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798A -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798A
KR20080027798A KR1020077030785A KR20077030785A KR20080027798A KR 20080027798 A KR20080027798 A KR 20080027798A KR 1020077030785 A KR1020077030785 A KR 1020077030785A KR 20077030785 A KR20077030785 A KR 20077030785A KR 20080027798 A KR20080027798 A KR 2008002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put
mode
mobile communica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218B1 (ko
Inventor
조정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703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2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은 입력된 제1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로 구동한 후,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한다. 이어서, 입력된 제2 구동 개시 명령에 따른 제2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별도의 작업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통화 기능 외에 부가적으로 전화번호부 등록, 일정 관리 기능,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알람 기능,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MP3 파일) 재생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전화 통화 기능이 이용되지 않는 동안, 이동 통신 단말기를 MP3 파일 재생, SMS 메시지 전송, 알람 설정, 게임,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작업 공간의 제약, 표시 화면의 제약, 각 기능간의 우선 순위 등의 제약 조건으로 인해 한번에 하나의 기능만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MP3 파일을 재생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며, SMS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도중 알람 조건을 재설정할 수 없 다.
또한, 사용자는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도중 호 착신이 이루어지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자동으로 전화 통화를 위한 모드로 전환되므로 전화 통화 종료 후 SMS 메시지를 재작성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05-0052086호에 MP3 파일 재생 중일지라도 SMS 메시지 전송만은 가능하도록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MP3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내에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삽입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화한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일지라도 사용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을 동작시킬 수 있을 뿐이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즉, MP3 파일 재생과 SMS 메시지 전송)만의 이용이 가능할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는 제약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먼저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술적 과제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별도의 작업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수행 도중에 호 착신이나 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지 않고 다른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작업의 중단을 초래하지 않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복수화함으로써 동시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합한 별도의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거나 종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정할 필요가 없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모드에서 각각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별 동작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이 유형화된 MP3 프로세서 칩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므로 단말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 방법 및 그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제1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구동하는 단계;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로 전환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제2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은, 상기 모드 전환 명령이 재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 명령이 재입력된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로 구동하도록 동작 모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부를 이용한 키 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키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키 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키 버튼 입력이 있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이 상기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처리된 음향을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모든 어플리케이션만이 상기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음향을 상기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구동하는 단계; 호 착신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구동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및 포어그라운드 모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은,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오디오 재생 조건이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갱신되고, 미리 설정된 조건은 볼륨을 0(Zero)로 조정, 볼륨을 미리 지정된 크기로 조정, 일시 정지(pause), 중지(stop)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은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재생 조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 입력에 따른 동작 개시 명령,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 상기 입력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출력된 상기 2개의 동작 개시 명령에 상응하는 2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제어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제어부;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임의의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경우 생성한 제어 명령을 상기 포어그라운드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임의의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생성한 제어 명령을 상기 백그라운드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여 모드 전환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는 포어그라운드 제어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제어부 상호간에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교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 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과정을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전화 통화 기능이 동시 실행되는 경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개체를 순차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부(110), 무선 회로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송수화부(125), 표시부(130), 입력부(135), 메모리부(140), 인터페이스부(145)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10)는 무선 회로부(115)로부터 수신된 전송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신호, 전화 통화 요청,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등)를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신호(예를 들어, 타 사용자의 음성 신호, 사용자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른 음원 데이터 등)를 수신하여 무선 회로부(115)로 전달한다.
무선 회로부(115)는 안테나부(110)를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음성 신호,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입력부(135)를 통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키 선택에 상응하는 동작 명령) 및/또는 송수화부(12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등을 안테나부(110)로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송수화부(125)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안테나부(11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송수화부(125)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20)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송수화부(125)를 통해 출력될 소리(예를 들어, 음성 신호, MP3 데이터 재생 신호, 게임 수행에 따른 효과 음향 등)가 외부 입출력 장치(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 다.
