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162A - 수준기 - Google Patents

수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162A
KR20080031162A KR1020077026246A KR20077026246A KR20080031162A KR 20080031162 A KR20080031162 A KR 20080031162A KR 1020077026246 A KR1020077026246 A KR 1020077026246A KR 20077026246 A KR20077026246 A KR 20077026246A KR 20080031162 A KR20080031162 A KR 20080031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attachment
shaft member
attachment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비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비스
Publication of KR2008003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01C9/28Moun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Toy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양산성이 뛰어나고 기포위치의 수정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비용면에도 뛰어난 획기적이고 실용성이 뛰어난 수준기를 제공한다.
부착체(2)를, 축부재(7)를 축으로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이 부착체(2)는, 기체 케이스(3)의 한쪽 내면에 대해서 누름 접촉하는 탄압 접촉부(8)와,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누름 접촉하는 조정나사(9) 혹은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조정나사(9)의 조임에 의해 누름 접촉하는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조정나사(9)를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상기 탄압 접촉부(8)의 탄압 정도를 변화함으로써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고정함과 함께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준기.

Description

수준기{LEVEL}
본 발명은, 기포 및 액체를 봉입한 기포관 측정부에 의해 수평도 혹은 수직도를 측정하는 수준기(Level)에 관한 것이다.
기포 및 액체를 봉입한 기포관 측정부를 기체 케이스(Body case)에 설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를, 측정하고 싶은 측정면에 맞추어 상기 기포관 측정부의 기포위치에 의해 측정면의 수평도 혹은 수직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 이 종류의 수준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한 부착체(Installation body)에 기포관 측정부를 설치하고, 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하여, 이 기체 케이스에 설치한 창구멍으로부터 부착체에 설치한 기포관 측정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의 소정위치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기체 케이스내에 고정한 부착체의 고정자세가 틀어진 경우, 이 부착체에 설치한 기포관 측정부의 기포위치가 틀어져 버리기 때문에, 이 종류의 수준기에 있어서는, 기체 케이스내의 부착체를 미동(미동 회전이동 조정)시켜 부착체의 고정자세의 수정, 즉, 기포관 측정부의 기포위치를 수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한 부착체의 고정자세를 수정하여 기포위치 를 수정하는 구성으로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구성이 제안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기체 케이스내에 고정한 부착체를 향하여 나사를 나사식 맞춤 배치하여, 이 나사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부착체를 미동(微動) 혹은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고정자세를 수정하여, 상기 기포위치를 수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한 부착체의 고정자세를 수정하여 기포위치를 수정하기 위한 상기 나사가, 기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부착체를 향하여 나사식 맞춤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나사가 기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노출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때문에 외관의 체재가 나쁜 데다가,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부착체의 고정자세를 결정하고 기포위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스프링에 무엇인가가 접촉하여 갑자기 나사가 나사식 이동하여 부착체의 고정자세나 기포위치를 틀어지게 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 나사의 노출을 막기 위해 커버 등의 어떠한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 등의 실용상의 문제점을 가졌다.
본 발명은,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는 수준기에 한층 더 연구 개발을 진행시켜,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한 부착체를 조정나사를 조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기체 케이스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 조정나사를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이 조정나사의 나사식 맞춤 정도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이 부착체의 고정자세를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기포위치를 수정할 수 있고,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기체 케이스에 부착체를 바른 설치자세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 조정나사를 기체 케이스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체재(모양)가 좋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조정나사가 갑자기 나사식 이동하여 기포위치가 틀어지거나 할 걱정도 일절 없고, 게다가, 간이한 구성으로 하여 부품 점수도 적고 비용 상승의 문제도 없는 지극히 뛰어난 수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액체 및 기포를 봉입한 기포관 측정부(1)를 설치한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 (3)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3)에 설치한 창구멍(4)으로부터 상기 기포관 측정부(1)를 볼 수 있는 소정위치에 이 부착체(2)를 고정함과 함께,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1)에 봉입한 기포위치를 수정하는 구성으로 한 수준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 케이스(3)에 설치한 관통구멍(5)에 연이어 통과시켜 합치하는 축삽입 구멍(6)을 상기 부착체(2)에 설치하고, 이 부착체(2)를 상기 기체 케이스(3)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축부재(7)를 관통 배치하여 이 축부재(7)를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 (6)에 끼워 통하여 배치함으로써 이 부착체(2)를, 상기 축부재(7)를 축으로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이 부착체(2)는, 기체 케이스(3)의 한쪽 내면에 대해서 탄압 접촉하는 탄압 접촉부(Elastic contact section, 8)와,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누름 접촉하는 조정나사(9) 혹은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조정나사(9)의 조임에 의해 누름 접촉하는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조정나사 (9)는, 상기 기체 케이스(3)내로 하여 상기 부착체(2)의 측면에 설치한 나사식 맞춤부(10)로부터 이 부착체(2)에 관통상태로 나사식 맞춤 배치하고,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혹은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부터 상기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누르도록 구성하고, 이 조정나사(9)를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상기 탄압 접촉부(8)의 탄압 정도(Degree of elasticity)를 변화함으로써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고정함과 