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510A -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 Google Patents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510A
KR20080025510A KR1020060090070A KR20060090070A KR20080025510A KR 20080025510 A KR20080025510 A KR 20080025510A KR 1020060090070 A KR1020060090070 A KR 1020060090070A KR 20060090070 A KR20060090070 A KR 20060090070A KR 20080025510 A KR20080025510 A KR 2008002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pipe
fixed
hand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채
Original Assignee
황형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형채 filed Critical 황형채
Priority to KR102006009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5510A/ko
Publication of KR2008002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0Vices for clamping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25B1/241Construction of the jaws characterised by surface feature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00Hand vices, i.e. vices intended to be held by hand; Pin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8Adjusting means for the operating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배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 측에 관이 끼워지는 고정판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턱과, 상기 제1고정턱과 결합되며 타 측에 고정지지대가 연결된 제1고정손잡이와, 상기 제1고정손잡이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제1고정손잡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가동턱과, 상기 제1가동턱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손잡이와 캠판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타 측에 가동지지대가 연결된 제1가동손잡이로 구성되는 제1플라이어; 일 측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제2고정턱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부에 조절노브가 삽입되는 제2고정손잡이와, 상기 제2고정손잡이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제2고정손잡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턱과, 상기 제2가동턱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손잡이와 캠판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제2플라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플라이어는 상기 제1가동턱에 제1플라이어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제1플라이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스 플라이어, 관이음, 관이음법

Description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vise plier for connecting pipe and method of connecting pipe using vise plier}
도 1은 본 발명의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의 우측면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한 관이음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플라이어 110 : 제1고정턱
111 : 고정판 120 : 제1고정손잡이
121 : 고정지지대 130 : 제1가동턱
131 : 스프링 132 : 힌지
133 : 회전공 140 : 제1가동손잡이
141 : 힌지 142 : 캠판
143 : 가동지지대 200 : 제2플라이어
201 : 연결부재 210 : 제2고정턱
212 : 회전축 220 : 제2고정손잡이
221 : 조절노브 227 : 연결고리
230 : 제2가동턱 231 : 스프링
232 : 힌지 234 : 연결공
240 : 제2가동손잡이 241 : 힌지
242 : 캠판 244 : 힌지
245 : 걸림돌기 247 : 풀림손잡이
210a, 230a : 탄성체 300 : 이음관
400 : 삽입관 401 : 표시선
본 발명은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바이스플라이어와 같은 구조의 베이스 바이스플라이어의 가동턱에 또 하나의 보조 바이스플라이어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바이스플라이어에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에 삽입하고자 하는 삽입관을 물려 고정시킨 후 상기 베이스 바이스플라이어를 당겨 보조 바이스플라이어에 물린 삽입관이 베이스 바이스플라이어에 고정된 이음관에 삽입되게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스플라이어는 파이프를 풀고 조일 때나, 각종 배관, 환봉 및 철판 등을 고정하거나 회전, 뽑는 작업과, 너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에 주로 사용되 는 기구로서, 레버의 원리를 이용해서 악력을 배가시키는 작업용 공구이다. 바이스플라이어는 집는 곳이 둥글게 된 것과 네모진 것이 있으며, 이것으로 집고 구부리는 데도 사용한다. 선재의 절단도 할 수 있는 커팅플라이어, 즉 펜치를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환형의 관이나 봉을 집는 바이스플라이어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배관작업에서 관의 연결은 이음관을 고정바이스나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이음관에 삽입되는 삽입관을 별도의 바이스플라이어로 집은 후, 한 손은 이음관을 고정시킨 바이스플라이어를 파지하고 다른 손은 삽입관을 집은 바이스플라이어를 파지하여 작업자의 양팔의 힘만으로 삽입관을 이음관에 삽입하여 체결하였다.
