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203A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 양측봉합 비내력 벽을이용한 통합구조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 양측봉합 비내력 벽을이용한 통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3203A KR20080033203A KR1020080021082A KR20080021082A KR20080033203A KR 20080033203 A KR20080033203 A KR 20080033203A KR 1020080021082 A KR1020080021082 A KR 1020080021082A KR 20080021082 A KR20080021082 A KR 20080021082A KR 20080033203 A KR20080033203 A KR 20080033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unit boundary
- plate
- reinforced concret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의 통합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를 개선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같은 층의 건축유닛을 통합하는 구조체와 다른 층의 건축유닛을 통합하는 구조체가 있으며, 건축유닛의 특성에 따라 리모델링시 이를 적합하게 혼용 활용하므로 리모델링의 비용을 줄이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 양측 봉합, 비내력벽, 통합 구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의 통합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를 개선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공동주택을 포함한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100)은 단위 유닛(120, 130, 140, 150) 간에는 내력벽(110)으로 경계가 되어있어 단위 유닛을 통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건물을 철거하여 재시공을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또한 해당 건물을 철거하고 재시공하고자 하여도 철거 및 재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 및 사회적 비용이 수반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 단위 유닛간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고 원래 상태로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 유닛간 통합 리모델링이 용이하지 않은 기존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을 통합 리모델링과 원상태로 바꾸는 리모델링이 용이하도록, 약쪽 유닛의 벽에서 경계를 고정하는 처리를 하고 벽 양측을 비내력 마감처리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을 포함한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 통합 리모델링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닛의 단위 면적 등을 변경할 목적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전면 철거하여 재시공하므로 발생되는 사회경제적인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단위 유닛의 사용자들도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단위 유닛을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고 또한 개인적인 이유로 유닛을 분리하는 것도 유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실익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비내력 구조를 측방에서 절단하였을 경우 발명의 구성사항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벽 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 발명의 구성사항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발명을 활용하여 리모델링을 통하여 다른 유닛을 연결하는 사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신축 혹은 기존의 내력구조의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은 내력벽 구조로 유닛간을 구분하는 경계를 양쪽에서 허용하면 통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200, 300)로 되는 것이다. 이 구조는 벽체(460a)뿐만 아니라 바닥 및 천정 슬랩(460b)에도 적용할 수 있어,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의 공간구성을 유연하게 하는 것(400)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적 결합을 설명하면, 우선 내력벽구조(210)와 일치되는 유닛경계판틀(250,350)을 철근에 결합(360)하고, 유닛경계판(240,340)을 유닛경계판틀(250,350)에 부착한다. 유닛경계판(240, 340)은 콘크리트, 목재, 석재 또는 철재같이 충분한 강도의 재질로 만들며, 유닛경계판틀(250, 350)도 충분한 강도의 콘크리트, 석재 또는 철재와 같은 재질로 만든다. 유닛경계판(240,340)과 유닛경계판틀(250,350)을 연결하는 구성을 연결뭉치라 하면 연결뭉치는 고정핀(242, 342), 고정핀 연결부(241, 341)와 고정볼트(243, 343)로 구성된다. 연결뭉치에서 고정핀(242, 342)은 고정핀 연결부(241, 341)에 부착되어 유닛경계판(240, 340)에 접속되며, 고정볼트(243, 343)로 고정핀(242, 342)이 유닛경계판틀(250, 350)에 고 정되게 된다. 연결뭉치는 양쪽 유닛에서 해체하지 않으면 유닛경계판(240, 340)이 유닛경계판틀(250, 350)과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유닛경계판(240, 340)의 양면(200)을 상하좌우변(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유닛경계판틀(250, 350)을 구조물에 부착하는 데에는 철근에 연결(360)하는 방식으로 하며, 유닛경계판(240, 340)과 유닛경계판틀(250, 350)이 분리되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철근에 연결(360)할 수 있다. 유닛경계판(240, 340)과 유닛경계판틀(250, 350)이 철근에 결합되고 내력벽(210) 구조가 갖추어지게 되면, 유닛경계판(240, 340)의 양쪽에 단열방음재료(230)를 채우고 벽체(460a)에서는 비내력벽으로 바닥 및 천정 슬랩(460b)에서는 내력보강구조로 마감벽(220)으로 구성한다.
