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454B1 -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454B1
KR101104454B1 KR20100062390A KR20100062390A KR101104454B1 KR 101104454 B1 KR101104454 B1 KR 101104454B1 KR 20100062390 A KR20100062390 A KR 20100062390A KR 20100062390 A KR20100062390 A KR 20100062390A KR 101104454 B1 KR101104454 B1 KR 10110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ser
advertisement
user modul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51A (ko
Inventor
허제민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54B1/ko
Priority to US13/171,750 priority patent/US20110321044A1/en
Priority to EP11171929.0A priority patent/EP2402858B1/en
Priority to CN201110190897.5A priority patent/CN102314390B/zh
Priority to JP2011144208A priority patent/JP5320440B2/ja
Publication of KR2012000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듈,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모듈,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하여는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를 요청하는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 및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를 포함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Terminal device for Configuring User's Virtual Machine condition in Backgrou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 머신의 사용이 서버 가상화 기술 분야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의 PC,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 환경에 멀티 프로세서가 채용되고 하드웨어가 고 사양화됨에 따라서 유휴 자원의 관리에 있어서 더욱 효율적인 가상화 환경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장치가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머신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머신의 상태를 백그라운드에서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가상머신들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시청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사용자 모듈의 사용 시간 연장으로 대체하는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 시청 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현재 작업중인 사용자 모듈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듈;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모듈;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하여는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를 요청하는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 및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와 연동하는 단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중인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옵션 선택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로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 또는 유지를 요청하는 것을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는,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서비스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서비스 모듈의 사용 스케쥴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스케쥴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사용자 모듈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서비스 모듈의 사용 스케쥴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듈;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광고 모듈;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하여는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를 요청하는 광고 시간 컨트롤부; 및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와 연동하는 단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중인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옵션 선택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로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 또는 유지를 요청하는 것을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는,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는,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유지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광고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광고 스케쥴을 제공받고, 상기 광고 스케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사용자 모듈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광고 스케쥴을 참조하여,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비된 사용자 모듈,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비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광고를 위한 단말장치의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광고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동작중인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상기 옵션 선택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을 중지 또는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는,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의 회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유지는,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의 회수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광고 스케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모듈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광고 스케쥴을 참조하여,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은 단말장치가 포함하는 복수의 가상머신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머신의 상태를 백그라운드에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은, 복수의 가상머신들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사용자에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은, 사용자 모듈의 누적 사용시간에 따라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광고 시청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자 모듈에 대한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 시간 확보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은, 사용자 모듈의 누적 사용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광고 시청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 모듈이 자동으로 종료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이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종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더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블럭도,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선택 UI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광고 모듈과 사용자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예로 들어서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단말장치가 사용자 모듈과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로서 이들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나이므로 본원 발명이 그러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원 발명은 광고 모듈이 아닌 다른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과 사용자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광고 모듈"은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광고 서비스가 아닌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하,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모듈"과 "사용자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도 본원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할 도 1의 실시에에서, "광고 시간 컨트롤부" 는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를 의미하고, "광고 스케쥴"은 "서비스 스케쥴"을 의미하고, "광고 운영체제부"는 "서비스 운영체제부"를 의미하고, "광고 가상머신"은 "서비스 가상머신"을 의미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고, '서비스 관리 서버'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이며, '서비스 모듈'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장치의 클라이어언트 하이퍼바이저상에 설치되는 모듈이다. 또한,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이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부'는 서비스 모듈에 포함된 서비스 가상머신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서비스 운영체제부'는 클라이어언트 하이퍼바이저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아서 동작하며, '서비스 가상 머신'은 서비스 운영체제부상에서 동작하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부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서비스 정책'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으로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서비스 스케쥴'이 설정된다.
