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440A -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440A
KR20080027440A KR1020070061268A KR20070061268A KR20080027440A KR 20080027440 A KR20080027440 A KR 20080027440A KR 1020070061268 A KR1020070061268 A KR 1020070061268A KR 20070061268 A KR20070061268 A KR 20070061268A KR 20080027440 A KR20080027440 A KR 20080027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ixing
mold
plate
press
fix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기
Original Assignee
친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친화정공(주) filed Critical 친화정공(주)
Publication of KR2008002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4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을 금형고정바에 고정하여 프레스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와 프레스가 일체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프레스에 판형 소재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고, 금형의 크기에 따라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스케일을 통하여 미리 측정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본체에 프레스 가공을 위한 판형 소재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상기 판형 소재를 프레스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전방에서 금형을 고정하고 프레스에 삽입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측면에는 소정 개수의 금형고정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한쌍의 금형고정바와, 금형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61268
프레스, 금형, 소재, 공급, 투입, 자동화

Description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MOLD FIXING DEVICE FOR FEEDING PLATE MATERIAL TO PRESS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적치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통관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사용상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P 프레스
M 금형
S 판형 소재
W(너비) × B(폭) × H(높이)
10 본체
10a 상부본체
10b 하부본체
11 이동바퀴
12 본체높이조절수단
12a 본체높이조절실린더
20 금형 고정 장치
21 금형고정바
21a 금형고정공
21b 금형고정바관통공
22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
22a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
23 스케일
30 소재 적치 장치
30a 굴곡부
31 적치간격조절수단
31a 전방적치블록
31aa 전방적치굴절봉
31b 후방적치블록
31ba 후방적치굴절봉
31c 측면적치블록
31aa 측면적치굴절봉
40 소재 이송 장치
41 밀판
42 이송실린더
43 이송실린더이동수단
50 소재 통관 장치
51 통관블록
52 통관높이조절수단
52a 조절볼트
52b 통관블록가압스프링
60 가이드 장치
61 측면가이드프레임
61a 측면가이드돌출부
61b 스크루삽입공
61c 연결판
62 상부가이드프레임
62a 상부가이드돌출부
63 측면가이드프레임너비조절수단
63a 스크루
64 상부가이드프레임높이조절수단
64a 힌지축
64b 회동볼트
64c 상부가이드프레임가압스프링
70 소재 배출 장치
71 에어노즐
80 제어 장치
본 발명은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을 금형고정바에 고정하여 프레스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와 프레스가 일체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프레스에 판형 소재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고, 금형의 크기에 따라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스케일을 통하여 미리 측정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는 기계의 일부분으로 큰 힘을 발생시켜 재료의 소성 가공이나 절단을 행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미리 제작된 금형에 사람이 일일이 소재를 투입한 후 프레스를 작동시켜 소재를 가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동중인 프레스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인 상태에서 기계의 오작동이나 사람의 실수로 인해 손이 절단되거나 사람이 숨지는 등의 안전사고도 매우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요즘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스위치를 설치하여 사람이 프레스의 작동 반경에서 완전히 벗어난 후에 작동스위치를 눌러야 프레스가 작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제품의 생산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하나의 물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는 하나의 특정된 프레스 소재에 특화된 로봇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프레스 소재 투입의 자동화를 꾀하려고 하고 있으나, 이 역시 다품종 소량 생산을 하는 제조업체에서는 투자비용 등의 문제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여전히 수작업으로 프레스에 소재를 투입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을 금형고정바에 고정하여 프레스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 장치와 프레스가 일체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프레스에 판형 소재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의 크기에 따라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스케일을 통하여 미리 측정하여 조절한 후 금형을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금형고정바에 금형을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프레스 판형 소 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고정바를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본체에 프레스 가공을 위한 판형 소재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상기 판형 소재를 프레스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전방에서 금형을 고정하고 프레스에 삽입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측면에는 소정 개수의 금형고정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한쌍의 금형고정바와, 금형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금형을 금형고정바에 고정하여 프레스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 장치와 프레스가 일체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프레스에 판형 소재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상기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스케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금형의 크기에 따라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스케일을 통하여 미리 측정하여 조절한 후 