도 1은 기존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의 단위 유닛 경계처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내력 구조도(측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내력 구조도(전단면)
도 4는 다른 유닛간 연결처리도
Claims (5)
- 양쪽 유닛에서 해체하지 않으면 분리되지 않는 유닛경계판과; 유닛경계판이 부착되고 분리되는 것이 용이한 유닛경계판틀과; 유닛경계판과 유닌경계판틀을 연결하는 연결뭉치와; 유닛경계판, 유닛경계판틀과 연결뭉치의 구조
- 유닛경계판, 유닛경계판틀과 연결뭉치의 구조를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와; 단열방음의 완충재료로 채우는 단계와; 마감벽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유닛경계판, 유닛경계판틀과 연결뭉치의 구조를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는, 유닛경계판과 유닛경계판틀을 결합하여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와; 유닛경계판과 유닛경계판틀을 결합하지 않고 유닛경계판틀만 구조물에 부착하고 나중에 유닛경계판을 유닛경계판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단열방음의 완충재료로 채우는 단계는, 유닛경계판의 양측에 완충재료를 채우는 단계와; 유닛경계판의 한쪽에 완충재료를 채우는 단계와; 유닛경계판의 어느쪽에도 완충재료를 채우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 마감벽을 철거하는 단계와; 단열방음의 완충재료를 제거하는 단계와; 유닛경계판을 유닛경계판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082A KR101000633B1 (ko) | 2008-03-06 | 2008-03-06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의 유닛경계통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082A KR101000633B1 (ko) | 2008-03-06 | 2008-03-06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의 유닛경계통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3203A true KR20080033203A (ko) | 2008-04-16 |
KR101000633B1 KR101000633B1 (ko) | 2010-12-10 |
Family
ID=3957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1082A KR101000633B1 (ko) | 2008-03-06 | 2008-03-06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의 유닛경계통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063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77789A (zh) * | 2020-07-01 | 2020-11-03 |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老钢屋盖整体提升更换施工方法 |
CN112127515A (zh) * | 2020-08-24 | 2020-12-25 | 扬州大学 | 预制混凝土外挂墙板连接装置 |
-
2008
- 2008-03-06 KR KR1020080021082A patent/KR10100063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77789A (zh) * | 2020-07-01 | 2020-11-03 |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老钢屋盖整体提升更换施工方法 |
CN112127515A (zh) * | 2020-08-24 | 2020-12-25 | 扬州大学 | 预制混凝土外挂墙板连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0633B1 (ko) | 2010-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67033A4 (en) | BUILDING STRUCTURE | |
CN101871241A (zh) |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 |
KR20150065985A (ko)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 |
JP4400833B2 (ja) | 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ピース | |
CN104389361A (zh) | 一种用于框架结构的减震填充墙板 | |
JP2008002091A5 (ko) | ||
JP2010159543A (ja) | 耐震補強構造 | |
KR20150060107A (ko) |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 |
KR20080033203A (ko)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물에서 양측봉합 비내력 벽을이용한 통합구조 | |
JP2008163646A (ja) | 既存柱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 |
KR20140099770A (ko) | 대공간형 모듈러 건축물 | |
JP5144182B2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並びに耐震補強方法 | |
JP3787348B2 (ja) | スチールハウスの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構築方法 | |
KR101397886B1 (ko) |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보강장치 | |
JP2015055103A (ja) | 遮音板及びこれを用いた遮音壁構造 | |
JP2008196267A (ja) | 家屋の耐震補強体構造 | |
CN203213595U (zh) | 现浇混凝土栏板支模结构 | |
CN210395756U (zh) | 一种外墙板系统 | |
CN103993673A (zh) | 带支撑架的剪力墙板及其与叠合楼板的连接结构和施工方法 | |
KR101282181B1 (ko) | 방음판의 이중 프레임 구조 | |
KR200323668Y1 (ko) | 철조 및 콘크리트 합성에 의한 조립구조 | |
CN207348237U (zh) | 一种预制墙板的连接结构 | |
JP5133801B2 (ja) | 壁パネル | |
JP2024074693A (ja) | 耐震補強用構造体、及びそれを使った耐震補強方法 | |
JP2007177574A (ja) | 耐震壁及び耐震補強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