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930A - 광 픽업 - Google Patents

광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930A
KR20080030930A KR1020070098697A KR20070098697A KR20080030930A KR 20080030930 A KR20080030930 A KR 20080030930A KR 1020070098697 A KR1020070098697 A KR 1020070098697A KR 20070098697 A KR20070098697 A KR 20070098697A KR 20080030930 A KR20080030930 A KR 2008003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ode
terminal
optical
optical pickup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코 니시야마
히데키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과제) 정전기에 기인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
(해결수단) 광 픽업은 광학 베이스와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기부와 그 기부로부터 후면측으로 연장되는 LD 단자 및 GND 단자를 갖는다.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에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와 GND 단자를 LD 단자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땜납(109)에 의해 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체 패턴(105-6, 105-7, 105-8)이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 정전기, 광 픽업, 단자, 땜납, 쇼트, 도체, 플렉시블 인쇄 기판, 쇼트 랜드

Description

광 픽업{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 픽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파장이 다른 3종류의 레이저 빔을 구별 사용하여 3종류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 디스크(CD, CD-ROM, CD-R/RW, DVD-ROM, DVD±R/RW, Blu-ray 디스크, HD-DVD 등)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거나 정보를 써넣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종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 디스크로부터의 정보의 읽어내기 또는 광 디스크에의 정보의 써넣기를 실현하기 위하여 광 디스크에 대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또한 그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 픽업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주지와 같이 DVD 장치에서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와 컴팩트 디스크(CD)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기록 및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한 광 픽업을 구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한 것이 존재한다. 그러한 특별한 광 픽업은 DVD용 단파장 레이저 광(파장 약 650nm)과 CD용 장파장 레이저 광(파장 약 780nm)의 두 종류의 레이저 빔을 구별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며, "2파장 대응 광 픽업"이라 불리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2파장 대응 광 픽업의 일종으로서 DVD용 단파장 레이저 광(제1 레이저 광)을 출사하기 위한 DVD용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CD용 장파장 레이저 광(제2 레이저 광)을 출사하기 위한 CD용 제2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제2 레이저 다이오드를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면 부품 수가 많아 대형화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제2 레이저 다이오드를 하나의 부품(원 칩)으로 구성한 것(이하,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라고 함.)이 개발되어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는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1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제1 발광점과 제2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제2 발광점은 소정 거리(예컨대 100μm)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평행하게 출사되게 된다.
또한 최근의 DVD 장치에서는 DVD나 CD뿐만 아니라 HD-DVD(High Definition DVD)에 대해서도 기록 및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광 픽업을 구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한 것도 개발된 바 있다. 그러한 특수한 광 픽업은 DVD용 중파장 레이저 광(파장 약 650nm)과 CD용 장파장 레이저 광(파장 약 780nm)과 HD-DVD용 단파장 레이저 광(파장 약 410nm)의 3종류의 레이저 광을 구별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며, "3파장 대응 광 픽업"이라 불린다.
이러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으로서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D 및 DVD용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2파장 1패키지 레이저 다이오드)와 HD-DVD용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HD-DVD를 단순히 HD라고도 약칭한다.
일반적으로 광 픽업은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과, 이 출사된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로 유도함과 아울러, 그 반사광을 광 검출기로 유도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광학계에는 광 디스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물 렌즈가 포함되어 있다. 레이저 광원 및 광 검출기는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되며, 대물 렌즈를 제외한 광학계는 광학 베이스 내에 부착된다.
광 픽업에 사용되는 대물 렌즈는 회전 구동되는 광 디스크의 기록면(트랙)에 정확하게 레이저 광을 집광하도록 광축을 따른 포커스 방향 및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른 트랙 방향에 관하여 정밀하게 위치 제어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록 밀도가 향상됨에 따라 광 디스크의 휨으로 인한 영향을 제거 또는 억제할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대물 렌즈는 틸팅 제어될 필요도 있다.
