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예컨대 도11 참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수용"이라는 용어는 물건이 커버재(56) 및 배면재(59)에 더하여 패키지(52) 내에 내장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젖은 손수건이 습기 불투과성 패키지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젖은 손수건 및 패키지는 인클로저(60) 내에서 포켓(6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패키지(52)는 하나 이상의 보조 커버(sub-cover)(54)(예컨대 도11 참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배면재(sub-backing)(58)(예컨대 도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커버(54)는 제2 포켓(63)(예컨대 도11 참조)을 형성할 수 있게 외주를 따라 보조 배면재(58)에 접합될 수 있다. 이어서, 물건(62)은 패키지(52) 내에서 제2 포켓(6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어서, 패키지(52)는 인클로저(60) 내에서 포켓(6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독립적으로 수용된 물건은 살균, 습기 유지, 안전, 광 경감, 공기 경감, 열 안정성 등의 이유로 바람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독립적으로 수용된 물건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방향제, 선스크린, uv 디텍터, 광 활성 화합물 등과 같은 물건의 효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수용된 물건(62)을 사용하게 되면, 흡수용품(20) 내에서의 보다 우수한 성능을 위해서 커버재(56) 및/또는 배면재(59)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젖은 손수건은 독립적으로 수용된 액체 불투과성 패키지(5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젖은 손수건 및 독립적으로 수용된 패키지는 액체 투과성 및/또는 증기 투과성 커버재(56) 및/또는 배면재(59)를 구비한 인클로저(60) 내에 위치될 수 있어, 인클로저(60)가 흡수용품(20)에 접합된 영역에서 흡수용품(20)이 통기성을 유지시키면서 손수건을 젖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유사하게, 독립적으로 수용된 패키지는 광의 차단에 바람직할 수 있어, 인클로저 재료가 광을 차단시킬 필요가 없어지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20)이 부분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정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3은 도2의 흡수용품(20)을 선 3-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의 흡수용품(20)은 전방부(22), 후방부(24) 및 가랑이부(26)를 포함한다. 가랑이부(26)는 전방부(22)를 후방부(24)에 연결시킨다. 전방부(22)는 전방 허리 영역(23)을 포함한다. 후방부(24)는 후방 허리 영역(25)을 포함한다. 전방 허리 영역(23)은 전방 허리 탄성체(40)를 포함한다. 후방 허리 영역(25)은 후방 허리 탄성체(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수용품(20)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34)를 더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후방부(24)에 위치된 체결 수단(44)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수단은 전방부(22)에 위치된 체결구 안착재(45)와 접합된다. 체결구 안착재(45)는 외주(57)를 구비하며, 포켓(61)을 형성하는 인클로저(60)의 형성을 위해 외주(57)를 따라 전방부(22)의 외측 커버(32)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된다. 포켓(61)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건(62)을 수용한다. 인클로저(60)는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 다.
본 실시예에서, 인클로저(60)는 체결구 안착재(45) 내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횡방향(50)으로 연장되는 단일 시임(64)을 구비한다. 시임(64)은 취약선 시임이다.
