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462A -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과 스테레오 화상처리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과 스테레오 화상처리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462A
KR20080028462A KR1020087002278A KR20087002278A KR20080028462A KR 20080028462 A KR20080028462 A KR 20080028462A KR 1020087002278 A KR1020087002278 A KR 1020087002278A KR 20087002278 A KR20087002278 A KR 20087002278A KR 20080028462 A KR20080028462 A KR 2008002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ereo
data
information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555B1 (ko
Inventor
히데히꼬 세끼자와
겐 마시따니
다다시 우찌우미
히데아끼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올림푸스 이미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올림푸스 이미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절한 관찰 방법을 한눈에 판별할 수 있는 스테레오 화상을 생성하도록 한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로서, 이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는, 평행법 또는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1)와, 입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이들 화상 데이터가 평행법 또는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패딩 데이터를 영역을 구분하여 합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합성부(7)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87002278
평행법, 교차법, 패딩 데이터, 화상 데이터, 스테레오 화상

Description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과 스테레오 화상 처리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THE PROGRAM RECORDED THEREIN}
본 발명은, 스테레오 화상을 처리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스테레오 화상이 인쇄된 스테레오 화상 시트, 스테레오 화상 처리용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05년 6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5-189450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 양 눈의 시차를 이용하여 평면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시키는 방법으로서, 나안에 의한 방법으로서, 평행법, 교차법 등이 있다. 평행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적당한 시차를 갖는 좌우 2개의 화상(이하 「스테레오 화상」이라고 부름)(114R, 114L) 중 우측의 화상(114R)을 우안 ER로, 좌측의 화 상(114L)을 좌안 EL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또한, 교차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화상(114R)을 좌안 EL로, 좌측의 화상(114L)을 우안 ER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스테레오 화상을 촬상하는 방법에는, 인간의 눈의 간격과 동등한 거리를 두고 2개의 렌즈 및 촬상 소자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고, 이들 2개의 촬상계에서 좌우의 화상을 평행법 또는 교차법으로 동시에 촬상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관한 기술이 일본 특개평 5-30538호 공보(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촬상계를 이용한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아도, 한번 촬상을 행한 위치로부터 카메라를 수평 방향으로 인간의 눈의 간격과 동등한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그 위치로부터 동일한 피사체를 다시 한번 촬상하거나, 복수의 카메라를 2대 이용하는 것 등에 의해, 스테레오 화상으로 되는 2개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특허 문헌 1에는, 좌우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개별로, 스테레오 화상이라고 하는 정보나, 좌우의 식별 정보 등을 헤더 정보로서 기록해 둠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나 전송 장치 등에서의 처리 시에, 좌우의 화상 데이터가 1개의 화상 취급 단위로서 취급되도록 하여, 잘못하여 좌우의 화상 데이터 중 1개가 소거되거나, 전송되거나 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 등이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스테레오 화상은, 그 외관으로는, 이것이 평행법과 교차법 중 어느 쪽에 의해 촬상된 것인지, 즉 평행법과 교차법 중 어느 쪽에 의해 관찰을 시도하면 되는지를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관찰자는, 평행법과 교차법의 양방의 관찰을 시도하여 스스로 적절한 관찰 방법을 판별해야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화상을 인쇄할 때, 인자 용지(91)의 사이즈에 맞춰 스테레오 화상(92)을 인쇄하면, 스테레오 화상(92)의 일부가 빠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기술 과제로 하는 것은, 적절한 관찰 방법을 한눈에 판별할 수 있는 스테레오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스테레오 화상 처리 방법, 스테레오 화상 시트, 스테레오 화상 처리용 프로그램 및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는,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부와, 화상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이들 화상 데이터의 스테레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패딩 데이터를 영역을 구분하여 합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합성부를 구비한다.
이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 따르면, 관찰자가 나안으로 스테레오 화상을 입체시할 때에, 합성 화상의 패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적절한 관찰 방법을 한눈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패딩 데이터로서는, 시각적 특징에 의 해 판별 가능한 화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테레오 정보는, 화상 데이터가 평행법 또는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는, 어스펙트 조정비를 입력하는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화상 합성부는, 합성 화상의 종횡의 사이즈가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어스펙트 조정비로 되도록,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합성하는 패딩 데이터의 사이즈를 가변한다.
