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064A -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064A
KR20240040064A KR1020240037967A KR20240037967A KR20240040064A KR 20240040064 A KR20240040064 A KR 20240040064A KR 1020240037967 A KR1020240037967 A KR 1020240037967A KR 20240037967 A KR20240037967 A KR 20240037967A KR 20240040064 A KR20240040064 A KR 2024004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light source
reflectiv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064A/ko
Publication of KR2024004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패널; 표시 패널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광원부; 표시 패널 및 광원부와 다른 높이에 위치하고, 광원부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여 표시 패널을 향해 출광하는 반사 부재; 외부 광량을 검출하여 광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광량 검출 센서;및 광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광원부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로,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패널, 및 유기발광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액정 배열을 조정하여 광의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빛을 발생하지 못하는 표시 장치이다. 따라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런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적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표시 장치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가 있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자연광이나 외부의 인조광을 반사시키는 방법으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그런데,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 광량이 적은 경우, 반사 광량이 적어 시인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부를 구동하여 외부 광량을 증가시켜 시인성이 향상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광원부; 표시 패널 및 광원부와 다른 높이에 위치하고, 광원부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여 표시 패널을 향해 출광하는 반사 부재; 외부 광량을 검출하여 광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광량 검출 센서;및 광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광원부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반사 부재는 광원부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은 표시 패널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보다 작을 수 있다.
반사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과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광원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 상에 배치되는 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 및 광원부를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및 바텀 케이스와 체결되는 탑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량 검출 센서는 탑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광원부를 구동하여 반사형 표시 패널로 입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광량이 적은 경우에도 시인성이 향상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반사형 표시 패널 상에 별도의 부재가 위치하지 않아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 표시 패널과 광원부 사이에 격벽을 배치하여 빛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표시 패널 상에 도광판을 배치하여 빛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반사 부재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반사 부재의 요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C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설명하는 실시예나 도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구성요소와 그 형상 등이 간략하게 그려지거나 또는 과장되어 그려지기도 하며, 실제 제품에 있는 구성요소가 표현되지 않고 생략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상”, “하”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치 방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라고 기재되는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다른 층이나 또는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 또는 배치된다라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층이나 구성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배치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되어 배치된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반사 부재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반사 부재의 요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 광원부(200), 탑 케이스(310), 바텀 케이스(320), 광량 검출 센서(400), 광원 제어부(미도시) 및 반사 부재(61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00)은 하부 패널(101), 이 하부 패널(101)에 대향하여 위치한 상부 패널(102), 하부 패널(101)과 상부 패널(102)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미도시) 및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화소는 상부 패널(102), 하부 패널(101) 및 액정층(미도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화소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부(DA)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100)은 반사형 표시 패널로, 내부에 반사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로 조사되는 외부 광은 반사층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으로 반사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반사층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은 알루미늄(Ag)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반사막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부(NDA)에 위치한다. 구동 회로부은 구동 집적회로(141a) 및 캐리어(141b)로 구성된 드라이버(141) 및 인쇄회로기판(142)을 포함한다. 구동 집적회로(141a)는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 또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들에 차례로 공급한다. 각 구동 집적회로(141a)는 캐리어(141b)에 실장된다. 캐리어(141b)는 인쇄회로기판(168)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접속된다. 인쇄회로기판(142)에 전술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원 공급부가 위치할 수 있는 바, 캐리어(141b)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각종 신호들을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41a)로 전송하는 입력 배선들과 그 구동 집적회로(141a)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해당 라인들로 전송하는 출력 배선들을 포함한다.
광원부(200)는 표시 패널(100)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광원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한 측면, 양 측면 또는 네 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광을 생성한다. 광원부(200)에서 생성된 광은 후술할 반사 부재(610)에 의해 반사되어 표시 패널(100)로 출광된다. 광원부(200)는 광원회로기판(210)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22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회로기판(210)의 일면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실장(mounting, 實裝) 영역과 배선 영역으로 구분된다. 광원(220)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실장 영역에 광원(220)이 하나씩 설치되며, 그리고 배선 영역에 그 광원(220)들로 구동전원을 전송하기 위하여 배선영역에 복수의 배선들이 설치된다. 전술된 구동전원은 외부의 전원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후, 별도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술한 복수의 배선들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양 측면에 각각 9개의 광원(220)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100)의 크기 등에 따라 광원(22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광원(22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220)은 광원회로기판(210)을 따라 연장된 막대형상 및 반구형상일 수도 있다. 광원(22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20)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광원(220)은 자외선(ultraviolet lay) 또는 근 자외선(near ultraviolet lay)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탑 케이스(310)는 중심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태를 갖는다. 탑 케이스(310)는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한다. 탑 케이스(31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표시 패널(100)의 표시부(DA)가 노출된다. 탑 케이스(310)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감싼다. 이를 위해, 이 탑 케이스(310)는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덮는 전면(前面) 덮개(311)와, 그리고 바텀 케이스(320)의 측부(322)를 덮는 측면 덮개(312)를 포함한다.
