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205A -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205A
KR20080030205A KR1020060095971A KR20060095971A KR20080030205A KR 20080030205 A KR20080030205 A KR 20080030205A KR 1020060095971 A KR1020060095971 A KR 1020060095971A KR 20060095971 A KR20060095971 A KR 20060095971A KR 20080030205 A KR20080030205 A KR 2008003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display window
signal input
pcb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655B1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55B1/ko
Priority to US11/865,566 priority patent/US8035621B2/en
Priority to US11/865,602 priority patent/US7896511B2/en
Priority to EP07019300A priority patent/EP1906632A3/en
Priority to CN2007101929617A priority patent/CN101540793B/zh
Publication of KR2008003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는 신호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시비(PCB), 상기 피시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 그리고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피시비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표시창의 일부 영역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용량을 바탕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게 됨으로써 전자기기의 두께가 얇아지고, 다양한 형태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엘이디(LED), 중간부재, 표시창, 신호 입력장치, 전자기기.

Description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A sig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에 대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입력신호의 입력형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에 구비된 엘이디의 배열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에 구비된 엘이디의 배열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피시비 200: 중간부재
210: 엘이디 수용부 300: 엘이디
400: 표시창 410: 엘이디 홈
700: 표시장치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신호를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는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기능들이 수행되는 표시장치, 통신장치 등을 비롯한 각종의 장비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들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신호 입력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전자기기로 전기적인 신호를 가해주어야 하고, 상기 전자기기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20)와, 상기 단말기 본체(20)를 개폐하는 단말기 폴더(10)와, 상기 단말기 본체(20)에 대하여 단말기 폴더(10)를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30)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폴더(10)는 소리정보를 수신하는 스피커(11)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3)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외형을 형성하는 폴더 케이스(15) 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2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보드(29)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25a)이 형성된 키패드(25)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21,23)와, 상기 키패드(25)와 상기 메인보드(29) 사이에 설치되는 접착시트(27)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보드(29)는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자(29c)들과, 상기 소자들의 작동을 위한 전극(29b)과, 상기 소자들과 전극이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29a)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시트(27)는 상기 전극과 대응되는 돔 스위치(27b)와, 상기 소자들과 대응되는 삽입홀(27c)과, 상기 접착시트(27)의 몸체를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27a)을 포함한다.
상기 돔 스위치(27b)는 반구형상을 가지며, 시트 프레임(27a)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버튼(25a)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25a)은 돔 스위치(27b)를 누르게 되고, 상기 돔 스위치(27b)는 전극(29b)와 접촉됨으로써 메인보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해당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명령을 해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해석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구동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키패드의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명령을 입력하였는데, 상기 돔 스위치를 비롯한 입력장치들은 필수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전자기기에서는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은 키패드의 상부 전면에 조사됨으로써 엘이디에 허용되는 전류의 용량 및 엘이디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상기 엘이디에서 소모되는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 전자기기에서는 사용자는 정해진 패턴대로 버튼을 눌러서 명령을 입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형식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영역에만 엘이디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식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시비(PCB), 상기 피시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 그리고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피시비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표시창의 일부 영역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사람의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일 수도 있다.
상기 신호입력장치는 사람의 신체와 접촉되는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정전기의 용량을 인식하여 상기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표시창과 피시비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엘이디의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엘이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엘이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엘이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엘이디 홀이 구비된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창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상기 피시비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입력장치는 외부에서 상기 표시창에 접촉하는 접촉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엘이디들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창의 하부 에 일정한 기하학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시비(PCB), 상기 피시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 그리고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피시비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표시창의 일부 영역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장치와 상기 신호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엘이디와 중간부재는 상기 표시장치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시비(100)(PCB;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피시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엘이디(300)(LED;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엘이디(300)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400), 그리고 상기 피시비(100)와 상기 표시창(40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재(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 입력장치는 외부와 접촉되는 표시창(4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전기의 용량을 인식하여 상기 엘이디(300)를 동작 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창이 외부와 접촉됨으로써 제어장치가 인식하게 되는 입력신호는 사람과의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 생성부재와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신호 생성부재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상기 피시비(100)에는 상기 신호 입력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자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100)는 상기 신호 입력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 패널(미도시)에 설치될 것이다. 상기 소자들 중의 발광다이오드 즉, 엘이디(300)는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스스로 발광하는 물체에 해당한다.
