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459A - 다층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459A
KR20080034459A KR1020087003265A KR20087003265A KR20080034459A KR 20080034459 A KR20080034459 A KR 20080034459A KR 1020087003265 A KR1020087003265 A KR 1020087003265A KR 20087003265 A KR20087003265 A KR 20087003265A KR 20080034459 A KR20080034459 A KR 2008003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cording
buffer
digital signal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웰 에이. 코니에크츠니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3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68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input interface, i.e. the way data enter the buffer, e.g. by informing the sender that the buffer is bus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703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processing rate of the buffer, e.g. by accelerating the data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731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wherein the buffer I/O can be temporarily suspended, e.g. by refusing to accept further data to be buffer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74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involving a specific threshold valu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59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content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80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involv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a buffer overflow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72Management of interruptions, e.g. due to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focus pull-in only

Abstract

특히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기록방법이 기술되는데, 이 방법에 따르면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인코딩에서 유도된 디지털 신호(10)가 버퍼(11)에 일시 기억되고, 이 버퍼에서 이중층 DVD(12)에 기록된다. 제 1 층과 관련된 저장 공간이 고갈되었을 때, 버퍼의 현재의 충전 레벨과 무관하게, 층 점프의 필요성이 발생한다. 층 점프가 수행되는 동안 디지털 신호를 버퍼에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인코딩시의 해상도를 줄여, 층 점프가 행해질 때 버퍼의 레벨이 비교적 느리게 증가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Figure P1020087003265
다층 디스크, 버퍼, 기억 속도, 저장 공간, 채워짐 근접 상태

Description

다층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N A MULTI-LAYER DISC}
본 발명은, 제 1 층과 제 2 층을 구비한 정보매체에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억 속도로 버퍼에 기억하는 단계와,
-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까지, 상기 버퍼에 기억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 1 층 위에 기록하는 단계와,
-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지면, 상기 제 1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중지하고, 층 점프를 수행하여, 상기 제 2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층과 제 2 층을 구비한 정보매체에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억 속도(Rs)로 기억하는 버퍼(11)와,
-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까지, 상기 버퍼에 기억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 1 층 위에 기록하고,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지면, 상기 제 1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중지하고, 층 점프를 수행하여, 상기 제 2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재개하는 기 록부(18)를 구비한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류의 기록 방법은 EP0724256A2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제 1 층과 제 2 층을 갖는 광 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기록이 개시되어 있다. 외부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는 버퍼에 임시 기억되고, 이 버퍼에서 정보를 페치(fetch)하여 광 디스크에 기록한다. 제 1 층에 저장 공간이 존재하는 한 기록은 제 1 층에 대해 행해지고, 그후 제 2 층에 대해 행해진다. 제 1 층에서 제 2 층으로의 점프가 행해질 때 트랙킹 및 포커스 제어의 최적화 동작이 행해져, 제 2 층에 대한 트랙킹 및 포커스 제어를 최적화한다.
그러나, 층 점프가 행해질 때, 보통 약간의 기록 시도를 필요로 하는,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기록 파라미터의 교정과 같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추가적인 동작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기간 중에 들어온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큰 크기를 갖는 버퍼가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비교적 작은 버퍼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작은 버퍼가 사용되는 서두에 기재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제 1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즉, 제 1 층의 끝이 다가오고 있을 때 기억 속도를 줄여, 이하에서 층 점프 미기록 구간으로 불리는, 제 1 층에의 기록의 끝과 제 2 층에의 기록의 재개 사이에 포함된 구간 중에, 줄어든 기억 속도로 인해 버퍼의 레벨이 비교적 더 서서히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실상, 버퍼가 채워지는데 필요한 시간은 버퍼 내부의 사용가능한 공간과, 기억 속도에서 기록 속도, 즉 버퍼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가 정보매체에 기록되는 속도를 뺀 속도와 같은, 버퍼가 채워지는 속도에 의존한다. 층 점프 중에는 디스크를 기록할 수 없으며, 기록이 재개되기 전에 다수의 제어 파라미터의 교정이 필요하므로, 층 점프 직후에 바로 기록이 뒤따를 수 없으므로, 상기한 교정이 완료될 때까지 층 점프 미기록 구간이 종료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미기록 구간 중에, 디지털 신호가 버퍼 메모리에 기억되므로, 버퍼 메모리가 디지털 신호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커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의 일부가 손실되어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발명내용에 비추어, 교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과 주어진 크기의 버퍼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버퍼 오버플로우의 발생가능성이 없어지거나 적어도 줄일 수 있다.
