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133A -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133A
KR20080035133A KR1020060101377A KR20060101377A KR20080035133A KR 20080035133 A KR20080035133 A KR 20080035133A KR 1020060101377 A KR1020060101377 A KR 1020060101377A KR 20060101377 A KR20060101377 A KR 20060101377A KR 20080035133 A KR20080035133 A KR 2008003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lock
input
key button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379B1 (ko
Inventor
정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잠금/해제 기능이 있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과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키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잠금/해제 키 버튼과 동시에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면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잠금 기능을 해제하면서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나 모드에 접근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잠금, 해제, 실행, 지문 인식.

Description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LOCK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김 해제, 지문 인식 및 빠른 기능 실행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잠김 해제 및 빠른 기능 실행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지문 인식을 통해 잠김 해제 및 빠른 기능 실행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잠금/해제와 그와 동시에 입력되는 키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허락되지 않은 타인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잠금 기능을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는 타인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밀번호나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정 키 버튼을 이용하여 키 버튼의 입력을 제어한다. 타인의 사용과 오동작을 동시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키 버튼 잠금 해제 단계와 비밀 번호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단계를 거쳐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잠금 기능들은 반드시 해제 과정을 수행한 후에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나 모드에 잠금 기능이 없는 상태에 비해 빠르게 접근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잠금/해제 기능이 있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과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키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과 동시에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면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지문 입력 패드가 장착되고 잠금 기능이 있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과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키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위해 접촉되는 사용자 지문을 상기 지문 입력 패드를 통해 스캔하여 입력하고 인증하는 지문 인증부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과 동시에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인증부를 통해 인증 확인되면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잠금/해제 기능이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키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키 버튼 중 어느 한 개의 키 버튼이 잠금/해제 버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키 버튼 중 어느 한 개의 키 버튼이 잠금/해제 버튼이면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나머지 버튼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된 이후 일정시간 내에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잠김 해제되며 입력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에 대응 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지문 인식 패드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 상측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됨과 동시에 지문을 인식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여 인증 확인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잠김 해제 되며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일정시간 내에 입력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CS), 개인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 폰, MP3 player, 휴대용 미디어 재생기(PMP)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휴대 단말 중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키 입력부(127)에 구비된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함과 동시에 입력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170)에서 지문 인식됨과 동시에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인증부(130)에서 인증한다. 인증 확인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함과 동시에 입력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표시부(160)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잠금/해제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지문 인식 패드를 상측에 구비한 잠금/해제 키 버튼 상측에 구비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17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인식 패드를 나타내고, 상기 지문 인식 패드는 잠금/해제 키 버튼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지문 인식부(170)는 잠금/해제 키 버튼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고 스캔된 지문의 이미지는 지문 데이터 처리부(150)에 제공한다.
지문 인증부는 입력된 지문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문과 비교하는 장치로써 지문 데이터부(150)와 인증부(130)를 구비한다.
지문 데이터 처리부(15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170)를 통해 입력된 지문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증부(130)에 제공한다.
인증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문 데이터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된 지문과 비교하여 인증 확인하고 결과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잠김 해제 및 빠른 기능 실행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한 제어부(110)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잠김 해제 및 빠른 기능 실행 처리를 (201)~(205)단계로 보인 도 2를 참조한다. 휴대 단말기의 키 버튼의 입력이 제한되는 잠김 상태인 (2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 입력을 판단하여 (202)단계에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201)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의 잠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김 해제와 동시에 상기 입력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여 (204)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일정시간 내에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키 버튼을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김 해제와 동시에 상기 휴대 단말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일정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김 기능만 해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지문 인식을 통해 잠김 해제 및 빠른 기능 실행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한 제어부(110)의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지문 인식을 통해 잠김 해제 및 빠른 기능 실행 처리를 (301)~(311)단계로 보인 도 3을 참조한다. 