함께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체(2)는, 이 부착체(2)에 설치한 기포관 측정부(1)를 통하여 일단측에 상기 축부재(7)를 끼워 삽입하여 배치하는 축삽입 구멍(6)을 설치하고, 타단측에 상기 탄압 접촉부(8) 및 나사식 맞춤부(10)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3)내에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함께 상기 조정나사(9)를 이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3)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상태로 부착체(2)에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는, 이 부착체(2)의 단부에 설치한, 자유롭게 휘어져 굴곡되는 만곡판 형상부(8)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체(2)의 나사식 맞춤부(10)는, 이 부착체(2)의 단부에 설치한, 끝이 가는 형상부(11)에 관통상태로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체(2)는, 상기 탄압 접촉부(8) 및 나사식 맞춤부(10)를, 이 부착체(2)를 수지 성형하는 데 있어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체(2)는, 상기 탄압 접촉부(8) 및 나사식 맞춤부(10)를, 이 부착체(2)를 수지 성형하는데 있어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부재(7)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5)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은 이 축부재(7)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7)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부재(7)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5)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은 이 축부재(7)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7)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부재(7)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5)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은 이 축부재(7)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7)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 (6)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축부재(7)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5)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은 이 축부재(7)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7)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 (6)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 항에 기재된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기체 케이스내에 부착체를 배치하여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과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을 맞추어 상기 축부재를 이 관통구멍과 축삽입 구멍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상기 조정나사를 나사식 넣기조작하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의 소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를 조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조정나사 혹은 조임 누름 접촉부가 기체 케이스의 내면에 누름 접촉하지 않도록 해 두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할 때에 부착체와 기체 케이스의 내면이 탄압 혹은 누름 접촉하지 않고 부드럽게 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에 넣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이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과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과의 위치 맞춤 작업도 저항없이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어, 부착체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에 고정하기 위한 조정나사를 나사식 이동조작함으로써 이 부착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미동 회전이동시키는 작업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단 한 개의 조정나사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 탄압 접촉부의 탄압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부착체의 고정과 고정자세의 조정(기포위치의 수정)의 쌍방을 간단하고 확실히 실시할 수 있으며, 지극히 작업 효율적으로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점수도 적어도 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정나사는, 기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내의 부착체를 향하여 나사식 맞춤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체 케이스내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내의 부착체의 나사식 맞춤부에 나사식 맞춤 배치하여 기체 케이스의 내면 혹은 조임 누름 접촉부를 기체 케이스의 내면에 누르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 조정나사를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어 외관의 체재가 좋고, 또한, 이 조정나사를 기체 케이스로부터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조정나사에 무엇인가가 접촉하여 충격에 의해 이 조정나사가 조금 나사식 이동하여 상기 기포위치가 틀어져 버린다는 것도 생기지 않아, 이 조정나사에 의해 수정한 상기 기포위치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체 케이스내에 부착체를 배치하고,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과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을 맞추는 작업을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연이어 통하여 합치한 관통구멍과 축삽입 구멍에 축부재를 연이어 통하여 배치할 만큼의 단순작업으로 기체 케이스내의 소정위치에 부착체를 간단하게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는 부착체를, 조정나사를 조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기체 케이스내에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조정나사를 이용하여 부착체의 고정자세를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는 작업도 실시할 수 있으며, 단 한 개의 조정나사의 나사식 이동조작에 의해서 부착체를 고정하는 작업과 상기 부착체의 고정자세를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기포위치를 수정하는 작업과의 쌍방의 작업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히 실시할 수 있는데다가, 이 조정나사는 기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매우 체재가 좋고, 또한 조정나사가 외부로부터 격리된 기체 케이스내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정나사를 갑자기 나사식 이동시켜 버리는 일도 없이 기포위치를 올바른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측정기로서의 신뢰성에도 뛰어난 등의 실용상 우수한 작용 효과를 확실히 발휘할 수 있는 지극히 획기적이고 상품가치가 높은 수준기가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액체 및 기포를 봉입한 기포관 측정부(1)를 설치한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 (3)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3)에 형성한 관통구멍(5)과 부착체(2)에 설치한 축삽입 구멍(6)을 합치시켜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축부재(7)를 관통 배치하고, 이 축부재(7)를 상기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에 끼워 통하여 배치함으로써, 이 부착체(2)를, 상기 축부재(7)를 축으로 기체 케이스(3)내에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배치한다.