상기 광 픽업 액추에이터는 포커싱 제어, 트랙킹 제어 및 틸팅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며, 대물 렌즈 구동 장치라고도 불린다. 대물 렌즈 구동 장치는 대물 렌즈를 유지하는 대물 렌즈 홀더를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에 의해 댐퍼 베이스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그런데, 대물 렌즈 구동 장치는 "대칭 구조인 것"과 "비대칭 구조인 것"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란 대물 렌즈를 중심으로 코일이나 마그넷을 포함하는 자기 회로가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비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란 대물 렌즈에 대하여 코일이나 마그넷을 포함하는 자기 회로가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대물 렌즈 홀더에 하나의 포커싱 코일을 권회하고, 대물 렌즈 홀더의 측면에 트랙킹 코일 및 틸팅 코일을 붙이고, 이들 코일을 자기 회로의 갭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는 대물 렌즈의 위치 및 기울기를 미조정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트랙킹 코일 및 틸팅 코일은 대물 렌즈 홀더의 측면에 붙일 필요가 있어 공심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는 비구동 상태에서 수평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물 렌즈 구동 장치는 대물 렌즈를 유지하는 대물 렌즈 홀더를 포함하는 가동 부분과 댐퍼 베이스를 포함하는 고정 부분으로 나뉜다. 가동 부분은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에 의해 댐퍼 베이스에서 지지된다.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는 댐퍼 베이스와 대물 렌즈 홀더 사이에서 수평면과 평행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17356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11-14965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3-196865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1-93177호 공보
그런데,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는 매우 고가이고 정전기에 극단적으로 약하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해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가 파괴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즉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하여 OPU 회로 기판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DD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와 GND 단자를 땜납으로 쇼트해 둔다. 그리고,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와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DD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땜납을 녹여 그 땜납을 빨아냄으로써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와 GND 단자를 오픈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처 방법에서는 상기 땜납을 부착하거나 녹일 때 열이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에 전달되게 되어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에 악영향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한 후에도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광 픽업을 취급할 때 사람(작업자)이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에 직접 닿게 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사람(작업자)에 축적되어 있던 정전기의 영향으로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가 파괴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정전기에 기인하여 레이저 다이오드가 파괴되는 현상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에 대해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2파장 1패키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정전기에 기인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광 픽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베이스(40)와 이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11; 12)를 구비하며, 이 레이저 다이오드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후면측으로 연장되는 LD 단자(11-1, 11-2; 12-1) 및 GND 단자(11-3; 12-2)를 갖는 광 픽업(10)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와 GND 단자를 상기 LD 단자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땜납(109)에 의해 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체 패턴(105-6, 105-7, 105-8)이 형성된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광 픽업(10)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10)은 상기 광학 베이스 상에 탑재되는 OPU 회로 기판(71)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 및 GND 단자를 상기 OPU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기부와 상기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기부와 상기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 사이에는 제1 보강판이 개재되고, 상기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과 상기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 사이에는 제2 보강판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기 LD 단자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덮는 사이드 커버(110)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픽업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하기 위한 LD 홀더(101; 102)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LD 홀더와 상기 사이드 커버(110)와 상기 광학 베이스(40) 사이에 도포된 방열용 수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픽업은 서로 파장이 다른 3종류의 레이저 빔을 구별 사용하여 3종류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3파장 대응 광 픽업(1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괄호 안의 참조 부호는 단순히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붙인 것으로서, 전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와 GND 단자를 LD 단자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땜납에 의해 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체 패턴이 형성된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땜납을 부착하거나 녹일 때 열이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에 직접 닿지 않도록 레이저 다이오드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정전기로 인해 레이저 다이오드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DVD나 CD뿐만 아니라 HD-DVD(High Definition DVD)에 대해서도 기록 및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광 픽업을 탑재한 것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한 특수한 광 픽업은 DVD용 중파장 레이저 빔(파장 약 650nm)과 CD용 장파장 레이저 빔(파장 약 780nm)과 HD-DVD(HD)용 단파장 레이저 빔(파장 약 410nm)의 3종류의 레이저 빔을 구별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며, "3파장 대응 광 픽업"이라 불린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파장 대응 광 픽업(10)의 광학계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10)은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으로서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를 갖는다.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도시하지 않음)와 제2 레이저 다이오드(도시하지 않음)를 하나의 부품(원 칩)으로 구성한 것이다. 제1 레이저 다이오드(제1 발광점)와 제2 레이저 다이오드(제2 발광점)는 소정 거리(예컨대, 100μm)만큼 떨어져 있다. 제1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1 파장으로서 CD용 파장 약 780nm를 갖는 제1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며, "CD-LD"로 약칭된다. 제2 레이저 다이오드는 제2 파장으로서 DVD용 파장 약 650nm를 갖는 제2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며, "DVD-LD"로 약칭된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는 제3 레이저 다이오드라고도 불리며, 제3 파장으로서 HD-DVD(HD)용 파장 약 410nm를 갖는 제3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며, "HD-LD"로 약칭된다.