이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합성 화상의 전체를 인자 용지 내에 딱 들어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와, 이 부호화부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표시 제어를 위한 스테레오 정보를 헤더 정보로서 부가하여 파일을 작성하는 다중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관찰자가 나안으로 스테레오 화상을 입체시할 때에, 합성 화상의 패딩 데이터의 시각적인 특징에 의해 관찰 방법을 한눈에 판별할 수 있는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을 작성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입체시 표시가 가능한 외부의 기기에 전송하거나 할 수 있다.
복수의 화상 데이터는,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 혹은, 1개의 피사체를 복수의 시점으로부터 포착한 화상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관찰자가 나안으로 스테레오 화 상을 입체시할 때에, 합성 화상의 패딩 데이터의 시각적인 특징에 의해, 스테레오 화상의 적절한 관찰 방법을 한눈에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합성 화상의 전체를 인자 용지 내에 딱 들어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로부터 한층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평면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시키는 평행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평면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시키는 교차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스테레오 화상을 인쇄할 때에 생기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화상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화상이 평행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화상이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1개의 피사체를 전후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디지털 스틸 카메 라로 촬상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서 화상이 평행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서 화상이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입력부(1)와,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2)와,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와, 데이터 분리 출력부(4)와,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와, 패딩 데이터 생성부(6)와, 화상 합성부(7)와, 화상 인코드부(8)와, 데이터 다중화부(9)와, 기록 매체 기입부(1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입력부(1)는,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본체에 각각, 스테레오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좌우의 식별 정보, 수평 시점수(화상수), 수평 시프트량 등의 입체시 표시 제어를 위한 스테레오 정보가 헤더 정보로서 부가된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파일(11R, 11L)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분리 출력부(4)는, 화상 입력부(1)에서 입력된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파일(11R, 11L)로부터 헤더 정보를 분리하여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에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는, 입력된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파일(11R, 11L)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 이외의 스테레오 정보, 적어도, 입력된 각 화상 파일(11R, 11L)의 화상이 평행법과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는,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스테레오 정보와 데이터 분리 출력부(4)로부터 출력된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패딩 데이터 생성부(6) 및 데이터 다중화부(9)에 출력하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패딩 데이터 생성부(6)에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로서,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의 내용이 출력되고, 데이터 다중화부(9)에는,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로부터 입력된 스테레오 정보와 데이터 분리 출력부(4)로부터 출력된 헤더 정보의 모든 내용이 스테레오 부속 정보로서 출력된다.
패딩 데이터 생성부(6)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로부터의 스테레오 정보(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본체와 합성하는 패딩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 합성부(7)에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패딩 데이터란, 소정의 어스펙트 조정비를 갖는 이차원 공간 내에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본체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을 메우는 데이터이다. 이 패딩 데이터는, 시각적인 특징에 의해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예를 들면, 색, 패턴 등, 인간이 한눈에 그 특징을 분별할 수 있는 시각적 표현이 채용되어 있다.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2)는, 출력하는 스테레오 화상과 패딩 데이터의 합성 화상의 어스펙트 조정비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어스펙트 조정비는, 예를 들면 사용되는 인자 용지의 종횡비에 맞춰 입력된다.
화상 합성부(7)는, 화상 입력부(1)로부터 입력된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데이터와 패딩 데이터 생성부(6)에 의해 생성된 패딩 데이터를 합성하여,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2)로부터 입력된 어스펙트 조정비를 갖는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화상 인코드부(8)는, 화상 합성부(7)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화상·패딩 데이터의 합성 화상을, 예를 들면 JPEG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다중화부(9)는, 화상 인코드부(8)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스테레오 화상·패딩 데이터의 합성 화상 데이터와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다중화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스테레오 부속 정보는 화상 파일의 헤더 정보로서 부가된다.
기록 매체 기입부(10)는, 데이터 다중화부(9)에 의해 생성된 화상 파일을, 기입 가능 또는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EEPROM 등)에 기입하는 수단이다.