특별히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층이 완전히 기록되는 순간에 버퍼가 거의 비워지게 하는 값으로 상기 기억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버퍼가 거의 비워져 있고 기억 속도가 더 낮은 값을 가지므로, 버퍼가 채워지기 전에 사용가능한 시간, 즉 층 점프와 이 결과 발생하는 동작을 위해 사용가능한 시간이 증가된다.
디지털 신호의 기억 속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디지털 신호가 다른 기억장치에서 버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 다른 기억장치에서의 전 달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기억 속도 Rs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처리수단의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신호의 처리수단에 의한 처리 결과로서 발생된 디지털 신호의 상태로서, 이때 입력신호의 수신이 제어를 받지 않으므로, 기억 속도를 줄이거나, 가속하거나, 멈추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가 또 다른 디지털 신호일 수 있고, 처리수단이 선택가능한 압축률로 디지털 신호에 있는 다른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 블록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압축률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억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잇고, 처리수단이 선택가능한 해상도(degree of resolution)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딩 블록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해상도를 변경함으로써 기억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아날로그 신호가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신호인 상황으로서, 기록과정을 중단할 수 없으며, 이것의 대가가 구간 중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손실인 경우이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은 다른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9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옵션의 특징부들 모두는 본 발명에 따른 w방치에 대한 대응하는 옵션의 특징부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이들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다층 정보매체에 기록하고자 하는 디지털 신호가 임시로 기억되는 버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2가지 다른 상태에서, 층 점프의 발생을 포함하여, 디지털 신호의 기록중에 버퍼의 충전 레벨을 나타낸 것이며,
도 3a 및 도 3bs는, 도 2a 및 도 2b에 각각 나타낸 2가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층 점프의 발생을 포함하여, 디지털 신호의 기록중에 버퍼의 충전 레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다층 정보매체에 기록하고자 하는 디지털 신호가 임시로 기억되는 버퍼를 나타낸 것이다.
디지털 신호(10)는 기억 속도 Rs로 버퍼(11)에 임시로 기억되고, 이 버퍼에서 디지털 신호를 페치하여 제 1 층(13)과 제 2 층(14)을 갖는 다층 정보매체(12)에 기록 속도 Rr로 기록된다. 디지털 신호(10)는 실제로는 디지털 데이터의 디지털 표시이다. 주어진 순간에, 기억 속도 Rs와 기록 속도 Rr 사이의 차이를 반영하여 변할 수 있는 레벨(15)로 버퍼가 채워진다.
기억 속도 Rs는 일정하거나 가변일 수 있는데, 기억 속도가 가변이면, 제한된 가변, 즉 공칭값 근처의 범위에서 가변이거나, 완전히 가변일 수 있으며, 더구 나, 별개의 값들 사이에서 변할 때, 이들 기억 레이트는 갑자기 변하거나 단계적으로 변하거나 연속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기록과정은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활성화될 때, 기록 속도 Rr이 일정하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시간 가격에서 Rr이 Rs의 평균값과 같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여, 버퍼 오버플로우 또는 버퍼 언더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는 Rr이 평균적인 기억 속도 Rs보다 높은 값을 가지며, 기록과정은 반복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는데, 기록과정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버퍼(11)의 충전 레벨(15)이 기억 속도 Rs와 같은 속도로 증가되고, 기록과정이 활성화되면 버퍼(11)의 충전 레벨(15)이 Rr-Rs와 같은 속도로 감소하고, 레벨(15)이 소정의 상위 레벨(16)까지 증가하였으면 기록과정이 활성화되고 레벨(15)이 소정의 하위 레벨(17)로 감소하였으면 기록과정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된다. 소정의 상위 레벨(16)과 소정의 하위 레벨(7)은 각각 버퍼의 완충 및 비어 있는 상태에 근접할 수 있지만, 다른 선택사항도 가능하다.
