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340A -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340A
KR20080029340A KR1020060095275A KR20060095275A KR20080029340A KR 20080029340 A KR20080029340 A KR 20080029340A KR 1020060095275 A KR1020060095275 A KR 1020060095275A KR 20060095275 A KR20060095275 A KR 20060095275A KR 20080029340 A KR20080029340 A KR 20080029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sh
unit
base
m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용
Original Assignee
고려펄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펄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펄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340A/ko
Publication of KR2008002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5/00Manufacture of hollow articles by transferring sheets, produced from fibres suspensions or papier-mâché by suction on wire-net moulds, to couch-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금형들이 안치되는 베이스과, 상기 각 금형들 위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공급부와, 성형부, 제 1, 2건조부 및 펄프용기배출부와, 상기 베이스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금형에 안치되는 그물망체를 수용하는 그물망체투입부 및 상기 베이스의 뒤쪽에 위치하며 그물망체를 상기 그물망체투입부로 복귀시키는 그물망체복귀부로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는 상기 금형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 아래에는 상기 레일을 좌, 우 수평 이동시키며 상기 그물망체투입구에 수용된 그물망체를 상기 각 금형들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레일을 상 ,하 수직 이동시키며 이송중인 그물망체를 상기 각 금형들로 안착 및 탈리시키는 승강부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시한다.
Figure P1020060095275
펄프용기, 그물망체, 레일, 이송부, 승강부, 공급부, 성형부, 건조부,배출부

Description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a pulp cup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위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송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송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그물망체복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그물망체복귀부를 위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14: 레일
A: 공급부 B: 성형부
C: 제 1건조부 D: 제 2건조부
E: 펄프용기배출부 F: 그물망체복귀부
G: 그물망체순환대 H: 그물망체투입부
본 발명은 펄프용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 상에 성형장치를 복수대 설치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각기 다른 형상의 펄프용기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락, 컵등의 일회용 용기는 통상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제품은 오랜기간 동안 분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이 용출되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지게 됨으로서 사회적으로 사용이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펄프로 만들어진 일회용 용기(이하 "펄프용기"라 함)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펄프용기는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 등의 오염물질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와같은 펄프용기를 성형하는 장치로는 미세한 섬유질로 이루어진 셀 룰로이드를 물에 용해시킨 펄프 재료를 몰드와 흡입펌프를 사용하여 흡착시켜 물은 배출시키고 펄프는 건조시켜 몰드의 외형과 상응하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러한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 번째로, 종래의 펄프용기 성형장치는 합성수지로 용기를 만드는 방식에 비해 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므로서 용기 제조에 많은 번거러움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 위와같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불필요한 설치공간 및 작업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세 번째로, 종래의 성형장치는 펄프용기의 성형과정이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관계로 합성수지 용기에 비하여 성형시간이 많이 소모되었고, 따라서 펄프용기의 생산성 저하 및 생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는 본원 출원인이 2004. 8. 11.자로 출원한 출원번호 제2004-22858호(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가 있다.
상기 선출원 고안은 펄프재료가 저장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펄프재료를 공급받는 제1 하부금형 및 상기 제1 하부금형의 후방에 일렬로 배열된 제2,3 하부금형과, 상기 제1 하부금형에 공급된 펄프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1 상부금형 및 상기 제1 상부금형을 거쳐 성형된 펄프용기를 건조시키는 제2,3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져 펄프용기를 연속적으로 자동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유용 한 것임에는 분명하지만 이 또한 약간의 단점들이 내포되어 있다.