한편, 측면 덮개(312)에 결합홈이 위치할 수 있는 바, 이 결합홈에 의해서 탑 케이스(310)가 바텀 케이스(3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덮개(312)들 중 어느 하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 회로부는 이 측면 덮개(312)의 개구부를 통해 탑 케이스(3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는 후술할 반사 부재(610)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반사 부재(610)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전면 덮개(311)는 후술할 반사 부재(61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표시 패널(100)을 향하지 않는 광이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향해 출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빛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100)의 크기, 광원부(200)의 세기 및 반사 부재(610)의 크기 등에 따라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는 반사 부재(610)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바텀 케이스(320)는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이 수납 공간에 후술할 표시 패널(100) 및 광원부(200)가 배치된다. 이 수납 공간의 확보를 위해, 바텀 케이스(320)는 기저부(321) 및 복수의 측부(3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321)는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전술된 측부(322)들 각각은 이 기저부(321)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서로 인접한 측부(322)들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된다. 전술한 수납 공간은 측부(322)들 및 기저부(32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된다. 한편, 서로 마주보는 측부(322)의 외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바, 이 걸림턱에 의해 탑 케이스(310)가 바텀 케이스(320)에 고정된다. 이 걸림턱은, 해당 측부(322)의 일부가 탑 케이스(310)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탑 케이스(310) 및 바텀 케이스(3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100) 및 광원부(200)를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충분하다.
광량 검출 센서(400)는 전술한 탑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 검출 센서(400)는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질 수 있으며, 광량 검출 센서(400)는 전술한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에 배치된 홈에 위치할 수 있다. 광량 검출 센서(400)는 외부 광량을 검출하여 광량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외부 광량은 광원부(200)에 의해 출광된 광량과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주변의 광량의 합이다.
광원 제어부(미도시)는 광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한다.
광량 검출 센서(400) 및 광원 제어부(500)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반사 부재(610)는 표시 패널(100) 및 광원부(200)와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부재(610)는 표시 패널(100)과 이격되어 배치된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 부재(610)는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탑 케이스(310)의 전면 덮개(311)의 하부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반사 부재(610)는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탑 케이스(310)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반사 부재(610)는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여 표시 패널(100)을 향해 반사시킨다. 반사 부재(610)는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6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광원(220)으로부터 출광되어 반사면(611)에 입사된 광(L1)은 반사면(611)과 수직을 이루는 법선(Lv)과 θl1의 입사각을 가질 수 있다. 반사면(611)에서 반사되는 광(L2)은 반사면(611)의 법선(Lv)과 θl2의 반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반사면(611)의 입사각 θl1과 반사면(611)의 반사각 θl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면(611)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Lr)과 표시 패널(100)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Lp)은 θ1의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은 반사 부재(610)의 반사면(611)에 의해 반사되어 표시 패널(100)로 입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θ1은 45도 이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부재(61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표시 패널(100)로 입사하지 않는 광의 광량이 감소되어 빛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부재(610)는 반사면(611)에 배치되는 요철(6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00)로부터 공급된 광은 반사면(611)에 배치된 요철(612)에 의해 난반사되어 표시 패널(100)로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다. 요철(612)은 반구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철(612)은 원뿔, 다각뿔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을 난반사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반사면(611)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611)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면(611)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사 부재(610)는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여 표시 패널(100)을 향해 출광할 수 있다. 이때, 반사면(611)의 곡률에 따라, 표시 패널(100)을 향해 출광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사 부재(610)에 의해 반사된 광 중 표시 패널(100)로 입사하지 않는 광량이 감소되어 빛샘을 최소화하고,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주변 광량이 적어 시인성이 감소되는 경우, 광원부(200)를 구동하여 외부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주변 광량이 적은 경우에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광량 검출 센서(400)는 외부 광량을 검출한다(S1). 이때,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주변의 광뿐만 아니라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도 표시 패널(100)로 입사하기 때문에, 광량 검출 센서(400)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주변의 광량과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량의 합인 외부 광량을 검출한다. 광량 검출 센서(400)는 검출한 광량을 광량 데이터로 출력한다.