이상에서 언급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아래에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를 기반으로 설명한 실시예를 다른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로 전용하거나 변형하는 것은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100), 서비스 관리 서버(300), 및 서비스 제공자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들은 서로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유선 혹은 무선의 통신망을 통칭하는 것으로 통신망의 종류에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가 "광고 서비스"인 경우로서, 단말장치(100)가 광고용 단말장치이고, 서비스 관리 서버(300)가 광고 관리 서버이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400)가 광고주 서버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위한 단말장치(이하, "광고용 단말장치" 또는 "단말장치"라 한다)(100)로서,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 사용자 모듈(120), 및 광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모듈"과 "광고 모듈"이라고 함은 가상머신, 이 가상 머신상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및 이 운영체제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칭하는 의미로 본원 명세서에서 전반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가상머신의 상태"라고 함은 상기 사용자 모듈이나 광고 모듈에 포함한 "가상머신의 상태"를 의미하며, 다만, 이들 모듈의 상태나 가상머신의 상태를 서로 특별히 구별할 실익이 없는 경우라면 이들 "모듈의 상태"나 "가상머신의 상태"를 구별 없이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단말장치(100) 내의 하드웨어(미도시)와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이 사용자로부터 소정 요청신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를 통해 입력 장치, 및 표시 장치와 같은 하드웨어와의 통신으로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 및 광고 모듈(13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본 광고용 단말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는 것과 동시에 동작을 시작하고, 동작을 시작한 이후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을 동작시킬 때,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에게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에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만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의 동작을 중지시킬 때,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에 기부여한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에 기부여한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만 회수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운영체제(OS) 스위치(이하, "OS 스위치"라 한다)(111)를 포함한다. OS 스위치(111)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가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때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 모듈(120) 혹은 광고 모듈(130)에 선택적으로 자원의 사용권한 혹은 입출력 제어권을 부여 및 회수할 때 스위칭을 담당한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가 초기 동작할 때, OS 스위치(111)는 사용자 모듈(120) 및 광고 모듈(130) 중 하나에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도록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OS 스위치(111)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의 초기 동작시 사용자 모듈(120)에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도록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의 초기 동작시 OS 스위치(111)가 사용자 모듈(120)에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한 상태에서, 추후 사용자 모듈(120)로부터 광고 모듈(130)의 동작이 요청되면, OS 스위치(111)는 사용자 모듈(120)에 기부여된 자원의 사용권한을 광고 모듈(130)로 전환 부여한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 상에는 서로 동일 레벨로 사용자 모듈(120) 및 광고 모듈(130)이 설치된다. 여기서, 사용자 모듈(120)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설치된 프로그램의 모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 모듈(120)은 사용자 가상 머신(121), 사용자 운영체제부(122),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 및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가상 머신(121)은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 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의 OS 스위치(111)로부터 입출력 제어권을 부여받는 것에 의해 동작된다.
사용자 운영체제부(122)는 사용자 가상 머신(121) 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의 OS 스위치(111)에 의해 사용자 가상 머신(121)에 입출력 제어권이 부여되었을 때 동작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가 초기 동작하였을 때에는 디폴트로 사용자 모듈(120)에 자원의 사용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광고용 단말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면, 사용자 가상 머신(121)과 사용자 운영체제부(122)의 동작이 시작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는 사용자 운영체제부(122) 상에서 동작한다. 사용자 운영체제부(122)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설치된다. 만약, 사용자 운영체제부(122)가 통상의 윈도우일 경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는 윈도우에서 작동 가능한 워드프로그램, 그림편집프로그램, 컨텐츠재생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운영체제부(122) 상에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와 동일 레벨로 설치된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사용자 운영체제부(122) 상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됨과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실행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동작하는 동안 현재 실행중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한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모니터링 결과, 기설정된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광고 모듈(130)의 동작을 요청한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단발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단말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어도 현재 모니터링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사용시간을 누적하여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의해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에서는 자신이 모니터링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누적 사용시간이 광고 스케쥴에 따른 기준 사용시간에 도달할 경우에 광고 모듈(130)의 동작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유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데, 이 비용을 광고를 시청하는 행위에 의해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광고 스케쥴에 설정되어 있는 누적 사용시간만큼 사용될 경우,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강제적으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광고 모듈(130)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광고 스케쥴에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기준 사용시간이 5시간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사용시간 모니터링 결과 해당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총 5시간이 사용되면, 광고 모듈(130)의 동작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유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유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일 필요는 없다.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라도 본원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에서 광고 모듈(130)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광고 모듈(130)의 동작을 요청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사용자가 사용자 모듈(120)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옵션 선택 UI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와 별도의 단독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상태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에 내장되어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복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 각각에 내장되어야 할 것이다.
