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379A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379A
KR20080026379A KR1020060091329A KR20060091329A KR20080026379A KR 20080026379 A KR20080026379 A KR 20080026379A KR 1020060091329 A KR1020060091329 A KR 1020060091329A KR 20060091329 A KR20060091329 A KR 20060091329A KR 20080026379 A KR20080026379 A KR 2008002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bushing
roller
elastic memb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448B1 (ko
Inventor
장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4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imagewise charging, e.g. photoconductive control screen, optically activated charg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재질로 된 회전축을 갖는 회전롤러와; 고전압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회전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소정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며,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에 접촉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고전압을 수령하여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도전성 재질로 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전압발생장치와 회전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전압발생장치, HVPS, 대전장치, 고전압, 연결, 롤러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고전압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롤러와 고전압발생 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고전압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고전압 연결장치의 조립도,
도 5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롤러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전압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회전롤러의 타단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103 : 프레임
105 : 감광드럼 110 : 회전롤러
111 : 대전롤러 113 : 현상롤러
115 : 전사롤러 117 : 클리닝 롤러
120 : 고전압발생장치 130 : 고전압 연결장치
131 : 제1탄성부재 131a : 원주 접촉부
131b : 탄성가압부 131c : 접속연장부
133 : 부싱 133a : 삽입원통부
133b : 축수용부 135 : 홀더
135a : 부싱 수용부 135b : 돌기부
135c : 원주 접촉부 압착부 135d : 원주 접촉부 수용부
141 : 제2탄성부재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롤러와 고전압발생장치(High Voltage Power Supply) 사이의 연결구조를 개선한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 단계를 거쳐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스캐너,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 등이 있다. 대전단계에서는 대전롤러가 감광드럼 표면을 소정 전위로 접촉 대전시킨다. 현상단계에서는 현상롤러 표면에 묻어 있는 음전하를 띤 현상제가 상대적으로 고전위 상태에 있는 감광드럼 표면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으로 이동하여 감광드럼 표면에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전사단계에서는 이러한 현상제로 형성된 감광드럼 표면의 가시화상이 수백V의 양전위로 대전된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매체 측으로 전사된다. 최종적으로 정착단계에서 인쇄매체에 현상제가 열과 압력으로 정착되어 완전한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대전롤러, 현상롤러, 전사롤러와 같은 회전롤러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해 고전압발생장치(HVPS)와 회전롤러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동시에 회전롤러를 감광드럼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고전압 연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2), 부싱(13), 홀더(14)를 갖는다. 홀더(14)는 부싱(13)의 일단부(13b)가 수용되는 수용홈(14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회전롤러(11)의 길이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4b)를 갖는다. 부싱(13)의 일단부(13b)에는 회전롤러(11)의 회전축(11a) 단부를 수용 지지는 축수용공(13a)이 형성되며, 타단부(13c)는 홀더(14)의 돌기부(14b)에 삽입된다. 코일스프링(12)은 홀더(14)의 돌기부(14b)에 삽입되며, 부싱의 타단부(13c)와 연결되어 고전압발생장치로부터 생성된 전위를 부싱(13)으로 전달한다. 또한, 코일스프링(12)은 돌기부(14b)의 돌출방향으로 홀더(14)를 탄성 가압한다. 이에 의해, 고전압발생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소정의 전위가 회전롤러(11)의 회전축(11a)으로 전달됨으로써 회전롤러(11)의 표면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다. 그리고, 홀더(14)를 탄성 가압하는 코일스프링(12)에 의해 회전롤러(11)도 돌기부(14b) 방향(K)으로 탄성 가압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고전압 연결장치는 부싱(13)과 홀더(14)의 형상이 복잡하여 단품 제작성이 떨어진다. 또한, 부싱(13)을 홀더(14)의 수용홈(14a) 및 돌기부(14b)에 동시에 삽입해야 하므로 조립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품 제작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고전압 연결장치를 갖는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재질로 된 회전축을 갖는 회전롤러와; 고전압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회전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소정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며,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에 접촉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고전압을 수령하여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도전성 재질로 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축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원주(圓周)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부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싱을 수용 지지하는 부싱 수용부와, 상기 부싱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부싱의 원주(圓周)방향으로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원주 접촉부와, 상기 원주 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돌기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소정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탄성가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원주 접촉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부싱 수용부로부터 상기 회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원주(圓周)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5)과; 감광드럼(105)의 표면층(105a)에 광을 주사하는 노광유닛(103)과; 대전롤러(111), 현상롤러(113), 전사롤러(115), 클리닝 롤러(117)를 포함하는 회전롤러(110)와; 회전롤러(110)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각각 대전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HVPS, 120)와; 회전롤러(110)와 고전압발생장치(12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롤러(110)를 감광드럼(105)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동시에 고전압발생장치(120)에서 생성한 전위를 회전롤러(110)에 전달하는 고전압 연결장치(130)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05)은 금속성 지지체(105b)의 외주면에는 감광물질로 코팅된 표면층(105)을 갖는다.
