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989B1 -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989B1
KR102384989B1 KR1020220022408A KR20220022408A KR102384989B1 KR 102384989 B1 KR102384989 B1 KR 102384989B1 KR 1020220022408 A KR1020220022408 A KR 1020220022408A KR 20220022408 A KR20220022408 A KR 20220022408A KR 102384989 B1 KR102384989 B1 KR 10238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display unit
display
foo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헌
Original Assignee
신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헌 filed Critical 신정헌
Priority to KR102022002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nthropometrical measurements, such as weight, height, streng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자판기 본체와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Foot size measuring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with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원하는 물품에 대하여 그에 상응하는 대가의 동전, 지폐 또는 이를 대신하는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결재하면 자동으로 상품을 제공하는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무인판매방식으로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인력을 절감하게 하며 언제 어디서든지 상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품을 표시하는 견본품을 투시창 내부에 진열하여 판매되는 상품을 소비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광고는 주로 물건을 선전하거나 회사를 선전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고는 간판이나, 전광판, 애드벌룬, 신문 전단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사용되거나,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등에 삽입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나 광고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영업적으로 광고를 이용하지 않는 일반인의 사용이 극히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광고 기능을 구비한 자판기를 제공하되, 종래의 단순한 광고 방식이 아닌 상품 구매자에 대한 센싱 기반으로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와 함께 상품 판매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 도록 할뿐만 아니라, 어느 장소에 놓아도 어울릴 수 있는 복합적인 광고 시스템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을 연속으로 설치하였을 때 대형 스크린과 같이 큰 화면에서 광고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여 광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품에 대한 판매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은, 내부 공간을 갖는 자판기 본체와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자판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상품이 3x3 형태로 진열되는 상품 진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는 투명 LCD;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의 후방에 배치되고 메시 형태의 그물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고 제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는 투명도 조절 그물; 상기 투명도 조절 그물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품 진열부에서 3x3 형태로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9개의 제2 광원;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시에는 광고 영상 또는 사진을 표시하고 있다가,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사람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앞에 미리 설정된 시간 머무는 경우 판매하는 상품들의 이미지로 전환되고, 상기 상품들의 이미지는 상기 상품 진열부에서 3x3 형태로 상품이 진열된 것과 동일하고, 상품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경우 상품이 확대되어 홀로그램 형태로 보여지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우측의 내부보기 버튼(B1)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상품이 진열된 부분의 디스플레이부만 투명해지면서 상기 상품 진열부에 있는 실제 상품이 보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는,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발 사이즈 측정부; 및 상기 자판기 본체 하부와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는 상기 자판기 본체를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며 상기 자판기 본체와 바닥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 사이즈 측정부는, 바닥으로부터 상기 자판기 본체의 높이 1/3 지점에 위치하고, 바닥쪽 45도 방향으로 상기 자판기 본체 전면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는 측정 카메라; 및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방 바닥에 고정 부착되는 발 사이즈 측정을 위한 기준선이 그려진 측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좌측의 사이즈 측정 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작동되어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흡수부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자판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부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하며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체;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체의 내부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하부로 상기 고정체의 관통홀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로 이루어진 조절체; 상기 상부지지체의 내부 상부와 상기 조절체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 또는 스프링 재질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체의 하부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 또는 스프링 재질의 제2 흡수체로 이루어진 흡수부재; 하부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나사결합으로 바닥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조절체의 몸통부가 체결되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하부지지체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조절체의 몸통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부끝은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일측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판기 본체는, 5개가 빈틈없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5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체로서 하나의 광고 영상 또는 사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속으로 설치하였을 때 대형 스크린과 같이 큰 화면에서 광고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여 광고 노출 효과를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품에 대한 판매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된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 조절 그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상품 이미지 화면과 상품 홀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에서 내부보기 버튼을 터치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사이즈 측정부의 측정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부의 작용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A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된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 조절 그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상품 이미지 화면과 상품 홀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에서 내부보기 버튼을 터치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사이즈 측정부의 측정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진동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부의 작용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자판기 본체(100)와 상기 자판기 본체(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2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는, 센싱부(300) 및 상품 진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투명 LCD(210), 제1 광원(230), 투명도 조절 그물(235), 제2 광원(245),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프레임(220)과 패킹(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자판기 본체(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투명 LCD(210)와, 투명 LCD(210) 후방에 배치되는 제1 광원(230)과, 제1 광원(230) 후방에 배치되는 투명도 조절 그물(235)과, 투명도 조절 그물(235) 후방에 배치되는 제2 광원(245)을 포함한다.