이 기체 케이스(3)내에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한 부착체(2)의 조정나사(9)를 나사식 넣기 조작하여 이 조정나사(9)를 상기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누름 접촉시키고, 혹은 조정나사(9)를 나사식 넣기 조작하여 이 고정나사(9)의 조임에 의해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상기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누름 접촉시키면, 이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는 기체 케이스(3)의 한쪽 내면에 탄압 접촉하고, 이 부착체(9)의 상기 고정나사(9) 혹은 상기 조임 누름 접촉부(12)는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누름 접촉하여 상기 축부재(7)를 축으로 한 미동 회전이동이 저지되고 이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가 고정되어, 이 기체 케이스(3)에 설치한 창구멍(4)으로부터 부착체(2)의 기포관 측정부(1)를 볼 수 있는 위치에 기포관 측정부(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7)는, 예를 들면, 이 축부재(7)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5)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은 이 축부재(7)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7)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과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에 연이어 통하여 배치한 축부재(7)를 빠짐방지하는 구성이나 작업이 불필요하고, 단순히 축부재(7)를 관통구멍(5)에 눌러 넣음 상태로 넣는 단순한 작업으로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을 지극히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다.
즉,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배치하여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과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을 맞추어 상기 축부재(7)를 이 관통구멍(5)과 축삽입 구멍(6)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상기 조정나사(9)를 나사식 넣기조작하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의 소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9)를 조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조정나사(9) 혹은 조임 누름 접촉부(12)가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누름 접촉하지 않도록 해 두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할 때에, 부착체(2)와 기체 케이스(3)의 내면이 탄압 혹은 누름 접촉하지 않고 부드럽게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넣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 (5)과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과의 위치맞춤작업도 저항 없이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어, 부착체(2)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배치하여 고정했을 때에, 가령 기체 케이스(3)에 대한 부착체(2)의 고정자세가 틀어진 경우에는, 이 부착체(2)에 설치한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위치도 틀어져버려 수평도나 수직도의 측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고정했을 때에 이 부착체(2)의 고정자세를 바르게 수정하여 기포위치를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착체(2)의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 이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의 탄압 정도를 변화함으로써,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 (3)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부착체(2)의 고정자세를 수정함과 함께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위치를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압 접촉부(8)는, 복잡한 구성은 일절 필요 없고, 예를 들면, 이 탄압 접촉부(8)는 상기 부착체(2)의 단부에 설치한 자유롭게 휘어져 굴곡되는 만곡판 형상부(8)로 하는 등의 간단한 구성으로 좋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고,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부착체(2)를 수지 성형품으로 하고, 이 탄압 접촉부(8)나, 상기 조정나사(9)를 나사식 맞춤하기 위한 나사식 맞춤부(10) 등을 부착체(2)를 수지 성형하는데 있어서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하는 등 간단하게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하다.
즉, 조정나사(9)를 조임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이 조정나사(9) 혹은 상기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기체 케이스(3)의 한 쪽의 내면에 누름 접촉시키면,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는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의 내면에 탄압 접촉하기 때문에, 이 조정나사(9)를 조임 나사식 이동조작함으로써 탄압 접촉부(8)는 그만큼 강하고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탄압 접촉함과 함께 찌부러지도록 하여 탄성변형하고, 따라서, 이 탄압 접촉부(8)가 탄성변형한 만큼만 부착체(2)가 탄압 접촉부(8)의 쪽으로 미동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고정하기 위한 조정나사(9)를 나사식 이동조작함으로써, 부착체(2)를 임의의 방향으로 미동 회전이동시키는 작업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단 한 개의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 탄압 접촉부(8)의 탄압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부착체(2)의 고정과 고정자세의 조정(기포위치의 수정)의 쌍방을 간단하고 확실히 실시할 수 있고, 지극히 작업 효율적으로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고정할 수 있음과 함께, 이 부착체(2)도 부품점수가 적고, 또한 단순 용이한 구성으로 하여 간단하게 생산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9)는, 기체 케이스(3)내로 하여 상기 부착체(2)의 측면에 설치한 나사식 맞춤부(10)로부터 이 부착체(2)에 관통상태로 나사식 맞춤 배치하고 있고, 이 조정나사(9)를 조임 나사식 이동조작하면, 이 조정나사(9)가 기체 케이스(3)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고, 혹은 이 조정나사(9)가 기체 케이스(3)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부터 상기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누르게 된다.
