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030A -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030A
KR20080026030A KR1020070087722A KR20070087722A KR20080026030A KR 20080026030 A KR20080026030 A KR 20080026030A KR 1020070087722 A KR1020070087722 A KR 1020070087722A KR 20070087722 A KR20070087722 A KR 20070087722A KR 20080026030 A KR20080026030 A KR 2008002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ted information
program
unit
program relat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958B1 (ko
Inventor
요시로 오사키
신이치 구리하라
스나오 와다
야스오 오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2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서 프로그램 콘텐츠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프로그램 콘텐츠는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에 의해 IP 패킷으로 변환된 후 IP 네트워크(106)에 배신된다. 한편, 상기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의해 IP 패킷으로 변환된 후,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와 다른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된다. 단말 장치(20)는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107)에서 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부(110)에 공급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108)에서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저장되고, 출력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115)에 출력된다.

Description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BROADCAST SYSTEM, AND ITS DISTRIBUTION DEVICE AND TERMINAL DEVICE}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9월 19일자로 출원한 선행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53297호에 기초하며 이것을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참조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배신하는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상 디지털 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에서는 아날로그 방송과 마찬가지로 방송파 불감 지역이 존재한다. 이 대책으로서, 전파가 아니라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전송될 정보가 모두 디지털화되고,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디지털 정보로서 다중화되어 송신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방송파의 불감 대책으로서, 기존의 디지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전송하여 불감 지역의 시청자에게 배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 멀티캐스트에 의해 IP 망을 통해 배신하는 중계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600 공보 참조).
그런데, 유선 디지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가입자 수용 부분의 정보 전송 대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신호를 그대로 디지털화하여 전송한 경우, 충분한 품질이 얻어지지 않았거나, 방송파와 같이 다수의 채널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 수용 부분이 한정된 정보 전송 대역에서도 충분한 품질을 확보하여 방송 신호를 배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방송 시스템은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배신 장치(distribution device)에 의해 네트워크상의 임의의 단말 장치에 배신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신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부와, 상기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콘텐 츠를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배신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커넥션과 다른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되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출력 요구를 접수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배신 장치는 방송 신호로부터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등의 프로그램 콘텐츠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고, 각각을 IP 패킷으로 변환한 후, IP 패킷화된 프로그램 콘텐츠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각각 다른 커넥션을 설정하여 네트워크에 배신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로그램 콘텐츠의 전송에 관한 대역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 수용 부분이 한정된 정보 전송 대역에서도 충분한 품질로 프로그램 콘텐츠인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 수용 부분이 한정된 정보 전송 대역에서도 충분한 품질을 확보하여 방송 신호를 배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들은 이하에서 설명되어 부분적으로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들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수단 및 조합들을 통해 실현 및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하며, 전술한 개괄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들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일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은 배신 장치(10)와 단말 장치(20) 사이가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106)를 통해 접속되게 구성된다.
배신 장치(10)는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안테나(101)를 통해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한다.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 공급되고, 영상·음성·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콘텐츠와, 프로그램 콘텐츠 이외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란,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이며, 예컨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이 다. 도 2 중 D1에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 방송 신호는 영상·음성·데이터·프로그램 관련 정보·무효 정보가 다중화되어 있으며,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서는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동시에 무효 정보를 삭제한다.
분리된 정보 중 프로그램 콘텐츠(영상·음성·데이터)는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에 공급된다.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는 분리된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를 결합하여 IP 네트워크(106)에 송신할 수 있는 패킷 형식으로 변환한다. 도 2의 D2가 그 예이다. 상기 분리된 프로그램 콘텐츠는 IP 전송에 필요한 수신처 정보 등의 IP 망 헤더 정보가 부가되어 패킷화된다.