광고 모듈(130)은 광고 가상 머신(131), 광고 운영체제부(132), 및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가상 머신(131)은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 상에서 동작하고, 광고 운영체제부(132)는 광고 가상 머신(131) 상에서 동작하며,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는 광고 운영체제부(132) 상에서 동작한다.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에 의해 광고 모듈(130)에 자원의 사용권한이 부여되면, 광고 가상 머신(131), 광고 운영체제부(132), 및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는 모두 동작을 시작한다.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는 광고 컨텐츠를 재생한다.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는 로그부(134), 및 광고 스케쥴 컨트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부(134)는 광고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해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관련 정보를 로그로 기록한다. 광고 스케쥴 컨트롤부(135)는 광고주의 광고 정책에 의해 광고 스케쥴을 설정하고, 설정된 광고 스케쥴에 의해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 정보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에 대한 기준 사용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그부(134) 및 광고 스케쥴 컨트롤부(135)가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에 내장된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로그부(134) 및 광고 스케쥴 컨트롤부(135)는 광고 어플리케이션부(133)와 연동하는 단독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b의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는 하나의 기능 블록 안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이들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별도라고 함은 논리적으로 구분되거나, 위치적으로 구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선택 UI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에서 광고 모듈(130)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될 때, 사용자에게 광고 시청시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중지할 것인지 혹은 유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 선택 UI(200)를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옵션 선택 UI(200)는 팝업 창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옵션 선택 UI(200)에는 "광고 시청 중 작업 중지" 혹은 "광고 시청 중 작업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디오 버튼에 의해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메뉴(210)를 예시하였지만, 이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라면 설계 과정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옵션 선택 UI(200)에서 사용자가 "광고 시청 중 작업 중지"를 선택하면, 사용자 모듈(120)에 대한 동작의 중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광고 시청 중 작업 유지"를 선택하면, 사용자 모듈(120)에 대한 동작의 유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동작의 중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광고 모듈(130)은 동작을 시작하고, 사용자 모듈(120)은 정지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정지"라고 함은,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완전히 턴 오프된 경우와, 모듈이 턴 오프되지는 않았지만 자원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동안 수행되던 동작이 멈추는 상태(suspend)를 포함한다. 이후, 광고 모듈(130)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듈(120)은 재부팅 과정을 통해 재시작되거나, 자원할당이 이루어져서 동작이 다시 개시하게 된다.
한편, 동작의 유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광고 모듈(130)은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 모듈(120)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그래도 진행한다. 이 경우, 광고 모듈(130)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듈(120)은 재부팅 과정 없이 다시 메인 모듈로서 동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동작을 시작하고, 사용자 모듈(120)에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한다(S301). 이에 의해, 사용자 모듈(120)은 동작을 시작한다(S303). 즉, 사용자 가상 머신(121)과 사용자 운영체제부(122)가 동작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운영체제부(12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시킨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실행되면,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도 실행되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한다(S305).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의 모니터링 결과, 현재 실행되고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의 누적 사용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사용시간에 도달하면, 즉, 광고 모듈(130)의 동작 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S307-Y),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옵션 선택 UI(200)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광고 모듈(130)의 동작 시간에 도달하기 이전에는(S307-N) 계속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옵션 선택 UI(200)를 통해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 유지 선택신호를 입력하면(S309),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로 광고 모듈의 동작을 요청함과 함께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 유지를 요청한다(S311).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의 요청에 의해,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광고 모듈(130)에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한다(S313). 이에 의해, 광고 모듈(130)은 동작을 시작한다. 즉, 광고 컨텐츠가 재생된다(S315).