광원 제어부(미도시)는 광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광량을 분석한다(S2). 광원제어부는 분석된 광량에 따라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고(S3), 이에 따라,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이 표시된다(S4).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광량이 일정 광량 이상인 경우 광원(220)을 턴오프하여 광원부(200)에서 출광되는 광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광량이 일정 광량 이하인 경우 광원(220)을 턴온하여 광원부(200)에서 출광되는 광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주변 광량이 적어 시인성이 감소하는 경우 광원부(200)를 구동하여 외부 광량을 증가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주변 광량에 관계없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는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련된 설명 가운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와 관련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 표시 패널(100)과 광원부(200) 사이에 배치된 격벽(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 중 반사 부재(610)에 입사되지 않는 광에 의해 빛샘이 발생될 수 있다. 격벽(620)은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 중 반사 부재(610)에 입사되지 않는 광을 흡수 및 반사하여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620)은 광원부(200)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620)에 의한 빛샘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a는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C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관련된 설명 가운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와 관련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반사 부재(610)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도광판(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630)은 표시 패널(100) 상의 탑 케이스(310) 및 바텀 케이스(320)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한 반사 부재(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도광판(630)을 고정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630)은 서로 대향하는 전면, 후면 및 측면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100)과 대향하는 면을 후면, 후면과 대향하는 면을 전면,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이라 정의한다.
광원부(200)로부터 출광된 광은 반사 부재(610)에 의해 반사된 후, 도광판(630)의 측면 및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입사할 수 있다. 도광판(630)에 입사된 광은 도광판(630) 내에서 전파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광판(630)은 도광판(630)의 전면에 도광판(630) 내부에서 전파되는 광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쐐기형 홈을 가질 수 있다. 쐐기형 홈은 서로 평행하게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프리즘 형상을 가지는 프리즘 면을 가질 수 있다. 프리즘 면을 포함하는 쐐기형 홈은 도광판(630)의 내부에서 전파하는 광을 반사시켜 표시 패널(100)을 향해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는 도광판(630)에 의해 균일하게 광을 공급받을 수 있어, 균일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광판(630)은 반사 부재(610)에 입사되지 않는 광에 의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도광판(630)은 설명의 편의상, 플레이트(plate)로 기술하였으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시트 또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판(630)은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필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된다.
도광판(630)은 광이 효율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광원부
310: 탑 케이스 320: 바텀 케이스
400: 광량 검출 센서 610: 반사 부재
611: 반사면 620: 격벽
630: 도광판

Claims (11)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광원부;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원부와 다른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출광하는 반사 부재;
    외부 광량을 검출하여 광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광량 검출 센서;및
    상기 광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광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도보다 작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곡률을 갖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 상에 배치되는 요철을 더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및 상기 바텀 케이스와 체결되는 탑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검출 센서는 상기 탑 케이스에 배치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KR1020240037967A 2016-07-11 2024-03-19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KR20240040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7967A KR20240040064A (ko) 2016-07-11 2024-03-19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99A KR20180007041A (ko) 2016-07-11 2016-07-11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KR1020240037967A KR20240040064A (ko) 2016-07-11 2024-03-19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99A Division KR20180007041A (ko) 2016-07-11 2016-07-11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064A true KR20240040064A (ko) 2024-03-27

Family

ID=610947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99A KR20180007041A (ko) 2016-07-11 2016-07-11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KR1020240037967A KR20240040064A (ko) 2016-07-11 2024-03-19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99A KR20180007041A (ko) 2016-07-11 2016-07-11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070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9310B2 (en) 2019-10-28 2024-0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41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444B1 (ko) 표시 장치
JP6869638B2 (ja) 表示装置
KR101579027B1 (ko) 조명식 로고 구조체를 갖춘 전자 디바이스
US1040910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4009856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622818B (zh) 背光單元及包含該背光單元的行動電子裝置
US8967847B2 (en) Illumination assembly and display module
KR10218810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240040064A (ko)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6114467A (ja) 光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JP5794127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JP2007005309A5 (ko)
US9261721B2 (en) Display apparatus
US20180106961A1 (en) Backlight unit
EP3124857B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WO2019007067A1 (zh) 背光模组、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KR1019810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5147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784907B2 (en) Display device
KR20150018253A (ko) 표시장치
US20210041739A1 (en) Display device
US9335458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13614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2498496B1 (ko) 표시장치
KR20130032470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