즉, 상기 선출원 고안은 성형장치 한기만을 사용토록 함으로서, 동일한 시간대에 각기 다른 형상의 펄프용기를 동시에 성형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다른 형상의 펄프용기 성형시에는 금형을 새로 교체하는 작업을 병행하여야 함으로서 많은 성형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제품의 생산성 저하 및 생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장치를 복수대 설치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각기 다른 형상의 펄프용기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대의 성형장치를 통해 동일한 형상의 펄프용기를 보다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공간 및 작업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금형들이 안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각 금형들 위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공급부와, 성형부, 제 1, 2건조부 및 펄프용기배출부와, 상기 베이스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금형에 안치되는 그물망체를 수용하는 그물망체투입부 및 상기 베이스의 뒤쪽에 위치하며 그물망체를 상기 그물망체투입부로 복귀시키는 그물망체복귀부로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는 상기 금형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 아래에는 상기 레일을 좌, 우 수평 이동시키며 상기 그물망체투입구에 수용된 그물망체를 상기 각 금형들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레일을 상 ,하 수직 이동시키며 이송중인 그물망체를 상기 각 금형들로 안착 및 탈리시키는 승강부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 아래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으로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 상단에 부착되는 슬라이더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가이드에 끼워지는 슬라이더로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 아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랙기어의 좌, 우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이드와 함께 동작하며 레일을 좌, 우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부는 실린더의 동력으로 수평 이동하는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의 양단부 아래에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의 동작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아래에 부착되며 상기 가로바의 동작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중앙에 체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끝단과 핀 체결되어 상기 제 1링크의 회동에 따라 위로 승강하는 제 2링크 및 상기 제 2링크끝단에 핀체결되는 샤프트로 구성하 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레일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레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링크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레일을 상, 하 수직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그물망체복귀부는 상기 레일의 수직 및 수평 이동동작에 따라 그물망체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리프트를 가지며, 상기 리프트의 후방에는 이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상, 하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장치는 베이스 위에 동일한 구조로 복수대가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는 베이스(10) 위로 다수개의 금형(12a, 12b, 12c, 12d, 12e)들이 안치되고, 상기 금형(12a, 12b, 12c, 12d, 12e)들에는 그물망체(1)가 각각 안치된다.
한편, 상기 그물망체(1)가 안치되는 각 금형(12a, 12b, 12c, 12d, 12e)들 위로는 공급부(A), 성형부(B), 제 1, 2건조부(C, D) 및 펄프용기배출부(E)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급부(A)는 아래에 위치한 금형(12a)에 그물망체(1)가 안치될 때, 일정량의 펄프재료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성형부(B) 및 제 1, 2건조부(C, D)는 프레스로서, 각 금형(12b, 12c, 12d)에 안치된 그물망체(1)를 가압하여 펄프용기를 성형 및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먼저, 상기 성형부(B)는 후술하는 승강부(40) 및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수직 및 수평 이동하는 레일(14)을 통해 펄프재료가 주입된 그물망체(1)가 금형(12b)에 안치되면 프레스방식으로 펄프재료를 가압하여 일정형태의 펄프용기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 제 1, 2건조부(C, D)는 동일한 구조로 상기 성형부(B)를 거쳐 성형된 펄프용기를 후술하는 레일의 수평 및 수직 이동동작에 따라 그물망체(1)와 함께 공급받아 펄프용기를 가압하며 순차적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2건조부(C, D)에는 성형된 펄프용기를 일정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히팅유닛을 내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금형(12a, 12b, 12c, 12d ,12e)들 아래에는 양측으로 레일(1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레일(14)은 이송부(16)의 동작에 따라 좌, 우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그물망체(1)를 금형(12a, 12b, 12c, 12d ,12e)쪽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또한 승강부(40)의 동작에 따라 그물망체(1)를 금형(12a, 12b, 12c, 12d ,12e)에 안착 및 탈리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14)의 수평 이동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피치(L)만큼 좌, 우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또한 레일의 높이는 그물망체복귀부(F)와 그물망체투입부(H)에 구비되어 있는 리프트(76, 96)와 동일한 높이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첨부된 도 4와 도 5는 상기한 레일(14)을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16)의 상세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하기에 기술될 좌, 우 방향이라 함은 레일의 전, 후진동작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6)는 베이스(10) 아래에 브라켓(17)으로 고정되는 모터(18)를 가진다. 상기 모터(18)의 축에는 구동풀리(20)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20)와 인접한 곳에 피동풀리(24)가 벨트(22)로 연결된다. 상기 피동풀리(24)에는 샤프트(26)가 수평으로(세로방향) 관통 설치되며, 따라서 샤프트(26)는 모터(1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26)의 양단부에는 피니언(28)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28)에는 랙기어(30)가 각각 맞물린다. 상기 랙기어(30)는 슬라이더가이드(32) 아래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가이드(32)에는 전술한 레일(14)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34)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안내공(10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이드(32)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가이드(32)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레일(36)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6)은 전술한 베이스(10)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브라켓(38)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이드(32)의 좌, 우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한 구조의 이송부(16)는 모터(18)의 동력으로 사프트(26)가 회전하면 그 양단부에 결합된 피니언(28)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28)에 결합되어 있는 랙기어(30)가 수평 이동하며 상기 랙기어(30)에 부착된 슬라이더가이더(32)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더가이드(32)에 끼워져 있는 슬라이더(34)는 상기 슬라이더가이드(32)의 동작에 따라 레일(14)을 좌, 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4)는 승강부(40)의 동작으로 레일(14)이 수직이동할 때, 레일(14)의 수직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더가이드(32)에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6과 도 7은 상기한 레일(14)을 상, 하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부(4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는 레일(14) 아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42)의 동작에 따라 레일(14)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40)는 동일한 구조로 레일(14) 아래에 다수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레일(40)의 승강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40)들은 실린더(42)의 전, 후 구동으로 이동하는 가로바(46)에 모두 연결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승강부(40)가 실린더(42)의 구동으로 동작하면 나머지 승강부(40)들은 상기 가로바(46)를 통해 모두 연계동작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조의 승강부(40)들은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기에서는 실린더(42)에 연결되는 하나의 승강부(40)의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토록 한다.