IP 패킷화된 프로그램 콘텐츠는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로부터 도 2의 D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킷 형식으로 IP 네트워크(106)에 설정된 IP 커넥션에 의해 송신된다. IP 네트워크(106)는 멀티캐스트 기능을 가진 IP 네트워크이며, 배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된 IP 패킷은 수신처 정보에 표시되는 그룹 ID에 의해 미리 결정된 멀티캐스트를 형성한다. 도 1은 이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하는 단말 장치(20)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단말 장치(20)는, 예컨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나 STB(Set Top Box)로 구성된다. 단말 장치(20)는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도래하는 패킷을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107)에 의해 수신하고, 그 정보를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부(110)에 공급한다.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부(110)는 영상, 음성, 데이터를 각각의 출력 형식에 따라 재생한다. 단말 장치(10)는 재생된 영상이나 데이터를 디스플레 이(115)에 표시하고, 음성을 스피커(113)로부터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파로서 송신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유선 디지털 네트워크인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단말 장치(20)에 배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공급되고, IP 패킷으로 변환되어 IP 네트워크(106)에 송신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는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IP 망 헤더 정보를 부가한 패킷을 생성한다. 도 2의 D3에 이 패킷의 일례를 나타낸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서 IP 패킷화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와 마찬가지로 멀티캐스트 형식으로 배신되지만,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로부터 송신되는 IP 패킷과는 다른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신된다.
IP 네트워크의 멀티캐스트 방식에서는 단말 장치(20)의 요구에 의해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수신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다른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함으로써, 단말 장치(20)의 판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 장치(20)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108)에 의해 수신되고,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저장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는 지금까지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축차 갱신이 행해지거나 변경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축적된 정보를 항상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108)에서 수신되는 정보로 덮어써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14)는 단말 장치(20)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14)의 버튼 조작에 의해 채널의 전환 등을 행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14)는 EPG 등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115)의 화면에 표시하는 요구를 단말 장치(20)에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작 입력부(112)는 리모트 컨트롤러(114)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표시 요구를 검지하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출력부(111)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지시를 내린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출력부(111)는 표시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 내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참조하고, 사용자에게 요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115)에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배신 장치(10)는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서 방송 신호를 프로그램 콘텐츠(영상·음성·데이터)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로 분리한다.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는 분리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IP 네트워크(106)에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신한다.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의해 IP 패킷으로 변환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는 프로그램 콘텐츠가 송신된 커넥션과 다른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IP 패킷화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그램 콘텐츠의 수신에 있어서 항 상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송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고품질 영상이나 복수 채널의 동시 수신이라는 시청자가 요구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 있어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는 동시에,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무효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프로그램 콘텐츠로서 배신되는 데이터량을 더 삭감하여, 보다 유효하게 전송 대역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101)를 통해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재배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밖에도 배신 장치(10)에 안테나(101) 및 방송파 수신부(102) 대신에 기억 장치를 설치하여, 기억 장치에 축적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배신하는 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파(채널)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콘텐츠를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복수의 채널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다중화하여 IP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송신측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신 장치(10A)는 채널(A)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200)와, 채널(B)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201)와, 채널(C)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202)와, 채널(D)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203)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신 장치(10A)는 4 채널을 수신하는 구성이지만, 수신하는 채널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배신 장치(200)는 방송파 수신부(102)에서 안테나(101)를 통해 채널(A)을 수신한다. 방송 신호 분리부(103)는 수신된 채널(A)의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채널(A)의 프로그램 콘텐츠는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에 공급되고, IP 패킷으로 변환되어 배신된다. 분리된 채널(A)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배신 장치(201∼203)의 방송 분리부(103)는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각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각 채널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전송로(204, 205, 206)를 각각 경유하여 배신 장치(200)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공급된다. 배신 장치(200)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는 4개의 채널(A, B, C, D)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IP 패킷을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에 의해 설정된 커넥션과 다른 커넥션을 설정하여 IP 네트워크에 송출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신 장치(10A)는 복수의 방송 주파수로 배신되는 각 채널의 방송 신호를 개별로 수신하여, 각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각각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다중화하고 IP 패킷화하여 배신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컨대 지역 전(全)채널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측에 배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내용 을 충실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배신 장치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만을 단말 장치에 배신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신 장치(10B)는 배신 장치(10)의 구성에 덧붙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 응답부(303)를 더 구비한다. 방송 신호 분리부(103)에서 방송 신호로부터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에 공급된다.