상기 엘이디(300)는 상기 피시비(100)에 구비되거나 상기 피시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300)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30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피시비(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표시창(400)은 상기 신호 입력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엘이디(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표시창(400)의 하부 중에서 상기 엘이디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엘이디 홈(410)이 구비된다. 상기 엘이디 홈(410)은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는 엘이디(300)가 상기 표시창(400)과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표시창(400)은 상기 엘이디(3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 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창(400)은 빛이 조사되는 영역에서만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창(40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 그림, 기호 등을 비롯한 각종 표식들이 각인되며, 상기 엘이디(300)에서 발생하는 빛은 상기 표식들이 위치하는 영역으로만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표시창(400)의 특정영역으로만 엘이디(300)의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이후에 설명하는 중간부재(200)의 역할이다.
상기 중간부재(200)는 상기 엘이디(300)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시창(400)과 상기 피시비(1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200)는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400)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상기 피시비(10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300)가 발광하는 영역 근처에서만 상기 표시창(400)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부재(200)는 상기 표시창의 특정영역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엘이디(30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빛은 상기 엘이디(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표시창으로만 조사되게 된다.
예를 들어, "메뉴"라는 표식이 위치하는 제1영역(421)에만 빛이 조사될 때는 상기 제1 영역(4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엘이디만 발광되고, "Send"라는 표식이 위치하는 제2 영역(423)에만 빛이 조사될 때는 제2 영역(423)의 하부에 위치하는 엘이디만 발광된다. 엘이디(300)의 빛이 조사된다. 좌측이동을 의미하는 "◁"라는 표식이 있는 제3 영역(425)과 확인을 의미하는 "OK"라는 표식이 있는 제4 영역(427) 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200)는 상기 엘이디(300)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이는 상기 중간부재(200)를 통하여 상기 표시창(400)에서 상기 피시비(100)로 전달되는 정전량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200)에는 상기 엘이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엘이디 수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수용부(210)는 중간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의 형태일 수도 있고, 상기 중간부재(200)의 일측면 방향으로는 터진 형태의 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200)의 형상은 특정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얇은 판형을 가지며, 상기 판의 형상은 원형을 비롯한 다각형 등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200)는 상기 엘이디(300)의 설치 높이보다 얇게 형성됨이 바람한데, 이는 상기 신호 입력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20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한 정전기를 상기 표시창(400)에서 상기 피시비(100)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장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측정부(미도시)와 상기 정전용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엘이디(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표시창에서 방전되는 전류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가 정전용량을 바탕으로 해당 엘이디(300)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표시창(400) 중의 특정위치에서 두 번에 걸쳐 접촉되는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엘이디(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창(400)의 특정위치에서 외부와 접촉되어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접촉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해당위치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엘이디(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표시창에 접촉되는 물체 또는 사람의 일부가 접촉한 상태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되는 위치와 관련하여 엘시디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입력신호가 가해지는 상태를 설명한다.
표시창과 피시비의 사이에 설치되는 엘이디(300)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엘이디의 일부를 감싸는 중간부재(200)는 상기 엘이디(300)의 각각과 짝을 이루면서 동일한 개수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300)는 5*7 행렬로 설치되지만 임의의 행렬, 즉 N*M행렬(N, M은 정수)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사람의 신체 일부, 예를 들면 손가락을 표시창에 접촉하게 되면 피시비에 구비된 제어장치는 상기 접촉된 지점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게 되고, 상기 전기적 신호와 대응되는 엘이디(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그림은 손가락을 표시창의 좌측 상부에 접촉했을 때 발광되는 엘이디(300)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엘이디(300)가 5*7 행렬을 가지는 배치를 기준으로 하면 1*1에 위치하는 엘이디(311), 1*2에 위치하는 엘이디(312)가 발광되고, 상기 엘이디의 발광으로 인하여 표시창(도 2의 400 참조)에 각인된 표식 중에는 "메뉴"라는 표식이 위치하는 제1영역(421)에만 상기 엘이디(300)의 빛이 조사된다.
도 4b에 도시된 그림은 손가락을 표시창의 좌측 하단부에 접촉했을 때 "Send"라는 표식이 위치하는 제2 영역(423)에만 엘이디(300)의 빛이 조사된다. 마찬가지로, 도 4c에 도시된 그림은 손가락을 표시창의 좌측 중앙부에 접촉했을 때 좌측이동을 의미하는 "◁"라는 표식이 있는 제3 영역(425)에만 엘이디(300)의 빛이 조사된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표시창의 중앙부에 접촉했을 때 확인을 의미하는 "OK"라는 표식이 있는 제4 영역(427)에만 엘이디(300)의 빛이 조사된다.
물론, 제어장치가 신호를 입식하는 방법은 상기 표시창과 사람의 손가락이 두번 접촉하는 경우에 인식하는 투 터치(Two touch) 방식이나 접촉시간을 바탕으로 신호를 인식하는 타임 딜레이(Time delay)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손가락이 표시창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제어장치는 손가락과 상기 표시창의 접촉 시작점과 접촉 종료점을 인식하고 상기 접촉의 방향성을 인식하여 상기 접촉위치와 관련된 엘이디를 발광시킨다.
