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681A -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681A
KR20080033681A KR1020060099643A KR20060099643A KR20080033681A KR 20080033681 A KR20080033681 A KR 20080033681A KR 1020060099643 A KR1020060099643 A KR 1020060099643A KR 20060099643 A KR20060099643 A KR 20060099643A KR 20080033681 A KR20080033681 A KR 20080033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splay unit
setting information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355B1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영남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영남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영남학원
Priority to KR102006009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3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02B2027/0105Holograms with particular structures
    • G02B2027/0107Holograms with particular structures with opti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지지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변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제어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이 변하더라도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정보를 다시 설정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갑자기 잘 보이지 않는 환경(이를테면, 조명이 매우 낮음)에 처하더라도 적절한 설정정보로 변경하는 것으로 이전보다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전자식 안경, 전방, 영상 처리, 시력 보조, 두부 장착

Description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the vision assistance in head mount display unit and head mount display unit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11, 21 : 본체
12, 22 : 컨트롤러 12a : 조이스틱
12b : 확인버튼 12c : 취소버튼
13, 14, 23, 24 : 지지대 15, 25 : 시야부분
16, 17, 26, 27 : 촬영용 렌즈 18, 19, 28 : 디스플레이부
100 : 메모리 200 : 제어부
210 : 설정 처리부 220 : 촬영 동작 처리부
230 : 영상 처리부 300 : 카메라모듈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입력처리 모듈
본 발명은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의 시력 또는 취향에 따라 변환하여 표시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력 보조 방법으로는 눈이 나쁜 사용자를 위해 사용자의 시력에 따른 시력에 따른 두께(압축정도) 및 각도(오목 또는 볼록)로 절삭된 렌즈의 안경을 제공하여 그 안경의 렌즈를 통해 굴절되는 상이 사용자의 망막에 맺히도록 하는 방법과, 특정 색상을 구별하지 못하는 사용자를 위해 착색된 렌즈의 안경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색감각을 높여주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사람의 시력은 환경 및 유전에 따라 더 나빠지기 쉽고, 이미 절삭 및 착색된 렌즈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사용자들에게 일정 기간이 지나면 착용하던 렌즈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도록 권하고 있다.
특히, 노안이 점차 진행되는 노년층은 주로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볼 때만 잠깐씩 사용하기 때문에 자신이 착용한 렌즈가 적당하지 않더라도 그대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게다가, 고도 근시 또는 약시의 경우, 일반 렌즈의 안경으로는 망막에 상을 명확히 맺히게 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자신의 시력 및 취향에 따라 자신이 볼 영상의 크기 및 색상을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볼 영상을 사용자의 시력 및 취향에 따라 조절된 색상 및 크기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지지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변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제어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정보는 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 크기조절 데이터, 다수의 화면영역별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다초점 데이터, 촬영각도 데이터, 촬영초점 데이터, 렌즈배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입력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정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설정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는 다수의 시력정보와 각 시력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기조절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설정 처리부는 상기 입력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시력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력정보에 대응하는 크기조절 데이터를 영상을 변환할 설정정보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처리 모듈은 동공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공 센싱 모 듈,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사람의 뇌파를 인식하는 뇌파 인식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 또는 상기 입력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각도, 촬영초점, 렌즈의 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지지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변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정보는 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 크기조절 데이터, 다수의 화면영역별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다초점 데이터, 촬영각도 데이터, 촬영초점 데이터, 렌즈배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력 보조 방법은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대응하여 결정되 는 설정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력 보조 방법은 입력되는 키 데이터 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각도, 촬영초점, 렌즈의 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은 사용자의 시력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는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하, 시력 보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00)와, 그 메모리(100)에 저장된 시력 보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해당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200)와,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300)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와, 입력 처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2a, 2b에 도시된 본체(11)와 도 2c에 도시된 컨트롤러(12)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체(11)는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13, 14)(도 2a에 도시됨)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시야부분(15)(도 2a에 도시됨) 과, 상기 시야부분(15)의 앞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용 렌즈(16, 17)(도 2a에 도시됨)와, 그 시야부분(15)의 뒷면에 장착되어 시력 보조 프로그램에 의해 변환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 19)(도 2b에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12)는 도 1에 도시된 키 입력처리 모듈(500)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며, 상하좌우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조이스틱(12a)과 확인버튼(12b)과 취소버튼(1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메모리(100)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시스템 정보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는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시력 보조 프로그램과 그 변환과정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정보 및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설정정보는 영상의 색상을 변환하기 위한 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와,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크기조절 데이터, 다수의 화면영역별로 구분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다초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0)는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Buffer)역할도 수행하며, 이 역할을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쓰기 읽기의 속도가 빠른 고속메모리(이를테면,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되었다.