또한,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에 부여했던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을 회수한다(S317). 이에 의해, 사용자 모듈(120)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한다(S319).
이후, 광고 모듈(130)에 의해 광고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S321-Y), 광고 모듈(130)은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로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을 요청한다(S323).
광고 모듈(130)의 요청을 받은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광고 모듈(130)로부터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하고(S325), 사용자 모듈(120)에는 입출력 제어권을 재부여한다(S327). 이에 의해, 광고 모듈(130)은 종료되고, 사용자 모듈(120)은 다시 메인에서 동작한다(S329).
S305 단계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실행되면,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가 실행된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가 실행되지 않더라도, 사용자 운영체제부(122)에 의해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가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123)를 감시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S313 단계 및 S317 단계는 서로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혹은, S313 단계 및 S317 단계는 설명의 편의상 순차적인 단계로 설명하였지만, 두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401 내지 S407 단계는 도 3의 S301 내지 S307 단계가 동일하다. 그러므로, S401 내지 S407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가 옵션 선택 UI(200)를 통해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 중지 선택신호를 입력하면(S409), 광고 시간 컨트롤부(124)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로 광고 모듈(130)의 동작 요청과 함께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 중지를 요청한다(S411).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광고 모듈(130)에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한다(S413). 이에 의해, 광고 모듈(130)은 동작을 시작하여 광고 컨텐츠를 재생한다(S415).
또한,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사용자 모듈(120)로부터는 기부여했던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한다(S417). 이에 의해, 사용자 모듈(120)은 동작이 중지된다(S419).
이후, 광고 모듈(130)에 의해 광고 컨텐츠 재생이 완료되면(S421-Y), 광고 모듈(130)은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로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을 요청한다(S423).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110)는 광고 모듈(130)로부터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하고(S425), 사용자 모듈(120)에 다시 자원의 사용권한을 부여한다(S427). 이에 의해, 사용자 모듈(120)은 동작을 시작한다(S429).
상술한 절차에 의해, 사용자 모듈(120)의 누적 사용시간에 따라 광고 모듈(130)이 동작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의 중지 및 유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 모듈(120)이 데이터의 다운로드와 같은 동작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광고 모듈(130)의 동작시간이 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용자 모듈(120)의 동작이 중지되어 발생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옵션 선택 UI(200)은 컴퓨터가 처음에 켜졌을 때 또는 사용자 모듈이 동작하는 중간에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옵션 선택 UI(200)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기는 본원 발명의 정신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단말장치 110 :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
111 : OS 스위치 120 : 사용자 모듈
121 : 사용자 가상 머신 122 : 사용자 운영체제부
123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 124 : 광고 시간 컨트롤부
130 : 광고 모듈 131 : 광고 가상 머신
132 : 광고 운영체제부 133 : 광고 어플리케이션부
134 : 로그부 135 : 광고 스케쥴 컨트롤부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듈;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모듈;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하여는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를 요청하는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 및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와 연동하는 단독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중인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옵션 선택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로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 또는 유지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는,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서비스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상기 서비스 모듈의 사용 스케쥴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 스케쥴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사용자 모듈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서비스 모듈의 사용 스케쥴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9.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듈;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광고 모듈;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하여는 선택적으로 동작 중지를 요청하는 광고 시간 컨트롤부; 및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와 연동하는 단독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중인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옵션 선택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로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 또는 유지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는,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부는,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유지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광고 모듈로부터 기설정된 광고 스케쥴을 제공받고, 상기 광고 스케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간 컨트롤부는, 상기 사용자 모듈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광고 스케쥴을 참조하여,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