물론, 상기 손가락이 접촉되어 이동된 영역에 있는 엘이디만 발광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장치는 손가락과 표시창의 접촉에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표시창의 접촉위치와는 소정 거리 떨어진 특정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엘이디(300)를 발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창의 좌측 상단부에서 손가락이 상기 표시창에 접촉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표시창의 좌측 상단부 하부에 있는 엘이디가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창 중에 "◁"라는 표식이 있는 제3 영역(도 2의 425)의 하부에 있는 엘이디가 발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신호 입력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신호 입력장치와 마찬가지로 피시비(100), 중간부재(2000), 엘이디(300), 표시창(400)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부재(2000)는 상술한 실시 예와 달리,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판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부재(2000)는 상기 엘이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엘이디 홀(2110)이 구비된 플레이트(2100)와, 상기 표시창(400)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상기 피시비(10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22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10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없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달부재(220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즉, 플레이트(2100)는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빛을 표시창(400)의 특정영역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전달부재(2200)는 상기 표시창(400)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된 정전기를 상기 표시창(400)에서 피시비(100)로 전달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전달부재(2200)로는 상기 엘이디 홀(2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리드선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엘이디 홀(2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전도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상기 신호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엘이디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표시창과 피시비의 사이에 설치된다(도 2참조).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는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배열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300)는 일렬도 배치될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의 엘이디는 일곱 개의 엘이디, 즉 제1 엘이디(3311), 제2 엘이디(3312), 제3 엘이디(3313), 제4 엘이디(3314), 제5 엘이디(3315), 제6 엘이디(3316), 제7 엘이디3317)개가 일렬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 중의 임의의 엘이디 근처에는 접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 즉 제1 위치감지센서 (511), 제2 위치감지센서(512), 제3 위치감지센서(51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엘이디마다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엘이디의 배열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엘이디의 배열은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엘이디의 배열은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원형, 타원형, 동심원형, 다각형 등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감지센서(511,512,153)는 사용자가 표시창과 접촉을 했을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표시창 중의 어느 위치를 접촉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위치감지센서(511,512,513)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지 않고 열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여 접촉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제1 엘이디(300)의 근처에 설치된 제1 위치감지센서(511), 제4 엘이디(300)의 근처에 설치된 제2 위치감지센서(512), 제7 엘이디(300)의 근처에 설치된 제3 위치감지센서(513)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은 제어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엘이디 전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엘이디(3311) ~ 제5 엘이디(3317)가 위치하는 표시창의 표면에 손가락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즉 스크롤을 하는 경우 위치감지센서들은 사용자가 표시창과 접촉한 접촉위치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장치는 제1 엘이디(3311), 제2 엘이디(3312), 제3 엘이디(3313), 제4 엘이디(3314) 및 제5 엘이디(3315)를 발광시키게 된다. 물론, 접촉위치가 제1 엘이디(3311) ~ 제5 엘이디(3315)가 위치하는 표시창의 영역일지라도 상기 제어장치는 다른 엘이디를 발광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엘이디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바탕으로 전기적인 입력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피시비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피시비의 기능은 표시장치, 예를 들면 LCD 등에 화면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는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이디 중의 일부 엘이디 근처에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부 끝단 엘이디(3327)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위치감지센서(521), 좌측 끝단 엘이디(3337)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좌측 위치감지센서(524), 우측 끝단 엘이디(3331)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우측 위치감지센서(525), 중앙 엘이디(3334)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위치감지센서(522), 하부 끝단 엘이디(3321)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위치감지센서(523)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은 각각의 엘이디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은 신호 입력장치에 구비된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 끝단 엘이디(3321)가 위치하는 표시창 영역에서 중앙 엘이디(3334)가 위치하는 표시창 영역으로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하부 위치감지센서(3321)와 중앙 위치감지센서(3334)는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의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정보와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거나 엘이디를 제어하게 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해당 엘이디를 발광시키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하부 끝단 엘이디(3321)가 위치하는 표시창 영역에서 중앙 엘이디(3334)가 위치하는 표시창 영역을 거쳐 좌측 끝단 엘이디(3337)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위치감지센서들은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장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영역, 즉 상기 정보와 대응되도록 제어장치에 미리 저장된 영역의 엘이디들을 제어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와 이를 이용하는 전자기기를 설명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장치와 상기 신호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른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장치(7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장치(700), 예를 들면, 엘시디(LCD;Liquid Crystal Display), 상기 표시장치(700)가 설치되는 제1 내부 프레임(810), 상기 표시장치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피시비(100), 