즉, 이 조정나사(9)는, 기체 케이스(3)의 외부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3)내의 부착체(2)를 향하여 나사식 맞춤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체 케이스(3)내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3)내의 부착체(2)의 나사식 맞춤부(10)에 나사식 맞춤 배치하여 기체 케이스(3)의 내면 혹은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누르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 조정나사(9)를 기체 케이스(3)내에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어 외관의 체재가 좋고, 또한, 이 조정나사(9)를 기체 케이스(3)로부터 외부에 노출하지 않게 구성할 수 있고, 이 조정나사(9)에 무엇인가가 접촉하여 충격에 의해 상기 조정나사(9)가 조금 나사식 이동하여 상기 기포위치가 틀어져 버린다고 한 것도 생길 수 없으며, 상기 조정나사(9)에 의해 수정한 상기 기포위치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구성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배치하고, 기체 케이스 (3)의 관통구멍(5)과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을 맞추는 작업을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연이어 통하여 합치한 관통구멍(5)과 축삽입 구멍(6)에 축부재(7)를 연이어 통하여 배치할만큼의 단순 작업으로 기체 케이스(3)내의 소정위치에 부착체(2)를 간단히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는 부착체(2)를, 조정나사(9)를 조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기체 케이스(3)내에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조정나사(9)를 이용하여 부착체(2)의 고정자세를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는 작업도 실시할 수 있어, 단 한 개의 조정나사(9)의 나사식 이동조작에 의해 지극히 간단하게, 또한 확실히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정밀도 좋게 고정할 수 있는데다가, 이 조정나사(9)는 기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매우 체재가 좋고, 또한 조정나사(9)가 외부로부터 격리된 기체 케이스(3)내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정나사(9)를 갑자기 나사식 이동시켜 버리는 일도 없이 기포위치를 올바른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어 측정기로서의 신뢰성에도 뛰어난 등의, 실용상 뛰어 난 작용효과를 확실히 발휘할 수 있는 상품가치가 높은 수준기가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부착체(2)는, 이 부착체(2)에 설치한 기포관 측정부 (1)를 통하여 일단측에 상기 축부재(7)를 끼워 통하여 배치하는 축삽입 구멍(6)을 설치하고, 타단측에 상기 탄압 접촉부(8) 및 나사식 맞춤부(10)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미동 회전이동축이 되는 축부재(7)를 끼워 통하여 배치하는 축삽입 구멍(6)과 탄압 접촉부(8) 및 상기 조정나사(9)를 나사식 맞춤 배치하는 나사식 맞춤부 (10)가, 기포관 측정부(1)를 통하여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그 만큼 부착체(2)의 미동 회전이동축인 축부재(7)에 대해서, 탄압 접촉부(8)나 나사식 맞춤부(10)가 떨어진 위치가 되며, 그 만큼 나사식 맞춤부(10)에 나사식 맞춤 배치한 상기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의 변화량에 대한 부착체(2)의 고정자세의 변화량(미동 회전이동각)이 작아지고, 따라서, 조정나사(9)의 나사식 이동조작에 의해 부착체(2)의 고정자세를 한층 세세하고 미동조정할 수 있어, 한층 정밀도 좋게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위치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부착체 (2)의 단부에 나사식 맞춤부(1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 부착체 (2)를 축삽입 구멍(6)을 설치한 측으로부터,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상기 기체 케이스(3)내에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이 기체 케이스 (3)내에 배치한 부착체(2)의 나사식 맞춤부(10)에 나사식 맞춤 배치한 조정나사(9)를, 이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공구를 꽂아 넣어 간단하게 나사식 이동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부착체(2)의 고정 및 회정자세의 미동 회전이동 조정(기포위치의 수정)을 한층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액체 및 기포를 봉입한 기포관 측정부(1)를 설치한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3)에 설치한 창구멍(4)으로부터 상기 기포관 측정부(1)를 볼 수 있는 소정위치에 이 부착체(2)를 고정함과 함께,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1)에 봉입한 기포위치를 수정하는 구성으로 한 수준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 케이스(3)에 설치한 관통구멍(5)에 연이어 통하여 합치하는 축삽입 구멍(6)을 상기 부착체(2)에 설치하고, 이 부착체(2)를 상기 기체 케이스(3)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축부재(7)를 관통 배치하여 이 축부재(7)를 부착체 (2)의 축삽입 구멍(6)에 끼워 통해 배치함으로써, 이 부착체(2)를, 상기 축부재(7)를 축으로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이 부착체(2)는, 기체 케이스(3)의 한쪽 내면에 대해서 탄압 접촉하는 탄압 접촉부(8)와 기체 케이스(3)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누름 접촉하는 조정나사(9)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조정나사(9)는, 상기 기체 케이스(3)내로 하여 상기 부착체(2)의 측면에 설치한 나사식 맞춤부(10)로부터 이 부착체(2)에 관통상태로 나사식 맞춤 배치하고,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이 조정나사(9)를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상기 탄압 접촉부(8)의 탄압 정도를 변화함으로써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고정함과 함께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기체 케이스(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재(14)에 의해 자유롭게 개폐 가능한 단부 개구부(3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좌우 양측면에 상기 부착체 (2)의 기포관 측정부(1)를 보기 위한 창구멍(4)을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창구멍(4)을 설치한 측면과 직교하는 한쪽면을, 측정하고 싶은 측정면에 들어맞추는 기준면(3b)으로 하고 있고, 이 기준면(3b)과 대향 반대측의 한쪽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의 부착체(2)의 미러 시인기구(M)의 미러(Mirror, 16)를 통하여 기포관 측정부(1)를 볼 수 있는 미러 시인용 창구멍(17)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은, 이 기체 케이스(3)의 상기 창구멍(4)을 설치한 양측면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축부재(7)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7)의 바깥지름과 대략 합치하는 안지름에 상기 관통구멍(5)의 구멍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축부재(7)는 원기둥형상이라도 좋다.
