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216A -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216A
KR20080028216A KR1020060093738A KR20060093738A KR20080028216A KR 20080028216 A KR20080028216 A KR 20080028216A KR 1020060093738 A KR1020060093738 A KR 1020060093738A KR 20060093738 A KR20060093738 A KR 20060093738A KR 20080028216 A KR20080028216 A KR 2008002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switching
sensing
rotat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박상호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216A/ko
Priority to JP2007009407A priority patent/JP2008082691A/ja
Priority to CNB200710004256XA priority patent/CN100567839C/zh
Publication of KR2008002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종래보다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정확한 유로전환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를 개시한다. 개시한 유로전환장치는 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며, 감지장치는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PATH CHANGING DEVICE AND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가 적용된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가 적용된 환기장치의 단면도로, 열교환 환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가 적용된 환기장치의 단면도로, 일반 환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의 사시도로, 환기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가 적용된 환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의 감지장치 감지조건과 초기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케이스, 15: 외기유입구,
16: 내기배출구, 17: 외기배출구,
18: 내기유입구, 20: 우회배출유로,
30: 열교환기, 40: 배기송풍유닛,
50: 급기송풍유닛, 60: 유로전환장치,
61: 유로전환판, 62: 유로전환모터,
63: 회전부재, 64: 연결부재,
65: 지지브래킷, 66: 제1돌기,
67: 제2돌기, 68: 제3돌기,
69: 감지센서, 70: 제어부.
본 발명은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정확한 유로전환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로전환장치는 공기조화설비나 환기장치 등에서 공기의 송풍경로를 변경시키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5-98398호에는 이러한 유로전환장치가 채용된 환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공보에 개시된 환기장치는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와,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과하거나 전열교환기를 우회하도록 유로를 변경할 수 있는 유로전환장치(원문에는 "댐퍼"라 표현됨)를 갖추고 있다. 즉 이 장치에서는 유 로전환장치가 배출유로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한다.
위 공보는 유로전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통상적으로 이러한 장치에 채용되는 유로전환장치는 유로의 분기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로전환판과, 유로전환판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어 주는 구동장치와, 구동장치의 동작 해제 시 유로전환판의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로전환장치는 장기간 사용으로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이 약해질 경우 유로전환판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지 않아 동작불량이 생길 수 있었다. 또 이러한 유로전환장치는 복원스프링의 채용으로 인하여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였다.
유로전환장치의 다른 형태로는 유로전환판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스탭모터를 채용한 예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로전환장치는 가격이 비싼 스탭모터를 채용하기 때문에 유로전환장치의 제조원가가 높은 결점이 있었다.
또 스탭모터의 회전위치 감지를 위해 복수의 센서를 사용할 뿐 아니라 스탭모터에 직류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D/C컨버터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정확한 유로전환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는 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상기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반대편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3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돌기와 상기 제3돌기 사이의 간격과 같고,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돌기와 제3돌기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180도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90도의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돌기들의 감지시차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유로전환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는 송풍경로가 다른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중 하나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상기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유로와 실외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유로를 갖춘 본체케이스와,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열교환배출유로와,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우회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배출유로와 상기 우회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 환장치는 상기 열교환배출유로와 상기 우회배출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상기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본체케이스(10)를 구비하고,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0)를 구비한다.
본체케이스(10)는 실외 쪽의 제1측면부(11), 실내 쪽의 제2측면부(12), 제1측면부(11)와 제2측면부(1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측면부(13,14)를 구비하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면부와 하면부를 구비한다. 실외 쪽의 제1측면부(11)에는 외기유입구(15)와 내기배출구(16)가 형성되고, 제2측면부(12)에는 내기유입구(17)와 외기배출구(18)가 형성된다. 또 제1 및 제2측면부(11,12)에는 덕트(미도시)의 연결을 위한 소정길이의 연결관들(19a,19b,19c,19d)이 마련된다.