상기 피시비(100)를 설치하기 위한 제2 내부 프레임(820), 상기 피시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엘이디(300), 상기 엘이디가 수용되는 중간부재(200), 상기 엘이디의 빛이 조사되는 표시창(4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의 테두리에는 전자기기의 외형의 일부를 이루는 외부 프레임(6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600)은 상기 표시창(400)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표시창(400)과 상기 중간부재(200) 사이에는 상기 표시창과 중간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9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900)로는 전도성 물질의 접착제나 테이프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피시비(100), 중간부재(200), 엘이디(300), 표시창(400), 제어장치(미 도시) 등은 상술한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신호 입력장치의 구조 및 작동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신호 입력장치는 상기 표시장치(700)의 테두리에 'ㅁ' 자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의 근처에는 사용자와 표시창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측정센서들(53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된 입력신호를 피시비로 연결하는 중간부재가 적어도 엘이디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입력장치의 두께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입력신호를 얻게 됨으로써 다양한 입력형식으로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와의 접촉 결과에 따라 특정의 엘이디만 발광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엘이디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엘이디의 빛을 표시창의 특정영역으로만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입력신호에 대한 사용 자의 인식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정전기의 정전용량을 바탕으로 입력신호를 입력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식으로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시비(PCB);
    상기 피시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
    상기 엘이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 그리고,
    외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피시비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표시창의 일부 영역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사람의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람의 신체와 접촉되는 표시창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정전기의 용량을 인식하여 상기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표시창과 피시비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엘이디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엘이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엘이디 수용부를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엘이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엘이디 홀이 구비된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창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상기 피시비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표시창에 접촉하는 접촉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신호입력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엘이디들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창의 하부에 일정한 기하학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입력장치.
  10. 제4항에 따른 신호 입력장치와;
    상기 신호 입력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엘이디와 중간부재는 상기 표시장치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095971A 2006-09-29 2006-09-29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1141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971A KR101141655B1 (ko) 2006-09-29 2006-09-29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US11/865,566 US8035621B2 (en) 2006-09-29 2007-10-01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11/865,602 US7896511B2 (en) 2006-09-29 2007-10-01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EP07019300A EP1906632A3 (en) 2006-09-29 2007-10-01 Mobile phone with illuminated touch screen
CN2007101929617A CN101540793B (zh) 2006-09-29 2007-10-08 输入设备以及具有该输入设备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971A KR101141655B1 (ko) 2006-09-29 2006-09-29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205A true KR20080030205A (ko) 2008-04-04
KR101141655B1 KR101141655B1 (ko) 2012-05-17

Family

ID=3953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971A KR101141655B1 (ko) 2006-09-29 2006-09-29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1655B1 (ko)
CN (1) CN101540793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274A (en) * 1990-06-04 1993-11-23 Motorola, Inc. Combined keypad and speaker porting
JP2001273832A (ja) * 2000-03-28 2001-10-05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機器のボタン、及びボタンの照明制御方法
KR100538376B1 (ko) * 2003-05-12 2005-12-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JP2005260294A (ja) * 2004-03-09 2005-09-22 Nec Corp 携帯型通信端末の照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0793A (zh) 2009-09-23
KR101141655B1 (ko) 2012-05-17
CN101540793B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755B1 (ko) 백라이팅이 가능한 터치 및 푸시 입력 방식의 휴대폰
KR101450256B1 (ko) 발광장치
US20070018965A1 (en) Illuminated touch control interface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TW201316204A (zh) 觸控按鍵模組
WO2015178614A1 (ko) 초 슬림 터치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초 슬림 스마트 커버 장치
EP2661057B1 (en) Mounting structure for circuit boards
CN107408943A (zh) 触摸开关单元和包括该触摸开关单元的用于车辆的内部照明装置
KR101090970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WO2011138382A1 (en) Circuit board for display and display module with display and circuit board
CN105208897A (zh) 用于电动家具驱动器的手持控制器、用于检测手持控制器的致动的方法以及电动家具驱动器
KR20090032269A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80028044A (ko) 매립형 터치 스위치
CN104635935B (zh) 键盘
KR101141655B1 (ko)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1168987B1 (ko) 터치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CN209922659U (zh) 一种非接触式电梯按钮箱
KR20100070006A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장치
KR101106278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CN206594568U (zh) 电子设备
JP2013061854A (ja) キーボード装置およびこのキーボード装置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KR101357797B1 (ko) 초 슬림 터치 키보드
CN104599885A (zh) 发光键盘
KR101345665B1 (ko) 터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8007990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버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