3파장 대응 광 픽업(10)은 이들 제1 내지 제3 레이저 빔 중 어느 하나를 광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로 유도함과 아울러, 그 반사광을 광 검출기(35)(후술함)로 유도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광학계에는 광 디스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대물 렌즈(31)가 포함되어 있다. 레이저 광원(11, 12) 및 광 검출기(35)는 광학 베이스(후술함)의 외벽에 부착되며, 대물 렌즈(31)를 제외한 광학계는 광학 베이스 내에 부착된다.
한편, 대물 렌즈(31)는 후술하는 대물 렌즈 구동 장치(광 픽업 액추에이터)에 탑재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물 렌즈 구동 장치는 대물 렌즈(31)를 유지하는 대물 렌즈 홀더를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에 의해 댐퍼 베이스에서 탄성 지지한다.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10)은 광학계로서 제1 및 제2 회절 격자(그레이팅)(16 및 17)와, 제1 빔 스플리터(21)와, 제2 빔 스플리터(23)와, 프런트 모니터(25)와, 직립 미러(전반사 미러)(27)와, 콜리메이터 렌즈(29)와, 상기 대물 렌즈(31)와, 센서 렌즈(검출 렌즈)(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절 격자(16), 제1 빔 스플리터(21), 제2 빔 스플리터(23), 직립 미러(27), 콜리메이터 렌즈(29), 대물 렌즈(31) 및 센서 렌즈(33)의 조합은 제1 또는 제2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제1 또는 제2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CD 또는 DVD) 측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이 광 디스크 측으로부터 반사된 제1 또는 제2 복귀광을 투과시켜 광 검출기(35)로 유도하는 제1 또는 제2 광학계로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절 격자(7), 제1 빔 스플리터(21), 제2 빔 스플리터(23), 직립 미러(27), 콜리메이터 렌즈(29), 대물 렌즈(31) 및 센서 렌즈(33)의 조합은 청색 레 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제3 레이저 빔을 광 디스크(HD-DVD) 측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이 광 디스크 측으로부터 반사된 제3 복귀광을 투과시켜 광 검출기(35)로 유도하는 제3 광학계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12)는 광축 중심에 배치되고,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2 레이저 다이오드는 광축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는 광축으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광 검출기(35)는 CD로부터의 제1 복귀광을 광축으로부터 어긋난 채로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 1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에 사용되는 광 검출기(35)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광 검출기(35)는 제1 복귀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1 수광부(35-1)와, 제2 또는 제3 복귀광을 수광하기 위한 제2 수광부(35-2)를 갖는다. 제1 수광부(35-1)는 중앙의 광다발(메인 빔)을 수광하기 위한 4분할 포토 다이오드(a, b, c, d)와, 양측의 2개의 광다발(서브 빔)을 수광하기 위한 4개의 포토 다이오드(e, f, g, h)로 구성된다. 제2 수광부(35-2)는 중앙의 광다발(메인 빔)을 수광하기 위한 4분할 포토 다이오드(A, B, C, D)와, 일측의 서브 빔(선행 서브 빔)을 수광하기 위한 4개의 포토 다이오드(E1, F1, G1, H1)와, 타측의 서브 빔(후행 서브 빔)을 수광하기 위한 4개의 포토 다이오드(E2, F2, G2, H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 1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술 분야에서 주지와 같이, 3파장 대응 광 픽업은 기입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하는데, 여기서는 재생 모드의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 다.
먼저, 광 디스크로서 CD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CD-LD)만이 동작 상태에 놓이고,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2 레이저 다이오드(DVD-LD) 및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12)(HD-LD)는 비 동작 상태에 놓인다.
제1 레이저 다이오드(CD-LD)로부터 출사된 제1 레이저 빔은 제1 회절 격자(16)를 지나며, 여기서 트랙킹 제어, 포커스 제어 및 틸팅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3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된다. 그 후, 제1 빔 스플리터(21)를 투과하여 제2 빔 스플리터(23)로 입사한다. 이 입사광 중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일부가 투과하고, 그 투과광은 프런트 모니터(25)에서 수광된다. 여하튼, 프런트 모니터(25)는 제2 빔 스플리터(23)를 투과한 제1 레이저 빔의 발광량을 모니터한다. 한편, 상기 입사광 중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직립 미러(27)에서 상방향으로 반사된다. 이 직립 미러(27)를 반사한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29)를 투과하면 발산광이던 레이저 빔이 대략 평행광이 되어 대물 렌즈(30)에 입사한다. 이 대물 렌즈(30)를 투과한 레이저 빔은 여기서 수렴되어 광 디스크(CD)의 기록면에 조사된다(집광된다).