인클로저(6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유아용 손수건과 같은 물건(62)을 포함한다. 인클로저(60)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물건(62)에 접근하고자 하는 보호자나 사용자는 손으로 시임(64)을 분리시켜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물건(62)에 접근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인클로저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물건(62)은 인클로저(6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커버재(56)[본 실시예에서 체결구 안착재(45)] 및/또는 배면재(59)[본 실시예에서 외측 커버(32)]의 형성에 탄성 및/또는 신장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서 탄성 및/또는 신장성 인클로저(60)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흡수용품(20)의 사용시, 외측 커버(32)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30) 및/또는 전방 허리 탄성체(40)는 인클로저(60) 내에 수용된 물건(62)로부터의 방해 없이 또는 인클로저(60)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로부터의 방해 없이 연장 및/또는 수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는 인클로저(60)가 개방 상태 및/또는 폐쇄 상태일 때 탄성 및/또는 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임(64)은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 모두에서 탄성 및/또는 신장성을 가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임(64)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횡방 향(50)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인클로저(60)는 횡방향(50)으로 탄성 및/또는 신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임(64)이 분리되어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된 후에라도, 인클로저(60)는 탄성 및/또는 신장성을 유지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클로저(60) 및/또는 물건(62)은 횡방향(50)으로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도2의 흡수용품(20)이 부분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정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인클로저(60)는 개방 상태에 있어 내부에 수용된 물건(62)에 접근할 수 있다. 도5는 도4의 흡수용품(20)을 선 5-5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20)이 부분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정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2의 흡수용품(20)과 유사하게, 도6의 흡수용품(20)은 전방부(22), 후방부(24), 가랑이부(26), 전방 허리 영역(23), 후방 허리 영역(25) 및 후방 허리 탄성체(42)를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34)를 더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후방부(24)에 위치된 체결 수단(44)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수단은 전방부(22)에 위치된 체결구 안착재(45)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체결구 안착재(45)는 제1 에지(94) 및 제2 에지(95)를 구비한다. 제1 에지(94)는 전방 허리 에지(41)에 근접하며, 제2 에지(95)는 전방 허리 에지(41)로부 터 멀리 떨어져 있다. 체결구 안착재(45)[커버(56)로서 기능함]는 외주(57)를 구비하며, 포켓(61)을 형성하는 인클로저(60)의 형성을 위해서 외주(57)를 따라 전방부(22)의 외측 커버(32)[배면재(59)로서 기능함]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된다. 포켓(61)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건(62)을 수용한다. 인클로저(60)는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클로저(60)는 체결구 안착재(45) 내에 위치하고 대체로 체결구 안착재(45)의 제1 에지(94)로부터 제2 에지(95)로 종방향(48)으로 연장되는 단일 시임(64)을 구비한다. 시임(64)은 일반적으로 시임(64)에 근접하게 그 시임을 따른 손에 의한 인열(tear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천공되거나 아니면 약화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임(64)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클로저(6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유아용 손수건과 같은 물건(62)을 포함한다. 인클로저(60)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물건(62)에 접근하고자 하는 보호자나 사용자는 손으로 시임(64)을 분리시켜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물건(62)에 접근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인클로저로부터 분리가능하다. 개방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물건(62)이 인클로저(60)에 부가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도6의 흡수용품(20)의 정면 사시도로서, 인클로저(60)가 부분 개방 상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물건(62)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불규칙한 시임(64)은 시임(64)의 파단 후에 형성되는 탭(65)이 된다. 또한, 시임(64)은 완전히 체결구 안착재(45)를 종방향으로 횡단하 기 때문에, 체결구 안착재(45)는 인클로저(6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2개의 부재로 분리된다.
도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20)이 부분적으로 체결된 상태가 정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6의 흡수용품(20)과 유사하게, 도8의 흡수용품(20)은 전방부(22), 후방부(24), 가랑이부(26), 전방 허리 영역(23), 후방 허리 영역(25) 및 후방 허리 탄성체(42)를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34)를 더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후방부(24)에 위치된 체결 수단(44)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수단은 전방부(22)에 위치된 체결구 안착재(45)와 접합된다.
체결구 안착재(45)는 제1 에지(94) 및 제2 에지(95)를 구비한다. 제1 에지(94)는 전방 허리 에지(41)에 근접하며, 제2 에지(95)는 전방 허리 에지(41)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체결구 안착재(45)[커버(56)로서 기능함]는 외주(57)를 구비하며, 포켓(61)을 형성하는 인클로저(60)의 형성을 위해서 외주(57)를 따라 전방부(22)의 외측 커버(32)[배면재(59)로서 기능함]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된다. 포켓(61)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물건(62)을 수용한다. 인클로저(60)는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클로저(60)는 체결구 안착재(45) 내에 위치하고 종방향(48) 및 횡방향(50) 모두로 연장되는 단일 U자형 시임(64)을 구비한다. 시임(64)은 일반적으로 시임(64)에 근접하게 그 시임을 따른 손에 의한 인 열(tear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천공되거나 또는 달리 약화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임(64)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클로저(60)는 시임(64)을 손으로 분리시켜 커버(56)를 배면재(59)로부터 벗겨내서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킴으로써 접근할 수 있는 물건(62)을 포함한다.