송수화부(125)는 마이크 등의 송화부와 스피커 등의 수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휴대형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수단이고, 스피커는 안테나부(110)를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 사용자의 음성 신호, 입력부(135)에 구비된 임의의 키 버튼 선택에 상응하는 송출음, MP3 데이터 재생 소리 등을 출력하는 수단이다.
표시부(130)는 휴대형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시각 정보, 수신된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예를 들어 액정 화면일 수 있다.
입력부(135)는 터치 스크린 또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5)는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롬(RO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중, 플래쉬 메모리는 실시간 운영 시스템(OS : Operating System), 호처리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램으로부터 읽어들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이 부분에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롬은 EEPROM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롬에는 지워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기타 저장용 데이터(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름,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 입출력 장치(160)와 결합되어 임의의 데이터(예를 들어,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 전달되는 소리 데이터 등)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 수단이다. 외부 입출력 장치(160)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45)는 유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외부 입출력 장치(160)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무선(예를 들어, IrDA, 블루투쓰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45)는 무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입출력 장치(160)는 리모컨이 구비된 이어폰, 무선 헤드셋 등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각각 다른 동작 모드(즉,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 및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 동작 모드는 2이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안테나부(110), 무선 회로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송수화부(125), 표시부(130), 입력부(135), 메모리부(140), 인터페이스부(145)를 제어한다.
제어부(150)의 상세 구성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동작 상태 제어부(210), 입력 제어부(220),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230), 모드 제어부(240), 화면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상태 제어부(210)는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타 구성요소들과 안테나부(110), 무선 회로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송수화부(125), 표시부(130), 입력부(135), 메모리부(140), 인터페이스부(145)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동작 상태 제어부(210)는 모드 제어부(240)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작되고 있는 동안에도 호 착신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동작 모드에서 전화 통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복수의 동작 모드(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종료하고 전화 통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작 상태 제어부(210)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상태 제어부(210)가 외부 입출력 장치(160)와의 결합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전압 레벨의 변동 특성 등을 통해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가 인식하는 다양한 방법이 더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입력 제어부(220)는 인터페이스부(145)를 경유한 외부 입출력 장치(160)의 제어 명령(예를 들어, 호 착신시 전화 통화 개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재생 중지, 일시 정지 등) 및/또는 입력부(13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예를 들어, 통화 요청, 데이터 입력 등)을 입력받아 동작 상태 제어부(210) 또는 모드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입력 제어부(220)는 입력된 제어 명령이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 (160)로부터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지정된 포맷의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드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35)에서 입력된 제어 명령은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것이고, 외부 입출력 장치(160)에서 입력된 제어 명령(여기서, 전화 통화 개시 명령 등은 제외될 수 있음)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외부 입출력 장치(예를 들어, 무선 헤드셋, 리모컨이 구비된 이어폰)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라도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것이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포어그라운드 모드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각각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에 구비된 모드 전환키의 입력에 의해 각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는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입력부(135) 및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키 입력 신호 또는 전압 변화량 등일 수 있고, 입력 제어부(220)에서 생성하는 정보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명령, 제어 명령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135) 및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제어 명령이고 입력 제어부(220)에서 출력하는 정보가 명령 데이터인 것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입력 제어부(220)가 제어 명령이 어디로부터 입력된 것인지를 인식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전압 레벨의 변동 특성 등을 통해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가 인식하는 다양한 방법이 더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명령 데이터 내에는 당해 제어 명령이 포어그라운드 모드를 위한 것인지 또는 백그라운드 모드를 위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거나, 입력 제어부(220) 또는 동작 상태 제어부(210)가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모드 제어부(240)로 명령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23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관리, 입력 제어부(220)에 의한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구동 등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230)는 오디오 처리부(120)가 이용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오디오 처리부(120) 및 소리 출력부(즉, 송수화부(12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를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각각 처리된 소리 데이터가 재생될 때 정확한 소리 데이터 출력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물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하되 동작 상태 제어부(210)가 포어그라운드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한 소리 데이터만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백그라운드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한 소리 데이터의 볼륨을 자동으로 작게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모드 제어부(240)는 포어그라운드 모드(즉, 표시부(130)를 통해 주된 형태로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포어그라운드 제어부(260) 및 백그라운드 모드(즉, 표시부(130)를 통해 구동 상태가 표시되지 않거나 아이콘 등으로만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백그라운드 제어부(270)를 포 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키의 입력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된 경우 각 모드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변경될 수 있다.