소정의 상위 레벨(16)은 예를 들어 버퍼의 90% 이상이 채워지는 레벨로 선택될 수 있고, 100%이면 안되며, 그렇지 않으면 버퍼 오버플로우를 더 이상 방지할 수 없어진다. 소정의 상위 레벨(16)의 최적의 결정값은 기록과정을 활성화시키는데 요구된 시간, 최대 기억 속도 및 버퍼 크기 등의 설계 고려사항을 반영한다. 일부의 상황에서는 버퍼가 비워지는 상태가 완전히 허용되거나 심지어는 바람직하여, 소정의 하위 레벨(17)을 0%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외하 고는, 소정의 하부 레벨(17)에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고려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버퍼(11)는 다층 정보매체(12)에 기록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제 1 층(13)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까지, 버퍼(11)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10)를 제 1 층(13) 위에 기록하고, 제 1 층(13)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공간이 채워질 때, 기록을 중지하고, 층 점프를 수행하여, 제 2 층(1)에 대한 디지털 신호(10)의 기록을 재개하는 기록부(19)를 더 구비한다. 더구나, 버퍼(11)의 소정의 상위 레벨(16)/하위 레벨(17)에 도달시에, 기록부(18)가 시작/정지부(19)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신호(10)는 입력신호(21)의 처리의 결과로써 처리수단(20)에 의해 출력되는데, 이 입력신호(21)는 그 자체가 다른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 특히 실시간 오디오 비디오 신호일 수 있다.
도 2a는 기억 속도 Rs가 제한된 가변 속도인 상태에서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버퍼의 충전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라인은 제안된 가변값을 갖는 기억 속도 Rs를 표시한다. 두 번째 라인은 버퍼(11)의 충전 레벨(15)을 표시한 것으로, 초기값을 제외하고는 버퍼(11)의 충전 레벨(15)이 기억 속도에서 기록 속도를 뺀 값 Rs-Rr의 적분값이므로, 버퍼(11)의 레벨이 기억 속도의 변동을 반영하여 약간의 변동을 갖는다.
세 번째 라인으로 표시된 기록은 초기에는 제 1 층(13)에서 일어나는데, 이 제 1 층은 제 1 층에서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고갈되는 시간 te까지 점진적으로 채워진 후, 기록이 중지되고, 층 점프가 일어나, 제 2 층(14)에서 시간 tr에 기록 이 재개되지만, 제 2 층에 기록하기 위해 제어 파라미터가 조정되기 전에는 기록이 재개되지 않는다. 제 1 층이 완전히 기록되기 전에 층 점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때때로는 이러한 층 점프가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제 1 층에 의해 표시된 기록 영역의 부분집합으로 생각해야 한다.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 동안, 디지털 신호(10)가 버퍼(11)에 기억되어야 하므로, 버퍼(11)의 레벨(15)이 Rs의 속도로 증가한다. 버퍼 오버플로우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버퍼 크기를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충분할 정도로 크기 선택해야 한다. 버퍼 오버플로우의 결과는 디지털 신호의 일부가 전부 손실될 수도 있으므로 매우 심각하다.
도 2b는 기록 속도 Rs가 일정한 속도이고 기록이 기록 구간들로 또는 패킷들로 발생하는 상태에서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버퍼의 충전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라인은 일정한 값을 갖는 기억 속도 Rs를 표시한다. 두 번째 라인은 정규 동작 중에 각각의 점선들로 표시된 소정의 하이 레벨(16)과 소정의 로우 레벨(17) 사이에서 변하는 버퍼(11)의 충전 레벨(15)을 표시한 것으로, 소정의 상위 레벨(16)에 도달할 때까지 버퍼(11)의 레벨(15)이 기억 속도 Rs로 처음에 증가하여, 세 번째 라인으로 표시된 기록과정이 활성화된다. 그 결과, 소정의 하위 레벨(17)에 도달할 때까지 버퍼(11)의 레벨이 Rr-Rs의 속도로 감소하여 기록이 비활성화되고, 이것이 반복되어, "톱니"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세 번째 라인으로 표시된 기록이 미기록 구간들(23)에 의해 분리된 기록 구간들(22), 또는 "패킷들"로 발생한다. 미기록 구간들(23)과 기록 기간들(22)의 지속기간은 기억 속도 Rs, 기록 속도 Rr, 소정의 상위 레벨(16) 및 소정의 하위 레벨(17)의 값들과, 버퍼(11)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기억 속도 Rs이 변동의 효과를 알 수 있는데, 즉 기억 속도 Rs가 증가되면 미기록 구간들(23) 중에 버퍼(11)의 레벨(15)이 더 빠르게 증가하고 기록 구간들(22) 동안에 이 레벨이 더 느리게 감소하여 더 짧은 미기록 구간들(23)과 더 긴 기록 구간들(22)을 발생할 것이며, 역으로, 기억 속도 Rs가 감소하면 미기록 구간들(23) 중에 버퍼(11)의 레벨이 더 느리게 증가하고 기록 구간들(22) 동안에 이 레벨이 더 빠르게 감소하여 더 긴 미기록구간들(23)과 더 짧은 기록 구간들(22)을 발생한다.