다음으로,이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파일(11R, 11L)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스테레오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좌우의 식별 정보, 수평 시점수(화 상수), 수평 시프트량 등의, 입체시 표시 제어 등을 위한 스테레오 정보가 헤더 정보(12R, 12L)로서, 화상 본체(13R, 13L)에 부가된 화상 파일(11R, 11L)을 입력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화상 파일의 입력 전에,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로부터, 지금부터 입력되는 화상 파일이 평행법과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에 설정해 둔다. 한편,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2)로부터는, 사용하는 인쇄 용지의 종횡비에 맞춘 어스펙트 조정비를 입력받아, 화상 합성부(7)에 화상 합성용의 어스펙트 조정비로서 설정해 둔다.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 및 화상 합성부(7)의 설정 완료 후, 화상 입력부(1)에서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파일(11R, 11L)을 입력받아, 각 화상 파일(11R, 11L)에서의 화상 본체(13R, 13L)를 화상 합성부(7)에 전달하는 한편, 데이터 분리 출력부(4)에서, 각 화상 파일(11R, 11L)의 헤더 정보(12R, 12L)를 분리 추출하여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에 출력한다.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는, 데이터 분리 출력부(4)로부터 각 화상 파일(11R, 11L)의 헤더 정보(12R, 12L)를 취득하면,이 헤더 정보(12R, 12L)와, 이미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스테레오 정보(적어도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로부터 패딩 데이터 생성부(6) 및 데이터 다중화부(9)에 출력하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고, 각각에 출력한다. 즉,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패딩 데이터 생성용의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여 패딩 데이터 생성부(6)에 출력함과 함께, 각 화상 파일(11R, 11L)의 헤더 정보(12R, 12L)와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스테레오 정보로부터 데이터 다중화용의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다중화부(9)에 출력한다.
패딩 데이터 생성부(6)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로부터의,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본체(13R, 13L)와 합성하는 패딩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딩 데이터는, 시각적인 특징에 의해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예를 들면, 색, 패턴 등, 인간이 한눈에 그 특징을 분별할 수 있는 표현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패딩 데이터는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패딩 데이터 생성부(6)에 의해 생성된 패딩 데이터는 화상 합성부(7)에 보내어진다. 화상 합성부(7)는, 화상 입력부(1)로부터 전달된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본체(13R, 13L)와, 패딩 데이터 생성부(6)로부터의 패딩 데이터를 합성하여,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어스펙트 조정비를 갖는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6 및 도 7은, 화상 합성부(7)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20, 30)의 예를 도시하고, 도 6은 각 화상 본체(13R, 13L)가 평행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20), 도 7은 각 화상 본체(13R, 13L)가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30)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평행법과 교차법에서는, 각 화상 본체(13R, 13L)의 수평 방향의 배열순이 반대로 된다.
본 예에서는, 좌우의 화상 본체(13R, 13L)의 상하에, 시각적인 평행법/교차 법 식별 정보인 패딩 데이터(14, 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합성 화상(20, 30)의 종횡의 사이즈는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2)로부터 입력된 어스펙트 조정비에 의해 정해져 있다. 즉, 도 6에서, 좌우로 배열된 각 화상 본체(13R, 13L)의 긴 변의 길이, 이 예에서는 수평 방향의 길이를 합성 화상(20)의 긴 변의 길이 X로 하고, 또한 이 긴 변의 길이 X와 어스펙트 조정비로부터, 합성 화상(20)의 짧은 변의 길이 Y, 이 예에서는 연직 방향의 길이를 결정한다. 즉, 화상 합성부(7)는, 합성 화상의 종횡의 사이즈가, 미리 지정된 어스펙트 조정비로 되도록, 패딩 데이터의 사이즈를 가변 조정하여, 좌우의 화상 본체(13R, 13L)에 합성한다.