하지만 상기 기존의 관이음법은 오로지 작업자의 양팔의 힘만으로 이음관과 삽입관의 체결이 이루어져 작업자에게 큰 힘을 요구하였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었으며, 삽입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이음관과 삽입관이 비틀린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져 굴절각이 발생하였을 뿐 아니라, 체결시 큰 힘을 요구함에 따라 자칫 관의 외부에 흠집을 내게 되어 작업시 불량이 발생하며, 관이 플라이어로부터 밀리게 되어 작업이 수월치 않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벽체 내부에 매설된 수전함의 관 연결작업과 같이 작업자의 손이 닿기 힘든 작업에서는 관 연결이 상당히 어려웠으며, 따라서 시공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배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삽입과정에서 굴절각이 발생되지 않아 꺽임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을 집는 부분에 쿠션재를 형성하여 관의 외부에 흠집을 내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하고, 작업자의 손이 닿기 힘든 부분에도 손쉽게 관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대상물을 조이는 작업공구인 바이스 플라이어에 있어서, 일 측에 관이 끼워지는 고정판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턱과, 상기 제1고정턱과 결합되며 타 측에 고정지지대가 연결된 제1고정손잡이와, 상기 제1고정손잡이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제1고정손잡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가동턱과, 상기 제1가동턱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손잡이와 캠판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타 측에 가동지지대가 연결된 제1가동손잡이로 구성되는 제1플라이어; 일 측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제2고정턱이 결합되고 타 측 끝단부에 조절노브가 삽입되는 제2고정손잡이와, 상기 제2고정손잡이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제2고정손잡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턱과, 상기 제2가동턱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손잡이와 캠판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제2플라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플라이어는 상기 제1가동턱에 제1플라이어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제1플라이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고정턱과 제2가동턱은 내측에 탄성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관 작업시 이음관에 삽입관을 결합하는 관이음법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이 제1플라이어의 제1고정턱에 형성된 고정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삽입관이 상기 제1플라이어의 제1가동턱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플라이어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플라이어의 제2고정턱과 제2가동턱 사이에 물려 고정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한 손으로 상기 제1플라이어의 고정지지대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제1플라이어의 가동지지대를 고정지지대 측으로 당겨 삽입관이 이음관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한 관이음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관의 외주연에는 이음관에 삽입되는 길이만큼 표시선을 형성하여 상기 표시선에 제2고정턱과 제2가동턱이 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한 관이음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는 대상물을 조이는 작업공구인 바이스 플라이어에 있어서, 일 측에 관이 끼워 지는 고정판(11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턱(110)과, 상기 제1고정턱(110)과 결합되며 타 측에 고정지지대(121)가 연결된 제1고정손잡이(120)와,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와 스프링(131)으로 연결되고 제1고정손잡이(120)에 힌지(132)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 측에 회전공(133)이 천공된 제1가동턱(130)과, 상기 제1가동턱(130)에 힌지(141)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와 캠판(142)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타 측에 가동지지대(143)가 연결된 제1가동손잡이(140)로 구성되는 제1플라이어(100); 일 측에 상기 제1가동턱(130)에 형성된 회전공(133)과 회전축(212)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부재(201)가 구비된 제2고정턱(210)과, 일 측은 상기 제2고정턱(210)에 결합되고 타 측 끝단부에는 조절노브(221)가 삽입되는 제2고정손잡이(220)와,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와 스프링(231)으로 연결되며 제2고정손잡이(220)에 힌지(232)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턱(230)과, 상기 제2가동턱(230)에 힌지(241)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와 캠판(242)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손잡이(240)로 이루어지는 제2플라이어(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2플라이어(200)는 제1플라이어(10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플라이어(10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그 