상기 승강부(40)는 전술한 베이스(10) 아래 중앙에 위치하는 실린더(42)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42)의 로드에는 세로바(44)가 연결된다. 상기 세로바(44)의 양단부 아래에는 상기 세로바(44)와 직교하는 가로바(46)가 설치된다. 상기 가로바(46) 아래에는 가이드(48)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48)는 가로바(46)의 동작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48)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48)의 이동을 도와주는 가이드레일(5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은 베이스 (10)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54)에 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48)에는 제 1링크(58)가 핀(56)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 1링크(58)의 중앙에는 힌지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힌지(60)는 전술한 브라켓(54)에 고정핀(64)으로 체결되어 있는 고정링크(62)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58)의 끝단에는 제 2링크(66)가 핀(68) 체결되고, 상기 제 2링크(66)의 끝단에는 샤프트(7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핀(70) 체결된다. 상기 샤프트(72)의 선단은 전술한 레일(14) 아래에 설치되는 데, 이때 상기 샤프트(72)는 레일(14)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레일(14) 하단에 설치된 별도의 보조레일(14a) 아래에 부착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레일(14)이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전, 후 수평 이동할 때, 상기 샤프트(72)를 포함한 승강부(40)가 레일(14)의 수평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레일(14)은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수평이동할 때, 상기 보조레일(14a)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레일(14)이 수평이동 하더라도 승강부(40)의 구성품들은 이동하지 않아 레일(14)의 수평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구조의 승강부(40)는 실린더(42)의 구동으로 세로바(44)가 전진이동하면 상기 세로바(44)의 양단부에 설치된 가로바(46)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로바(46)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48)는 브라켓(54)에 부착된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48)가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48)와 핀(56) 체결되어 있는 제 1링크(58)가 힌지(6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링크(60)와 핀(68) 체결되어 있는 제 2링크(66)는 제 1링크(58)의 회동에 따라 위쪽으로 올라 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링크(66)와 핀(70) 체결되어 있는 샤프트(72) 역시 위로 상승하게 됨으로서 레일(14)을 일정높이까지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10)의 끝부분에는 펄프용기배출부(E)와 그물망체복귀부(F)가 각기 설치된다.
먼저, 펄프용기배출부(E)는 성형부(B) 및 제 1, 2건조부(C, D)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성형 완료된 펄프용기를 그물망체(1)에서 흡착시켜 배출레일(74)을 타고 이동하며 완제품인 펄프용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그물망체복귀부(F)는 베이스(10) 뒤쪽에 설치되며 레일(14)의 동작을 통해 상기 펄프용기배출부(E)에 위치한 금형(12e)에서 탈리된 그물망체(1)를 수용한 후, 후술하는 그물망체순환대(G)를 통해 그물망체투입부(H)로 복귀시키는 장치이다.
첨부된 도 8과 도 9는 상기 그물망체복귀부(F)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체복귀부(F)는 리프트(76)를 가진다. 상기 리프트(76)는 금형(10e)에 안치된 그물망체(1)가 전술한 레일(14)의 동작(상, 하 이동동작)에 따라 탈리되면 이를 레일(14)의 다른 동작(좌, 우 이동동작)에 따라 공급받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76)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4)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레일(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76)의 후방에는 상기 리프트(76)를 상, 하 이동시키는 모터(78)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78)와 리프트(76)의 동력전달구조는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다.