합성 화상(20, 30)에서의 각 화상 본체(13R, 13L)의 연직 방향의 위치는 시스템 고유로 되고, 이 예에서는, 연직 방향의 거의 중간의 위치에 각 화상 본체(13R, 13L)가 배치되도록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합성 화상(20, 30)에서, 각 화상 본체(13R, 13L)의 상하에 패딩 데이터(14, 15)의 영역이 확보되게 된다. 단, 이와 같이 각 화상 본체(13R, 13L)의 상하에 패딩 데이터(14, 15)의 영역을 확보한 배치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각 화상 본체(13R, 13L) 위, 혹은 아래의 한 방향에만 패딩 데이터의 영역을 확보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합성부(7)에 의해 얻어진 합성 화상 데이터는, 화상 인코드부(8)에 의해, 예를 들면 JPEG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데이터 다중화부(9)에 보내어지고, 여기서,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와,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로부터의 스테레오 부속 정보의 내용을 포함하는 헤더 정보가 다중화되어,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이 작성된다. 도 8에, 이 스테레오 화상 의 파일(40)의 구성을 도시한다.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16), 헤더 정보(17), 파일(40)의 선두를 나타내는 SOI(18), 파일(40)의 최후를 나타내는 EOI(19) 등으로 구성된다. 작성된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은 기록 매체 기입부(10)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에 저장되어 있는 스테레오 화상을 입체시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의 복호 해동과 헤더 정보의 복호가 가능한 재생 기기에, 네트워크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 등을 통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을 읽어들이게 한다. 재생 기기는, 읽어들인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로부터 헤더 정보(17)를 분리 추출하여 이것을 복호함과 함께,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16)를 복호 해동하여 원래의 합성 화상을 복원한다. 또한, 재생 기기는, 합성 화상으로부터 패딩 데이터 이외의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고, 이들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와 헤더 정보(17)의 복호 결과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입체시 표시를 행한다.
또한,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에 저장되어 있는 스테레오 화상을 나안으로 관찰할 때에는, 스테레오 화상 파일(40)의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의 복호가 가능한 재생 기기에, 네트워크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 등을 통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40)을 읽어들이게 한다. 이에 의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본체(13R, 13L)와 패딩 데이터(14, 15)의 합성 화상(20) 또는 합성 화상(30)이 재현된다. 이 때, 관찰자는, 표시되어 있는 패딩 데이터(14, 15)의 색이나 패턴 등의 시각적인 특징으로부터, 우안용과 좌안용의 각 화상 본체(13R, 13L)가 평행법의 스테레오 화상인지,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한눈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바로 적절한 관찰 방법에 의한 입체시 관찰을 시도할 수 있어, 관찰자의 불필요한 부담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본체와 패딩 데이터의 합성 화상은, 사용되는 인자 용지의 종횡비에 맞춰 어스펙트비가 정해져 있으므로, 합성 화상의 전체를 인자 용지 내에 딱 들어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한,이 인자 용지에 합성 화상의 전체를 인쇄한 성과물인 스테레오 화상 시트 상의 패딩 데이터 영역의 시각적인 특징으로부터, 관찰자는, 이 스테레오 화상 시트 상의 스테레오 화상을 교차법으로 관찰하면 되는지, 평행법으로 관찰하면 되는지를 한눈에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평행법의 패딩 데이터와 교차법의 패딩 데이터의 차이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판별할 수 있지만, 인간이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평행법의 패딩 데이터와 교차법의 패딩 데이터에, 시각적으로는 판별할 수 없을 정도의 미소한 농도차를 갖게 하고,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서, 그 농도 정보인 화소값으로부터, 평행법의 패딩 데이터와 교차법의 패딩 데이터를 판별하는 방식 등이 생각된다. 이 경우, 헤더 정보가 없어도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올바르게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헤더 정보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우안용과 좌안용의 2개의 화상 데이터를 패딩 데이터와 합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3개 이상의 시점(복안)의 화상 데이터와 패딩 데 이터를 합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각각의 화상 파일은,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피사체(60)를, 전후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61(0, 0), …, 61(3, 2))에 의해 동시에 촬상하여 얻어진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표시 제어를 위한 스테레오 정보를 헤더 정보로서 부가한 것이다.