구조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는 기존의 바이스플라이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두 개의 바이스플라이어중 제1플라이어(100)의 제1고정턱(110)에는 관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판(111)을 형성하고 제1가동턱(130)에는 제2플라이어(200)를 제1플라이어(10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플라이어(100)의 수직방향으로 연결 형성하여, 제1플라이어(100)의 제1가동손잡이(140)를 당겨 조작 할 때 제2플라이어(200)는 상기 제1고정턱(110)에 형성된 고정판(111)측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플라이어(200)는 통상의 바이스플라이어의 구조와 같이 같이 둥근봉이나 파이프를 집기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관에 다른관을 삽입하는 관이음 작업공정에서 바이스플라이어의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작업중 지렛대의 더욱 큰 힘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제1플라이어(100)의 제1고정손잡이(120)와 제1가동손잡이(140)에는 각각 고정지지대(121)와 가동지지대(143)가 결합되어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의 특징적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플라이어(100)는 제1고정턱(110)과, 상기 제1고정턱(110)에 결합되는 제1고정손잡이(120)와,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가동턱(130)과, 상기 제1가동턱(130)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고정손잡이(120)와 캠판(142)으로 연결되는 제1가동손잡이(140)로 구성되어, 제1가동손잡이(140)를 제1고정손잡이(120) 측으로 당길 때 제1가동턱(130)이 제1고정턱(110) 측으로 이동하여 관을 조여주고, 제1가동손잡이(140)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제1가동턱(130)이 제1고정턱(110)으로부터 떨어져 벌어지게 되는 통상의 바이스플라이어와 같은 기본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턱(110)은 일 측에 고정판(111)이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11)은 통상의 환형의 파이프 관을 끼워 고정하도록 "U"자 형상으 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11)과 제1고정턱(110)은 모두 강질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고정판(111)은 일체로 제1고정턱(110)에 주물공정이나 단조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나, 용접을 통해서 부착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는 일 측은 상기 제1고정턱(110)이 결합되어 단단히 고정되고, 타 측은 제1플라이어(100)의 사용시 더욱 큰 지렛대의 힘을 전달하기 위해 고정지지대(121)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지지대(121)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더욱 큰 힘을 플라이어에 전달하도록 한다. 고정지지대(121)는 큰 하중을 받게 되므로 휨이나 구부림에 견딜만한 우수한 강도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지지대(121)의 길이가 길수록 더욱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제1가동턱(130)은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에 힌지(132) 결합되어 회전되고, 제1고정손잡이(120)와 스프링(131)으로 연결되며, 일 측에 회전공(133)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133)은 제1플라이어(100)와 제2플라이어(200)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천공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가동손잡이(140)는 상기 제1가동턱(130)에 힌지(141) 결합되어 회전되고, 제1고정손잡이(120)와 캠판(142)으로 연결되며, 타 측에 가동지지대(14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동지지대(143)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더욱 큰 힘을 플라이어에 전달하도록 한다. 가동지지대(143)는 큰 하중을 받게 되므로 휨이나 구부림에 견딜만한 우수한 강도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동지지대(143)의 길이가 길수록 더욱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제2플라이어(200)는 제2고정턱(210)과, 상기 제2고정턱(210)에 결합되는 제2고정손잡이(220)와,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가동턱(230)과, 상기 제2가동턱(2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와 캠판(242)으로 연결되는 제2가동손잡이(240)로 구성되어, 제2가동손잡이(240)를 제2고정손잡이(220) 측으로 당길 때 제2가동턱(230)이 제2고정턱(210) 측으로 이동하여 관을 조여주고, 제2가동손잡이(240)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제2가동턱(230)이 제2고정턱(210)으로부터 떨어져 벌어지게 되어 환형의 봉이나 파이프 관을 조여 잡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 통상의 바이스플라이어와 같은 기본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고정턱(210)은 일 측에 연결부재(2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1)는 상기 제2고정턱(210)에 주물성형이나 단조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1)는 상기 제1가동턱(130)에 형성된 회전공(133)에 회전축(212)이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는 일 측은 상기 제2고정턱(210)이 결합되어 단단히 고정되고, 타 측은 작업대상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노브(221)가 삽입된다.