먼저, 상기 모터(78)의 축에는 구동풀리(8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80)와 인접하는 곳에는 피동풀리(84)가 벨트(82)로 연결된다. 상기 피동풀리(84)에는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볼스크류(8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볼스크류(86)의 외경에는 이동체(88)가 끼워지고. 상기 이동체(88)는 전술한 리프트(76)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90)에 결합된다.
즉, 모터(78)의 회전으로 피동풀리(80)가 회전하면 상기 피동풀리(80)에 결합되어 있는 볼스크류(86)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86)의 외경에 끼워져 있는 이동체(88)는 볼스크류(86)의 나사산을 타고 상, 하 이동하게 됨으로서 리프트(76)는 상기 이동체(88)의 동작으로 상, 하로 이동하며 공급된 그물망체(1)를 후술하는 그물망체순환대(G)로 공급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그물망체순환대(G)는 상기 그물망체복귀부(F)의 리프트(76)가 그물망체(1)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강하면 상기 그물망체(1)를 리프트(76)에서 인출시키게 된다. 상기 그물망체순환대(F)의 아래에는 순환레일(92)이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물망체순환대(F)는 그물망체(1)가 얹혀지면 모터(94)의 동작으로 상기 순환레일(92)을 타고 전진 이동하며 전술한 그물망체투입구(H) 아래에 그물망체(1)를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그물망체투입부(H)는 베이스 앞쪽에 설치되며 그물망체순환대에서 그물망체가 이송되면 이송된 그물망체를 위쪽으로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그물망체투입부(H)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물망체(1)를 수용하는 리프트(96)를 가진다. 상기 리프트(96)는 그물망체순환대(G)에 안치된 그물망체(1)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98)의 동작으로 승강하며 수용된 그물망체(1)를 위쪽 즉, 베이스(10) 위로 승강시켜 공급부 (A)앞쪽에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로 제작된 성형장치(100)는 베이스(10)위에 동일한 구조로 복수대가 구비되며, 따라서 동일한 시간대에 각기 다른 형상의 펄프용기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형상의 펄프용기를 성형하더라도 복수대의 동시동작을 통해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펄프용기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의 동작과정을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는 크게 그물망체투입과정 ?? 성형과정 ?? 건조과정 ?? 펄프용기배출과정 ?? 그물망체취출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베이스에 안치된 금형으로 처음 그물망체를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체투입부(H)의 리프트(96)가 그물망체(1)를 수용한 상태로 베이스(10)위로 승강하면 이송부(16)가 동작하여 레일(14)을 전진 이동시킨다.(110단계).
다음, 승강부(40)가 동작하여 상기 레일(14)을 위로 승강시키게 되면, 리프트에 수용된 그물망체는 상기 레일에 걸려지며 리프트상에서 부상하게 된다.(120단계)
이후, 이송부(16)가 다시 동작하여 레일(14)을 후진 이동시키게 되면 그물망체(1)는 리프트(96)에서 인출된 후, 베이스(10) 위에 설치된 금형(10a)(공급부(A) 아래에 위치하는 금형(10a)) 위에 위치하게 된다.(130, 140단계)
다음, 승강부(40)가 동작하여 레일(14)을 하강시키게 되면 레일(14)에 얹혀진 그물망체(1)는 금형(10a)에 안치된다.(150, 160단계)
즉, 상기한 과정을 거쳐 금형(10a)에 그물망체(1)가 안치되면 공급부(A)가 동작하여 일정량의 펄프재료를 주입하게 된다.(170단계)
첨부된 도 11은 펄프재료가 주입된 그물망체를 성형부(B)로 이동시켜 펄프용기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4)이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승강부(40)의 동작으로 승강하게 된다.(210, 220단계) 이때 상기 레일(14)의 전진 및 승강동작과정에서 전술한 그물망체투입구(H)의 리프트(96)에 수용된 다른 그물망체는 계속적으로 인출되어 진다.