도 10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2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입력부(71)와,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72)와,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와, 데이터 분리 출력부(74)와,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와, 패딩 데이터 생성부(76)와, 화상 합성부(77)와, 화상 인코드부(78)와, 데이터 다중화부(79)와, 기록 매체 기입부(8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입력부(71)는, 복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61(0, 0), …, 61(3, 2))에 의해 동시에 촬상하여 얻어진 각각의 화상 본체에 각각, 스테레오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시점(카메라)의 위치의 식별 정보, 수평 시점수(화상수), 수평 시프트량 등의, 입체시 표시 제어를 위한 스테레오 정보가 헤더 정보로서 부가된 복수의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데이터 분리 출력부(74)는, 화상 입력부(71)에서 입력된 복수의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로부터 헤더 정보를 분리하여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에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는, 입력된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에 포함되는 내용 이외의 스테레오 정보, 적어도, 입력된 각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의 화상이 평행법과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는,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로부터 입력된 스테레오 정보와 데이터 분리 출력부(74)로부터 출력된 헤더 정보에 기초하여, 패딩 데이터 생성부(76) 및 데이터 다중화부(79)에 출력하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패딩 데이터 생성부(76)에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의 내용이 스테레오 부속 정보로서 출력되고, 데이터 다중화부(79)에는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로부터 입력된 스테레오 정보와 데이터 분리 출력부(74)로부터 출력된 헤더 정보의 모든 내용이 스테레오 부속 정보로서 출력된다.
패딩 데이터 생성부(76)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로부터의 스테레오 정보(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본체와 합성하는 패딩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 합성부(77)에 출력한다.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72)는, 출력하는 스테레오 화상과 패딩 데이터의 합성 화상의 어스펙트 조정비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어스펙트 조정비는, 예를 들면 사용되는 인자 용지의 종횡비에 맞춰 입력된다.
화상 합성부(77)는, 화상 입력부(71)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패딩 데이터 생성부(76)에 의해 생성된 패딩 데이터를 합성하여, 어스펙트비 조정 입 력부(72)로부터 입력된 어스펙트 조정비를 갖는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화상 인코드부(78)는, 화상 합성부(77)에서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JPEG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다중화부(79)는, 화상 인코드부(78)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와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로부터 출력된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다중화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스테레오 부속 정보는 화상 파일의 헤더 정보로서 부가된다.
기록 매체 기입부(80)는, 데이터 다중화부(79)에 의해 생성된 화상 파일을, 기입 가능 또는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EEPROM 등)에 기입하는 수단이다.
다음으로,이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복수의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로서, 각각 스테레오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시점(카메라)의 위치의 식별 정보, 수평 시점수(화상수), 수평 시프트량 등의, 입체시 표시 제어 등을 위한 스테레오 정보가 헤더 정보로서 부가된 복안의 각 화상 파일을 입력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화상 파일의 입력 전에,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로부터, 지금부터 입력되는 화상 파일이 평행법과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5)에 설정해 둔다. 한편,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72)로부터는, 사용하는 인쇄 용지의 종횡비에 맞춘 어스펙트 조정비를 입력받아, 화상 합성부(77)에 화상 합성용의 어스펙트 조정비로서 설정해 둔다.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 및 화상 합성부(77)의 설정 완료 후, 화상 입력부(71)에서 복수의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을 입력받아, 각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에서의 화상 본체를 화상 합성부(77)에 전달하는 한편, 데이터 분리 출력부(74)에서 헤더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에 출력한다.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는, 데이터 분리 출력부(74)로부터 각 화상 파일(62(0, 0), 62(0, 1), …, 62(3, 2))의 헤더 정보를 취득하면, 이들 헤더 정보와, 이미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스테레오 정보(적어도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로부터 패딩 데이터 생성부(76) 및 데이터 다중화부(79)에 출력하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고, 각각에 출력한다. 즉,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는,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패딩 데이터 생성용의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여 패딩 데이터 생성부(76)에 출력함과 함께, 각 화상 파일의 헤더 정보의 내용과 스테레오(어댑터) 정보 입력부(73)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스테레오 정보로부터 데이터 다중화용의 스테레오 부속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다중화부(79)에 출력한다.