도9를 참조하면, 인클로저(60)가 부분적인 개방 상태에 있어서 인클로저 내에 수용된 물건(62)에 접근이 가능한 상태의 도8의 흡수용품(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불규칙한 U자형 시임(64)은 시임(64)의 파단 후에 형성되는 탭(65)이 된다. 또한, 시임(64)이 U자형이기 때문에, 인클로저가 개방 상태일 때 체결구 안착재(45) 내에 플랩이 형성된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인클로저(60)가 각각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로 도시된 하나의 예시적인 흡수용품(20)이 정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흡수용품(20)은 전방부(22), 후방부(24) 및 가랑이부(26)를 포함한다. 가랑이부(26)는 전방부(22)를 후방부(24)에 연결시킨다. 전방부(22)는 전방 허리 영역(23)을 포함한다. 후방부(24)는 후방 허리 영역(25)을 포함한다. 전방 허리 영역(23)은 전방 허리 탄성체(40)를 포함한다. 후방 허리 영역(25)은 후방 허리 탄성체(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수용품(20)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와 외측 커버(32)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34)를 더 포함한다. 흡수용품(20)은 후방부(24)에 위치된 체결 수단(44)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체결 수단은 전방부(22)에 위치된 체결구 안착재(45)와 접합된다.
인클로저(60)는 외주(57)를 구비한 커버재(56)[체결구 안착재(45)]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또한 적어도 외주(57)를 따라 커버(56)와 접합되는 배면재(59)[외측 커버(32)]를 포함한다. 인클로저(60)는 패키지(52)를 수용하는 포켓(61)을 형성한다. 패키지(52)는 외주(72)를 구비한 보조 커버(54)를 포함한다. 패키지(52)는 또한 보조 배면재(58)를 포함한다. 보조 커버(54)는 적어도 외주(72)를 따라 보조 배면재(58)에 접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물건(62)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포켓(63)을 형성한다. 패키지(52)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한정한다.
보조 커버(54)와 보조 배면재(58)는 예컨대 접착제 본딩, 점착제 접착, 음파 본딩, 열 본딩 및 기계적 본딩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보조 커버(54)와 보조 배면재(58)는 예컨대 보조 커버(54)를 보조 배면재(58)로부터 벗기는 것과 같이 인력(manual force)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보조 커버(54)와 보조 배면재(58)는 재밀봉이 가능하다.
보조 커버(5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커버(56)와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커버(54)가 커버(56)와 접합되는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킴으로써 패키지(52)도 또한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보조 커버(54)가 커버(56)와 접합되지 않는 실시예들에서,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폐쇄 상태에 있는 패키지(52)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도11을 참조하면, 패키지(52)는 전방부(22)에서 체결구 안착재(45)[커버(56)로서 기능함]와 외측 커버(32)[배면재(59)로서 기능함] 사이에 접합된다. 체결구 안착재(45)는 손으로 분리가능하여 체결구 안착재(45)의 일부가 외측 커버(32)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하는 시임(64)을 구비한다. 패키지(52)의 보조 배면재(58)는 패키지(52)를 포켓(61) 내에 유지하기 위해 외측 커버(32)와 접합된다. 패키지(52)의 보조 커버(54)는 체결구 안착재(45)의 상향 이격시 보조 커버(54)도 또한 상향 이격되어 인클로저(60) 및 패키지(52) 모두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재(45)와 접합된다. 개방 상태에서, 물건(62)으로의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커버재(54)는 체결구 안착재의 상향 이격시 보조 커버재(54)가 보조 배면재(58)와의 접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재(45)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체결구 안착재(45)가 상향 이격되면, 보조 커버재(54)는 보조 배면재(58)로부터 손으로 분리되어 보조 커버재와 보조 배면재 사이에 위치된 물건(62)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12를 참조하면, 도1의 흡수용품과 유사한 흡수용품(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흡수용품은 평탄하게 놓인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착용자의 의복과 접촉하는 흡수용품 표면이 관찰자 쪽을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고, 하부 구조의 도시를 위해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13은 도12의 흡수용품(20)을 선 13-1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흡수용품(20)은 전방 허리 영역(23)에서 외측 커 버(32)와 접합되는 인클로저(60)를 포함한다. 인클로저(60)는 배면재(59), 보조 커버(54) 및 커버(56)를 포함한다. 인클로저(60)는 적어도 하나의 물건(62)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켓(61)을 형성한다.