금형을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금형고정바에 금형을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상기 금형고정바의 후단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금형고정바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은, 상기 금형고정바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금형고정바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이 상기 본체에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금형고정바를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적치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재 통관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 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는 본체(10)와, 금형 고정 장치(20)와, 소재 적치 장치(30)와, 소재 이송 장치(40)와, 소재 통관 장치(50)와, 가이드 장치(60)와, 소재 배출 장치(70)와, 제어 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로 구성되고, 이동바퀴(11)와, 본체높이조절수단(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퀴(11)는, 판형 소재(S)의 공급이 필요한 프레스(P)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고정 장치(20)가 금형(M)을 고정한 상태로 프레스(P)에 삽입되면 더이상 이동되지 않고 소재 자동 투입 과정에서 흔들림이 없도록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본체고정수단(13)을 추가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높이조절수단(12)은, 몸체(12aa)와 로드(12ab)로 이루어진 본체높이조절실린더(1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높이조절실린더(12a)의 몸체(12aa)는 상기 하부본체(10b)에 고정시키고, 진퇴되는 로드(12ab)는 상기 상부본체(10a)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높이조절실린더(12a)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본체(10a)가 올려지고 내려지게 되어 본체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20)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금형 고정 장치(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고정바(21)와,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22)과, 스케일(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형고정바(21)는, 금형(M)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측면에는 소정 개수의 금형고정공(21a)이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단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금형고정바관통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형고정공(21a)을 통하여 금형(M)의 양측면과 볼트로 결합하여 금형(M)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고정바관통공(21b)은,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22a)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22a) 상에서 상기 금형고정바(21)가 회전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22)은, 금형(M)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금형고정바(21)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 장착된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22a)으로 이루어진다.
도 3c는 상기 금형(M)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금형 고정 장치(20)의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22)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22a)은, 상기 금형고정바관통공(21b)에 삽입되어 금형(M)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금형고정바(21)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호간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22a)의 형상은 상기 금형고정바(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케일(23)은, 금형(M)의 크기를 측정한 후 상기 금형고정바(21) 상호간 간격을 상기 금형(M)의 크기에 따라 미리 조절한 후 상기 금형(M)을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금형고정바(21)에 상기 금형(M)을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시인성 및 정확성을 위해서는 상기 스케일(2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상기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22a)의 전면에 부착되는게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적치 장치(30)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프레스 가공을 위한 판형 소재(S)가 차례대로 적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30a)가 형성되고, 적치간격조절수단(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굴곡부(30a)는, 내부에 판형 소재(S)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10)에 연직하게 장착되는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판형 소재(S)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판형 소재(S)가 소정 이상의 압력을 받지 않도록 소정위치에서 굴절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판형 소재(S)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연직하게 적층되도록 하여 판형 소재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되기 쉬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판형 소재(S)가 상기 굴곡부(30a)에서 꺾여 적층되게 함으로써 연직하게 적층되는 판형 소재(S)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최하단에 위치한 판형 소재(S)가 적층된 판형 소재(S)의 과도한 무게로 인하여 슬라이딩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적치간격조절수단(31)은, 상기 판형 소재(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의 폭과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방적치블록(31a)과, 후방적치블록(31b)과, 측면적치블록(3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c는 상기 판형 소재(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의 적치간격조절수단(31)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전방적치블록(31a)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고정된다. 상기 판형 소재(S)의 전방에서 상기 판형 소재(S)를 정렬하는 기능을 하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기 판형 소재(S)가 하단부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관블록(51)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방적치블록(31a)의 상단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적방적치굴절봉(31aa)이 장착된다.