프레임(220)은, 투명 LCD(210)와 제1 광원(230)과 제1 투명도 조절 그물(235)을 고정할 수 있고, 패킹(240)은, 프레임(220)에 장착되되 자판기 본체(100)의 전면에 접촉되는 면에 장착되고 자판기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프레임(220)은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틀 부재(221, 222) 중 특정 틀 부재(221, 222)에는 패킹(24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틀 부재(221, 222)는 홀을 포함하고, 이 홀에는 투명 LCD(210)와, 제1 광원(230)과, 투명도 조절 그물(235)이 배치된다. 즉, 프레임(220)은 투명 LCD(210)의 외곽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의 테두리를 얇게 형성한다.
투명 LCD(2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로써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셀(cell)의 투과율을 높여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이 구동될 때에는 물론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이 구동되지 않을 때에도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액정 패널은 구동에 무관하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투명 LCD(210)는, 표시 구동 명령과 무관하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다만 후술할 제1 광원(230)과 제2 광원(245)의 제어에 따라 자판기 본체(100) 전면에서 바라보는 투명도가 결정되며, 이하 관련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은 음극선 형광램프(CCFL: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ce lamp)와 같은 램프,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 array : luminescent diode array), 자판기 본체(100)의 내부 조명 및 자연광 중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 이하 디스플레이부(200)에 포함되는 광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광원은 제1 광원(230) 및 제2 광원(2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원(230) 및 제2 광원(245)은 각각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광원(230)은 투명 LCD(21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투명 LCD(210)의 가장자리에 선광원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출력되는 광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투명 LCD(210)의 가장자리에 대칭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광원(245)은 투명도 조절 그물(235) 후방에 상기 상품 진열부(400)에서 3x3 형태로 상품이 진열되어 잇는 것에 대응하여 9개가 점광원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사용자가 상품 이미지를 터치할 때 터치한 상품이 있는 실제 진열부분만 투명하게 되도록 하여 해당 상품만 상품 진열부(400)에 있는 실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바람직하다.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제1 광원(230) 후방에 배치되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에 불투명 영상, 즉 보다 선명한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메시(mesh) 형태의 그물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물눈 구조를 갖는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제1 면(S1) 및 제2 면(S2)에 각각 다른 성질을 가지는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광원(230) 및 제2 광원(245)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 또는 흡수시키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제1 광원(230)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제1 광원(230)과 마주하는 제1 면(S1)의 반사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제1 면(S1)의 반 사율을 높이도록 코팅층에 백색 계열의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제2 광원(245)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도록 제2 광원(245)과 마주하는 제2 면(S2)의 흡광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 조절 그물(235)은 제2 면(S2)의 흡광도를 높이도록 코팅층에 흑색 계열의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중앙 서버(미도시), 센싱부(300)의 감지센서(310)나 터치센서(320), 발 사이즈 측정부(5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60)에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부(250)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 데이터, 분할된 광고 영상 데이터, 자판기 진열 상품에 관한 데이터, 이벤트 안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싱부(300)로부터 수신된 사람의 접근 여부에 관한 데이터, 전방에 머무르는 시간에 관한 데이터, 디스플레이부(200)의 특정 부위를 터치한 데이터 등에 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 사이즈 측정부(500)로부터 수신된 발 사이즈 데이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신부(2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포맷을 디코딩 한다.