제어부(200)는 시력 보조 프로그램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처리부(210)와, 카메라 모듈(30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영 동작 처리부(220)와, 촬영 동작 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설정정보를 기초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정 처리부(210)는 입력 처리부(500)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정보의 값을 결정하여 메모리(10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설정 처리부(2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c에 도시된 컨트롤러(12)의 조이스틱(12a) 및 확인버튼(12b) 및 취소버튼(12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정보(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와, 크기조절 데이터, 다초점 데이터)의 값을 기준치(이를테면 0)로부터 조절하여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메모리(100)에 다수의 시력정보와 각 시력정보에 맞는 다수의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설정 처리부(210)는 임의의 시력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시력정보에 상응하는 설정정보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설정정보를 변환과정에 사용될 설정정보로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촬영 동작 처리부(220)는 카메라 모듈(300)의 촬영 동작을 위한 준비 동작(이를테면, 카메라 모듈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 렌즈의 각도 를 조절하는 동작,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동작 등)의 수행을 제어하고,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이를테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로부터 화상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의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처리부(230)는 메모리(10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촬영 동작 처리부(22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색상을 변환하거나 또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확대 및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230)는 공지된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에 의거하여 영상 데이터의 색상을 변환하고, 해당 영상 데이터를 확대 및 축소하는 것으로 구현되었다.
자세히 말해서, 영상 처리부(230)는 해당 설정정보에 포함된 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색상을 다른 색으로 변환(이를테면, 색의 대비를 강화하는 식)하고, 해당 설정정보에 포함된 크기조절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다초점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의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한다.
한편, 카메라 모듈(300)은 고체 촬상 소자(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CIS)와 같은 반도체 이미지 센서, 연성회로기판(FPCB),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용 렌즈(16, 17)(도 2a에 도시됨),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등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부품을 구비하여,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촬영용 렌즈(16, 17)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시야부분(15)의 앞면 양쪽에 장착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촬영용 렌즈(16, 17)는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이를테면, 시야부분(15) 또는 지지대(13, 14)의 상단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하는 등)라면 본체(11)의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데이터 표시장치로서, 제어부(200)에 구비된 영상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 및 그 설정 처리부(210)의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사용자가 눈앞에서 볼 수 있도록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부분(15)의 뒷면에 하나로 장착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입력처리 모듈(500)는 외부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로서, 외부의 조작을 감지하여 다수의 키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입력처리 모듈(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신호를 출력하는 조이스틱(12a)과 확인버튼(12b)과 취소버튼(12c)을 제공하는 컨트롤러(12)와, 그 컨트롤러(12)와 제어부(200)간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를테면, 적외선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를 테면, 컨트롤러(12)는 다른 기능 버튼(이를테면, 상하좌우 버튼) 또는 점자 버튼을 제공하는 컨트롤러, 외부의 조작을 동공의 움직임으로 감지하여 그 움 직임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공 센싱 모듈,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인식된 명령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 모듈, 사람의 전두엽(Prefrontal region)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인식하여 그 뇌파에 상응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뇌파 인식 모듈 중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된 제어부(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설정정보의 변경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
상기 S1 단계의 판단결과, 설정정보의 변경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 처리부(210)는 입력처리 모듈(500)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정보(이를테면, 영상의 색상 대비를 +50으로 설정하는 대비조절 데이터)를 결정하여 메모리(100)에 저장한다(S2).