패딩 데이터 생성부(76)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로부터의, 평행법/교차법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스테레오 부속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본체와 합성하는 패딩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딩 데이터는, 시각적인 특징에 의해 평행 법/교차법 식별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예를 들면, 색, 패턴 등, 인간이 한눈에 그 특징을 분별할 수 있는 표현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패딩 데이터는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패딩 데이터 생성부(76)에 의해 생성된 패딩 데이터는 화상 합성부(77)에 보내어진다. 화상 합성부(77)는, 화상 입력부(71)로부터 전달된 복수의 화상 본체와, 패딩 데이터 생성부(76)로부터의 패딩 데이터를 합성하여,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7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어스펙트 조정비를 갖는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1 및 도 12는, 화상 합성부(77)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81, 82)의 예를 도시하고, 도 11은 각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가 평행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81), 도 12는 각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가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인 경우의 합성 화상(82)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평행법과 교차법에서는, 각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의 수평 방향의 배열순이 반대로 된다. 단, 상하의 위치 관계는 공통이다.
본 예에서는, 각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의 상하에 패딩 데이터(64, 65)가 배치되어 있다. 각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는 각각 수평 방향의 끝끼리, 연직 방향의 끝끼리가 서로 접하도록 일체화하여 배치된다. 이 합성 화상(81, 82)의 종횡의 사이즈는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부(72)로부터 입력된 어스펙트 조정비에 따라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서, 일체화된 화상 본체(63)의 긴 변의 길이, 이 예에서는 수평 방향의 길이를 합성 화상(81)의 긴 변의 길이 X로 하고, 또한 이 긴 변의 길이 X와 어스펙트 조정비로부터 합성 화상(81)의 짧은 변의 길이 Y, 이 예에서는 연직 방향의 길이를 결정한다. 즉, 화상 합성부(77)는, 합성 화상(81)의 종횡의 사이즈가, 미리 지정된 어스펙트 조정비로 되도록, 패딩 데이터의 사이즈를 가변 조정하여, 일체화된 화상 본체(63)에 합성한다.
합성 화상(81, 82)에서의 일체화된 화상 본체(63)의 연직 방향의 위치는 시스템 고유로 되고, 이 예에서는, 연직 방향의 거의 중간의 위치에, 일체화된 화상 본체(63)이 오도록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합성 화상(81, 82)에서, 일체화된 화상 본체(63)의 상하에 패딩 데이터(64, 65)의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이 일체화된 화상 본체(63)의 상하에 패딩 데이터(64, 65)의 영역을 확보한 배치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일체화된 화상 본체(63) 위, 혹은 아래의 한 방향에만 패딩 데이터의 영역을 확보하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합성부(77)에 의해 얻어진 합성 화상 데이터는, 화상 인코드부(78)에 의해, 예를 들면 JPEG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데이터 다중화부(79)에 보내어지고, 여기서,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와, 스테레오 부속 정보 생성부(75)로부터의 스테레오 부속 정보의 내용을 포함하는 헤더 정보가 다중화되어,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이 작성된다. 작성된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은 기록 매체 기입부(80)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스테레오 화상을 입체시 표시시키 기 위해서는,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의 복호 해동과 헤더 정보의 복호가 가능한 재생 기기에, 네트워크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 등을 통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을 읽어들이게 한다. 재생 기기는, 읽어들인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로부터 헤더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이것을 복호함과 함께,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를 복호 해동하여 원래의 합성 화상을 복원한다. 또한, 재생 기기는, 합성 화상으로부터 패딩 데이터 이외의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분리 추출하고, 이들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헤더 정보의 복호 결과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입체시 표시를 행한다.