이 기체 케이스(3)의 양측면에 설치한 관통구멍(5)에 상기 축부재(7)를 무리하게 끼워 눌러 넣음 상태로 관통 배치함으로써, 이 관통구멍(5)에 축부재(7)가 빠짐방지 누름 접합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이 축부재(7)는,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도구로 하여, 관통구멍(5)에 볼트를 끼워 통해 배치하여 너트로 빠짐방지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부착체(2)는, 수지 성형품으로 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착체(2)의 대략 중앙부 위치에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끼움 접착 오목부(2a)에, 기포관 측정부(1)를 갖는 투명수지성의 기포관식 측정기(13)를 끼움 접착하여 이 부착체(2)에 기포관 측정부(1)를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이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착체(2)의 단부에 자유롭게 휘어져 굴곡되는 만곡판 형상부(8)로 하고 있다. 이 만곡판 형상부(8)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포관 측정부(1)를 통하여 축삽입 구멍(6)의 반대측 단부의 한쪽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한편, 이 만곡판 형상부(8)는 복수 설치해도 좋지만, 간단 용이한 생산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체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탄압 접촉부(8)는,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적당한 가요성을 갖고 탄성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이 부착체(2)의 나사식 맞춤부(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포관 측정부(1)를 통하여 축삽입 구멍(6)과 반대측 단부로 하여 상기 만곡판 형상부(8)와 반대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 나사식 맞춤부(10)는, 조정나사(9)를 이 나사식 맞춤부(10)에 나사식 맞춤 배치하고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기체 케이스(3)내에 삽입 배치했을 때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정나사(9)가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3)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상태로 나사식 넣기 할 수 있도록 이 나사식 맞춤부(10)를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체(2)의 단부에, 끝이 가는 형상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끝이 가는 형상부(11)에 관통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조 정나사(9)를 경사상태로, 또한, 관통상태로 나사식 맞춤 배치하기 쉬운, 끝이 가는 형상부(11)에 나사식 맞춤부(10)를 설치함으로써 이 조정나사(9)를 양호하게 부착체(2)에 대해서 경사상태로, 또한, 관통상태로 나사식 맞춤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끝이 가는 형상부(11)의 끝이 가는 형상에 의해, 상기 탄압 접촉부(8){만곡판 형상부(8)}를 설치하는 공간을 상기 부착체(2)의 나사식 맞춤부 (10)의 가까이(도 1 중, 가로로 나열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부착체(2)를 그 만큼 컴팩트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조정나사(9)의 선단을 직접, 누름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정나사(9)의 조임에 의해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누름 접촉하는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부착체(2)에 설치하고, 이 조임 누름 접촉부(12)를 통하여 상기 조정나사(9)에 의한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의 누름 접촉을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조임 누름 접촉부(12)는 상기 조정나사(9)의 결합력에 의해서 누름 변형하는 적당한 가요성을 갖는 구성으로서 부착체(2)의 수지 성형시에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조정나사(9)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이 조임 누름 접촉부(12)의 누름 변형 정도, 및 상기 탄압 접촉부(8) {만곡판 형상부(8)}의 탄압 정도를 변화하여, 부착체(2)의 고정자세를 미동 회전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지름이 균일한 단면원형의 구멍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축부재(7)가 대략 합 치하는 안지름으로 함과 함께, 이 축삽입 구멍(6)과 축부재(7)와의 조그마한 클리어런스에 의해, 축부재(7)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의 내면을 미끄럼이동하여 이 축부재(7)에 대해서 부착체(2)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k의 축삽입 구멍(6) 및 축부재(7)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이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만곡판 형상부(8)}, 나사식 맞춤부 (10) 및 축삽입 구멍(6)은, 부착체(2)의 수지 성형에 있어서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착체(2)는, 수지 성형에 의해 효율적으로 양산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뛰어난다.