도면에는 그 일실시예로 상기 적방적치굴절봉(31aa)이 상기 전방적치블록(31a)의 상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적방적치블록(31a)의 상단에 상기 전방적치굴절봉(31aa)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적치굴절봉(31aa)을 상기 홈에 착탈하는 방법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후방적치블록(31b)은, 상기 전방적치블록(31a)의 후방에서 상기 판형 소재(S)의 폭(B)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판형 소재(S)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후방적치블록(31b)의 상단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후방적치굴절봉(31ba)이 장착된다.
도면에는 그 일실시예로 상기 후방적치굴절봉(31ba)이 상기 후방적치블록(31ba)의 상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적치블록(31b)의 상단에 상기 후방적치굴절봉(31ba)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후방적치굴절봉(31ba)을 상기 홈에 착탈하는 방법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측면적치블록(31c)은, 상기 전방적치블록(31a)과 상기 후방적치블록(31b) 사이의 양측면에서 상기 판형 소재(S)의 너비(W)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쌍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측면적치블록(31c)의 상단에는 각각 측면적치굴절봉(31ca)가 장착된다.
도 6a 내지 도 6b를 살펴보면 상기 측면적치블록(31c)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일실시예로 상기 판형 소재(S)의 너비(W)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상호간 간격조절이 가능한 측면가이드프레임(61)과 '∩'형의 연결판(61c)으로 연결하여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과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적치블록(31c)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이송 장치(40)는,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에 적층된 판형 소재(S) 중 최하단에 위치한 판형 소재(S)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금형(M)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판(41)과, 이송실린더(42)와, 이송실린더이동수단(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판(41)은,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에 적층된 판형 소재(S) 중 최하단에 위치한 판형 소재(S)만을 밀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의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소정 정도 돌출되고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송실린더(42)에 연결되어 왕복 이동되며 최하단에 위치한 판형 소재(S)을 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실린더(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의 후방에 몸체(42a)가 구비되고, 로드(42b)는 상기 밀판(41)에 연결되어, 상기 밀판(41)이 상기 금형(M)에 근접하게 왕복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실린더이동수단(43)은, 상기 판형 소재(S)의 폭(B)에 따라 상기 이송실린더(42)의 몸체(42a)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판형 소재(S)의 폭(B)이 좁은 경우에는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판형 소재(S)의 폭(B)이 넓은 경우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밀판(41)을 구동시켜 상기 판형 소재(S)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이송실린더이동수단(43)의 일실시예로 상기 이송실린더(42)의 몸체(42a)의 하부에 스크루 및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통하여 상기 이송실린더(42)의 몸체(42a)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통관 장치(50)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소재 통관 장치(50)는 상기 소 재 이송 장치(40)에 의해 상기 판형 소재(S)가 슬라이딩 되는 경우 하나의 판형 소재(S)만이 통과되도록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의 전방에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대응되는 틈을 갖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소재 통관 장치(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관블록(51)과, 통관블록높이조절수단(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관블록(51)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관블록(51)의 하부로 하나의 상기 판형 소재(S)만이 통과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관블록(51)의 상부에 상기 전방적치블록(31a)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판형 소재(S)의 전방에서 상기 판형 소재(S)를 정렬하는 기능을 하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기 판형 소재(S)가 상기 통관블록(51)을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관블록높이조절수단(52)은,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따라 상기 통관블록(5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틈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절볼트(52a)와, 통관블록가압스프링(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c는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따라 상기 소재 통관 장치(50)의 통관높이조절수단(52)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조절볼트(52a)는, 회전되며 상기 통관블록(5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조절볼트(52a)가 상기 전방적치블록(31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되어 회전되며 상 기 조절볼트(52a)의 하단이 상기 통관블록(51)의 상면에 압력을 가하고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통관블록(5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관블록가압스프링(52b)은, 상기 통관블록(51)을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통관블록(52)의 양측 말단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의 사이에 인장스프링(52b)이 체결되어 상기 통관블록(51)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가이드 장치(60)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가이드 장치(60)는 상기 소재 통관 장치(50)에서 상기 금형(M)에 이르기까지 상기 소재 이송 장치(40)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상기 판형 소재(S)를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측면가이드프레임(61)과, 상부가이드프레임(62)과, 측면가이드프레임너비조절수단(63)과, 상부가이드프레임높이조절수단(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판형 소재(S)의 양측면을 가이드해주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기 판형 소재(S)의 너비(W)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고 상부로 돌출된 측면가이드돌출부(61a)를 갖고, 하단부에는 각각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삽입공(61b)이 각각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에는 상기 측면적치블록(31c)이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과 일체로 동작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의 후방에 상기 통관블록(51) 및 상기 전방적치블록(31a)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측면적치블록(31c)과 연결되도록 '∩'형의 홈이 형성된 연결판(61c)이 구비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스크루삽입공(61b)에는 스크루(63a)가 삽입되어 회전되며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a)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판형 소재(S)의 양측 상부를 가이드해주도록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가이드돌출부(62a)를 갖는다.