촬영 동작 처리부(220)는 카메라 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3).
영상 처리부(230)는 메모리(200)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S3 단계에 의해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한다(S4).
영상 처리부(230)는 상기 S4 단계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00)로 출력한다(S5).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방의 상황을 기설정된 설정정보(대비조절 데이터)에 의해 색상 대비가 +50으로 변환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많은 구체적인 변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른 많은 기타 실시예들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들어간다는 것을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처리 모듈(500)를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됨)과 컨트롤러(12)로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입력처리 모듈(500)를 무선 통신 모듈을 대신하여 유선 통신선을 구비하여, 컨트롤러(12)가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일체형(도 4a 내지 4b 참조)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구현하거나 유선으로 연결된 분리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21)는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23, 24)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시야부분(25)과, 상기 지지대(23, 24)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용 렌즈(26, 27)와, 본체(21)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제공하는 컨트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야부분(25)의 뒷면에 장착되어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컨트롤러(22)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일체형으로, 시야부분(25)의 앞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컨트롤러(22)는 시야부분(25)의 측면 또는 지지대(23, 24)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촬영 동작 처리부(220)를 카메라 모듈(300)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16, 17)의 조절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촬영 동작 처리부(220)는 입력처리 모듈(50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상하좌우 신호)에 따라 카메라 모듈(300)에 장착된 렌즈의 배율조절 및 초점조절을 수행하여, 전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300)은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를테면,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에 장착되어, 촬영 동작 처리부(220)는 입력처리 모듈(50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상하좌우 신호)에 따라 해당 수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메모리(100)는 카메라에 관련된 설정정보(촬영각도 데이터, 촬영초점 데이터, 렌즈배율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촬영 동작 처리부(220)는 해당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카메라 모듈(300)에 구비된 렌즈의 조절(촬영각도 조절, 촬영초점 조절, 렌즈배율 조절 )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 플레이부(400)를 액정표시장치로 구비하여 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및 편광판에 투과된 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디스플레이부(400)는 플라스틱 액정 기판을 사용하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의 망막에 영상을 투영하는 장치(이를테면, 버추얼 레티널 디스플레이(Virtual Retinal Display)), 특정 면에 영상을 투영하는 장치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발생하는 전자파를 흡수 및 차단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일정 면에 영상을 투영하는 장치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400)는 해당 본체(21)에 구비된 지지대(23, 24)에 고정되어 표시할 영상을 시야부분(25)에 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야부분(25)은 디스플레이부(400) 또는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반응하여 투명한 상태에서 불투명한 상태로 가변되는 지능유리(전기크롬 유리, 비밀유리 등), 일반적인 스크린에 사용되는 재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자신의 시력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시력이 변하더라도 언제든지 다시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설정정보는 입력처리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는 자신의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거나 또는 공공장소에 배치하여 여러 사람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표시되는 영상을 보는 도중에 잘 보이지 않거나 조명이 낮은 경우 설정정보를 변경(이를테면, 설정정보의 크기조절 데이터를 기존보다 확대된 영상이 나타나도록 설정하고 대비조절 데이터 및 촬영초점 데이터를 기존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등)하여 자신의 시력에 맞는 영상을 일시적으로 조절하여 봄으로써, 이전보다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지능유리의 시야부분(25)과 그 시야부분(25)에 영상을 투영하는 디스플레이부(400)로 구현된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는 평상시에는 일반 안경처럼 절삭된 지능유리를 통해 전방을 보다가도, 필요에 따라 불투명한 상태로 가변된 지능유리를 통해 전방에 촬영된 영상을 조절하여 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비율과 감도조절을 통하여 고도근시 혹은 약시의 밝은 시야확보에도 도움을 줄 수도 있다.