  18.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비된 사용자 모듈,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비된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광고를 위한 단말장치에서의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광고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모듈은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동작중인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선택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듈에 대한 동작의 중지 및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을 중지 또는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중지는,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의 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의 동작 유지는, 상기 사용자 모듈에 할당하였던 자원의 사용권한 중 입출력 제어권의 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광고 스케쥴에 따라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의 사용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광고 스케쥴을 참조하여, 상기 광고 모듈의 동작시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모듈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
KR20100062390A 2010-06-29 2010-06-29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KR10110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390A KR101104454B1 (ko) 2010-06-29 2010-06-29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US13/171,750 US20110321044A1 (en) 2010-06-29 2011-06-29 Client hypervisor-based termi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1171929.0A EP2402858B1 (en) 2010-06-29 2011-06-29 Client Hypervisor-Based Termi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110190897.5A CN102314390B (zh) 2010-06-29 2011-06-29 基于客户机管理程序的终端装置及其操作方法
JP2011144208A JP5320440B2 (ja) 2010-06-29 2011-06-29 クライアントハイパーバイザー基盤の端末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390A KR101104454B1 (ko) 2010-06-29 2010-06-29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51A KR20120001551A (ko) 2012-01-04
KR101104454B1 true KR101104454B1 (ko) 2012-01-12

Family

ID=4561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2390A KR101104454B1 (ko) 2010-06-29 2010-06-29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33B1 (ko) * 2013-11-14 2015-06-26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모바일 가상화 환경에서 스마트워크 보안 프레임워크 지원을 위한 다중 채널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563A1 (en) * 2012-02-24 2013-08-29 Remasys Pty Ltd Router-based end-user performance monitoring
KR102205902B1 (ko) * 2014-03-17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304A (ko) * 2003-12-22 2005-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가상머신 구동용 실행 환경구조 및 그 실행방법
KR20070010788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80027798A (ko) * 2007-12-28 2008-03-2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90029798A (ko) * 2006-07-14 2009-03-23 인텔 코오퍼레이션 멀티태스킹 가상 머신을 위한 힙 구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304A (ko) * 2003-12-22 2005-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가상머신 구동용 실행 환경구조 및 그 실행방법
KR20070010788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90029798A (ko) * 2006-07-14 2009-03-23 인텔 코오퍼레이션 멀티태스킹 가상 머신을 위한 힙 구성
KR20080027798A (ko) * 2007-12-28 2008-03-2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33B1 (ko) * 2013-11-14 2015-06-26 주식회사 알투소프트 모바일 가상화 환경에서 스마트워크 보안 프레임워크 지원을 위한 다중 채널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51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227B1 (ko) 멀티모드 컴퓨팅 디바이스
RU24971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JP53435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782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of a graphics processing core in a virtual environment
JP6526044B2 (ja) 情報想起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端末
US951394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machine
US20200174823A1 (en) Stat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machine, and smart terminal thereof
JP5320440B2 (ja) クライアントハイパーバイザー基盤の端末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TW200529010A (en) Network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6897077B (zh) 应用程序控制方法
KR101122962B1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멀티 가상머신 전환 방법
CN103840963B (zh) 一种服务器数据更新方法,及装置
CN106209412B (zh) 资源监控系统与其方法
KR101104454B1 (ko)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용 가상머신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그 방법
JP5493976B2 (ja) 情報処理装置、計算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898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 data of portable terminal
CN115576645A (zh) 一种虚拟处理器调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048897B1 (ko) 백라이트 구동 시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984616A (zh) 一种服务器监控方法及服务器
KR101284451B1 (ko) 휴대용 단말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15762B1 (ko)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 머신을 관리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방법
CN106776057B (zh) 事件处理方法及装置
KR101132466B1 (ko)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 기반에서의 사용자용 가상머신상에 설치된 모듈을 보호하는 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1135312B1 (ko) 사용자 가상머신 상에 설치된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그 방법
CN109286792B (zh) 一种监控视频存储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