키 버튼의 입력이 제한되는 잠김 상태인 (3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지문 패드를 상측에 구비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2)단계에서 지문 인식을 판단한다. 상기(302)단계에서 상기 지문 인식부(170)를 상측에 구비한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의 입력과 지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01) 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의 잠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의 입력과 지문의 입력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인증부(130)를 제어하여 (3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인증부(130)는 (304)단계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이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0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이 일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김 해제와 동시에 상기 입력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여 (306)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305)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307)단계에서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의 입력을 취소하고 (301)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303)단계에서 일정시간 내에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인증부(130)를 제어하여 (308)단계로 진행한다. (308)단계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이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308)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이 일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잠김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301) 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의 잠김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잠김/해제 키 버튼을 제외한 소정의 키 버튼이 숫자 키 버튼인 경우 상기 숫자 키 버튼을 일정시간 이상 입력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된 숫자로 지정된 전화번호로 발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기능키 버튼 또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숫자키 버튼을 동시에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잠김 상태를 해제하면서 원하는 메뉴로 접근하거나 원하는 모드로 전환한다. 또 상기 지문 인식 패드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 상측에 장착되면 사용자가 잠금/해제 키 버튼과 기능키 버튼 또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숫자키 버튼을 동시에 입력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보안 인증을 받아 잠김 상태를 해제하면서 원하는 메뉴로 접근하거나 원하는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실시 예에서는 잠김/해제 키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었으나 잠김/해제 버튼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 잠김/해제 키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장치가 있다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잠김 해제 단계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단계를 동시에 수행되므로 각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했을 때에 비해 빠르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잠금/해제 키 버튼 상측에 지문인식 패드를 장착하면 지문 인식을 통한 인증단계와 잠김 해제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단계를 동시에 수행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잠금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잠금/해제 기능이 있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과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키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과 동시에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면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잠금 기능만을 해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숫자키 버튼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었을 때 입력된 숫자로 지정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지문 입력 패드가 장착되고 잠금 기능이 있는 잠금/해제 키 버튼과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 버튼과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키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위해 접촉되는 사용자 지문을 상기 지문 입력 패드를 통해 스캔하여 입력하고 인증하는 지문 인증부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과 동시에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인증부를 통해 인증 확인되면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상기 기능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인증부를 통해 인증 확인된 경우에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기능키 버튼이 입력되어지지 않으면 잠금 기능만을 해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인증부를 통해 인증 확인된 경우에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된 숫자키 버튼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었을 때 입력된 숫자로 지정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상기 지문 인증부에서 인증 확인이 안된 경우에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잠금/해제 기능이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키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키 버튼 중 어느 한 개의 키 버튼이 잠금/해제 버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키 버튼 중 어느 한 개의 키 버튼이 잠금/해제 버튼이면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나머지 버튼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버튼 상측에 지문 인식 패드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두 개 이상의 키 버튼 중 어느 한 개의 키 버튼이 잠금/해제 버튼이면 상기 지문 인식 패드를 통해 입력된 지문 인식과 동시에 상기 잠금/해제 버튼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지문에 대한 인증 확인되면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나머지 버튼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0. 잠금/해제 기능이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잠금/해제 키 버튼이 입력되고 일정 시간 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키 버튼이 입력되는 단계와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기능 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 버튼이 입력 되는 단계가 생략되면 잠금 기능만을 해제하는 잠금/해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 버튼이 입력 되는 단계에서 상기 기능 키 버튼 대신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 키 버튼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로 지정된 전화번호로 발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3. 휴대 단말기에서 지문 입력 패드가 장착된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 입력 패드를 통해 지문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지문을 인식하고 일정 시간 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키 버튼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지문이 인증 확인된 경우 잠금 기능이 해제 되면서 입력된 기능 키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버튼이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으면 잠 금 기능만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 버튼 대신 숫자 입력을 하는 숫자 키 버튼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로 지정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이 인증 확인 안된 경우에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잠금/해제 및 기능 실행 방법.