각 모드 제어부(240, 즉 포어그라운드 제어부(260) 및 백그라운드 제어부(270))는 입력 제어부(220) 또는 동작 상태 제어부(210)로부터 수신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모드에서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한다. 각 모드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각각 상이한 것이거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모드 제어부(240)의 동작 과정은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화면 제어부(250)는 각 모드 제어부(240)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 상태 등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과정을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 요소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할지라도 당업자는 각 단계의 수행 주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구 동한다. 구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은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에서 동작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포어그라운드 모드란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P3 파일 재생, 메시지 작성, 게임,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을 실행했을 때 표시부(13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형태가 표시되는 동작 모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시 기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MP3 파일 재생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MP3 파일 재생을 위한 화면(420)이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MP3 파일 재생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가능하므로 별도의 프로세서 칩을 마더보드상에 마운팅할 필요가 없다.
단계 31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 현재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백그라운드 모드는 표시부(13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는 표시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형태(예를 들어, 아이콘)로 표시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지속되는 동작 모드이다. 예를 들어, MP3 재생 기능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되어 수행될지라도 사용자가 포어그라운드 모드 상태에서 선택하여 재생되도록 한 곡의 재생은 지속될 것이며, 재생에 의한 소리는 송수화부(12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를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될 것이다.
사용자는 모드 전환키(415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모드 전환키의 입력 횟수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 모드, 포어그라운드 모드, 백그라운드 모드 순으로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유지한다.
그러나,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 32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한 후 변경된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한다. 사용자의 모드 전환 명령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된 경우 표시부(130)에는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대기 화면(425)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130)에는 대기 화면(425)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으로 바뀐 경우에도 사용자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아이콘(422)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422)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화면(425)과 아이콘(42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설계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33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의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325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제어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단계 340으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한다. 즉, 동시에 수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은 각각 독립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이들의 동시 수행을 위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신규 생성하는 과정이 불필요함은 자명하다. 도 4의 화면 430에는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게임이 수행된 경우의 화면 표시가 예시되어 있고, 화면 435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수행한 경우의 화면 표시가 예시되어 있다.
단계 34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 임의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모드 전환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명령,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제어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단계 345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제어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단계 350으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당해 제어 명령이 모드 전환 명령이라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것이다. 또한, 입력부(135)를 통한 제어 명령은 포어그라운드 모드를 제어하고, 외부 입출력 장치(160)는 백그라운드 모드를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제어 명령이 어디로부터 입력되었는가에 따라 해당 제어 명령을 포어그라운드 제어부(260)로 전달할 것인지 백그라운드 제어부(270)로 전달할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며, 제어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되고, 각 어플리케이션들이 효과음 출력(예를 들어, 게임)이나 오디오 데이터 재생(예를 들어, MP3 파일 재생) 등으로 소리 출력부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를 정상 적으로 들을 수 없을 것이다. 이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간에 오디오 처리부(120)를 이용할 수 있는 우선권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재생이 높은 우선권을 가진다면 소리 출력부를 통해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소리만이 출력될 것이고, 게임 수행에 따른 효과음의 출력은 억제될 것이다.