보조 커버(54)는 외주(72)를 구비하며 이러한 외주(72)를 따라 배면재(59)에 접합되어 이들 사이에 물건(62)을 수용한다. 보조 커버(54)는 개구(55)를 구비한다. 커버(56)는 외주(57)를 구비하며, 이러한 외주(57)를 따라 보조 커버(54)에 접합되어, 개구(55)에 걸쳐 연장되고 개구(55) 주위로 랩 시임(64)을 형성한다.
커버(56)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보조 커버(54)에 접합될 수 있다. 보조 커버(54)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배면재(59)에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56)는 예컨대 미국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와 미국 매사추세츠주 미들톤에 사무소를 둔 보스틱(Bostik)으로부터 입수가능한 H9078과 같은 점착제(68)에 의해 보조 커버(54)에 접합된다. 점착제(68)는 커버(56)가 보조 커버(54)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보조 커버(56)의 개구(55)가 노출되도록 하며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개방 상태에서, 물건(62)으로의 접근은 포켓(61)의 개구(55)를 통해 가능하다. 점착제(68)는 또한 인클로저(60)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56)를 보조 커버(54)로부터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커버(56)에 가하면 보조 커버(54)와 배면재(59) 사이에 유합(union)이 남도록 보조 커버(54)가 배면재(59)에 접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전술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써 본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 및 변형과 이에 대한 균등물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흡수용품(20)이며,
    a. 외측 커버(32)와,
    b. 신체측 라이너(30)와,
    c.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34)와,
    d. 전방 허리 영역(23) 및 후방 허리 영역(25)과,
    e. 포켓(61)을 한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허리 영역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인클로저(60)와,
    f. 포켓(61) 내에 배치되는 물건(62)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인클로저(60)는 허리 탄성체 부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인클로저(60)는 체결구 안착재(45)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인클로저(60)는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가지며, 탄성 인클로저(60)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흡수용품(20)에 탄성을 제공하는 흡수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포켓(61) 내에 배치된 물건(62)은 패키지(52)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흡수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종방향(48) 및 횡방향(50)을 한정하며, 인클로저(60)는 당김 개방 시임(64)을 포함하고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한정하며,
    a. 당김 개방 시임(64)은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며,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인클로저(60) 내에 배치된 물건(62)에 접근이 불가능하며,
    b. 당김 개방 시임(64)은 손으로 분리가능하여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키며, 인클로저(6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포켓(61) 내에 배치된 물건(62)에 접근이 가능하며,
    c. 당김 개방 시임(64)은 대체로 횡방향(50)으로 배향되는 흡수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물건(62)은 손수건인 흡수용품.
  8. 제7항에 있어서, 인클로저(60)는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9. 전방부(22)와 후방부(24)를 구비하는 흡수용품(20)이며,
    a. 외측 커버(32)와,
    b. 신체측 라이너(30)와,
    c.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34)와,
    d. 후방부(24)에서 흡수용품(20)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는 한 쌍의 후크 체결구(44)와 전방부(22)에서 외측 커버(32)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어 인클로저(60)를 형성하는 루프 체결구 안착재(45)를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과,
    e. 포켓(61)을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당김 개방 시임(64)을 구비하는 인클로저(60)로서,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한정하고, 당김 개방 시임(64)은 손으로 분리가능하고 분리시에 인클로저(6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인클로저(60)와,
    f. 포켓(61) 내에 배치되며, 인클로저(6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접근이 불가능하고, 인클로저(6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접근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손수건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10. 제9항에 있어서, 흡수용품(20)은 종방향(48) 및 횡방향(50)을 가지며, 시임(64)은 대체로 횡방향(50)으로 배향되는 흡수용품.