제어부(260)는, 상시에는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동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가 5개가 연속으로 빈틈없이 붙어있는 경우, 각각의 제어부(260)들은 중앙 서버로부터 5개로 분할된 광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각각의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렇게 분할된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 5개가 빈틈없이 동시에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 하나의 큰 디스플레이 패널처럼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들 중 사람의 접근 여부에 관한 데이터와 전방에 사람이 머무르는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의 감지센서(310)로부터 전방에 사람이 3초 이상 머무르고 있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시에 광고 영상이나 사진을 출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을 상품 정보가 나타나는 상품 이미지(P)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투명 LCD(210)에 데이터를 포함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명령을 출력하여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260)의 명령에 대응하여 액정 패널의 액정 셀을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LCD(2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1 광원(230) 및 제2 광원(245)을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LCD(2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제어부(260)의 투명도 조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260)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1 광원(230)이 오프 상태로 되고 제2 광원(245)이 온 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LCD(210)에 투명한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 광원(245)은 3x3 형태로 총 9개의 광원이 있으므로 투명한 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부분의 제2 광원(245)만을 온 상태로 구동하고 나머지는 소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투명 LCD(210)에서 제2 광원(245)이 소등된 영역인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 상태로 영상이나 이미지를 보여지게 하는 반면 일부분만 투명하게 하여 내부에 진열된 실제 상품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는 진열된 상품이 있는 곳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00)만 부분 투명화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광원(230)이 온 상태로 되고 제2 광원(245)이 오프 상태로 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투명 LCD(210)에 불투명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원(230)을 온 상태로 구동시키고 제2 광원(245)을 전면 소등시킴으로써 투명 LCD(210)에 구현되는 영상의 투명도가 0에 근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310)는, 카메라와 온도 측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판기 본체(100)의 전면 상단 중앙에 설치되어 전방을 120도 각도로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방 120도를 감지하며, 인체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인체 정보에 따라 인체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고, 인체의 진행 방향이 자판기 본체(100)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초를 머무는 경우, 통신부(250)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수신한 통신부(250)는 다시 제어부(260)에 송신하고,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00)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상품 이미지(P)로 전환 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결국 사용자는 전환된 상품 이미지(P)를 볼 수 있게 된다.
터치센서(3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게 되고 해당 데이터를 통신부(250)에 송신한다. 이러한 터치센서(320)는, 이미 공지된 센서나, 디스플레이 터치 기술 같은 것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터치센서(320)는, 사용자가 상품 이미지(P)가 나타나 있는 화면에서 상품을 터치하는 경우, 상품 터치 후 우측 상부의 내부보기 버튼(B1)을 터치하는 경우, 좌측 상부의 사이즈 측정 버튼(B2)을 터치하는 경우를 각각 감지하여 통신부(25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이미지(P) 화면에서 특정 상품을 터치하는 경우에, 터치센서(320)는 통신부(250)에 인식 신호를 전송하고, 통신부(250)는 제어부(260)에 해당 데이터를 송신한다.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260)는, 터치된 특정 상품을 확대시키고 홀로그램(H) 화면으로 표시하게 하는 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홀로그램(H) 화면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진열부(400)는, 상기 자판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3x3 형태로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이미지(P)에 대응되게 다양한 상품이 3x3 형태로 진열될 수 있다. 상품 진열부(400)는 자판기 본체(100)의 후면과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는, 발 사이즈 측정부(500) 및 진동흡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 사이즈 측정부(500)는, 측정 카메라(510) 및 측정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카메라(510)는, 바닥으로부터 상기 자판기 본체(100)의 높이 1/3 지점에 위치하고, 바닥쪽 45도 방향으로 상기 자판기 본체(100) 전면의 일단에 제1 측정 카메라(511)와 타단에 제2 측정 카메라(512)가 설치될 수 있다.
측정판(520)은, 상기 자판기 본체(100)의 전방 바닥에 고정 부착되는 발 사이즈 측정을 위한 기준선이 그려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판기 본체(100)의 전방 바닥에는 A4용지 사이즈로 이루어진 측정판(520)이 부착될 수 있고, 측정판(520)의 중앙에는 발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해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발 모양이 그려져 있는 발판(521), 측정판(520)의 상단과 우측에는 발의 너비와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가로로 그려진 너비 기준선(522)과 세로로 그려진 길이 기준선(523)이 그려져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 좌측의 사이즈 측정 버튼(B2)을 터치하게 되면 발 사이즈 측정부(500)가 구동되게 되고, 발판(521)에 발을 올려 놓게 되면 제1 측정 카메라(511) 및 제2 측정 카메라(512)가 측정판(520)을 전체적으로 촬영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에서 발판(521) 위에 있는 발에 대해 상단의 너비 기준선(522) 및 길이 기준선(523)과 비교하여 발의 너비와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선을 기반으로 한 발 사이즈 측정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 등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흡수부(600)는, 상기 자판기 본체(100) 하부와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는 상기 자판기 본체(100)를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며 상기 자판기 본체(100)와 바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600)는, 상부지지체(610), 고정체(620), 조절체(630), 흡수부재(640), 하부지지체(650) 및 고정클립(6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지지체(610)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자판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한다. 하부끝은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일측에는 제1 체결홀(6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지지체(610)는 사각형 또는 원통형 등으로 형성된다.