기록이 처음에는 제 1 층(13)에 대해 행해지는데, 이 제 1 층은 시간 te에서 이 층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고갈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채워진 후, 시간 te에서 버퍼(11)의 레벨(15)에 전혀 무관하게, 기록이 중지되고, 점프가 수행되어, 미기록 구간(26)에서 층 점프가 발생하며, 이 동안에 디지털 신호(10)가 버퍼(11)에 기억되어야 한다.
미기록 구간(26)의 층 점프의 개시시에, 즉 시간 te에서, 버퍼(11)의 레벨(15)이 이미 소정의 상위 레벨(16)만큼 높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특히 심각하다. 따라서, 버퍼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버퍼 크기가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충분한 정도로 크게 선택되 어야 하며, 소정의 상위 레벨(16)이 충분히 낮게 선택되어야 하므로, 크고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버퍼를 제공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상황에서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의 버퍼의 충전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다른 것은, 시간 ta에서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끝에 접근할 때, 즉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채워짐 근접 상태시에, 기억 속도 Rs가 감소하는데, 이것은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이 시작될 때 버퍼가 통상시보다 낮은 레벨로 채워지도록 하고,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에 버퍼의 레벨의 더 느리고 덜 가파른 증가를 일으키는데, 이들 2가지 효과는 동시에 발생하여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기 전에 더 긴 시간을 제공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감소된 크기의 버퍼를 허용한다.
기억 속도 Rs의 초기값은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 이후에, 특히 버퍼의 충분히 낮은 레벨이 회복되었을 때 회복될 수 있다.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채워짐 근접 상태는, 예를 들어 일정한 임계값보다 작은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남아 있는 저장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명백하게 기록부(18)는 예를 들어 현재의 기록 어드레스와 전제 저장 공간에 근거하여 주어진 순간에 남아 있는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버퍼(11)가 거의 비워진 상태에서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이 시작하도록 계산된 값으로 기억 속도 Rs가 줄어든 경우에 더 향상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구성이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기 전에 더 긴 시간을 제공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더 감소된 크기의 버퍼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ta가 더 이를수록, 필요한 Rs의 감소가 더 작아진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상황에서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의 버퍼의 충전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다르게 행해지는 것은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끝에 접근할 때, 즉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채워짐 근접 상태시에, 기억 속도 Rs가 감소하는데, 이것은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 중에 버퍼의 레벨의 더 느리고 덜 가파른 증가를 일으키고, 그 결과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기 전에 더 긴 시간을 제공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감소된 크기의 버퍼를 허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버퍼가 거의 채워진 상태에서 층 점프 미기록 구간(26) 이전의 최종 기록 구간이 끝난 경우에 더 향상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이와 같은 구성이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기 전에 더 긴 시간을 제공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더 감소된 크기의 버퍼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 상기한 최종 기록 구간이 버퍼가 거의 채워진 상태로 끝나도록 계산된 값으로 기억 속도 Rs를 감소시키고,
- 사전에, 즉 소정의 상위 레벨에 도달하기 전에 기록 구간을 시작하여, 상기 기록 구간이 버퍼가 거의 채워진 상태로 끝나도록 하거나, 또는
- 상기한 이들 2가지 조치의 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가 입력신호의 처리에서 유도되고, 이 입력신호가 일반적으로 제어를 받지 않는, 즉 입력신호의 속도를 줄이거나 가속하거나 정지할 수 없는 상황이 주어질 수도 있다.