방송 신호 분리부(103)는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정보 갱신 판정부(301)에 공급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와, 방송 신호 분리부(103)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갱신 유무를 판정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는 상기 판정에 있어서 갱신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갱신하고,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송신을 지시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는 상기 송신 지시를 받으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관리 데이터(302)로부터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판독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IP 네트워크(106)에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출한다.
방송파 중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갱신 유무에 관계없이 일정한 주기로 정보가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갱신 부분을 검출하여, 갱신 부분만 송신함으로써, 전송 대역을 추가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측 단말 장치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이 있었던 경우만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하게 되기 때문에, 수신 처리에 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단지,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의 전원이 일단 오프가 된 경우나 어떠한 이유로 단말 장치가 프로그램 관련 정보 데이터를 모두 잃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유무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있어서, 단말 장치(20A)는 단말 장치(20)의 구성과 함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를 더 구비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는 리모트 컨트롤러(114)에 의해 조작 입력부(112)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지시를 받으면, 배신 장치(10B)에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 출력부(111)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취득을 지시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응답부(303)는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로부터 모든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판독하 여 IP 패킷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IP 패킷은 프로그램 관련 정보 응답부(303)에 의해 설정된 IP 커넥션에 의해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단말 장치(20A)에 송신된다. 단말 장치(20A)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는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수신된 모든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기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배신 장치(10B)는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만을 배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배신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A)에 있어서 전원 투입이나 리셋 등으로 인해 필요해진 경우에만 전체 정보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요구함으로써, 최신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즉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송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더욱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빈도가 낮은 경우에 특히 유효한 수법이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독립된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콘텐츠와 다중화하여 하나의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 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신 장치(10C)는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 대신에 프로그램 콘텐츠·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311)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20B)는 프로그램 콘텐 츠 수신부(107) 대신에 프로그램 콘텐츠·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분리부(312)를 구비한다.
프로그램 콘텐츠·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311)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에서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프로그램 콘텐츠·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311)는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콘텐츠(영상, 음성,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IP 네트워크(106)에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송출되는 패킷은,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등과 함께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부분만이 매립된 패킷이 된다.
한편, 단말 장치(20B)는 프로그램 콘텐츠·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분리부(312)에서, 상기 배신 장치(10C)로부터 송신된 IP 패킷을 수신하고, 프로그램 콘텐츠와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기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만을 프로그램 콘텐츠(영상·음성·데이터)와 함께 다중화하여 하나의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네트워크에 배신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부분을 프로그램 콘텐츠와 다중화하여 배신하여도 충분한 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방송파(채널)를 수신 하고,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각 채널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만을 다중화하여 IP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신 장치(10D)는 채널(A)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400)와, 채널(B)를 수신하는 배신 장치(201)와, 채널(C)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202)와, 채널(D)을 수신하는 배신 장치(20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신 장치(10D)는 4 채널을 수신하는 구성이지만, 수신하는 채널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배신 장치(200)는 방송파 수신부(102)에서 채널(A)을 수신한다. 방송 신호 분리부(103)는 수신된 채널(A)의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채널(A)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배신 장치(201∼203)의 방송 분리부(103)는 방송파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각 채널(B∼D)의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채널(B∼D)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전송로(204, 205, 206)를 경유하여 배신 장치(400)에 공급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에는 상기 각각 분리된 채널(A∼D)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공급된다. 채널(A∼D)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에서 각 채널마다 갱신 유무가 판정된다. 이 갱신판정은 상기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를 참조하여, 이미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와, 상기 공급된 각 채널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는 상기 판정에 있어서 갱신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갱신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에 송신을 지시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는 상기 송신 지시를 받으면 각 채널의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302)로부터 판독하고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IP 네트워크(106)에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컨대 지역 전채널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부분만을 수신측에 배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전송 대역을 절감하면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내용을 충실하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를 추가로 응용하여, 배신 장치가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이 있었던 경우에, 갱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 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배신 장치(10E)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송신부(105) 대신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통지부(501)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20C)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108) 대신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수신부(502)를 구비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통지부(501)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판정부(301)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받으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한다. 생성되는 패킷은, 예컨대 도 8의 D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을 통지하는 정보(이하, 갱신 통지 정보)만으로 구성되는 IP 패킷이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통지부(501)는 상기 생성된 패킷을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와는 다른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IP 네트워크(106)에 멀티캐스트 배신한다.