또한,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스테레오 화상을 나안으로 관찰할 때에는, 스테레오 화상 파일의 압축 부호화된 합성 화상 데이터의 복호가 가능한 재생 기기에, 네트워크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 등을 통하여 스테레오 화상의 파일을 읽어들이게 한다. 이에 의해,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와 패딩 데이터(64, 65)의 합성 화상(81) 또는 합성 화상(82)이 재현된다. 이 때, 관찰자는, 표시되어 있는 패딩 데이터(64, 65)의 색이나 패턴 등의 시각적인 특징으로부터, 각 화상 본체(63(0, 0), 63(0, 1), …, 63(3, 2))가 평행법의 스테레오 화상인지,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한눈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바로 적절한 관찰 방법에 의한 입체시 관찰을 시도할 수 있어, 관찰자의 불필요한 부담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본체와 패딩 데이터의 합성 화상은, 사용되는 인자 용지의 종횡비에 맞춰 어스펙트비가 정해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합성 화상 전체의 확대/축소를 행하는 것만으로, 합성 화상의 전체를 인자 용지 내에 딱 들어가도록 인쇄할 수 있다. 또한,이 인자 용지에 합성 화상의 전체를 인쇄한 성과물인 스테레오 화상 시트 상의 패딩 데이터 영역의 시각적인 특징으로부터, 관찰자는, 이 스테레오 화상 시트 상의 스테레오 화상을 교차법으로 관찰하면 되는지, 평행법으로 관찰하면 되는지를 한눈에 판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100)의 스테레오 화상 처리를 위한 기능은, PC 등의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제공 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상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이들 화상 데이터의 스테레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패딩 데이터를 영역을 구분하여 합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합성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정보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평행법 및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 데이터는, 시각적 특징에 의해 판별 가능한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어스펙트 조정비를 입력하는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합성 수단은, 합성 화상의 종횡의 사이즈가 상기 어스펙트비 조정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어스펙트 조정비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합성하는 상기 패딩 데이터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의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표시 제어를 위한 스테레오 정보를 헤더 정보로서 부가하여 파일을 작성하는 다중화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1개의 피사체를 복수의 시점으로부터 포착한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8. 화상 입력 수단에 의해, 평행법 또는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스텝과,
    화상 합성 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이들 화상 데이터가 평행법 및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패딩 데이터를 영역을 구분하여 합성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스텝에서는, 합성 화상의 종횡의 사이즈가 미리 지정된 어스펙트 조정비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합성하는 상기 패딩 데이터의 사이즈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 방법.
  10. 평행법 또는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과, 이들 화상이 평행법 및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패딩 데이터가 영역을 구분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시트.
  11. 컴퓨터를,
    평행법 또는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이들 화상 데이터가 평행법 및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패딩 데이터를 영역을 구분하여 합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합성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화상 처리용 프로그램.
  12. 평행법 또는 교차법의 스테레오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과, 이들 화상이 평행법 및 교차법 중 어느 쪽의 스테레오 화상인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패딩 데이터가 영역을 구분하여 합성된 합성 화상을 포함하는 구조화 화상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7002278A 2005-06-29 2006-06-29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238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9450 2005-06-29
JP2005189450A JP4665167B2 (ja) 2005-06-29 2005-06-29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および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PCT/JP2006/313024 WO2007001056A1 (ja) 2005-06-29 2006-06-29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並びに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462A true KR20080028462A (ko) 2008-03-31
KR101238555B1 KR101238555B1 (ko) 2013-02-28

Family

ID=3759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278A KR101238555B1 (ko) 2005-06-29 2006-06-29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10266A1 (ko)
EP (1) EP1906678A4 (ko)
JP (1) JP4665167B2 (ko)
KR (1) KR101238555B1 (ko)
CN (1) CN101213845A (ko)
WO (1) WO2007001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7279B2 (ja) * 2005-06-29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画像再生用プログラム
JP4720785B2 (ja) * 2007-05-21 2011-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15457B2 (ja) * 2009-04-03 2012-04-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54569B2 (ja) * 2009-11-18 2014-03-2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立体映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立体映像データ処理方法
JP2011139262A (ja) * 2009-12-28 2011-07-1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19383A (ja) * 2010-07-08 2012-01-26 Panasonic Corp 記録制御装置、半導体記録装置および記録システム
CN102231838B (zh) * 2010-07-14 2013-03-27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立体图像处理方法及立体显示装置
WO2012066768A1 (ja) * 2010-11-19 2012-05-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テレオ画像生成装置及びステレオ画像生成方法
KR101939796B1 (ko) * 2012-09-12 2019-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크로스토크 보상을 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메모리 저감장치