상기 레일(14)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금형(10a)에 안치되어 있는 그물망체(1)는 펄프재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14)의 승강동작에 따라 위로 승강하며 금형(10a)에서 탈리된다.(230, 240단계)
다음, 이송부(16)의 동작으로 레일(14)이 후진 이동하면 금형(10a)에서 탈리된 그물망체(1)는 레일(14)에 얹혀진 상태에서 후진 이동하며 성형부(B)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금형(10b) 위에 위치하게 된다.(250, 260단계)
이후, 승강부(40)가 동작하여 레일(14)을 하강시키게 되면 레일(14)에 얹혀 진 그물망체(1)는 상기 금형(10b)에 안치된다.(270, 280단계)
즉, 상기한 과정을 거쳐 금형(10b)에 그물망체(1)가 안치되면 성형부(B)가 동작하여 그물망체(1)에 주입된 펄프재료를 가압하여 일정형태의 펄프용기로 성형하게 된다.(290단계)
첨부된 도 12는 그물망체를 제 1, 2건조부(C, D)로 이동시켜 펄프용기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4)이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전진 이동한 다음, 승강부(40)의 동작으로 승강하게 된다.(310, 320단계)
이때 상기 레일(14)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금형(10b)에 안치되어 있는 그물망체(1)는 펄프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14)의 승강동작에 따라 위로 승강하며 금형(10b)에서 탈리된다.(330단계)
다음, 이송부(16)의 동작으로 레일(14)이 후진 이동하면 금형(10b)에서 탈리된 그물망체(1)는 레일(14)에 얹혀진 상태에서 후진 이동하며 제 1건조부(C)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금형(12c) 위에 위치하게 된다.(340, 350단계)
이후, 승강부(40)가 동작하여 레일(14)을 하강시키게 되면 레일(14)에 얹혀진 그물망체(1)는 상기 금형(12c)에 안치된다.(360, 370단계)
즉, 상기한 과정을 거쳐 금형(12c)에 그물망체(1)가 안치되면 제 1건조부(C)가 동작하여 그물망체(1)에 수용된 펄프용기를 건조시키게 된다.(380단계)
다음, 제 1건조부(C)를 거쳐 1차 건조된 펄프용기는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건조부(D)로 이송되어 재차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그물망체(1) 가 제 1건조부(C)에서 제 2건조부(D)로 이송되는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3은 건조과정을 거쳐 완제품으로 제작된 펄프용기를 그물망체(1)에서 분리시켜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레일(14)이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전진 이동한 다음, 승강부(40)의 동작으로 승강하게 된다.(410, 420단계)
이때 상기 레일(14)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제 2건조부(D)의 금형(12d)에 안치되어 있는 그물망체(1)는 펄프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14)의 승강동작에 따라 위로 승강하며 금형(12d)에서 탈리된다.(430단계)
다음, 이송부(16)의 동작으로 레일(14)이 후진 이동하면 금형(12d)에서 탈리된 그물망체(1)는 레일(14)에 얹혀진 상태에서 후진 이동하며 펄프용기배출부(E)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금형(12e) 위에 위치하게 된다.(440, 450단계)
이후, 승강부(40)가 동작하여 레일(14)을 하강시키게 되면 레일(14)에 얹혀진 그물망체(1)는 상기 금형(12e)에 안치된다.(460, 470단계)
즉, 상기한 과정을 거쳐 금형(12e)에 그물망체(1)가 안치되면 펄프용기배출부(E)가 동작하여 그물망체(1)에 수용된 펄프용기를 흡입한 후, 배출레일(74)을 타고 이동하며 펄프용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480단계)
첨부된 도 14는 펄프용기가 배출된 후, 그물망체(1)를 레일(14)에서 취출하여 그물망체투입구(H)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4)이 이송부(16)의 동작으로 전진 이동한 다음, 승강부(40)의 동작으로 승강하게 된다.(510, 520단계)
이때 상기 레일(14)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펄프용기배출부(E)의 금형(12e)에 안치되어 있는 그물망체(1)는 펄프용기가 분리된 후, 상기 레일(14)의 승강동작에 따라 위로 승강하며 금형(12e)에서 탈리된다.(530단계)
다음, 이송부(16)의 동작으로 레일(14)이 후진 이동하면 금형(12e)에서 탈리된 그물망체(1)는 레일(14)에 얹혀진 상태에서 후진 이동한 후, 그물망체복귀부(F)의 리프트(76)에 수용되어 진다. (540, 550단계)
이후, 레일은 승강부의 동작으로 다시 하강한 다음, 이송부의 동작으로 전진 이동한다.(560, 570)
다음, 그물망체(1)를 수용한 리프트(76)는 모터(78)의 동력으로 하강한 다음, 베이스(10)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그물망체순환대(G)에 그물망체(1)를 안치시키게 된다.(580, 590단계)
다음, 상기 그물망체순환대(G)는 모터(94)의 동력으로 순환레일(92)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한 후, 전술한 그물망체투입부(H)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600단계)
이후, 상기 그물망체투입부(H)의 리프트(96)가 하강하여 그물망체순환대(G)에 안치된 그물망체(1)를 수용한 후, 위로 승강하게 됨으로서 그물망체(1)는 초기상태 즉, 전술한 110단계로 복귀하게 된다.(610단계)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먼저, 본 발명은 성형장치를 복수대 설치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각기 다른 형 상의 펄프용기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소량 다품종의 생산시 발생하는 금형 교체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대의 성형장치를 통해 동일한 형상의 펄프용기를 보다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설치공간 및 작업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또한 작업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금형들이 안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각 금형들 위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공급부와, 성형부, 제 1, 2건조부 및 펄프용기배출부와;