한편, 단말 장치(20C)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수신부(502)에서 상기 배신 장치(10E)로부터 송신된 갱신 통지 정보를 수신하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취득을 지시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는 IP 네트워크(106)를 통해 배신 장치(10E)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고, 이 취득 요구에 따라서 배신 장치(10E)로부터 보내져 오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기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6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배신정보를 갱신 통지만 포함하여 매우 저레이트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요 정보인 영상·음성·데이터 등의 프로그램 콘텐츠의 전송을 더욱 우선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제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통지 정보를 독립된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콘텐츠와 다중화하여 하나의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 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신 장치(10F)는 프로그램 콘텐츠 송신부(104) 대신에 프로그램 콘텐츠·갱신 통지 송신부(601)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20D)는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107) 대신에 프로그램 콘텐츠·갱신 통지 수신·분리부(602)를 구비한다.
프로그램 콘텐츠·갱신 통지 송신부(601)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통지부(501)로부터 갱신 통지 정보를 수신하면, 갱신 통지 정보를 프로그램 콘텐츠(영상, 음성,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하고 IP 네트워크(106)에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출한다. 배신되는 패킷은, 도 10의 D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등과 함께,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을 통지하는 정보(갱신 통지 정보)가 매립된 패킷이 된다.
한편, 단말 장치(20D)는 프로그램 콘텐츠·갱신 통지 수신·분리부(602)에서 상기 배신 장치(10F)로부터 송신된 IP 패킷을 수신하여, 프로그램 콘텐츠와 갱신 통지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갱신 통지 정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통지부(502)에 공급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갱신 통지부(502)는 갱신 통지 정보를 수 신하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에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는 이 지시에 의해 배신 장치(10D)에 대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4)는 이 취득 요구에 따라서 배신 장치(10D)로부터 보내져 오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메모리(109)에 기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을 통지하는 정보만을 프로그램 콘텐츠(영상, 음성,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하여 하나의 IP 커넥션을 설정하여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비해서 네트워크에 배신되는 데이터량을 더욱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부분을 프로그램 콘텐츠와 다중화하여 배신하여도 충분한 품질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그대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일부 구성 요소를 삭제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걸친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시켜도 좋다.
추가 장점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발생할 것이다. 이에, 더 넓은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세부사항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동류들에 의해 정해지는 일반적인 발명 원리의 기술 사상 또는 범주에서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IP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송신측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IP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한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IP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Claims (13)

  1.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배신 장치(distribution device)에 의해 네트워크상의 임의의 단말 장치에 배신하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신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부와;
    상기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배신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커넥션과 다른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되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출력 요구를 접수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시스템.
  2.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네트워크상의 임의의 단말 장치에 배신하는 배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부와;
    상기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상의 단말 장치에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배신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상의 단말 장치에 상기 제1 커넥션과 다른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 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
    를 포함하는 배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방송 신호에 무효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이 무효 정보를 삭제하는 것인 배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복수의 방송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에 대해서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며,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는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서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배신부는 상기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복수의 방송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에 대해서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분리하고,
    상기 배신 장치는,
    상기 분리부에 의해 각각 분리된 복수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각각 분리된 복수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각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갱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갱신 유무를 판정하는 판 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배신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서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배신부는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와 다중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하는 것인 배신 장치.