회전롤러(110)는 감광드럼(105)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11)와; 노광유닛(103)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형성된 감광드럼(105)의 표면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토너)를 도포하는 현상롤러(113)와; 인쇄매체(P)로 토너를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15)와; 전사된 이후 감광드럼(105)의 표면의 잔류 토너 지꺼기를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117)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05) 표면의 잔류 토너를 긁어서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미도시)가 사용되는 경우, 클리닝 롤러(117)가 생략될 수 있다.
회전롤러(110)는 도전성 재질의 회전축(111a, 113a, 115a, 117a)과 회전축(111a, 113a, 115a, 117a)을 둘러싸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재질의 탄성 표면층(111b, 113b, 115b, 117b)을 갖는다. 표면층(111b, 113b, 115b, 117b)은 감광드럼(105)의 감광물질로 형성된 감광체(105b)와 접촉 회전한다.
토너가 음전하를 띠도록 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의 경우, 대전롤러(111)의 표면은 통상 (-)수천 V( 예를 들어, (-) 1500 V)로 대전되고, 그에 따라 감광드럼(105)의 표면층(105a)은 그보다 낮은 (-) 수백 V (예를 들어, (-) 800 V)의 균일한 표면전위로 대전된다. 그리고, 노광유닛(103)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영역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노광시킴으로써 감광드럼(105)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킨다. 이때, 노광이 안된 부분은 대전에 의해 형성된 표면전위가 그대로 유지되고, 노광된 부분은 전위가 변하게 됨으로써 비노광부분과 노광부분 간에 전위차를 가지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가령, 노광영역은 +40V ~ -40V의 전위를 갖는 반면, 비노광영역은 원래의 표면전위인 (-) 800 V 전위를 띠게 된 다. 한편, 현상롤러(113)의 대전전위는 노광영역의 전위와 비노광영역의 전위사이의 값으로 결정된다. 가령, 상기의 노광 및 비노광영역의 전위차를 갖는 경우, 현상롤러(113)는 +40 ~- 40V에서 (-) 800 V 사이의 대략 -450 V 정도로 대전될 수 있다. 이러한 값은 실험 또는 경험에 의해서 선택되는 값이다. 한편, 현상롤러(113)에 묻어 있던 음전하를 띤 토너는 상대적으로 고전위인 노광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감광드럼(105)의 표면층(105a) 외주면에는 토너 화상(Toner Image)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사롤러(115)는 통상적으로 (+)800 ~ (+)1500 V로 대전되므로 감광드럼(105) 표면의 토너 화상(Toner Image)은 전기적 인력에 의해 인쇄매체(P)로 전사되게 된다. 이렇게 전사된 인쇄매체(P) 상의 토너화상(Toner Image)은 정착롤러(미도시)에 의해 열과 압력으로 인쇄매체(P)에 정착된 후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고전압발생장치(120)는 이러한 각 회전롤러(110)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생성한다. 각 회전롤러(110) 마다 요구되는 전위가 다르므로 그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고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압발생장치(120)는 회로기판에 다수의 전자소자가 장착된 보드(board) 형태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고전압 연결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발생장치(120)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각 회전롤러(110)에 수령 전달할 뿐 만 아니라 회전롤러(110)를 감광드럼(105)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시된 것과 달리, 감광드럼(105) 측이 아닌 소정의 다른 방향으로 회전롤러(110)를 탄성 가압 할 수도 있다. 