    상기 베이스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금형에 안치되는 그물망체를 수용하는 그물망체투입부 및 ;
    상기 베이스의 뒤쪽에 위치하며 그물망체를 상기 그물망체투입부로 복귀시키는 그물망체복귀부로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 위에는 상기 금형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 아래에는 상기 레일을 전, 후 수평 이동시키며 상기 그물망체투 입구에 수용된 그물망체를 상기 각 금형들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레일을 통해 이송중인 그물망체가 상기 각 금형들에 안착 및 탈리되도록 상기 레일을 상, 하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부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 아래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으로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 상단에 부착되는 슬라이더가이드 및 ;
    상기 슬라이더가이드에 끼워지는 슬라이더로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 아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랙기어의 전, 후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이드와 함께 동작하며 레일을 전, 후 수평 이동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실린더의 동력으로 수평 이동하는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의 양단부 아래에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의 동작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아래에 부착되며 상기 가로바의 동작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의 이동에 따라 중앙에 체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끝단과 핀 체결되어 상기 제 1링크의 회동에 따라 위로 승강하는 제 2링크 및 ;
    상기 제 2링크끝단에 핀 체결되는 샤프트로 구성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레일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레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링크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레일을 상, 하 수직 이동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체복귀부는;
    상기 레일의 수직 및 수평 이동동작에 따라 그물망체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리프트를 가지며;
    상기 리프트의 후방에는 이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상, 하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베이스 위에 동일한 구조로 복수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KR1020060095275A 2006-09-29 2006-09-29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KR20080029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75A KR20080029340A (ko) 2006-09-29 2006-09-29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75A KR20080029340A (ko) 2006-09-29 2006-09-29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484U Division KR200434141Y1 (ko) 2006-09-29 2006-09-29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40A true KR20080029340A (ko) 2008-04-03

Family

ID=3953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75A KR20080029340A (ko) 2006-09-29 2006-09-29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3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015A (zh) * 2019-01-08 2019-04-26 广东卡雷尔自动化有限公司 应用于成型纸模的智能自动生产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015A (zh) * 2019-01-08 2019-04-26 广东卡雷尔自动化有限公司 应用于成型纸模的智能自动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33887A (zh) 一种用于硫化橡胶减震垫圈的橡胶模具自动开模机
CN1255951A (zh) 淤浆预制品系统
KR200433806Y1 (ko)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CN206170506U (zh) 一种成型设备嵌件系统
KR200434141Y1 (ko)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KR20080029340A (ko)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CN204642279U (zh) 注塑机自动收料装置
KR100771940B1 (ko) 생분해성 용기 성형장치
CN201300513Y (zh) 周边注塑系统
CN101422948B (zh) 周边注塑方法及其系统装置
CN216182446U (zh) 一种汽车零部件生产用注塑模具
CN213925672U (zh) 一种双出料纸浆成型设备
KR101405709B1 (ko) 질석보드제조방법
CN204749026U (zh) 开模机
CN209023719U (zh) 过油机送纸装置
CN208599249U (zh) 具有翻转移载机构的压滤板智能模压设备
CN105599127B (zh) 混凝土试块制造线
CN215051630U (zh) 一种纸制品成型总成
CN105235049A (zh) 一种人造板自动循环保压车及自动卸扣机设备
CN108176820B (zh) 一种纤维冒口成型机及其工作方法
CN108274813B (zh) 一种全自动五色粉机
CN213386583U (zh) 整料手套箱
CN220263226U (zh) 一种补换料机构
CN214938815U (zh) 一种快速上下料的纸浆模塑热压定型装置
CN220116923U (zh) 一种挤压转移一体自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