  11. 제9항에 있어서, 체결구 안착재(45)는 시임(64)이 분리된 후에 체결구(44)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흡수용품.
  12. 제9항에 있어서, 포켓(61) 내에 배치된 손수건은 패키지(52) 내에 독립적으 로 수용되는 흡수용품.
  13. 제9항에 있어서, 당김 개방 시임(64)은 랩 시임, 지퍼 시임 및 취약선 시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용품.
  14. 제9항에 있어서, 당김 개방 시임(64)은 점착제로 접합된 랩 시임이며, 인클로저(6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흡수용품.
  15. 제9항에 있어서, 인클로저(60)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16. 전방부(22)와 후방부(24)를 구비하는 흡수용품(20)이며,
    a. 외측 커버(32)와,
    b. 신체측 라이너(30)와,
    c. 외측 커버(32)와 신체측 라이너(30)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34)와,
    d. 전방 허리 영역(23)에서 외측 커버(32)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는 인클로저(60)로서, (ⅰ) 외주를 구비하며, 포켓(61)의 형성을 위해 상기 외주를 따라 배면재(59)에 접합되는 보조 커버(54)로서, (ⅱ) 포켓(61)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개구(55)를 형성하는 상기 보조 커버(54)와, (ⅲ) 외주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를 따라 보조 커버(54)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며, 개구(55)에 걸쳐 연장되어 포켓(61)을 폐쇄하며, 루프 안착재(45)로서 기능하는 커버(56)와, (ⅳ) 포켓(61)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수건을 포함하는 인클로저(60)와,
    e. 후방부(24)에서 흡수용품(20)에 작동가능하게 접합되고 루프 안착재(45)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후크 체결구(44)를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인클로저(60)는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커버(56)는 점착제에 의해 보조 커버(54)에 접합되며, 인클로저(60)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흡수용품.
  19. 제16항에 있어서, 배면재(59), 보조 커버(54) 및 커버(56)는 증기 투과성인 흡수용품.
  20. 제16항에 있어서, 포켓(61) 내에 배치된 상기 손수건은 패키지(52) 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흡수용품.
KR1020087002904A 2005-08-05 2006-06-29 인클로저를 구비한 흡수용품 KR20080036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98,139 2005-08-05
US11/198,139 US8529537B2 (en) 2005-08-05 2005-08-05 Absorbent article with enclos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067A true KR20080036067A (ko) 2008-04-24

Family

ID=3746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904A KR20080036067A (ko) 2005-08-05 2006-06-29 인클로저를 구비한 흡수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529537B2 (ko)
EP (1) EP1916980A1 (ko)
KR (1) KR20080036067A (ko)
AU (1) AU2006276808A1 (ko)
BR (1) BRPI0614508A2 (ko)
MX (1) MX2008001695A (ko)
WO (1) WO2007018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2205A1 (en) * 2004-02-27 2005-09-01 Toan Trinh Multiple use fabric conditioning article with replacement indicium
US20070130707A1 (en) * 2005-12-13 2007-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sing device with inclusion
US20070130709A1 (en) * 2005-12-13 2007-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for employing a cleansing device with inclusion
US20090270829A1 (en) * 2006-06-22 2009-10-29 Shaaf Hameed Packaged undergarment and changing accessories
US20120046631A1 (en) * 2010-08-23 2012-02-23 B Joshua Pardue Convenience cleaning products pouch. Pouch for cleaning and disposable diaper industry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US8807090B1 (en) 2013-06-11 2014-08-19 Potts-Mangini Trust of October 15, 2002 Support kit, gar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9901494B2 (en) * 2013-09-17 2018-02-27 Neil Adam Kurtiak Disposable diaper with changing accessories enclosure
US20170087035A1 (en) * 2014-03-20 2017-03-30 Mamon Amiri Disposable diaper with integrated disposal aid
US20160008189A1 (en) * 2014-07-14 2016-01-14 Louis Ronald Ezzo Disposable diaper with pocket containing one or more wipes
WO2016053275A1 (en) * 2014-09-30 2016-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and secondary fastening system