또한, 이 부착체(2)에는, 미러 시인기구(M)를 설치하고 있고,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배치하여 고정했을 때에 이 부착체(2)의 기포관 측정부(1)가 기체 케이스(3)의 창구멍(4)으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기체 케이스(3)의 창구멍 (4)과 다른 측면에 설치한 미러 시인용 창구멍(17)으로부터도 미러(16)를 통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1)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미러 시인기구(M)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체(2)의 기포관 측정부(1)의 기포관식 측정기(13)를 끼워 붙이는 끼움 접착 오목부(2a)의 상부와 연이어 통하는 도광로(15)를 부착체(2)에 설치하고, 이 도광로(15)는 상기 끼움 접착 오목부(2a)의 상부로부터 이 부착체(2)의 측부의 도광 개구부(15a)에 연이어 통함과 함께, 이 도광로(15)의 도중 위치에 경사면(18)을 형성하여 이 경사면(18)에 미러(16)를 설치하여 배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 미러 시인기구(M)에 의해,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배치하여 고정했을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착체(2)의 기포관 측정부(1)의 상부를, 도광로(15)의 미러(16)에 반사시켜 이 도광 개구부(15a)를 통하여 기체 케이스(3)의 미러 시인용 창구멍(17)으로부터 볼 수 있다.
한편, 도면 중, 기호 19는, 수평도 측정용 기포관(19)이며, 기체 케이스(3)의 기준면(3b)을 측정하고 싶은 측정면에 들어맞추었을 때, 이 수평도 측정용 기포관(19)에 의해 이 측정면의 수평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축삽입 구멍(6)을 설치한 측으로부터 삽입 배치할 때에, 이 부착체(2)의 조정나사(9)를 조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식 이동조작해 둠으로써, 이 부착체(2) 의 탄압 접촉부(8) 및 조정나사 (9)를 기체 케이스(3)의 내면에 탄압 접촉 혹은 누름 접촉시키는 일 없이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의 안쪽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저항 없이 부드럽게 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의 소정의 안쪽 위치로 삽입시킬 수 있고, 이 부착체 (2)의 축삽입 구멍(6)과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과의 위치를 맞추어 축부재 (7)를 연이어 통하여 배치하는 작업도 지극히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축부재(7)도 단순히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에 이 축부재(7)를 무리하게 끼워 눌러 넣음 상태로 관통 배치하는 것만으로 이 축부재(7)를 관통구멍(5)에 빠짐방지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대해도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축부재(7)에 의해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기체 케이스(3)내에 설치한 부착체(2)에 나사식 맞춤 배치한 조정나사(9)를,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공구를 삽입하여 간단하게 나사식 이동조작할 수 있음과 함께, 이 조정나사(9)의 나사식 이동조작에 의해,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에 고정하는 것과, 이 부착체(2)의 설치 자세를 미동 회전이동 수정하는 것의 어느 쌍방의 작업을, 이 한 개의 조정나사(9)의 나사식 이동조작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어, 간단하게 상기 부착체(2)를 정밀도 좋게 기체 케이스(3)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체(2)는 수지 성형품이고 이 부착체(2)의 탄압 접촉부(8)나 나사식 맞춤부(10), 축삽입 구멍(6) 등, 상기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상기 부착체(2) 자체의 수지 성형에 있어서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일체 성형으로 인해 부품 점수도 적고 용이하게 양산 가능하여 생산성이나 비용면에 있어도 뛰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기체 케이스(3)내에 부착체(2)를 부드럽게 삽입 배치할 수 있고, 이 기체 케이스(3)의 관통구멍(5)과 부착체(2)의 축삽입 구멍(6)을 맞추는 작업도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연이어 통하여 합치한 관통구멍(5)과 축삽입 구멍(6)에 축부재(7)를 눌러 넣을 만큼의 지극히 단순한 작업으로, 기체 케이스(3)내의 소정위치에 상기 부착체(2)를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는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의 단부 개구부(3a)로부터 공구를 넣어 나사식 이동조작하는 것만으로 확실히 기포위치를 수정하여 정밀도 좋게 부착체(2)를 기체 케이스(3)내에 고정할 수 있 고, 또한 이 조정나사(9)는 기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매우 체재가 좋고, 또한 조정나사(9)가 외부로부터 격리된 기체 케이스(3)내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정나사(9)를 갑자기 나사식 이동시켜 버리는 일도 없이 기포위치를 올바른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어 측정기로서의 신뢰성이 뛰어나고, 또한 간이 구성으로 하여 부품 점수도 적고 양산이 용이하고, 생산성이나 비용면에도 뛰어난 극히 실용성이 높은 획기적이고 상품가치가 높은 수준기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당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의 설명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준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기포관 측정부 2 : 부착체