가령, 클리닝 롤러(117)가 감광드럼(105)이 아닌 전사벨트의 잔류토너를 클리닝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 전사벨트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전압 연결장치(130)는 각 회전롤러(110)의 기능에 맞게 각 회전롤러(110)가 접촉되어야 하는 대상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고전압 연결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롤러(110)에 마련되는 것이 부품호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 회전롤러(110)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회전롤러(110) 중 대전롤러(117)에 고전압연결장치(130)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대전롤러(117) 외의 다른 회전롤러(113, 115)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전압 연결장치(130)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117)의 회전축(117a) 단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부싱(133)과, 부싱(133)과 고전압발생장치(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부싱(133)을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131)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 부싱(133)이 생략되는 경우, 제1탄성부재(131)는 대전롤러(117)의 회전축(110a)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1탄성부재(131)는 고전압발생장치(120)의 고전압을 회전축(117a)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도전성 재질로 마련된다.
또한, 제1탄성부재(131)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접촉부(131a) 및 탄성가압부(131b) 및 접속연장부(131c)를 갖는다.
원주 접촉부(131a)는 부싱(133) 또는 대전롤러(117)의 회전축(117a)을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부싱(133) 또는 회전축(117a)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원주 접촉 부(131a)는 대전롤러(117)가 회전하더라도 부싱(133) 또는 회전축(117a)과 연결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환형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전압발생장치(120)와 대전롤러(117)가 회전하더라도 그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단속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주 접촉부(131a)의 양단부는 후술할 홀더(135)의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에 의해 압착 지지된다. 이에 의해 원주 접촉부(131a)가 장시간 사용 등 기타 사유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부싱(133) 또는 회전축(117a)의 외주면과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가압부(131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접촉부(131a)에서 연장되어 대전롤러(117)의 회전축(117a)을 소정 방향(A)으로 탄성 가압한다. 소정 방향(A)은 감광드럼(105) 측 방향이고, 바람직하게는 감광드럼(105)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지름방향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방향(A)이 각 회전롤러(110)의 기능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탄성가압부(131b)는 제작성 및 조립성 측면에서 후술할 홀더(135)의 돌기부(135b)에 삽입되도록 코일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판(plate) 형상, 기타 소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가압부(131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3)의 안착부(103a)에 안착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103)에 수용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미도시)에 탄성가압부(131b)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탄성가압부(131b)가 대전롤러(117)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이면 프레임(103)에 어떤 방식으로 지지되더라도 무방하다.
프레임(103)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미도시) 내부에 마련된다. 현상기 카트리지의 일부로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미도시)에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프레임(10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103)은 고전압발생장치(120)를 수용할 수도 있다. 고전압발생장치(120)가 프레임(103)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에 있는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3)에 고전압발생장치(120)와 제1탄성부재(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연장부(131c)를 위한 개구(103b)가 마련될 수 있다.