특히 관련된 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예를 들어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신호이고, 기록과정을 중단할 수 없으며, 이 결과 구간 중의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손실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신호의 디지털화에서 유도되고,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 및/또는 샘플들의 해상도를 줄임으로써 디지털 신호가 발생될 때의 속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신호가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가 다양한 해상도 레벨을 허용하는 MPEG 인코더의 사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해상도 레벨을 줄임으로써 비트 레이트로 불리는 일이 많은 디지털 신호가 발생될 때의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상도 레벨을 서서히 변동하여, 변화가 덜 급격하고 이에 따라 덜 눈에 띄도록 만드는 것이 적합하다.
일부의 MPEG 인코딩 방법에 따르면, 일정한 비트레이트 대신에 제한된 가변 비트레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한된 가변 비트레이트는 공칭값 근처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어, 가시적인 인식을 최적화하는 비트레이트이다.
위에서 행해진 모든 고려사항은 일정하지 않은 기억 속도 Rs의 경우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미래의 주어진 순간에 기억 속도 Rs의 순시값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사실은 기억 속도 Rs에 대한 필요한 값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게 만드는 불 확실 요소를 도입한다. 이와 같은 불확실 요소는 예를 들면 다음 방법 중에서 한가지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 최종 부분의 끝에 접근하는 동안, 연속적인 순간에 기억 속도 Rs를 재계산하는 방법,
- 기록 구간이 적절한 허용오차를 갖고 제로값과 다른 버퍼의 레벨로 끝나도록 하는 방법, 또는
- 일정한 기억 속도 Rs로 일시적으로 전환하는 방법.
일단 기록 구간이 끝나면, 제 2 층을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조정이 개시될 수 있다. 이것은 기록 스트래티지, 즉 기록층 위에 마크들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펄스들의 형상 및 진폭을 규정하는 1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이들 파라미터에 대해 교정 절차가 필요하다. 교정은 다양한 값들, 즉 값들의 집합을 사용한 기록 시도와, 최상의 값, 즉 값들의 집합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정에는 10∼12초가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교정이 수행되는 동안 디지털 신호(10)가 일시적으로 기억되어야 하는 버퍼(11)에 의해 필요한 메모리 양을 저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매체로서 이중층 기록형 DVD를 사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이미 도시된 구성요소 이외에, 이 장치는, 제 1 층에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채워짐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24)과, 상기한 근접 상태가 검출되었 을 때, 예를 들어, 전술한 것과 같이, 압축률 또는 인코딩의 해상도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기억 속도를 줄이는 조정부(25)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조정부(25)가, 제 1 층(13) 위에 사용가능한 조장 공간이 채워질 때 버퍼(11)가 거의 비워지도록 하는 값으로 기억 속도 Rs를 줄이도록 구성된다.
이때,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구비한다/포함한다"는 용어는 언급한 특징부,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1개 이상의 다른 특징부, 정수, 단계,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나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떠한, 청구항의 구성요소 앞의 단어 "a" 또는 "an"이 복수의 이와 같은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더구나, 참조번호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수단"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모든 특징부 또는 이들 특징부의 조합을 포괄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기록방법이 기술되는데, 이 방법에 따르면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인코딩에서 유도된 디지털 신호(10)가 버퍼(11)에 일시 기억되고, 이 버퍼에서 이중층 DVD(12)에 기록된다. 제 1 층과 관련된 저장 공간이 고갈되었을 때, 버퍼의 현재의 충전 레벨과 무관하게, 층 점프의 필요성이 발생한다. 층 점프가 수행되는 동안 디지털 신호를 버퍼에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인코 딩시의 해상도를 줄여, 층 점프가 행해질 때 버퍼의 레벨이 비교적 느리게 증가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Claims (10)

  1. 제 1 층(13)과 제 2 층(14)을 구비한 정보매체(12)에 디지털 신호(10)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억 속도(Rs)로 버퍼(11)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까지, 상기 버퍼(11)에 기억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 1 층 위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지면, 상기 제 1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중지하고, 층 점프를 수행하여, 상기 제 2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에 상기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상기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채워짐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채워짐 근접 상태가 검출될 때 상기 기억 속도를 줄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속도를 줄이는 경우, 상기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 상기 버퍼가 거의 비워지도록 하는 값으로 상기 기억 속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은 기록 구간들(22)에 행해지고, 기록 구간의 시작은 소정의 상위 레벨(16)로 채워진 버퍼(11)에 의해 발생하고, 이 기록 구간의 끝은 소정의 하위 레벨(17)로 비워진 버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14)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10)의 기록 재개 후에 상기 기억 속도(Rs)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21)를 압축률만큼 압축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10)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속도(Rs)를 줄일 때, 상기 압축률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기억 속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입력신호(21), 특히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해상도 레벨을 사용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신호(10)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 속도(Rs)를 줄일 때, 상기 해상도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억 속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레벨을 줄일 때, 상기 해상도 레벨을 서서히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21)의 인코딩시에, MPEG 인코더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9. 