WO2016053285A1 (en) * 2014-09-30 2016-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providing enhanced control
US10925780B2 (en) 2014-10-31 2021-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ipe gripper handle
US20180160752A1 (en) * 2016-04-13 2018-06-14 Patricia Elizabeth Morgan Pocket pouch
US20180085262A1 (en) * 2016-09-26 2018-03-29 Shakam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apor Detection
US20230181378A1 (en) * 2021-12-13 2023-06-15 Jamie Morris Infant Diapers with Pockets
US20240074923A1 (en) * 2022-01-11 2024-03-07 Cinthia FAJARDO Disposable diaper with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1555A (en) * 1934-01-19 1936-05-19 Chrysler Corp Combination fan and vibration damper
US2971359A (en) * 1957-07-25 1961-02-14 Firth Carpet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knitted pile fabrics
US2891396A (en) * 1958-07-02 1959-06-23 C H Masland And Sons Method of producing a fabric by warp knitting
US3442101A (en) * 1965-04-01 1969-05-06 Forsch Inst Fur Textiltechnolo Pile fabric
JPS5418195B2 (ko) 1972-04-27 1979-07-05
US3914483A (en) 1974-02-08 1975-10-21 Bates Printing Specialties Inc Double die-cut label
US3906266A (en) * 1974-02-22 1975-09-16 Black & Decker Mfg Co High inertia insulating cooling fan for electric motor device
US4100324A (en)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221221A (en) 1978-05-19 1980-09-09 Ehrlich Jimmie L Utility diaper structure
US4417894A (en) 1982-03-11 1983-11-29 Norris Kenneth E Towelsheet disposable diaper
US4848572A (en) 1986-06-09 1989-07-18 Herrera Patricio B Feminine hygiene device
US4702378A (en) 1986-09-30 1987-10-27 Henry Finkel Sanitary, disposable baby change kit
DE8629843U1 (ko) 1986-11-07 1987-01-08 Chalcographie Druck Und Papierverarbeitung Reingold + Wilck Kg (Gmbh & Co), 2000 Hamburg, De
US4743240A (en) 1987-01-30 1988-05-10 Robert Dohlke Disposable diaper system
NL8700367A (nl) 1987-02-13 1988-09-01 Correct Etiketten Bv Vlagetiket.
US4753647A (en) 1987-02-20 1988-06-28 Curtis Jamie L Infant garment
US4738678A (en) 1987-03-11 1988-04-19 Paulis Robert A Diaper/wipe combination
US4808175A (en) 1987-07-27 1989-02-28 Hansen William T Disposable diaper and wet wipe pad package
US4790840A (en) 1987-10-19 1988-12-13 Cathy Cortina Combined disposable diaper and cleaning wipe
US4917693A (en) * 1988-11-23 1990-04-17 Terry Barbara S Compact disposable diaper
GB8830090D0 (en) 1988-12-23 1989-02-22 Mono Web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label structures for promotional purposes
US4934535A (en) 1989-04-04 1990-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asy open flexible bag filled with compressed flexible artic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4931052A (en) 1989-06-16 1990-06-05 Feldman Ruth L Diaper with integral wiping cloth and disposal container
USD324567S (en) 1989-11-21 1992-03-10 Leslie Mark R Combined diaper and wiper
US5037414A (en) * 1990-02-06 1991-08-06 Edward R. Gutierrez Self-contained disposable diaper
US5569230A (en) 1990-06-05 1996-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ly packaged sanitary napkin having cleaning wipe packaged therewith
USD334426S (en) 1990-12-20 1993-03-30 Meis Lloyd R Combined diaper and wipe attachment
US5335372A (en) * 1992-03-12 1994-08-09 Rotecno Ag Article of clothing, in particular for the medical or chemical field
USD343233S (en) 1992-05-04 1994-01-11 Lanmon Donna G Diaper
US5702379A (en) 1992-10-22 1997-12-30 Preiss; Shoshana Disposable sanitary articles