이 광 디스크(CD)의 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제1 복귀광)은 대물 렌즈(31)를 통과하여 콜리메이터 렌즈(29)를 투과한 후 수렴광이 된다. 이 수렴광은 직립 미러(27)에서 반사된 후 제2 빔 스플리터(23)를 지나 센서 렌즈(33)를 투과한 후, 광 검출기(35)의 제1 수광부(35-1)(도 2)에 집광된다(에서 수광된다).
다음, 광 디스크로서 DVD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2 레이저 다이오드(DVD-LD)만이 동작 상태에 놓이고,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CD-LD) 및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12)(HD-LD)는 비 동작 상태에 놓인다.
제2 레이저 다이오드(DVD-LD)로부터 출사된 제2 레이저 빔은 제1 회절 격자(16)를 지나고, 그 후 제1 빔 스플리터(21)를 투과하여 제2 빔 스플리터(23)에 입사한다. 이 입사광 중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일부가 투과하고 그 투과광은 프런트 모니터(25)에서 수광된다. 여하튼, 프런트 모니터(25)는 제2 빔 스플리터(23)를 투과한 제2 레이저 빔의 발광량을 모니터한다. 한편, 상기 입사광 중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직립 미러(27)에서 상방향으로 반사된다. 이 직립 미러(27)를 반사한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29)를 투과하면 발산광이던 레이저 빔이 대략 평행광이 되어 대물 렌즈(30)에 입사한다. 이 대물 렌즈(30)를 투과한 레이저 빔은 여기서 수렴되어 광 디스크(DVD)의 기록면에 조사된다(집광된다).
이 광 디스크(DVD)의 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제2 복귀광)은 대물 렌즈(31)를 통과하고, 콜리메이터 렌즈(29)를 투과한 후 수렴광이 된다. 이 수렴광은 직립 미러(27)에서 반사된 후 제2 빔 스플리터(23)를 지나 센서 렌즈(33)를 투과한 후, 광 검출기(35)의 제2 수광부(35-2)(도 2)에 집광된다(에서 수광된다).
마지막으로, 광 디스크로서 HD-DVD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12)(HD-LD)만이 동작 상태에 놓이고,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내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CD-LD) 및 제2 레이저 다이오드(DVD-LD)는 비 동작 상태에 놓인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12)(HD-LD)로부터 출사된 제3 레이저 빔은 제2 회절 격자(7)를 지나고, 여기서 트랙킹 제어, 포커스 제어 및 틸팅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3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된다. 그 후, 이들 3개의 레이저 빔은 제3 빔 스플리터(21)에서 반사되고, 제2 빔 스플리터(23)에 입사한다. 이 입사광 중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일부가 투과하고 그 투과광은 프런트 모니터(25)에서 수광된다. 여하튼, 프런트 모니터(25)는 제2 빔 스플리터(23)를 투과한 제3 레이저 빔의 발광량을 모니터한다. 한편, 상기 입사광 중 제2 빔 스플리터(23)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직립 미러(27)에서 상방향으로 반사된다. 이 직립 미러(27)를 반사한 레이저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29)를 투과하면 발산광이던 레이저 빔이 평행광이 되어 대물 렌즈(30)에 입사한다. 이 대물 렌즈(30)를 투과한 레이저 빔은 여기서 수렴되어 광 디스크(HD-DVD)의 기록면에 조사된다(집광된다).
이 광 디스크(HD-DVD)의 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제3 복귀광)은 대물 렌즈(31)를 통과하고 콜리메이터 렌즈(29)를 투과한 후, 수렴광이 된다. 이 수렴광은 직립 미러(27)에서 반사된 후 제2 빔 스플리터(23)를 지나 센서 렌즈(33)를 투과한 후, 광 검출기(35)의 제2 수광부(35-2)(도 2)에 집광된다(에서 수광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3파장 대응 광 픽업(10)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3파장 대응 광 픽업(10)을 단순히 광 픽업이라 부르기로 한다.