  12.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련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배신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배신하는 방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신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되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화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배신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커넥션을 설정하여 배신되 는 IP 패킷화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와;
    상기 프로그램 콘텐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출력 요구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배신 장치에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배신 요구를 송신하여 상기 배신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070087722A 2006-09-19 2007-08-30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 KR101001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3297 2006-09-19
JP2006253297 2006-09-19
JPJP-P-2007-00197897 2007-07-30
JP2007197897A JP4220563B2 (ja) 2006-09-19 2007-07-30 放送システムとその配信装置及び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030A true KR20080026030A (ko) 2008-03-24
KR101001958B1 KR101001958B1 (ko) 2010-12-17

Family

ID=3859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722A KR101001958B1 (ko) 2006-09-19 2007-08-30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0232B2 (ko)
JP (1) JP4220563B2 (ko)
KR (1) KR101001958B1 (ko)
CN (1) CN101909199B (ko)
CA (1) CA2599094C (ko)
GB (1) GB2442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246A1 (en) * 2006-02-13 2007-08-16 Lajos Molnar Buffering multimedia mobile device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JP4561895B2 (ja) * 2008-07-17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GB2466259A (en) * 2008-12-17 2010-06-23 Paul Jason Rogers System for use in the home to convert a digital TV signal into IP data packets for transmission to IP devices or a home IP network
WO2011132880A2 (ko) * 2010-04-19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40146358A (ko) * 2013-06-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166996B2 (ja) * 2019-08-07 2022-11-08 Tvs Regza株式会社 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0576B2 (ja) * 1997-09-05 2008-04-23 Tdk株式会社 正特性半導体磁器の製造方法
JPH11196342A (ja) 1997-12-26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出装置および端末
JP2000013696A (ja) 1998-06-19 2000-01-14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その選局方法、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JP4644999B2 (ja) 1999-08-19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並びに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US7032239B1 (en) * 2000-02-24 2006-04-18 Intel Corporation Providing content description and connec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 networks
US20020157109A1 (en) * 2001-04-21 2002-10-24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8375411B2 (en) 2001-06-27 2013-02-12 Nokia Corporation Cross-device sharing of reminders
JP3895953B2 (ja) 2001-08-08 2007-03-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番組情報変換方法及び送信サーバ装置及び送信サー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023606A (ja) 2002-06-19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US20040001081A1 (en) * 2002-06-19 2004-01-01 Marsh David J.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electronic program guides
JP3902075B2 (ja) 2002-06-19 2007-04-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中継装置
CN103037254B (zh) * 2004-06-07 2016-07-13 斯灵媒体公司 个人媒体广播系统
KR20060022470A (ko)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케이티 티브이 수신 신호를 인터넷으로 중계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8730985B2 (en) 2005-03-15 2014-05-2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Technique for providing on a program channel composite programming content attributed to different sources
WO2007010779A1 (ja) 2005-07-1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パケット送信装置
US20070097955A1 (en) 2005-10-28 2007-05-03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p multicast relay of live tv streaming traffic in a tv-over-ip environment
EP1949553B1 (en) 2005-11-10 2013-05-01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9094C (en) 2014-04-15
CN101909199B (zh) 2013-01-02
GB0716697D0 (en) 2007-10-03
JP2008104154A (ja) 2008-05-01
GB2442091B (en) 2011-08-10
US20080069521A1 (en) 2008-03-20
GB2442091A (en) 2008-03-26
CN101909199A (zh) 2010-12-08
JP4220563B2 (ja) 2009-02-04
CA2599094A1 (en) 2008-03-19
KR101001958B1 (ko) 2010-12-17
US7900232B2 (en) 201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0330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internet protocol base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646727B2 (en) Retransmission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and its broadcast receiving device
WO2012099399A2 (ko)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01958B1 (ko) 방송 시스템과, 그 배신 장치 및 단말 장치
US20060095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data from digital broadcast signals for distribution via a computer network to clients
US20080186995A1 (en) Mdu broadcasting signal distribution system
KR20110030422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 수단
US8429284B2 (en)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content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contents
US9930410B2 (en) Video receiv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content receivabl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latforms, and method thereof
US9479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information using reserved channels
JP466139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0915617A2 (en) Relay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peater system
EP103975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to a second digital broadcast sign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is signal and medium for provid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me for processing the signal
JP5395400B2 (ja) 放送受信端末装置
KR10172703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2003309827A (ja) Vod送出装置及びvod受信装置
KR101303258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JP2020088824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2004135170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放送コンテンツ送信方法、伝送路切換方法
KR101304888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JPH11308596A (ja) 屋内画像多重化伝送システム
KR20080005815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WO2010084747A1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受信装置、並びに情報受信方法
KR20090122323A (ko) 텔레비전수신채널원격제어방법, 시스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