상기 제2가동턱(230)은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에 힌지(232) 결합되어 회전되고, 제2고정손잡이(220)와 스프링(231)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231)은 일 측은 제2고정손잡이(220)에 형성된 연결고리(227)에 걸리고, 타 측은 제2가동턱(230)에 천공된 연결공(234)에 걸려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231)은 제2플라이어(200)가 대상물을 집은 상태에서 해체할 때, 제2가동턱(230)을 제2고정턱(210)과 이격되어 원상태로 복원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가동손잡이(240)는 상기 제2가동턱(230)에 힌지(241) 결합되어 회전되고, 제2고정손잡이(220)와 캠판(242)으로 연결된다. 상기 캠판(242)은 일 측 끝단에 걸림돌기(245)가 형성되어 제2고정손잡이(220)에 형성된 조절노브(221)의 끝단에 걸리고, 타 측은 제2가동손잡이(240)와 힌지(244)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가동손잡이(240)의 일 측을 절개하고 풀림손잡이(247)를 구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노브(221)에 걸린 걸림돌기(245)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은 내측에 탄성체(210a)(230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210a)(230a)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신축성이 우수하고 표면 마찰이 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이 관을 집을 때 관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관의 표면에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큰 힘을 주어 작업하는 과정에서 관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의 연질관에는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탄성체(210a)(230a)는 효과적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a, 4b,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작업시 이음관(300)에 삽입관(400)을 결합하는 관이음법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300)이 제1플라이어(100)의 제1고정턱(110)에 형성된 고정판(111)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삽입관(400)이 상기 제1플라이어(100)의 제1가동턱(13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플라이어(10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플라이어(200)의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 사이에 물려 고정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한 손으로 상기 제1플라이어(100)의 고정지지대(121)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제1플라이어(100)의 가동지지대(143)를 고정지지대(121) 측으로 당겨 삽입관(400)이 이음관(300)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한 관이음법을 제공하자 한다.
상기 이음관(300)은 제1플라이어(100)의 제1고정턱(110)에 형성된 고정판(111)에 고정된다. 상기 삽입관(400)은 제2플라이어(200)의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 사이에 물려 고정된다. 삽입관(400)이 고정되는 단계는 제2플라이어(200)의 제2가동손잡이(240)를 제2고정손잡이(220)측으로 당김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플라이어(100)의 고정판(111)과 제2플라이어(200)에 각각 물려 고정되는 이음관(300)과 삽입관(400)은 사용자의 양손이 각각 제1플라이어(100)의 고정지지대(121)와 가동지지대(143)를 파지하여 가동지지대(143)를 고정지지대(121) 측으로 당김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관(400)의 외주연에는 이음관(300)에 삽입되는 길이만큼 표시선(401)을 형성하여, 상기 표시선(401)에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이 물리도록 한다.
상기 표시선(401)은 이음관(3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400)의 부분을 삽입관(400)의 외주연 표면에 형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삽입관(400)을 이음관(300)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작동상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 예의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은 지렛대의 원리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배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삽입과정에서 굴절각이 발생되지 않아 꺽임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을 집는 부분에 쿠션재를 형성하여 관의 외부에 흠집을 내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하고, 벽체 내부에 형성된 관을 연결하는 작업에서 작업자의 손이 닿기 힘든 부분에도 손쉽게 관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며, 관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대상물을 조이는 작업공구인 바이스 플라이어에 있어서,
    일 측에 관이 끼워지는 고정판(11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턱(110)과, 상기 제1고정턱(110)과 결합되며 타 측에 고정지지대(121)가 연결된 제1고정손잡이(120)와,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와 스프링(131)으로 연결되고 제1고정손잡이(120)에 힌지(132)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 측에 회전공(133)이 천공된 제1가동턱(130)과, 상기 제1가동턱(130)에 힌지(141)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손잡이(120)와 캠판(142)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타 측에 가동지지대(143)가 연결된 제1가동손잡이(140)로 구성되는 제1플라이어(100);
    일 측에 상기 제1가동턱(130)에 형성된 회전공(133)과 회전축(212)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부재(201)가 구비된 제2고정턱(210)과, 일 측은 상기 제2고정턱(210)에 결합되고 타 측 끝단부에는 조절노브(221)가 삽입되는 제2고정손잡이(220)와,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와 스프링(231)으로 연결되며 제2고정손잡이(220)에 힌지(232)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턱(230)과, 상기 제2가동턱(230)에 힌지(241)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손잡이(220)와 캠판(242)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가동손잡이(240)로 이루어지는 제2플라이어(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2플라이어(200)는 제1플라이어(10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플라이어(10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은 내측에 탄성체(210a)(230a)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3. 배관 작업시 이음관(300)에 삽입관(400)을 결합하는 관이음법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300)이 제1플라이어(100)의 제1고정턱(110)에 형성된 고정판(111)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삽입관(400)이 상기 제1플라이어(100)의 제1가동턱(13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제1플라이어(10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플라이어(200)의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 사이에 물려 고정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한 손으로 상기 제1플라이어(100)의 고정지지대(121)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제1플라이어(100)의 가동지지대(143)를 고정지지대(121) 측으로 당겨 삽입관(400)이 이음관(300)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한 관이음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400)의 외주연에는 이음관(300)에 삽입되는 길이만큼 표시선(401)을 형성하여, 상기 표시선(401)에 제2고정턱(210)과 제2가동턱(230)이 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를 이용한 관이음법.