광 픽업(10)은 광학 베이스(40)를 갖는다. 이 광학 베이스(40) 상에는 OPU 회로 기판(71)을 사이에 두고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 베이스(40)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도입된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트랙킹 방향(Tr))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바(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광 픽업(10)은 픽업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디스크 반경 방향(트랙킹 방향(Tr))으로 쓰레드 이동된다. 픽업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 바로서 광 픽업(10)을 그 양측에서 소정의 디스크 반경 방향(트랙킹 방향(Tr))에 대하여 쓰레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축(도시하지 않음) 및 부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주축 및 부축 모두 디스크 반경 방향(트랙킹 방향(Tr))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해지도록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주축과 부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광 픽업(10)은 주축과 결합하는 결합부(결합공)(61)와, 부축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단면 ㄷ자형의 슬라이딩 접촉부(62)를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딩 접촉부(62)의 상부 슬라이딩 접촉 부분에 캠(63)이 끼워져 들어가 있으며, 이 캡(63)과 슬라이딩 접촉부(62)의 하부 슬라이딩 접촉 부분 사이에 부축이 끼워진다.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는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하고 있는 대물 렌즈 홀더(51)를 구비한다. 대물 렌즈 홀더(51)는 중앙에 대물 렌즈(31)를 장착하기 위한 관통공에 의한 렌즈 장착부를 갖는다. 도시한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는 대칭 구조를 하고 있으며, 대물 렌즈(31)를 중심으로 코일(도시하지 않음)이나 마그넷을 포함하는 자기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에 있어서, 대물 렌즈 홀더(51)에 하나의 포커싱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권회하고, 대물 렌즈 홀더(51)의 측면에 트랙킹 코일(도시하지 않음) 및 틸팅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붙이고, 이들 코일을 자기 회로의 캡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대칭 구조의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는 대물 렌즈(31)의 위치 및 기울기를 미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는 대물 렌즈(31)를 유지하는 대물 렌즈 홀더(51)를 6개의 서스펜션 와이어(52)에 의해 댐퍼 베이스(53)에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대물 렌즈 홀더(51)는 탄젠셜 방향(Tg)으로 연장되는 6개의 서스펜션 와이어(52)에 의해 댐퍼 베이스(53)에서 지지된다. 이들 6개의 서스펜션 와이어(52)는 상기한 각종 코일과 외부 회로, 즉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를 위한 구동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으로도 이용된다. 대물 렌즈 홀더(5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 코일,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이 권회되어 있다. 이들 코일에 흘릴 전류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대물 렌즈 홀더(51)는 요크 및 마그넷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가 만들어내는 자계와의 관계에 기초하여 트랙킹 방향(Tr)으로 경사 이동하고(탄젠셜 방향(Tg)으로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또한 트랙킹 방향(Tr)을 따라 이동하거나 포커싱 방향(F)을 따라 이동한다.
광학 베이스(40)의 상면에는 OPU 회로 기판(71)이 탑재되어 있다. 이 OPU용 회로 기판(71) 상에서 틈새를 두고 대물 렌즈 구동 장치(50)는 그들 네 귀퉁이에서 UV 접착제로 광학 베이스(40)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광 검출기(35)는 PD 회로 기판(73) 상에 탑재되며, PD 홀더(75)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UV 접착제(91)에 의해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복귀광)을 수광하는 광 검출기(35)는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에서 수광된 수광 신호는 광 검출기(35) 내의 처리 회로(도시하지 않음)에서 처리된 후, PD 플렉시블 인쇄 기판(FPC)(72)을 통하여 OPU 회로 기판(71)으로 송출된다.