접속연장부(131c)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성 측면에서 탄성가압부(131b)에서 연장되어 탄성가압부(131b)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연장부(131c)는 도시한 것과 다르게 탄성가압부(131b)에서 연장되지 않고 원주 접촉부(131a)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탄성부재(131) 전체가 도전성 재질로 되어 있어 대전롤러(117)의 회전축(117a)으로 고전압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제1탄성부재(131)의 어느 부분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접속연장부(131c)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3)의 개구(103)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된 접속연장부(131c)의 단부와 고전압발생장치(120)를 연결함으로써 고전압발생장치(120)의 고전압을 1탄성부재(131)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프레임(103)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미도시)에 착탈되도록 마련된 경우 기타 필요에 의해서 프레임(103)의 일영역에 도전성 재질의 전기접속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전기접속부와 접속연장부(131c)를 연결되게 할 수 있 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미도시)에는 상기 전기접속부(미도시)에 대응하여 고전압발생장치(120)의 고전압이 전달되는 고전압 인가부를 마련하여 프레임(103)의 본체 착탈 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 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외에도, 접속연장부(131c)와 고전압발생장치(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전압연결장치(130)는 부싱(133) 및 홀더(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싱(133)은,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홀더(135)의 삽입공(135f)에 삽입되는 삽입원통부(133a)와 회전롤러(110)의 회전축(110a)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축수용부(133b)를 갖는다. 삽입원통부(133a)가 조립 시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원통부(133a)의 모서리(133c)는 곡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135)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33)의 일부를 수용하는 부싱 수용부(135a)와, 수용부(135a)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35b)와, 수용부(135a)에서 부싱(13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를 수용하는 원주 접촉부 수용부(135d)와, 원주 접촉부(131a)의 양단부를 압착시키는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를 포함한다.
홀더(135)는 비도전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생산성 측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 수용부(135a)와 원주 접촉부 수용부(135d) 사이에는 대전롤러(117)의 길이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가로판(135e)이 마련된다.
부싱 수용부(135a)는 부싱(133)의 삽입원통부(133a)를 수용한다. 부싱 수용부(135a)에 수용되는 삽입원통부(133a)의 단부 소정 영역은 가로판(135e)에 형성된 삽입공(135f)을 통해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가 수용되는 원주 접촉부 수용부(135d)측으로 돌출된다.
돌기부(135b)에는 제1탄성부재(131)의 탄성가압부(131b)가 삽입된다. 돌기부(135b)는 제1탄성부재(1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돌기부(135b)의 돌출 방향으로 대전롤러(117)를 탄성 가압한다.
원주 접촉부 수용부(135d)는 대전롤러(117)의 회전 중 원주 접촉부(131a)의 진동 또는 미세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원주 접촉부(13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의 양단부를 압착한다.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 사이의 거리(d2)가 원주 접촉부 사이의 거리(d1)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 접촉부(131a)의 양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부싱(133)이 회전하더라도 원주 접촉부(131a)를 부싱(133)의 삽입원통부(133a) 외주면에 접촉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고전압연결장치(130)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131)의 탄성가압부(131b)를 홀더(135)의 돌기부(135b)에 삽입한다.
그 다음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131b)를 돌기부(135b)에 삽입함에 따라 원주 접촉부(131a)가 홀더(135)의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에 닿으면서 압착되면서 마침내 원주 접촉부 수용부(135d)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에 의해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의 양단이 압착됨으로써 원주 접촉부(131a)의 직경이 단품 상태에서보다 홀더(135)에 수용되면서 작아지게 된다. 그래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원주 접촉부(131a)의 직경이 부싱(133)의 삽입원통부(133a)의 직경보다 다소 작아지게 된다.
그 다음에, 대전롤러 회전축(미도시)의 단부에 삽입된 부싱(133)의 조립체를 홀더(135)의 부싱 수용부(135a)로 삽입하면 삽입공(135f)을 관통하여 부싱(133)의 삽입원통부(133a)가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삽입원통부(133a)는 진입 측 모서리(133c)가 곡면 처리되어 있어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가 부싱(133)의 삽입원통부(133a)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원주 접촉부 압착부(135c)가 원주 접촉부(131a)의 양단부를 압착하고 있으므로 부싱(133)이 회전롤러(110)와 함께 회전하더라도 접촉 불량 없이 고전압발생장치(120)의 고전압이 회전롤러(110)의 회전축(110a)으로 전달될 수 있다.