KR1020060090070A 2006-09-18 2006-09-18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KR20080025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070A KR20080025510A (ko) 2006-09-18 2006-09-18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070A KR20080025510A (ko) 2006-09-18 2006-09-18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510A true KR20080025510A (ko) 2008-03-21

Family

ID=3941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070A KR20080025510A (ko) 2006-09-18 2006-09-18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51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7506B (zh) * 2016-02-16 2017-04-11 程岱有限公司 clamp
CN109278277A (zh) * 2018-11-21 2019-01-29 无锡海天机械有限公司 缠绕装置
KR102036072B1 (ko) 2019-05-28 2019-10-24 (주)케미우스코리아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지반보강재 및 상기 지반보강재를 이용한 지반보강 공법
WO2021010590A1 (ko) * 2019-07-17 2021-01-21 이종하 락킹 플라이어
KR102494821B1 (ko) * 2022-01-27 2023-02-06 한기발전기계(주) 파이프 용접용 지지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7506B (zh) * 2016-02-16 2017-04-11 程岱有限公司 clamp
CN109278277A (zh) * 2018-11-21 2019-01-29 无锡海天机械有限公司 缠绕装置
KR102036072B1 (ko) 2019-05-28 2019-10-24 (주)케미우스코리아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지반보강재 및 상기 지반보강재를 이용한 지반보강 공법
WO2021010590A1 (ko) * 2019-07-17 2021-01-21 이종하 락킹 플라이어
US11364596B2 (en) 2019-07-17 2022-06-21 Brainsangsang Co., Ltd. Locking pliers
KR102494821B1 (ko) * 2022-01-27 2023-02-06 한기발전기계(주) 파이프 용접용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658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holding and releasing a cable in a pipe splitter
KR20080025510A (ko) 관이음용 바이스플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관이음법
US7226047B1 (en) Welder&#39;s pipe clamp
SA113340631B1 (ar) أداة يدوية للاستخدام في الفصل السريع لوصلات الربط/القطع السريعة
EP3375572B1 (en) Push-to-connect fitting removal tool
JP4859580B2 (ja)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US5979032A (en) Tool for inserting a fitting into a hose
EP2128512A2 (en) Clamp installation tool
CN204151868U (zh) 一种剪式万向抓取器
KR20140000466U (ko) 바이스 플라이어
JPH1030613A (ja) 導管操作治具
KR20170002912A (ko) 다용도용 파이프 플라이어
JPH05318328A (ja) パイプ把持具
CN204282468U (zh) 一种万向抓取器
CN210687364U (zh) 承插管道连接辅助工具
KR101836108B1 (ko) 파이프체결공구
CA2963963C (en) Pinch clamp removal tool and method
TWM470179U (zh) 管件束環的拆裝工具
KR200491147Y1 (ko) 다기능 벨트렌치
US7069824B2 (en) Leverage handle
CN217413685U (zh) 一种具有扳手功能的钳子
CN217256022U (zh) 一种管线套接工具钳
TWI628052B (zh) Bundle ring pliers
CN217493954U (zh) 一种地暖管拆装钳
KR200386486Y1 (ko) 배관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