도 4에 더하여 도 5 및 도 6도 참조하면,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는 제1 LD 홀더(101)를 통하여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UV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는 제2 LD 홀더(102)를 통하여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UV 접착제로 부착된다. 바꾸어 말하면,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는 제1 LD 홀더(101)에서 유지된 상태에서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부착되며,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는 제2 LD 홀더(102)에서 유지된 상태에서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부착된다.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는 그 기부로부터 후면측으로 돌출하는 4개의 단자를 갖는다. 그 4개의 단자 중 3개는 CD-LD 단자(11-1), DVD-LD 단자(11-2) 및 GND 단자(11-3)이고, 나머지 하나는 더미 단자이다. 한편,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는 그 기부로부터 후면측으로 돌출하는 3개의 단자를 갖는다. 그 3개의 단 자 중 2개는 LD 단자(12-1)와 GND 단자(12-2)이고 나머지 하나는 더미 단자이다.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 및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을 통하여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LDD)(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에 사용되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12-1)와 GND 단자(12-2)를 LD 단자(12-1)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땜납(후술함)에 의해 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체 패턴(후술함)이 형성된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이다. 한편,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에 사용되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CD-LD 단자(11-1), DVD-LD 단자(11-2) 및 GND 단자(11-3)를 CD-LD 단자(11-1) 및 DVD-LD 단자(11-2)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땜납(후술함)에 의해 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체 패턴(후술함)이 형성된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이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에 사용되는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12-1) 및 GND 단자(12-2)를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에 사용되는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CD-LD 단자(11-1), DVD-LD 단자(11-2) 및 GND 단자(11-3)를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에 사용되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기부와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기부와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 사이에는 제1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고,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과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 사이에는 제2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에 사용되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기부와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기부와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 사이에는 제1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고,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과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 사이에는 제2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에 대하여 설명한다.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레이저 다이오드(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 또는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4개의 단자를 관통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관통공(105-1, 105-2, 105-3, 105-4)을 갖는다.
레이저 다이오드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인 경우, LD 단자(12-1)는 제1 관통공(105-1)을 관통하고, GND 단자(12-3)는 제2 관통공(105-2)을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의 더미 단자는 제3 관통공(105-3)을 관통한다. 레이저 다이오드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인 경우, CD-LD 단자(11-1)는 제1 관통공(105-1)을 관통하고, DVD-LD 단자(11-2)는 제2 관통공(105-2)을 관통하고, GND 단자(11-3)는 제3 관 통공(105-3)을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의 더미 단자는 제4 관통공(105-4)을 관통한다.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은 제1 관통공(105-1)을 덮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도체 패턴(105-6)과, 제2 관통공(105-2)을 덮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도체 패턴(105-7)과, 제3 관통공(105-3)을 덮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도체 패턴(105-8)을 갖는다.
제1 내지 제3 도체 패턴(105-6∼105-8)에 걸쳐 하부에서 땜납(109)을 도포하고, 제1 내지 제3 관통공(105-1∼105-3) 둘레의 제1 내지 제3 도체 패턴(105-6∼105-8)에 땜납(111)을 도포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관통공(105-1∼105-3)을 관통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단자 사이를 쇼트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에 대하여 설명한다.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은 레이저 다이오드(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 또는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4개의 단자를 관통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관통공(107-1, 107-2, 107-3, 107-4)을 갖는다.
레이저 다이오드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인 경우, LD 단자(12-1)는 제1 관통공(107-1)을 관통하고, GND 단자(12-3)는 제2 관통공(107-2)을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의 더미 단자는 제3 관통공(107-3)을 관통한다. 레이저 다이오드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인 경우, CD-LD 단자(11-1)는 제1 관통공(107-1)을 관통하고, DVD-LD 단자(11-2)는 제2 관통공(107-2)을 관통하고, GND 단자(11-3)는 제3 관통공(107-3)을 관통하고, 나머지 하나의 더미 단자는 제4 관통공(107-4)을 관통한 다.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은 제4 관통공(107-4) 및 제1 관통공(107-1)을 덮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도체 패턴(107-6)과, 제2 관통공(107-2)을 덮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도체 패턴(107-7)과, 제3 관통공(107-3)을 덮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도체 패턴(107-8)을 갖는다.
제1 내지 제3 관통공(107-1∼107-3) 둘레의 제1 내지 제3 도체 패턴(107-6∼107-8)에 땜납(113)을 도포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관통공(107-1∼107-3)에 관통된 레이저 다이오드의 단자는 각각 제1 내지 제3 도체 패턴(107-6∼107-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4 관통공(107-4) 둘레의 제1 도체 패턴(107-6)에도 땜납(113)이 도포되므로 제1 관통공(107-1) 및 제3 관통공(107-4)을 관통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단자끼리는 쇼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또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기부에는 제1 보강판을 사이에 두고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이 부착되고, 이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에는 제2 보강판을 사이에 두고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의 하부가 노출되어 있고, 그 제1 내지 제3 도체 패턴(105-6∼105-8)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을 쇼트시키기 위한 땜납(109)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를 제2 LD 홀더(102)에서 유지하면서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부착하여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1)를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DD(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12-1)와 GND 단자(12-2)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의 땜납(109)으로 쇼트된다. 이에 따라,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가 정전기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후,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와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DD를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땜납(109)을 녹여 그 땜납(109)을 빨아냄으로써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12-1)와 GND 단자(12-2)를 오픈한다.