제 1 층(13)과 제 2 층(14)을 구비한 정보매체(12)에 디지털 신호(10)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억 속도(Rs)로 기억하는 버퍼(11)와,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까지, 상기 버퍼에 기억된 상 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 1 층 위에 기록하고, 상기 제 1 층 위의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지면, 상기 제 1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중지하고, 층 점프를 수행하여, 상기 제 2 층에 대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기록을 재개하는 기록부(18)를 구비한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에 상기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상기 제 1 층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의 채워짐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24)과,
    상기 채워짐 근접 상태가 검출될 때 상기 기억 속도를 줄이는 조정부(2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25)는, 상기 제 1 층(13) 위에 사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채워질 때 상기 버퍼(11)가 거의 비워지도록 하는 값으로 상기 기억 속도(Rs)를 줄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KR1020087003265A 2005-07-13 2006-07-07 다층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장치 KR20080034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6403 2005-07-13
EP05106403.8 2005-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59A true KR20080034459A (ko) 2008-04-21

Family

ID=3763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265A KR20080034459A (ko) 2005-07-13 2006-07-07 다층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05234A1 (ko)
EP (1) EP1905033A2 (ko)
JP (1) JP2009501403A (ko)
KR (1) KR20080034459A (ko)
CN (1) CN101223597A (ko)
TW (1) TW200717458A (ko)
WO (1) WO20070072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184B2 (ja) 2006-01-20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EP1933319A1 (en) * 2006-12-12 2008-06-1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recording on recording medi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481A (en) * 1994-06-22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859815B2 (ja) * 1996-08-02 2006-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圧縮情報記憶装置
US6590607B1 (en) * 1998-08-19 2003-07-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 uninterrupted digital video stream
US6678227B1 (en) * 1998-10-06 2004-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imultaneo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simultaneous multi-channel reproduction apparatus
JP3906911B2 (ja) * 2002-04-18 2007-04-1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CN100449633C (zh) * 2003-05-19 2009-01-0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盘驱动设备以及在盘驱动设备中定时再校准的方法
KR20070020043A (ko) * 2004-04-23 2007-02-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실시간 정보의 심리스 기록
JP4729279B2 (ja) * 2004-08-31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または音声記録再生装置
US20060133775A1 (en) * 2004-12-22 2006-06-22 Ju Chi-Cheng Method of storage medium management and video recording system and storage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5234A1 (en) 2008-08-28
EP1905033A2 (en) 2008-04-02
JP2009501403A (ja) 2009-01-15
WO2007007261A2 (en) 2007-01-18
TW200717458A (en) 2007-05-01
WO2007007261A3 (en) 2007-07-05
CN101223597A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2853B1 (en)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90211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based upon the delay of each stream and the channel rate
US20070104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igital video signal on audio signal,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7961571B2 (en) Recording a digital signal on an information carrier compris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EP1465186A1 (en) Method for buffering data streams read from an optical storage medium
KR20080034459A (ko) 다층 디스크의 기록 방법 및 장치
US788159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information in interactive optical dis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in contents provider server
US75397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data buffering
US7509031B2 (en) Optical disk recorder and method of writing signal to an optical disk
WO200700726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 input signal with a decrease of the level of resolution during temporarily suspension of the recording
KR101031155B1 (ko) 동시 재생용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는 광픽업을 제어하는 방법
US7995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optical disc
US20070081435A1 (en) Optical disc apparatus
JPH02283149A (ja) ディジタル音声・映像信号伝送方式
AU662377B2 (en)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data reproducing method
EP1933319A1 (en) Method for recording on record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