물론, 오디오 처리부(120)를 동시에 이용하여야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로 선택되는 경우 나중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은 억제되도록 제한하거나,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 데이터만이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설정 방법은 디폴트(default)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동작 모드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DMB 방송을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라 할 때 사용자는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KBS 채널을 재생하도록 지정하고,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MBC 채널을 재생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드 전환키만을 조작 함으로써 복수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번갈아 시청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510에서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고, 모두 오디오 처리부(120)를 이용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 어플리케이션이 아니거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오디오 처리부(120)를 이용하도록 설정(예를 들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재생 중이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모드 설정과 같은 대기 상태)된 경우에는 앞서 도 4에서와 같이 처리한다.
그러나, 동일 어플리케이션이고 모두 오디오 처리부(120)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단계 520으로 진행하여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 소리만을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될 소리 선택 및 제어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외에도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SMS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된 메시지의 텍스트 내용을 복사(copy)한 후 모드 전환키를 입력하여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대기중인 메시지 작성 화면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표시되도록 하고, 표시된 메시지 작성 화면에 붙여넣기(paste)함으로써 메시지 작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전화 통화 기능이 동시 실행되는 경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화 통화 기능 외에 각각의 부가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복합 기능화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일지라도 가장 근본적인 기능은 전화 통화 기능이므로 전화 통화 기능이 우선시 처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미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처리부(120)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이후에 전화 통화 기능이 실행되더라도 오디오 처리부(120) 또는 각 모드 제어부(240)에 대한 제어가 불필요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한 후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전화 통화가 종료된 후 모드 전환키를 선택하여 종래에 실행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오디오 파일 재생)이 오디오 처리부(120)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전화 통화를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35)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16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될 것이며, 사용자의 모드 전환키 입력에 의해 백그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모드가 전환될 것이다.
단계 61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화 통화를 위한 호 착신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호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제어 명령(예를 들어, 재생할 오디오 데이터 선택 및 추가 등)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호 착신이 이루어졌다면 단계 620으로 진행하여 미리 지정된 조건에 따른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중이라면 발신자 표시 등을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모드 전환을 수행하고, 호 착신에 따른 벨 소리 출력을 위해 미리 지정된 소리 출력 조건에 따라 오디오 파일 재생을 제어한다. 소리 출력 조건은 오디오 파일 재생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조건,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볼륨을 미리 지정된 크기 이하로 감소시키는 제2 조건,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볼륨을 0으로 설정하는 제3 조건, 오디오 파일 재생을 통화 종료시까지 일시 정지시키는 제4 조건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소리 출력 조건은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벨 소리가 출력된 이후 사용자의 통화 개시 명령(예를 들어, 폴더를 여는 행위 등)에 의해 전화 통화가 개시될 것이다.
상술한 소리 출력 조건의 적용은 호 착신시 알림 모드가 벨 소리 출력이 아닌 진동 모드라면 사용자의 통화 개시 명령 입력시까지 유보될 수도 있다.
단계 62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통화 개시 명령에 의해 개시된 전화 통화가 종료되었거나 통화 거부 명령(예를 들어, 폴더를 연 직후 닫는 행위 등)에 의해 통화가 거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화 통화 중이라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화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소리 출력 조건이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이라면 송수화부(125)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음향이 사용자의 음성과 함께 발신자의 단말기로 함께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전화 통화가 종료되거나 거부된 경우라면 단계 630으로 진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610에서의 오디오 파일 재생 조건(예를 들어, 볼륨 설정)으로 환원하여 오디오 파일 재생을 지속 또는 연속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별도의 작업 모드에서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수행 도중에 호 착신이나 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진 경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지 않고 다른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구동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작업의 중단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복수화함으로써 동시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합한 별도의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거나 종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정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드에서 각각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별 동작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이 유형화된 MP3 프로세서 칩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므로 단말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제1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구동하는 단계;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로 전환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제2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명령이 재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 명령이 재입력된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로 구동하도록 동작 모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부를 이용한 키 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
    키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키 버튼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키 버튼 입력이 있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이 상기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처리된 음향을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2 어플 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음향을 상기 소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6.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구동 개시 명령에 따라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 모드(Foreground Mode)로 구동하는 단계;
    호 착신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구동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및
    포어그라운드 모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오디오 재생 조건이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갱신되고,
    미리 설정된 조건은 볼륨을 0(Zero)로 조정, 볼륨을 미리 지정된 크기로 조정, 일시 정지(pause), 중지(sto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화통화 기능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재생 조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동시 구동 방법.