Claims (11)

  1.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지지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변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변환하여, 상기 제어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또는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 크기조절 데이터, 다수의 화면영역별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다초점 데이터, 촬영각도 데이 터, 촬영초점 데이터, 렌즈배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입력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정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설정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다수의 시력정보와 각 시력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기조절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설정 처리부는
    상기 입력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시력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력정보에 대응하는 크기조절 데이터를 영상을 변환할 설정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처리 모듈은
    동공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공 센싱 모듈,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사람의 뇌파를 인식하는 뇌파 인식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 또는 상기 입력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각도, 촬영초점, 렌즈의 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촬영 동작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상응하여 투명한 상태에서 불투명한 상태로 가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지능유리를 더 포함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8.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지지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전방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으로,
    상기 촬영된 영상의 변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색상조절 데이터, 감도조절 데이터, 대비조절 데이터, 크기조절 데이터, 다수의 화면영역별로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다초점 데이터, 촬영각도 데이터, 촬영초점 데이터, 렌즈배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설정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 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각도, 촬영초점, 렌즈의 배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KR1020060099643A 2006-10-13 2006-10-13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643A KR100846355B1 (ko) 2006-10-13 2006-10-13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643A KR100846355B1 (ko) 2006-10-13 2006-10-13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681A true KR20080033681A (ko) 2008-04-17
KR100846355B1 KR100846355B1 (ko) 2008-07-15

Family

ID=3957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643A KR100846355B1 (ko) 2006-10-13 2006-10-13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3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2274A1 (en) * 2011-10-05 2013-04-11 Google Inc. Method to autofocus on near-eye display
WO2015099216A1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67480B1 (ko) * 2021-12-21 2022-02-24 신정헌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17B1 (ko) * 2013-11-18 2020-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력 기반의 가상화면을 이용한 안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579A (ja) * 1990-05-17 1992-01-27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KR20040010968A (ko) * 2002-07-25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치엠디를 이용한 디지탈 책
JP2004286833A (ja) 2003-03-19 2004-10-14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0393421Y1 (ko) 2005-05-20 2005-08-22 (주)아이비젼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2274A1 (en) * 2011-10-05 2013-04-11 Google Inc. Method to autofocus on near-eye display
WO2015099216A1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67480B1 (ko) * 2021-12-21 2022-02-24 신정헌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KR102384989B1 (ko) * 2021-12-21 2022-04-08 신정헌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355B1 (ko)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9231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CN107636514B (zh) 头戴式显示装置和使用该装置的视觉辅助方法
JP530944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
JP4013100B2 (ja) 電子カメラ
US1154652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pensating for retinitis pigmentosa
WO2015064144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35862B1 (en) Graphic interface for real-time vision enhancement
TWI564590B (zh) Image can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glasses
JP4635572B2 (ja) 映像表示装置
CN103698904A (zh) 智能眼镜及控制方法
WO1998032044A2 (en) Low vision rehabilitation system
JPWO2017169345A1 (ja) 映像投影機能付き眼鏡
CN113709410A (zh) 基于mr眼镜的人眼视觉能力增强的方法、系统及设备
US9916771B2 (en) Portable vision aid with motion pan
JP2013210643A (ja) 表示装置、表示方法
CN110140077A (zh) 视觉辅助设备
JP2018513656A (ja) 画像強調可能な眼鏡構造
JP6576639B2 (ja) 電子眼鏡および電子眼鏡の制御方法
KR100846355B1 (ko)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215619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
JP2003230539A (ja) 視線検出装置
JP2017191546A (ja) 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CN113454989A (zh) 头戴式显示设备
TW201805689A (zh) 外加式近眼顯示裝置
JP2005286927A (ja) 透過式頭部搭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