고전압연결장치(130)가 회전롤러(110)의 일 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회전롤러(110)의 반대측 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연결장치(130)의 제1탄성부재(13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롤러(110)를 탄성 가압하도록 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즉, 회전롤러(110)의 반대측 단부에는 부싱(133) 및 제2탄성부재(141) 및 홀더(135)로 이루어진 장치가 설치된다. 제2탄성부재(141)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홀더(135)의 돌기부(135b)에 삽입된다. 제2탄성부재(141)는 회전롤러(110)를 탄성 가압하는 역할 만 하고 고전압발생장치(120)의 고전압을 전달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제1탄성부재(131)의 원주 접촉부(131a) 및 접속연장부(131c)가 마련될 필요가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110)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는 고전압연결장치(130)의 부싱(133) 및 홀더(135)는 제조원가절감 차원에서 부품을 공용화 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그 부재들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부재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고전압연결장치(130)의 제1탄성부재(13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롤러(110)를 탄성 가압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의해서 회전롤러(110)는 소정 방향으로 탄성가압 될 뿐 만 아니라, 고전압발생장치(120)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표면이 소정 전위로 대전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전압연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시켜 단품 제작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품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회전롤러의 회전축으로 고전압발생장치의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Claims (6)

  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재질로 된 회전축을 갖는 회전롤러와;
    고전압발생장치와;
    상기 회전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회전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롤러를 소정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며,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에 접촉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고전압을 수령하여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도전성 재질로 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원주(圓周)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상기 회전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부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을 수용 지지하는 부싱 수용부와, 상기 부싱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부싱의 원주(圓周)방향으로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원주 접촉부와;
    상기 원주 접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홀더의 돌기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롤러를 소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탄성가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원주 접촉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부싱 수용부로부터 상기 회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원주(圓周)방향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91329A 2006-09-20 2006-09-2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29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329A KR101299448B1 (ko) 2006-09-20 2006-09-2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329A KR101299448B1 (ko) 2006-09-20 2006-09-2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379A true KR20080026379A (ko) 2008-03-25
KR101299448B1 KR101299448B1 (ko) 2013-08-22

Family

ID=3941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329A KR101299448B1 (ko) 2006-09-20 2006-09-2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0100B2 (en) 2008-12-24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440A (ja) * 1992-12-26 1994-07-22 Canon Inc 接触帯電装置、被帯電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157543Y1 (ko) * 1997-06-12 1999-09-15 윤종용 대전롤러의 대전전압 인가장치
KR200213869Y1 (ko) * 1998-12-22 2001-03-02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0100B2 (en) 2008-12-24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448B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1386B (zh) 盒以及成像装置
EP1253485A3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method of electrical contact part
KR10108042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319569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1174121B (zh) 辊部件的加压机构和图像形成装置
KR10129944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595671B2 (ja)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13960901B (zh) 像载体单元和具备该像载体单元的图像形成装置
US77564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 imaging member
KR0174689B1 (ko)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US10838347B2 (en) Torsion coil spring supporting structure,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178300B1 (en) Photoreceptor web grounding structure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1545840B1 (ko) 정착장치
CN107615181B (zh) 像载体单元和具备像载体单元的图像形成装置
JP3192575B2 (ja) 帯電装置
KR10047677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접지장치
CN213934544U (zh) 显影盒
KR200157543Y1 (ko) 대전롤러의 대전전압 인가장치
JP2021162816A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1066848A (ja) 画像形成装置
KR200213869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KR0133527Y1 (ko) 감광드럼의 접지 구조
JP4302928B2 (ja) 電圧印加装置
KR100195904B1 (ko) 전자 사진 기록 장치의 현상장치
KR100214314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