땜납(109)을 부착하거나 녹이는 위치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12-1)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땜납(109)을 부착하거나 녹인 후에 열이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12-1)에 과잉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를 제1 LD 홀더(101)에서 유지하면서 광학 베이스(40)의 외측벽에 부착하여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를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DD(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CD-LD 단자(11-1)와 DVD-LD 단자(11-2)와 GND 단자(11-3)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105)의 땜납(109)으로 쇼트된다. 이에 따라,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가 정전기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후,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와 OPU 회로 기판(71) 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LDD를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107)을 통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땜납(109)을 녹여 그 땜납(109)을 빨아냄으로써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CD-LD 단자(11-1)와 DVD-LD 단자(11-2)와 GND 단자(12-2)를 오픈한다.
땜납(109)을 부착하거나 녹이는 위치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CD-LD 단자(11-1) 및 DVD-LD 단자(11-2)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땜납(109)을 부착하거나 녹인 후에 열이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의 CD-LD 단자(11-1)나 DVD-LD 단자(11-2)에 과잉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픽업(10)은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와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를 덮는 사이드 커버(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사이드 커버(110)의 일단(110a)은 나사(112)로 광학 베이스(40)에 고정되고, 사이드 커버(110)의 타단은 UV 접착제(114)로 광학 베이스(40)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사이드 커버(110)와 광학 베이스(40)가 서로 근접하는 틈새에는 제1 LD 홀더(101)와 사이드 커버(110)와 광학 베이스(40) 사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2 LD 홀더(102)와 사이드 커버(110)와 광학 베이스(40) 사이를 연결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실리콘 수지가 도포되어 있다. 실리콘 수지는 방열용 수지로서 작용한다.
이 사이드 커버(110)는 본 광 픽업(10)을 취급할 때 사람(작업자, 제조자)이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나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의 LD 단자(CDLD 단자(11-1), DVD-LD 단자(11-2), LD 단자(12-1))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나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가 사 람에 축적되어 있는 정전기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사이드 커버(110)는 레이저 다이오드(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복사 노이즈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LD 홀더(제1 LD 홀더(101), 제2 LD 홀더(102))와 사이드 커버(110)와 광학 베이스(40) 사이에 실리콘 수지와 같은 방열용 수지를 도포하고 있으므로, 레이저 다이오드(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11),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12))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즉, 사이드 커버(110)를 통하여 광학 베이스(40) 측으로 열을 도피시키거나 사이드 커버(110)로부터 외부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일 실시 형태에 입각하여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 레이저 빔 대응 광 디스크로서 HD-DVD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HD-DVD 대신 Blu-ray 디스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광 픽업으로서 3파장 대응 광 픽업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타입의 광 픽업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3파장 대응 광 픽업의 광학계의 시스템 구성도(광 경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에 사용되는 광 검출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에 사용되는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에 사용되는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3파장 대응 광 픽업, 11: 원 칩형 레이저 다이오드,
11-1: CD-LD 단자, 11-2: DVD-LD 단자,
11-3: GND 단자,
12: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제3 레이저 다이오드),
12-1: LD 단자, 12-2: GND 단자,
16: 제1 회절 격자(그레이팅), 17: 제2 회절 격자(그레이팅),
21: 제1 빔 스플리터, 23: 제2 빔 스플리터,
25: 프런트 모니터, 27: 직립 미러(전반사 미러),
29: 콜리메이터 렌즈, 31: 대물 렌즈,
33: 센서 렌즈, 35: 광 검출기,
35-1: 제1 수광부, 35-2: 제2 수광부,
40: 광학 베이스, 50: 대물 렌즈 구동 장치,
51: 대물 렌즈 홀더, 52: 서스펜션 와이어,
53: 댐퍼 베이스, 61: 결합부(결합공),
62: 슬라이딩 접촉부, 63: 캡,
71: OPU 회로 기판,
72: PD 플렉시블 인쇄 기판(FPC), 73: PD 회로 기판,
101: 제1 LD 홀더, 102: 제2 LD 홀더,
105: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 105-1∼105-4: 관통공,
105-6: 제1 도체 패턴, 105-7: 제2 도체 패턴,
105-8: 제3 도체 패턴, 107: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
107-1∼107-4: 관통공, 107-6: 제1 도체 패턴,
107-7: 제2 도체 패턴, 107-8: 제3 도체 패턴,
109: 땜납, 110: 사이드 커버,
111: 땜납, 112: 나사,
113: 땜납 114: UV 접착제

Claims (6)