고정체(620)는 상부지지체(61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하며 중앙에는 후술하는 조절체(630)의 몸통(6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621)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체(620)의 일측에는 제1 체결홀(611)에 대응되는 제2 체결홀(622)이 형성되어 나사로 고정된다. 고정체(620)는 상부지지체(610)의 하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체(630)는 상부가 상부지지체(610)의 내부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지판(631)과 지지판(631)에서 하부로 연장된 몸통(632)로 이루어진다. 조절체(630)의 몸통(632)은 고정체(6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621)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조절체의 몸통(632)은 표면에 나사산(633)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삽입홀(6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부재(640)는, 상부지지체(610)의 내부 상부와 조절체(630)의 지지판(63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흡수체(641)와 상부지지체(610)의 내부에서 조절체(630)의 하부와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흡수체(6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흡수체(641)와 제2 흡수체(642)는 고무 또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체(650)는, 하부면이 바닥에 밀착되며, 상부에 조절체의 몸통(632)이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하부지지체(650)의 상부에는 조절체의 몸통(632)이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몸통삽입홈(65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지지체(650)의 하부면은 나사결합 또는 접착제 등으로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몸통삽입홈(651)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삽입공(652)이 형성된다.
고정클립(660)은, 하부지지체(650)의 몸통삽입홈(651)에 형성된 삽입공(652)과 조절체의 몸통(632)에 형성된 삽입홀(634)을 관통하면서 삽입된다. 이러한 고정클립(660)에 의해 조절체(630)가 하부지지체의 몸통삽입홈(651)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순간적으로 자판기 본체(100)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자판기 본체(100)의 하부에 고정된 상부지지체(610)와 고정체(620)가 조절체(630)를 따라 아랫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고정체(620)의 관통홀(621)이 조절체(630)를 감싸기 때문에 삽입부재와 고정체(620)가 조절체의 몸통(632)을 따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절체(6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지지체(610)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지지체(6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흡수체(641)가 아랫방향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서서히 압축된다. 즉, 조절체의 지지판(631)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지지체(610)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지지체(610)의 상단면과 조절체의 지지판(631) 사이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1 흡수체(641)가 압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흡수체(641)가 압축되면서 아랫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바닥에서 지진이나 공사 또는 기타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자판기 본체(100)의 하부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될 수 있다. 이때, 조절체(6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지지체(61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체(62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흡수체(642)가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서서히 압축된다. 즉, 조절체의 지지판(631)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체(62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조절체의 지지판(631)과 고정체(620) 사이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2 흡수체(642)가 압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흡수체(642)가 압축되면서 바닥에서 상부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자판기 본체(100)로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600)는, 자판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부드러운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가 연속되어 설치되어 있을 때 이를 안정화하여 경로 이탈 등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1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자판기 본체
200. 디스플레이부
300. 센싱부
400. 상품 진열부
500. 발 사이즈 측정부
600. 진동흡수부

Claims (3)

  1. 내부 공간을 갖는 자판기 본체와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자판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상품이 3x3 형태로 진열되는 상품 진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는 투명 LCD;
    상기 투명 LCD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광원의 후방에 배치되고 메시 형태의 그물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고 제2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흡수하는 투명도 조절 그물;
    상기 투명도 조절 그물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품 진열부에서 3x3 형태로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9개의 제2 광원;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에 대응되는 구동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시에는 광고 영상 또는 사진을 표시하고 있다가,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사람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앞에 미리 설정된 시간 머무는 경우 판매하는 상품들의 이미지로 전환되고,
    상기 상품들의 이미지는 상기 상품 진열부에서 3x3 형태로 상품이 진열된 것과 동일하고, 상품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경우 상품이 확대되어 홀로그램 형태로 보여지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우측의 내부보기 버튼(B1)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상품이 진열된 부분의 디스플레이부만 투명해지면서 상기 상품 진열부에 있는 실제 상품이 보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발 사이즈 측정부; 및