열교환기(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유로(31)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2유로(32)를 구비하는 전열교환기이다. 제1유로(31)와 제2유로(32)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이며 상호 구획된다. 이러한 열교환기(30)에서는 제1유로(31)를 통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제2유로(32)를 통하여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체케이스(10) 내부의 내기배출구(16) 쪽에는 실내공기의 배기을 위한 배기송풍유닛(40)이 설치되고, 본체케이스(10)의 외기배출구(18) 쪽에는 실외공기의 유입을 위한 급기송풍유닛(50)이 설치된다. 배기송풍유닛(40)은 내기배출구(16)와 연계되는 배기팬덕트(41), 배기팬덕트(41) 내에 설치되는 배기송풍팬(42), 배기송풍팬(42)을 구동하는 배기모터(43)를 포함한다. 급기송풍유닛(50)은 외기배출구(18)와 연계되는 급기팬덕트(51), 급기팬덕트(51) 내에 설치되는 급기송풍팬(52), 급기송풍팬(52)을 구동하는 급기모터(5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배기송풍유닛(40)이 동작하면, 내기유입구(17)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30)의 제1유로(31)를 통과하여 배기송풍유닛(40) 쪽으로 흐르고, 배기송풍유닛(40)를 거쳐 내기배출구(16)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송풍유닛(50)이 동작하면, 외기유입구(15)로 유입된 실외공기가 열교환기(30)의 제2유로(32)를 통과하여 급기송풍유닛(50)으로 흐르고, 급기송풍유닛(50)을 거쳐 외기배출구(18)로 배출된다. 이러한 환기동작이 이루어질 때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기(30) 내부를 상호 교차하도록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므로 실 내의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측면부(13)의 내측에 마련되는 우회배출유로(20)와, 내기유입구(17) 쪽에 설치되는 유로전환장치(60)를 포함한다. 우회배출유로(20)는 내기유입구(17)를 통하여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30)를 거치지 않고 배기송풍유닛(40) 쪽으로 곧바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유로전환장치(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17)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하는 유로(이하, '열교환배출유로'라 함)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회배출유로(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교환 환기동작(배출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환기동작)을 수행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환기동작(배출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는 환기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열교환 환기동작은 여름이나 겨울처럼 실내와 실외의 온도편차가 커서 열 회수가 필요할 때 수행하고, 일반 환기동작은 봄이나 가을처럼 실내와 실외의 온도편차가 크지 않을 때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유로전환장치(60)를 동작시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유로전환장치(6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배출유로와 우회배출유로(20)의 분기지점에 설치되는 유로전환판(61)과, 유로전환판(61)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유로전환판(61)은 회전에 의하여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본체케이스(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장치는 유로전환모터(61)와, 유로전환모터(61)의 회전축에 결합된 원판형의 회전부재(63)와, 회전부재(63)와 유로전환판(63)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4), 그리고 회전부재(64)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유로전환모터(6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통상의 교류모터로 구성되며, 지지브래킷(65)에 의하여 본체케이스(10) 바닥면에 고정된다. 연결부재(64)는 일단이 유로전환판(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부재(63)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재(64)와 유로전환판(61)의 연결부(64a)는 유로전환판(63)의 회전중심과 이격되고, 연결부재(64)와 회전부재(63)의 연결부(64b)도 회전부재(63)의 회전중심과 이격된다.
이러한 유로전환장치(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전환모터(62)의 동작에 의해 회전부재(63)가 일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부재(64)가 유로전환판(61)을 밀거나 당겨 줄 수 있다. 따라서 유로전환판(6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회배출유로(20)를 폐쇄함과 동시에 열교환배출유로를 개방하도록 동작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회배출유로(20)를 개방함과 동시에 열교환배출유로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회전부재(63)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63)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감지돌기들(66,67,68)과, 이 감지돌기들(66,67,68)을 감지하도록 회전부재(63) 외측의 지지브래킷(65)에 고정된 감지센서(69)를 포함한다. 감지센서(69)는 감지돌기들(66,67,68)의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돌기들은 제1돌기(66)와, 제1 돌기(66)로부터 회전부재(63)의 회전방향으로 180도의 위치에 마련되는 제2돌기(67)와, 제1돌기(66)로부터 회전부재(63)의 회전방향으로 90도의 위치에 마련되는 제3돌기(68)를 포함한다. 이는 감지돌기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을 다른 감지돌기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한 것이다.