KR1020060101377A 2006-10-18 2006-10-18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KR10127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377A KR101270379B1 (ko) 2006-10-18 2006-10-18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377A KR101270379B1 (ko) 2006-10-18 2006-10-18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33A true KR20080035133A (ko) 2008-04-23
KR101270379B1 KR101270379B1 (ko) 2013-06-05

Family

ID=3957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377A KR101270379B1 (ko) 2006-10-18 2006-10-18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79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190A1 (ko) * 2009-04-30 2010-11-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
WO2010137859A2 (en) * 2009-05-26 2010-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 locking mode of portable terminal
WO2013173773A1 (en) * 2012-05-18 2013-11-21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KR101397089B1 (ko) * 2014-02-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305959B2 (en) 2013-06-05 2016-04-05 Apple Inc. Biometric sensor chip having distributed sensor and control circuitry
US9396379B2 (en) 2009-12-29 2016-07-19 Idex Asa Surface sensor
US9460332B1 (en) 2013-09-09 2016-10-04 Apple Inc. Capacitive fingerprint sensor including an electrostatic lens
US9489127B2 (en) 2014-01-15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01685B2 (en) 2013-02-22 2016-11-22 Idex Asa Integrated finger print sensor
US9697409B2 (en) 2013-09-10 2017-07-04 Apple Inc. Biometric sensor stack structure
US9740343B2 (en) 2012-04-13 2017-08-22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modulation
US9883822B2 (en) 2013-06-05 2018-02-06 Apple Inc. Biometric sensor chip having distributed sensor and control circuitry
US9984270B2 (en) 2013-08-05 2018-05-29 Apple Inc. Fingerprint sensor in an electronic device
US10095906B2 (en) 2014-02-21 2018-10-09 Idex Asa Sensor employing overlapping grid lines and conductive probes for extending a sensing surface from the grid lines
US10101843B2 (en) 2014-01-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0296773B2 (en) 2013-09-09 2019-05-21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having electrical iso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18B1 (ko) 2017-11-28 2019-05-1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1611A2 (en) 2003-05-30 2005-01-06 Privaris, Inc. A system and methods for assignation and use of media content subscription service privileges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190A1 (ko) * 2009-04-30 2010-11-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
WO2010137859A2 (en) * 2009-05-26 2010-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 locking mode of portable terminal
WO2010137859A3 (en) * 2009-05-26 2011-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 locking mode of portable terminal
US9826077B2 (en) 2009-05-26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 locking mode of portable terminal
US9396379B2 (en) 2009-12-29 2016-07-19 Idex Asa Surface sensor
US10762322B2 (en) 2009-12-29 2020-09-01 Idex Biometrics Asa Fingerprint sensor including a substrate defining a ledge with contact points for incorporation into a smartcard
US9880675B2 (en) 2012-04-13 2018-01-30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modulation
US9740343B2 (en) 2012-04-13 2017-08-22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modulation
US10783347B2 (en) 2012-05-18 2020-09-22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10423815B2 (en) 2012-05-18 2019-09-24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10007832B2 (en) 2012-05-18 2018-06-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9268989B2 (en) 2012-05-18 2016-02-23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9576178B2 (en) 2012-05-18 2017-02-21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10007833B2 (en) 2012-05-18 2018-06-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WO2013173773A1 (en) * 2012-05-18 2013-11-21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US9501685B2 (en) 2013-02-22 2016-11-22 Idex Asa Integrated finger print sensor
US9881196B2 (en) 2013-02-22 2018-01-30 Idex Asa Integrated finger print sensor
US9883822B2 (en) 2013-06-05 2018-02-06 Apple Inc. Biometric sensor chip having distributed sensor and control circuitry
US9305959B2 (en) 2013-06-05 2016-04-05 Apple Inc. Biometric sensor chip having distributed sensor and control circuitry
US9984270B2 (en) 2013-08-05 2018-05-29 Apple Inc. Fingerprint sensor in an electronic device
US10296773B2 (en) 2013-09-09 2019-05-21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having electrical isolation
US9460332B1 (en) 2013-09-09 2016-10-04 Apple Inc. Capacitive fingerprint sensor including an electrostatic lens
US10628654B2 (en) 2013-09-09 2020-04-21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having electrical isolation
US9697409B2 (en) 2013-09-10 2017-07-04 Apple Inc. Biometric sensor stack structure
US10101843B2 (en) 2014-01-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fingerprint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489127B2 (en) 2014-01-15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397089B1 (ko) * 2014-02-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95906B2 (en) 2014-02-21 2018-10-09 Idex Asa Sensor employing overlapping grid lines and conductive probes for extending a sensing surface from the grid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79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79B1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US1052367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using magnetic field based identification
JP4131229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のロック解除方法
JP4578485B2 (ja) 携帯情報処理装置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
US8723643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switching locked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20130007876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iometric quick launch
US827094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and unlock functions by means of contact sensor
WO2014091944A1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634719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iometric quick launch
WO2017193645A1 (zh) 一种显示数据的方法、装置和终端
JP2009089255A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ロック解除方法及びロック解除制御プログラム
KR101144450B1 (ko)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접근 제한 방법
JP2015041276A (ja) 端末装置の認証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0025005A1 (zh) 移动终端和私密系统的进入的方法、装置
JP5082531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2374346A (ja) 携帯電話機
WO2018227352A1 (zh) 遥控器和控制电视频道的方法
KR101085649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단말
KR100664259B1 (ko) 정보보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9990060624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신단말기의 통화 잠금 및 잠금 해제 방법
KR200400014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방법
KR2011010517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실행 방법
JP2003174502A (ja) 携帯型通話装置
KR2005008614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생체 정보를 이용한 도어 락 방법
KR20180020770A (ko)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