  1. 광학 베이스와, 이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레이저 다이오드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후면측으로 연장되는 LD 단자 및 GND 단자를 갖는 광 픽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와 GND 단자를 상기 LD 단자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땜납에 의해 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체 패턴이 형성된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은 상기 광학 베이스 상에 탑재되는 OPU 회로 기판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LD 단자 및 GND 단자를 상기 OPU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기부와 상기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기부와 상기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 사이에는 제1 보강판이 개재되고, 상기 쇼트 랜드 플렉시블 인쇄 기판과 상기 LD 플렉시블 인쇄 기판 사이에는 제2 보강판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기 LD 단자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광학 베이스의 외측벽에 부착하기 위한 LD 홀더를 가지며,
    상기 LD 홀더와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광학 베이스 사이에 도포된 방열용 수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이 서로 파장이 다른 3종류의 레이저 빔을 구별 사용하여 3종류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3파장 대응 광 픽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KR1020070098697A 2006-10-02 2007-10-01 광 픽업 KR20080030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0321A JP2008090922A (ja) 2006-10-02 2006-10-02 光ピックアップ
JPJP-P-2006-00270321 2006-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930A true KR20080030930A (ko) 2008-04-07

Family

ID=3926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697A KR20080030930A (ko) 2006-10-02 2007-10-01 광 픽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80340A1 (ko)
JP (1) JP2008090922A (ko)
KR (1) KR20080030930A (ko)
CN (1) CN101159146A (ko)
TW (1) TW2008221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1513B2 (en) 2012-06-18 2015-04-28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tecting optical disc dri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4551A1 (ja) * 2007-10-04 2009-04-09 Panasonic Corporation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コンピュータ、光ディスクプレーヤ及び光ディスクレコーダ
JP5405771B2 (ja) * 2008-07-04 2014-02-05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11158949A1 (ja) * 2010-06-16 2011-12-22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70383B2 (ja) * 2011-01-28 2013-12-18 船井電機株式会社 光学素子ホルダ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
JP5310753B2 (ja) * 2011-01-28 2013-10-09 船井電機株式会社 光学素子の調整構造、及び、光ピックアップ
JP2013012270A (ja) * 2011-06-29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555340A (zh) * 2020-12-29 2021-03-26 苏州天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吸盘组件及柔性电路板自动视觉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7795A (en) * 1995-04-28 1999-06-29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evice having a drive unit and a cam plate which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a disk holder for providing a thi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1513B2 (en) 2012-06-18 2015-04-28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tecting optical disc dr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90922A (ja) 2008-04-17
CN101159146A (zh) 2008-04-09
TW200822105A (en) 2008-05-16
US20080080340A1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930A (ko) 광 픽업
US20060077781A1 (e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settled within a height limit of an optical pickup unit
US7187506B2 (en) Actuator device, optical disk device, and information playback device
US7545708B2 (en) Objective lens holder for a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thinning an optical pickup unit
US20060077809A1 (en) Optical pickup and disc drive apparatus
KR20060045826A (ko) 광 픽업
KR100881606B1 (ko) 광 픽업
EP1909271B1 (en) Optical pickup actuator capable of preventing adhesive agent in supporting portions of a damper base from deteriorating in strength
CN101136221A (zh) 光拾取装置
JP422729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用光学部品収納モジュール
US6914869B1 (en) Optical pickup for CD/DVD compatible player
US8254219B2 (en) Objective lens actuator and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the same
JPWO2007132672A1 (ja) 半導体レーザ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20150033244A1 (en) Actuator, Optical Pickup, and Disc Apparatus
US20080080328A1 (en) Optical pickup unit capable of easily fixing a PD holder to an optical base
JP2012113785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8090883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718406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60046687A (ko) 광 픽업용 수발광 모듈 및 광 픽업
JP2006146977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80080355A1 (en) Photodetector capable of correctly carrying out phase adjustment
JP2006031903A (ja)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
JP2008130164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1300414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14044764A (ja) 光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