감지센서(69)를 설치할 때는 유로전환판(61)이 우회배출유로(20)의 입구를 폐쇄하고 열교환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일 때 제1돌기(66)를 감지할 수 있고, 유로전환판(61)이 우회배출유로(20)의 입구를 개방하고 열교환배출유로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일 때 제2돌기(67)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한다. 이는 제1돌기(66)가 감지센서(69)와 접할 때 유로전환판(61)이 열교환 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임을 감지하고, 제2돌기(67)가 감지센서와 접할 때 유로전환판(61)이 우회배출유로(20)를 개방한 상태임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제3돌기(68)는 유로전환판(63, 또는 회전부재)의 초기위치 판단을 위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열교환 환기모드 또는 일반 환기모드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입력부(71), 제어부(70), 표시부(72)를 포함한다.
신호입력부(71)는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정보(열교환 환기모드 또는 일반 환기모드)를 제어부(70)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유로전환모터(62), 급기모터(53), 배기모터(43)의 동작을 제어하고, 표시부(72)를 통하여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70)는 동작초기에 유로전환장치(60)의 유로전환모터(62)를 동작시켜 감지센서(69)가 제1 내지 제3돌기(66,67,68)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러한 감지 정보를 토대로 유로전환판(61, 또는 회전부재)의 초기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또 제어부(70)는 유로전환판(61)의 초기위치정보와 신호입력부(71)를 통하여 입력된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유로전환판(61)의 초기위치정보와 입력된 운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할 수 있도록 유로전환모터(62)를 동작시켜 유로전환판(61)의 위치를 초기화한다. 유로전환판(61)의 초기위치판단 및 초기화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로전환판(61)의 초기 위치 판단을 위해 제어부(70)는 유로전환모터(62)를 동작시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6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지센서(69)가 회전부재(63) 외주부의 제1 내지 제3돌기(66,67,68)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감지센서(69)가 최초로 감지하는 돌기로부터 4번째 돌기를 감지할 때까지 수행한다. 만약 감지센서(69)가 제1돌기(66)를 최초로 감지하였다면 다시 제1돌기(66)를 감지할 때까지 수행하는 방식이다. 또 제어부(70)는 최초의 돌기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두 번째 돌기가 감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T1), 두 번째 돌기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세 번째 돌기가 감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T2), 세 번째 돌기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다시 최초로 감지하였던 돌기가 감지될 때까지 걸린 시간(T3)를 계산한다. 도 4의 예처럼 감지센서가 최초 제2돌기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라면, 감지센서는 제2돌기, 제3돌기, 제1돌기, 제2돌기 순으로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T1과 T2는 같고, T3는 T1과 T2의 두 배정도가 된다.
제어부(70)는 이러한 방식으로 각 구간별 시간(T1,T2,T3)을 계산한 후 각 구간별 시간(T1,T2,T3)을 비교하여 유로전환판(61, 또는 회전부재)의 초기위치를 판단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결과가 (T2>T1)&(T2>T3)의 조건(A)인 경우 초기위치는 감지센서(69)와 제3돌기(68)가 접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T1>T2)&(T1>T3)의 조건(B)인 경우 초기위치는 감지센서(69)가 제1돌기(66)와 접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때는 유로전환판(61)이 열교환배출유로를 개방하여 열교환 환기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또 (T3>T1)&(T3>T2)의 조건(C)인 경우 초기위치는 감지센서(69)가 제2돌기(67)와 접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때는 유로전환판(61)이 우회배출유로(20)를 개방하여 일반 환기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유로전환장치(60)는 하나의 감지센서(69)를 채용하면서도 초기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유로전환장치를 갖춘 환기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열교환 환기모드를 실행하면, 제어부(70)는 유로전환판(61)의 초기위치 감지를 통해 초기위치를 판단하고, 입력된 운전정보(열교환 환기모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유로전환판(61)이 열교환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유로전환판(61)의 위치가 열교환배출유로를 개방한 상태이면, 급기송풍유닛(50)과 배기송풍유닛(40)을 동작시킨다. 만약 유로전환판(61)의 위치가 운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유로전환모터(62)를 동작시켜 유로전환판(61)의 위치가 운전정보와 일치하도록 하는 초기화동작을 실행 한 후(유로전환판이 열교환배출유로를 개방하 도록 한 후) 급기 및 배기송풍유닛(50,40)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모두 열교환기(30)를 통과한다. 따라서 열교환을 수반하는 환기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 환기모드를 실행하면, 제어부(70)는 역시 유로전환판(61)의 초기위치 감지를 통해 초기위치를 판단하고, 입력된 운전정보(일반 환기모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유로전환판(61)의 위치가 우회배출유로(20)를 개방한 상태이면, 급기송풍유닛(50)과 배기송풍유닛(40)을 동작시킨다. 만약 유로전환판(61)의 위치가 운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유로전환모터(62)를 동작시켜 유로전환판(61)의 위치가 운전정보와 일치하도록 하는 초기화동작을 실행한 후(유로전환판이 우회배출유로를 개방하도록 한 후) 급기 및 배기송풍유닛(50,40)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우회배출유로(20)를 통하여 배출되고,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때는 열교환 없이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로전환장치는 모터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유로전환판을 밀거나 당겨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 유로전환장치에 비하여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감지센서를 통하여 유로전환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보다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로전환장치는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유로전환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교류모터의 채용이 가능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로전환장치는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센서가 감지하고, 각 돌기가 감지되는데 걸리는 구간별 시간(T1,T2,T3)을 제어부가 계산하여 유로전환판의 정확한 초기위치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유로전환동작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상기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로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반대편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3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돌기와 상기 제3돌기 사이의 간격과 같고,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돌기와 제3돌기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180도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90도의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감지돌기들의 감지시차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유로전환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전환장치.