3 : 기체 케이스 3a : 단부 개구부
4 : 창구멍 5 : 관통구멍
6 : 축삽입 구멍 7 : 축부재
8 : 탄압 접촉부, 만곡판 형상부 9 : 조정나사
10 : 나사식 맞춤부 11 : 끝이 가는 형상부
12 : 조임 누름 접촉부

Claims (10)

  1. 액체 및 기포를 봉입한 기포관 측정부를 설치한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에 설치한 창구멍으로부터 상기 기포관 측정부를 볼 수 있는 소정위치에 이 부착체를 고정함과 함께, 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에 봉입한 기포위치를 수정하는 구성으로 한 수준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 케이스에 설치한 관통구멍에 연이어 통하여 합치하는 축삽입 구멍을 상기 부착체에 설치하고, 이 부착체를 상기 기체 케이스내에 배치하고, 이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축부재를 관통 배치하여 이 축부재를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에 끼워 통해 배치함으로써 이 부착체를, 상기 축부재를 축으로 기체 케이스에 대해서 자유롭게 미동 회전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이 부착체는, 기체 케이스의 한쪽 내면에 대해서 탄압 접촉하는 탄압 접촉부와, 기체 케이스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누름 접촉하는 조정나사 혹은 기체 케이스의 대향 반대측 내면에 대해서 조정나사의 조임에 의해 누름 접촉하는 조임 누름 접촉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조정나사는, 상기 기체 케이스내로 하고 상기 부착체의 측면에 설치한 나사식 맞춤부로부터 이 부착체에 관통상태로 나사식 맞춤 배치하고, 기체 케이스의 내면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혹은 기체 케이스의 내면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부터 상기 조임 누름 접촉부를 누르도록 구성하고, 이 조정나사를 나사식 이동조작하여 조정나사의 나사식 맞춤 정도에 의해서 상기 탄압 접촉부의 탄압 정도를 변화함으로써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에 고정함과 함 께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에 대해서 미동 회전이동 조정하여 상기 기포관 측정부의 기포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는, 이 부착체에 설치한 기포관 측정부를 통하여 일단측에 상기 축부재를 끼워 통해 배치하는 축삽입 구멍을 설치하고, 타단측에 상기 탄압 접촉부 및 나사식 맞춤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이 부착체를 기체 케이스의 단부 개구부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내에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함께 상기 조정나사를 이 기체 케이스의 단부 개구부로부터 이 기체 케이스의 내면을 향하여 경사상태로 부착체에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의 탄압 접촉부는, 이 부착체의 단부에 설치한, 자유롭게 휘어져 굴곡되는 만곡판 형상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의 나사식 맞춤부는, 이 부착체의 단부에 설치한, 끝이 가는 형상부에 관통상태로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는, 상기 탄압 접촉부 및 나사식 맞춤부를, 이 부착체를 수지 성형하는데 있어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체는, 상기 탄압 접촉부 및 나사식 맞춤부를, 이 부착체를 수지 성형하는데 있어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은 이 축부재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은 이 축부재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은 이 축부재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원기둥형상 혹은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기체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눌러 넣음으로써 이 관통구멍에 관통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은 이 축부재와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축부재의 바깥둘레면에 대해서 부착체의 축삽입 구멍의 내면이 미끄럼이동하여 미동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
KR1020077026246A 2005-07-29 2005-09-21 수준기 KR20080031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2172 2005-07-29
JP2005222172A JP4215755B2 (ja) 2005-07-29 2005-07-29 水準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162A true KR20080031162A (ko) 2008-04-08

Family

ID=3768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246A KR20080031162A (ko) 2005-07-29 2005-09-21 수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0324B2 (ko)
EP (1) EP1878998A1 (ko)
JP (1) JP4215755B2 (ko)
KR (1) KR20080031162A (ko)
CN (1) CN100565104C (ko)