한편, 상부가이드돌출부(62a)는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돌출되기는 하되, 상기 소재 통관 장치(50)를 통과한 상기 판형 소재(S)의 양측 상부를 가이드해주는 역할만 하면 되는 관계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이드돌출부(62)가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반드시 평행하게 구비될 필요는 없고, 상기 상부가이드돌출부(62a)의 하단이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대응되는 높이를 유지하면 된다.
또한, 상기 판형 소재(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의 상호간 간격 및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측면가이드프레임너비조절수단(63)과, 상부가이드프레임높이조절수단(64)이 구비된다.
도 6c는 상기 판형 소재(S)의 크기에 따라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너비조절수단(63)과 상부가이드프레임높이조절수단(64)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너비조절수단(63)은, 상기 판형 소재(S)의 너비(W)에 따라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크루(6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루(63a)는,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의 하단부에 각각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삽입공(61b)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을 상호 마주보는 방향 및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스크루(63a)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루(63a)와 체인연결된 핸들이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높이조절수단(64)은, 상기 판형 소재(S)의 높이(H)에 따라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힌지축(64a)과, 회동볼트(64b)와, 상부가이드프레임가압스프링(6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축(64a)은,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상부가이드돌출부(61a)의 하단과 상기 본체(10)의 상면과의 상호간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이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볼트(64b)는,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을 상기 힌지축(64a)을 중심으로 회동 및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볼트(64b)가 삽입되어 회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여 상기 상부가이드 프레임(62)이 상기 힌지축(64a)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가압스프링(64c)는, 상기 상부가이드돌출부(62a)의 하단과 상기 본체(10)의 상면과의 상호간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을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61)과 상기 상부가이드프레임(62) 사이에 인장스프링(64c)를 체결하여 상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배출 장치(70)는, 상기 소재 이송 장치(40)에 의해 상기 금형에 안착된 상기 판형 소재(S)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에어노즐(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노즐(71)은, 노즐의 선단이 금형(M)에 근접하여 상기 판형 소재(S)에 공기압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금형(M) 상에 놓인 가공된 상기 판형 소재(S)에 공기를 불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재 배출 장치(70)는 상기 금형(M)에 놓인 상기 판형 소재(S)를 외부로 밀어내는 실린더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제어 장치(80)는, 상기 소재 이송 장치(40)를 작동시키고, 상기 판형 소재(S)가 상기 금형(M)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프레스(P)를 작동시키며, 상기 프레스(P)에 의해 상기 판형 소재(S)가 가공되는 경우 상기 소재 배출 장치(70)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 장치(80)는 상기 이송실린더(42)를 작동시켜 상기 밀판(41)이 상기 소재 적치 장치(30)에 적층된 판형 소재(S) 중 최하단에 위치한 판형 소재(S)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판형 소재(S)가 상기 금형(M)에 안착되도록 하고, 그 후 상기 프레스(P)를 작동시켜 상기 판형 소재(S)를 가공토록 하며, 상기 프레스(P)에 의해 상기 판형 소재(S)가 가공이 되면 상기 에어노즐(71)을 작동시켜 가공된 상기 판형 소재(S)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프레스(P)에 상기 판형 소재(S)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금형을 금형고정바에 고정하여 프레스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 장치와 프레스가 일체로 구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프레스에 판형 소재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금형의 크기에 따라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스케일을 통하여 미리 측정하여 조절한 후 금형을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금형고정바에 금형을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금형고정바를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본체에 프레스 가공을 위한 판형 소재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상기 판형 소재를 프레스에 자동으로 투입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의 전방에서 금형을 고정하고 프레스에 삽입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측면에는 소정 개수의 금형고정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한쌍의 금형고정바와,