  6. 송풍경로가 다른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중 하나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상기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반대편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180도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90도의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감지돌기들의 감지시차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유로전환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실내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유로와 실외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유로를 갖춘 본체케이스와,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상기 본체케이스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열교환배출유로와,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우회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배출유로와 상기 우회배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열교환배출유로와 상기 우회배출유로의 분기지점에 설치된 유로전환판과, 상기 유로전환판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유로전환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감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다른 감지돌기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돌기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의 반대편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2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의 상기 회전부재 외주부에 마련된 제3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180도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1돌기로부터 회전방향으로 90도의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돌기들의 감지시차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유로전환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60093738A 2006-09-26 2006-09-26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KR20080028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738A KR20080028216A (ko) 2006-09-26 2006-09-26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JP2007009407A JP2008082691A (ja) 2006-09-26 2007-01-18 流路切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換気装置
CNB200710004256XA CN100567839C (zh) 2006-09-26 2007-01-19 通道转换装置及具有该装置的换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738A KR20080028216A (ko) 2006-09-26 2006-09-26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216A true KR20080028216A (ko) 2008-03-31

Family

ID=3925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738A KR20080028216A (ko) 2006-09-26 2006-09-26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082691A (ko)
KR (1) KR20080028216A (ko)
CN (1) CN1005678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0116824A1 (ja) * 2009-03-30 2012-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JP5202441B2 (ja) * 2009-05-27 2013-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CN106224267A (zh) * 2016-08-31 2016-12-14 佛山市海顿灯饰电器有限公司 一种超薄多功能送风排气电器
JP6976431B2 (ja) * 2018-06-06 2021-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8143U (ko) * 1986-02-21 1987-08-31
JPH0672568B2 (ja) * 1987-10-21 1994-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制御用の回転位置検出装置
JP4796234B2 (ja) * 2000-04-19 2011-10-19 株式会社ハーマン 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3734A (zh) 2008-04-02
JP2008082691A (ja) 2008-04-10
CN100567839C (zh)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680B2 (en) Air conditioner
JP2012189265A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1598890B1 (ko) 선택형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 공조시스템
JPH09159208A (ja) 空調用換気装置
KR20080028216A (ko) 유로전환장치 및 이를 갖춘 환기장치
US6880799B2 (en) Self-adjusting system for a damper
KR101140712B1 (ko) 전열 교환기 및 그 제어 방법
JP3862052B2 (ja) 空気調和機
KR101701883B1 (ko) 전동댐퍼 개폐시스템
JP2001239827A (ja) 除加湿装置
JPH0763404A (ja) 空気調和機
JPH07324788A (ja) 換気装置
KR101474498B1 (ko) 환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222779B2 (ja) 加湿装置
KR20090064979A (ko) 덕트형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262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방법
KR2010007940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12927B1 (ko) 공기조화기
JPH0783485A (ja) 空気調和装置
KR102615252B1 (ko) 고장 유무 감지기능을 갖는 창틀 장착형 환기 장치
JP3203747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H03211337A (ja) 換気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102387845B1 (ko) 욕실 습기 제거 장치
JPH11325538A (ja) マルチ形空気調和機の誤配線検出方法
KR10018724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