    상기 자판기 본체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는 상기 자판기 본체를 하부는 바닥을 지지하며 상기 자판기 본체와 바닥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 사이즈 측정부는,
    바닥으로부터 상기 자판기 본체의 높이 1/3 지점에 위치하고, 바닥쪽 45도 방향으로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면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는 측정 카메라; 및
    상기 자판기 본체의 전방 바닥에 고정 부착되는 발 사이즈 측정을 위한 기준선이 그려진 측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은,
    A4용지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에는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발 모양이 그려져 있는 발판;
    발의 너비를 측정하기 위해 상단에 가로로 그려진 너비 기준선; 및
    발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우측에 세로로 그려진 길이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발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 좌측의 사이즈 측정 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작동되어 발 사이즈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동흡수부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자판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부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하며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체;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체의 내부 중앙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하부로 상기 고정체의 관통홀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로 이루어진 조절체;
    상기 상부지지체의 내부 상부와 상기 조절체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 또는 스프링 재질의 제1 흡수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체의 하부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 또는 스프링 재질의 제2 흡수체로 이루어진 흡수부재;
    하부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나사결합으로 바닥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조절체의 몸통부가 체결되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하부지지체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조절체의 몸통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부끝은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일측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판기 본체는,
    5개가 빈틈없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5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전체로서 하나의 광고 영상 또는 사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KR1020220022408A 2021-12-21 2022-0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KR10238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08A KR102384989B1 (ko) 2021-12-21 2022-0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76A KR102367480B1 (ko) 2021-12-21 2021-1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KR1020220022408A KR102384989B1 (ko) 2021-12-21 2022-0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76A Division KR102367480B1 (ko) 2021-12-21 2021-1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989B1 true KR102384989B1 (ko) 2022-04-08

Family

ID=80474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76A KR102367480B1 (ko) 2021-12-21 2021-1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KR1020220022408A KR102384989B1 (ko) 2021-12-21 2022-0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76A KR102367480B1 (ko) 2021-12-21 2021-12-21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7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681A (ko) * 2006-10-13 2008-04-17 학교법인 영남학원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1795A (ko) * 2013-12-18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2299695B1 (ko) * 2020-06-10 2021-09-10 (주)코텍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681A (ko) * 2006-10-13 2008-04-17 학교법인 영남학원 두부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력 보조 방법 및 그 두부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1795A (ko) * 2013-12-18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2299695B1 (ko) * 2020-06-10 2021-09-10 (주)코텍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80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2604B2 (ja) 対話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均一照明
US20090219261A1 (en) Touch-Sensitive Illumina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WI470335B (zh) 顯示裝置
CN106537328B (zh) 透明显示装置
JP3838241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10032640A (ko) 멀티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506180A (ja) 表示モニタのための座標検出システム
CN101819340B (zh) 红外多点触摸屏
EP2336861A2 (en) Multi-touch and proximate object sensing apparatus using sensing array
WO2016132568A1 (ja) 非接触入力装置及び方法
KR101406891B1 (ko) 표시 장치
KR102384989B1 (ko) 디스플레이 자판기 장치를 이용한 발 사이즈 측정 시스템
CN202838897U (zh) 媒体广告展示系统
Abileah et al. Optical sensors embedded within AMLCD panel: design and applications
KR20240040064A (ko)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CN110727378A (zh) 浮空投影自助服务系统
KR20180014613A (ko) Pdlc를 이용한 광고판
CN203217522U (zh) 红外触摸屏和触显一体机
CN104898895A (zh) 基于光栅结构与补偿光源的光波导式光学触摸屏
US9875726B2 (en) Hybrid-image display device
CN201583924U (zh) 一种红外触摸屏
JP2008224898A (ja) 物品監視システム
US10928912B2 (en) Visual sense and tactile sense integrated presentation device
KR20130115585A (ko)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겸용 멀티 자판기
JPH0729526U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