US5304158A (en) 1993-01-19 1994-04-19 Webb Joseph A Disposable diaper system
US5447227A (en) 1993-07-08 1995-09-05 Kosberg; Robert Carrying device for pet supplies
US5509808A (en) 1994-02-14 1996-04-23 Bell; Samantha Toy toilet training kit
USD366315S (en) 1994-05-02 1996-01-16 Oranday Blanca A Combination disposable diaper and built in wipes pocket
US5582605A (en) 1994-07-05 1996-12-10 Lepie; Eric J. Disposable diaper adapted to carry toiletries and sanitary accessories
GB2298354A (en) 1995-03-03 1996-09-04 David Peter French Diaper
GB9506260D0 (en) 1995-03-28 1995-05-17 Thorpe Douglas Combined nappy with baby wipe
EP0830473A4 (en) 1995-06-05 1999-01-07 Creative Prod Resource Inc CHEMICAL CLEANING KIT FOR USE IN DRYER
US6594927B2 (en) 1995-08-24 2003-07-22 Magiccom Label or wrapper with premium
US20030217489A1 (en) 1995-08-24 2003-11-27 Magiccom Label or wrapper with premium
US5725382A (en) 1996-08-30 1998-03-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tained, interactive toilet training kit for children and caregivers
US6432098B1 (en) * 1997-09-04 2002-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fastening device
US5931304A (en) 1998-01-20 1999-08-03 Hammond; David A. First aid kit and method of replenishing
USD412982S (en) 1998-02-26 1999-08-17 Ernestine Wyatt Diaper with a pocket
USD431649S (en) 1998-04-16 2000-10-03 Rusty S Hunsucker Diaper with wipe pouch attachment
PT974356E (pt) * 1998-07-15 2004-02-27 Merck Sante Sas Comprimidos compreendendo uma combinacao de metformina e de glibenclamida
EP1113804A2 (en) * 1998-09-17 2001-07-11 Akesis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s of chromium or vanadium with antidiabetics for glucose metabolism disorders
US6383592B1 (en) 1998-12-14 2002-05-07 Sonoco Development, Inc. Bag laminate with a removable sticker portion
US6454748B1 (en) * 1999-02-17 2002-09-24 Shari Ives Diaper with a pocket
US6596918B1 (en) 2000-06-05 2003-07-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indicating graphics and employing masking techniques
US6101366A (en) * 1999-06-18 2000-08-08 Castillo; Celia Sound belt for diapers
DE29914539U1 (de) 1999-08-19 2000-01-05 Buech Martina Einmal-Babywindel
JP2001054536A (ja) 1999-08-20 2001-02-27 Uni Charm Corp 模様シート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45853A1 (en) * 1999-12-23 2003-03-06 Sauer Barbara O. Pocket design for absorbent article
US20010036479A1 (en) * 2000-01-14 2001-11-01 Gillian Cave Glyburide composition
US6475204B1 (en) 2000-04-10 2002-11-05 Doris A. Walker Diaper construction
JP3699328B2 (ja) * 2000-04-27 2005-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D476741S1 (en) 2000-05-08 2003-07-01 Carnell Childress-Dean Diaper with wipes pouch
US6712801B1 (en) 2000-07-06 2004-03-30 Darryl Richardson Powder dispensing baby diaper
US20020004656A1 (en) 2000-07-07 2002-01-10 Farzana Khan Disposable diaper system
US20030105443A1 (en) 2000-07-10 2003-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mircroporous film with registration mark
KR100794480B1 (ko) 2000-08-10 2008-01-16 칫소가부시키가이샤 디플루오로프로필렌옥시 그룹을 결합 그룹으로 하는액정성 화합물, 액정 조성물 및 액정 표시소자
US6808934B2 (en) * 2000-09-25 2004-10-26 Picoliter Inc. High-throughput biomolecular crystallization and biomolecular crystal screening
US6923798B2 (en) * 2001-01-22 2005-08-02 Sca Hygiene Products Ab Mechanical tape fastening system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6702894B2 (en) * 2001-10-24 2004-03-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ejection cartridge and system for dispensing a bioactive substance