WO (1) WO2007013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1047B2 (en) * 2014-03-24 2018-02-13 Hangzhou Great Star Tools Co., Ltd. Spirit level having reflection bubble
AT517233B1 (de) * 2015-07-07 2016-12-15 Sola-Messwerkzeuge Gmbh Wasserwaage
EP3115746B1 (de) * 2015-07-08 2021-03-10 SOLA-Messwerkzeuge GmbH Wasserwaage
US10527415B2 (en) 2015-12-10 2020-01-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evel with rotating vial and locking assembly
USD810597S1 (en) 2016-05-11 2018-02-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evel
CN108571954B (zh) * 2018-07-11 2024-04-26 浙江东精工量具有限公司 一种水准泡座调整安装组件
CN109059861B (zh) * 2018-07-11 2023-08-29 浙江东精工量具有限公司 一种水平尺
US11573083B2 (en) 2019-02-27 2023-02-07 Diamond Tech LLC Vial mounting system for a box beam level
CN110823178B (zh) * 2019-10-12 2022-01-28 武汉华和物联技术有限公司 静力水准仪
CN114562976A (zh) * 2022-03-11 2022-05-31 重庆地质矿产研究院 一种可以实现自适应调平的水准尺调平仪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4161A (en) * 1926-03-01 1927-04-12 Day Jacob Spirit level
US1765060A (en) * 1926-09-25 1930-06-17 Angelis Aniceto De Level
US1815949A (en) * 1927-04-22 1931-07-28 Marischal Omer Adjustable level
US1735413A (en) * 1927-06-17 1929-11-12 Rudolff Barnet Combined level and square
US2130647A (en) * 1937-03-30 1938-09-20 Milner Lee Spirit level
US2487245A (en) * 1947-02-15 1949-11-08 Richard T Hubbard Level
US2770889A (en) * 1955-01-24 1956-11-20 Dante M Allegretti Adjustable control ring
US5025568A (en) * 1989-07-17 1991-06-25 E. Philip Levine, Inc. Photographic enlarger alignment tool and method for aligning a photographic enlarger
US5111589A (en) * 1991-09-26 1992-05-12 Tate Edwin M Adjustable plumb/level
US5177873A (en) * 1991-09-26 1993-01-12 Tate Edwin M Adjustable plumb level
JP3229491B2 (ja) * 1993-10-05 2001-1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におけるエイミング用水準器
US5992033A (en) * 1997-04-16 1999-11-30 Scarborough; Dane Shock absorbing, easily calibrated vial system for a carpenter's level
JP3076292B2 (ja) * 1997-12-18 2000-08-14 株式会社エビス 水準器における測定用気泡管の取付角の微調整構造
JP3511497B2 (ja) * 2000-05-31 2004-03-29 株式会社エビス 気泡管式水準器
JP3504591B2 (ja) * 2000-07-19 2004-03-08 株式会社エビス 水準器
US7472487B2 (en) * 2006-05-26 2009-01-06 The Stanley Works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0515A (zh) 2008-05-14
EP1878998A1 (en) 2008-01-16
WO2007013186A1 (ja) 2007-02-01
JP2007040716A (ja) 2007-02-15
US20090007447A1 (en) 2009-01-08
JP4215755B2 (ja) 2009-01-28
CN100565104C (zh) 2009-12-02
US7600324B2 (en)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1162A (ko) 수준기
US8220340B2 (en) Permanent de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for elastic member
US7299725B2 (en) Torque fastening devices and apparatuses
EP2205980B1 (en) A dial locking system using snap fit and a method thereof
WO2007010631A1 (ja) 水準器
US8528410B2 (en) Pressure gage with flexible beam and clamping member
US7966891B2 (en) Fatigue test apparatus for thin element of electronic device
CN109932884B (zh) 可调节钟表组件
CN205826418U (zh) 一种弯折测试冶具
CN114812931B (zh) 一种具有校正功能的仪表装配装置
CN112378312B (zh) 齿轮托架张开量测量装置
CN210836384U (zh) 一种摄像头固定装置及其快递柜
CN213779349U (zh) 一种抗震压力表
CN211147537U (zh) 一种定位装置以及耳孔测量仪
CN214621191U (zh) 一种用于房屋装修的激光仪支架及激光装置
CN219245690U (zh) 一种电测量仪表
CN219008034U (zh) 指拨组件和代步车
CN211061070U (zh) 激光指示器的调节装置
CN217542215U (zh) 一种检测装置
CN219302739U (zh) 一体机镜头支架组件
CN220118778U (zh) 一种指示盘结构
CN115816802A (zh) 折弯治具
CN117434682A (zh) 一种用于激光干涉测量的反光镜的安装及调节装置
JP2024087765A (ja) 超音波流量センサ
KR920005026Y1 (ko) 크리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