    금형의 크기에 따라 상기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고정바 상호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스케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고정바의 후단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금형고정바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금형고정바간격조절수단은, 상기 금형고정바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금형고정바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금형고정바슬라이딩축이 상기 본체에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KR1020070061268A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KR20080027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2086 2006-09-22
KR1020060092086 2006-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440A true KR20080027440A (ko) 2008-03-27

Family

ID=3941428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271A KR20080027442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가이드 장치
KR1020070061269A KR20080027127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적치 장치
KR1020070061270A KR20080027441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통관 장치
KR1020070061267A KR20080027126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 장치
KR1020070061268A KR20080027440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271A KR20080027442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가이드 장치
KR1020070061269A KR20080027127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적치 장치
KR1020070061270A KR20080027441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소재 통관 장치
KR1020070061267A KR20080027126A (ko) 2006-09-22 2007-06-21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0800274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87B1 (ko) * 2009-05-11 2011-04-11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케이스의 커버 압착장치
KR101027389B1 (ko) * 2009-05-11 2011-04-11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케이스의 댐퍼 접착장치
KR101739062B1 (ko) 2015-06-29 2017-05-23 무진기공주식회사 금형소재 자동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26A (ko) 2008-03-26
KR20080027441A (ko) 2008-03-27
KR20080027127A (ko) 2008-03-26
KR20080027442A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0135B2 (en) Means for a machine for cutting sheet elements, and associated arrangements
KR20080027440A (ko) 프레스 판형 소재 자동 투입기용 금형 고정 장치
US20200353653A1 (en) Press for a Casting Machine and Casting Machine
JPH07124992A (ja) 縦型射出成形機
KR20210037226A (ko) 사출 성형품 게이트 자동 커팅 장치
CA1153179A (en) Packaging machine
CN102320186A (zh) 数控全自动烫盘机
CN215969774U (zh) 一种注塑产品的双工位螺母上料装置
KR102212060B1 (ko) 사출 성형품 세팅 장치
CN210477785U (zh) 一种吸塑机裁切用辅助压紧机构
CN201822060U (zh) 自动鸡眼机
CN211437982U (zh) 叉梳式链条装配机
CN208810901U (zh) 抱箍冲孔成型一体机
CN114872451A (zh) 一种自动打码机
KR100247529B1 (ko) 자동압진공 성형물의 펀칭장치
CN109720004B (zh) 一种面纸自动击凹成型设备
EP113215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 tools
CN212982068U (zh) 一种led模条绕线生产线
CN219583348U (zh) 一种橡胶模具料头顶出机构
CN111153195B (zh) 一种双模条自动绕线生产线
CN202147472U (zh) 数控全自动烫盘机
CN218982756U (zh) 一种易下料的折弯模具
CN220426465U (zh) 具有料带限位功能的压台机
CN217570490U (zh) 一种机芯卡摆冲压成型模具
CN220329705U (zh) 一种模内冲压铆钉自动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