CN105550639B (zh) * 2015-12-07 2019-01-18 国家测绘地理信息局卫星测绘应用中心 对地观测激光测高卫星高程控制点自动提取方法和数据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675B2 (ja) * 1991-07-24 2000-08-2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3081497B2 (ja) * 1995-03-30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60143A (ja) * 1995-12-12 1997-06-20 Nikon Corp ステレオカメラ
US5956737A (en) * 1996-09-09 1999-09-21 Design Intelligence, Inc. Design engine for fitting content to a medium
US6222947B1 (en) * 1997-02-19 2001-04-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edium on which programs are recorded
US6631205B1 (en) * 1999-01-13 2003-10-07 Canon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imaging in a portable document format
KR100334722B1 (ko) * 1999-06-05 2002-05-04 강호석 Mpeg 데이터를 이용한 입체영상생성방법 및 그 장치
US6657655B1 (en) * 1999-09-30 2003-12-02 Canon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image display apparatus
JP2001245322A (ja) * 2000-03-01 2001-09-07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立体画像の入出力方法と装置
US7254265B2 (en) * 2000-04-01 2007-08-07 Newsigh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2D/3D image conversion and optimization
WO2001097531A2 (en) * 2000-06-12 2001-12-20 Vrex, Inc. Electronic stereoscopic media delivery system
JP3841630B2 (ja) * 2000-08-29 2006-11-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取り扱い装置
US7822969B2 (en) * 2001-04-16 2010-10-26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 systems and methods
US20030107646A1 (en) * 2001-08-17 2003-06-12 Byoungyi Yoo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angles of a stereoscopic image based on a camera location
JP2003244727A (ja) * 2002-02-13 2003-08-29 Pentax Corp ステレオ画像撮像装置
WO2003092305A1 (en) * 2002-04-25 2003-11-0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encodder, image decoder, record medium, and image recorder
JPWO2003092304A1 (ja) * 2002-04-25 2005-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記録媒体
WO2004004363A1 (ja) * 2002-06-28 2004-01-08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符号化装置、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撮影装置
EP1519582A4 (en) * 2002-06-28 2007-01-31 Sharp Kk Image data delivery system, image data sending device therefor and image data receiving device therefor
US7804995B2 (en) * 2002-07-02 2010-09-28 Reald Inc. Stereoscopic format converter
JP4225768B2 (ja) * 2002-07-31 2009-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処理用プログラム
JP4133573B2 (ja) 2003-05-16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US20050041120A1 (en) * 2003-08-18 2005-02-24 Miller Casey Lee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audio information from a captured image
JP4393161B2 (ja) * 2003-11-20 2010-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50149399A1 (en) * 2003-12-18 2005-07-07 Fuji Photo Film Co., Ltd. Service server and service method
US7791640B2 (en) * 2004-01-23 2010-09-07 Olympus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generating stereo image
JP3746506B2 (ja) * 2004-03-08 2006-02-15 一成 江良 立体視化パラメータ埋込装置及び立体視画像再生装置
JP4665166B2 (ja) * 2005-06-29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および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RU2377623C2 (ru) * 2007-04-20 2009-12-27 Васи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ЖОВ Способ наблюдения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й с полным разрешением для каждого ракур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1056A1 (ja) 2007-01-04
US20090110266A1 (en) 2009-04-30
JP2007013375A (ja) 2007-01-18
EP1906678A1 (en) 2008-04-02
JP4665167B2 (ja) 2011-04-06
EP1906678A4 (en) 2009-09-02
KR101238555B1 (ko) 2013-02-28
CN101213845A (zh)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555B1 (ko)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665166B2 (ja)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および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US694432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three dimensional image data having one file structure and recording the image data on 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three dimensional image data having one file structure
US7889196B2 (en) 3-dimensional image creating apparatus, 3-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KR100940879B1 (ko) 입체화상 기록장치
KR101057971B1 (ko)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화상 표시 방법
JP4693900B2 (ja) 画像処理装置
JP5430266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90128622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5184377A (ja) 画像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WO20100414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2008124963A (ja) 3次元画像データ用画像ファイルの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4512276B2 (ja) 撮像装置
JP4516188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918874B1 (ko) 돔 스크린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4819194B2 (ja) 複眼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