CA2456806C (en) * 2001-08-08 2011-10-18 Brow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micronization of hydrophobic drugs
US20030065301A1 (en) * 2001-10-01 2003-04-03 Michelle Elliott Disposable diaper and wipe combination
US7520873B2 (en) 2001-10-12 2009-04-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lor gradation feature
US20030109841A1 (en) * 2001-12-10 2003-06-12 Edwards Lawrence A. Disposable diaper with auxiliary pockets
SE0201754D0 (sv) 2002-06-06 2002-06-0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rtikel med avtorkningsfunktion
US6785921B1 (en) 2002-06-17 2004-09-07 Carl J. Conforti Infant mat
US20040222119A1 (en) * 2002-08-28 2004-11-11 Rexam Cosmetic Packaging, Inc. Hermetic wipe container
CA2504268A1 (en) * 2002-10-30 2004-11-18 Spherics, Inc. Nanoparticulate bioactive agents
US20040092901A1 (en) * 2002-11-11 2004-05-13 Ronald Wayne Reece Diaper changing kit
US20040127867A1 (en) 2002-12-31 2004-07-01 Odorzynski Thomas Walter Absorbent article system
US7919666B2 (en) 2002-12-31 2011-04-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s with fragrance delivery system
US6694927B1 (en) * 2003-02-18 2004-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ld water draw bypass valve and variable firing boiler control
US7189300B2 (en) 2003-10-14 2007-03-13 Frito-Lay North America, Inc. Flexible film packaging having removable strip
US20050149389A1 (en) 2003-12-30 2005-07-07 Thomas Odorzynski Selling ad space on diapers
US20060020252A1 (en) * 2004-07-20 2006-01-26 Strong Michael D Self-contained disposal assembly
US20070032768A1 (en) 2005-08-05 2007-02-08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Article with prem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6980A1 (en) 2008-05-07
MX2008001695A (es) 2008-04-07
WO2007018838A1 (en) 2007-02-15
AU2006276808A1 (en) 2007-02-15
BRPI0614508A2 (pt) 2011-03-29
US20070032769A1 (en) 2007-02-08
US8529537B2 (en) 2013-09-10
US20130324961A1 (en) 2013-12-05
US9295594B2 (en)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6067A (ko) 인클로저를 구비한 흡수용품
RU2416385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US8911417B2 (en) Diaper with umbilical feature
US8211077B2 (en) Disposable pant-type diaper
US8118799B2 (en) Disposable garment having first and second attachment members
US6022430A (en) Method of making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adjustable belt
US6322552B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belt loops and an adjustable belt
RU2294728C2 (ru) Прокладка в трусики, прикрепляемое крылышко, комплект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изделия
KR100884838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06508741A (ja) 取替え可能な構成要素を含む多数の吸収性コア構成要素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0507439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をトレーニングパンツとして使用する方法
JP2010507440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を水泳用パンツとして使用する方法
WO2004084786A1 (en) Convertible prefastened diaper/pant
US20090152160A1 (en) Disposable diaper changing assembly
US20090152161A1 (en) Flexible, disposable dispensing container
MX2015007819A (es) Un articulo absorbente que comprende al menos dos cojines absorbentes, individuales, apilados.
RU2642042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выступы для пальцев, и способы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4068045B2 (ja) ファスニングテープを有する使いすておむつ
JP2009189381A (ja) 吸収性物品
MXPA00012309A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belt loops and an adjustable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