  10.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 입력에 따른 동작 개시 명령,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
    상기 입력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출력된 상기 2개의 동작 개시 명령에 상응하는 2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포어그라운드 (Foreground) 제어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제어부;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태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임의의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경우 생성한 제어 명령을 상기 포어그라운드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임의의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이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생성한 제어 명령을 상기 백그라운드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 입력에 상응하여 모드 전환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제어부는 포어그라운드 제어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제어부 상호간에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교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77030785A 2007-12-28 2005-08-26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8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30785A KR100881218B1 (ko) 2007-12-28 2005-08-26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30785A KR100881218B1 (ko) 2007-12-28 2005-08-26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798A true KR20080027798A (ko) 2008-03-28
KR100881218B1 KR100881218B1 (ko) 2009-02-05

Family

ID=3941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785A KR100881218B1 (ko) 2007-12-28 2005-08-26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2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868A2 (en) * 2009-02-20 2010-08-26 Dreamer Method for managing java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KR101104454B1 (ko) * 2010-06-29 2012-0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KR101414051B1 (ko) * 2012-07-10 2014-07-02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50128090A (ko) * 2014-05-08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WO2016118519A1 (en) * 2015-01-19 2016-07-28 Berman Matthew System and methods for facile, instant, and minimally disruptive playback of media files
CN117631793A (zh) * 2024-01-25 2024-03-01 深圳曦华科技有限公司 复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78B1 (ko) 2012-06-12 2014-07-17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통화 화면 전환 장치
KR102148948B1 (ko) * 2013-12-06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멀티 태스킹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20A (ko) * 2001-12-26 2003-07-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윈도우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기록매체와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0573074B1 (ko) * 2003-10-13 2006-04-2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868A2 (en) * 2009-02-20 2010-08-26 Dreamer Method for managing java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WO2010095868A3 (en) * 2009-02-20 2010-11-18 Dreamer Method for managing java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KR101144346B1 (ko) * 2009-02-20 2012-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자바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04454B1 (ko) * 2010-06-29 2012-0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KR101414051B1 (ko) * 2012-07-10 2014-07-02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50128090A (ko) * 2014-05-08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WO2016118519A1 (en) * 2015-01-19 2016-07-28 Berman Matthew System and methods for facile, instant, and minimally disruptive playback of media files
CN117631793A (zh) * 2024-01-25 2024-03-01 深圳曦华科技有限公司 复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7631793B (zh) * 2024-01-25 2024-05-10 深圳曦华科技有限公司 复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218B1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765B2 (en)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imultaneously
KR100881218B1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9712659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EP1761008B1 (en)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US200402354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located remote from a user
EP2651176B1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09177595A (ja) 携帯型の情報処理端末、当該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方法、および当該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5433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 중 선택적 수신 방법
EP3157175A1 (en) Voic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1796094A2 (en) Sound effect-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elephone
US20090240842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5108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중 문자 메시지전송 방법
CN112804616B (zh) 移动终端及其音频播放方法
KR20070074799A (ko) 가상 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88176B1 (ko) 외부 입출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6012415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녹음 예약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을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728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방법
KR10130562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멀티태스킹 구동을 통한서비스확장방법
KR101273483B1 (ko) 홀드상태 자동전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기기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100729510B1 (ko)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를 다르게 구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3467B1 (ko) 휴대단말기의 모드전환 방법
KR1008345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편집 방법
JP2006304181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機能設定方法、機能設定システム
KR20060062540A (ko) 통화 내용 자동 저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