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108B1 - 파이프체결공구 - Google Patents

파이프체결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108B1
KR101836108B1 KR1020170120153A KR20170120153A KR101836108B1 KR 101836108 B1 KR101836108 B1 KR 101836108B1 KR 1020170120153 A KR1020170120153 A KR 1020170120153A KR 20170120153 A KR20170120153 A KR 20170120153A KR 101836108 B1 KR101836108 B1 KR 101836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ip
gripping
presen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용
Original Assignee
조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용 filed Critical 조기용
Priority to KR102017012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08B1/ko
Priority to PCT/KR2018/010824 priority patent/WO20190595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파이프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체결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를 체결하는 파이프체결공구에 있어서,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기 위한 횡방향집게부(100)와,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한 후 파이프체결구(30)에 끼워 넣기 위한 종방향집게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는 두 손잡이(110, 120)와, 상기 두 손잡이(110, 120)에 연결되는 파지턱(130, 140)들과, 상기 두 손잡이(110, 120) 및 두 파지턱(130, 140)을 피벗운동하게 하는 축(150)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집게부(200)는 상기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10)와,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의 두 손잡이(110, 120) 저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20)와, 상기 파지부(210)와 손잡이(2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이격연결부(230)와, 상기 이격연결부(230)에 설치되는 축(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체결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체결공구{A PIPE CONNECTING TOOL}
본 발명은 파이프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두 파이프들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체결공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두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300)를 도시한다. 일측의 파이프(10)와 타측의 파이프(20)를 체결함에 있어서, 체결구(300)를 적용하는 바, 상기 체결구(300)는 패킹(31)과, 상기 패킹(31)에 접하여 설치되는 시트(32) 및 걸림편(33)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의 파이프(10)는 상기 체결구(300)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편(33)이 일측의 파이프(10)의 외벽을 찌르게 되어 단단히 체결된다. 종래에는 상기 일측의 파이프(10)는 작업자의 손으로 끼워서 삽입되어졌다.
그러나, 상기 일측의 파이프(10)를 손으로 끼워 삽입하는 것은 숙련된 작업자에게도 용이한 일이 아니었으며 매우 큰 힘이 필요하였다. 또한, 작업환경에 따라 파이프들을 손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아 작업에 능률이 저조한 문제가 있었다.
이하, 파이프체결공구의 선행기술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기술에 기재되는 식별부호는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268호 '파이프 압착 체결기' (공고일자 2014년04월14일)는 소직경 파이프가 삽입된 대직경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양 파이프를 체결하는 파이프 압착 체결기에 관한 것이다. 제20-0472268호에 의한 파이프 압착 체결기는 단부에 투스홈이 구비된 하부조(120)-링크(130)-상부조(110)-링크(130)-상부조(110)-링크(130)-투스홈이 구비된 하부조(120)로 순서대로 체결되어 원 형태의 파이프 압착 체결기가 구성되되, 링크(130)는 몸체(131)의 양 측 내면에 경사진 걸림구(13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몸체(131)의 상,하면 양 측에 장공 형태의 홈(132)이 형성되며, 상부조(110)는 원호 형태의 몸체(111) 양 측에 링크삽입구(112)가 형성되고, 몸체(111)의 상,하면에는 상기 링크삽입구(112)로 천공된 구멍형태의 홀(113)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삽입구(112)의 내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구(115)가 형성되고, 하부조(120)는 원호 형태의 몸체(121) 일측에 링크삽입구(122)가 형성되고, 몸체(121) 타측에 투스홈(126)이 형성되며, 몸체(121)의 상,하면에는 상기 링크삽입구(122)로 천공된 구멍 형태의 홀(123)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삽입구(122)의 내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구(125)가 형성되며, 상기 링크(1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구(133)가 각각 상부조(110) 또는 하부조(120)의 링크삽입구(112)(122)에삽입되어 걸림구(115)(125)에 걸리고, 상부조(110) 또는 하부조(120)의 홀(113)(123)에 핀(140)이 삽입되어 링크(130)의 슬라이드 홈(132)까지 삽입되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안은 소직경 파이프가 삽입된 대직경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양 파이프를 체결하는 파이프 압착 체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발명과는 파이프를 체결하는 용도면에서 유사성이 있으나, 구조상에서 크게 상이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5220호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 (공고일자 2015년07월09일)는 하나의 공구로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계요소 즉,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와 파이프 등의 체결 및 해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체결 공구를 제공한다. 특히, 스패너부를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렌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기계요소의 크기와 형상에 상관없이 기계요소의 체결과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면에 슬라이딩홀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계요소의 체결과 해제를 관리하기 위한 스패너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되면서 기계요소의 체결과 해제를 관리하기 위한 렌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은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발명과는 파이프를 체결하는 용도면에서 유사성이 있으나, 구조상에서 크게 상이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9597호는 좁은 공간의 수전함 내부에서 냉수배관과 온수배관 및 수전에 연결되는 각각의 배관을 배관연결구에 연결하는 배관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관을 파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연장형성되고 배관연결구의 외면에 거치되는 푸싱부를 갖는 배관체결구를 구성하되, 배관체결구에 의해 배관을 간단하게 밀어넣는 방식으로 배관과 배관연결구를 연결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좁은 공간의 수전함 내부에서 용이하게 배관의 연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이 배관연결구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여 누수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연결구의 배관체결구를 개시하였다. 제10-2007-0079597호는, 상측부에 배관이 인입되어 파지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배관 지지체(100)와; 상기 배관지지체의 일면으로부터 연결되고 상부측에 배관연결구의 외면에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홈을 배관연결구의 외면에 거치시켜 배관연결구를 배관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배관이 배관연결구에 견고하게 인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푸싱체(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배관 지지체(100)는, 상부에 반원형의 제1파지부(111)가 형성된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1지지부(111)와 핀(13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파지부(111)와 대응되는 반원형의 제2파지부(121)가 상부에 형성된 제2지지부(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싱체(200)는, 상기 배관지지체(100)의 일면에 일단이 용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외면 양측에 대응진 가이드홈(211)이 형성된 장형의 가이드(210)와; 상기 가이드(210)의 중공된 내부에 장입되는 스프링(220)과; 상기 가이드(210)의 외측에 내측이 끼워지는 끼움부(23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반원형의 거치홈(232)이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 경사진 경사면(233)이 형성된 푸싱부(230)와; 상기 푸싱부(230)의 외측에 체결되되 상기 푸싱부(230)의 끼움부(231) 내측에 끼워진 상기 가이드(210)의 가이드홈(211)을 관통하여 가이드(210) 내부에 장입된 스프링(2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핀(240)과; 상기 가이드(210)의 타단 내측과 힌지핀(251)에 의해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푸싱부(230)의 경사면(233)에 밀착되는 밀착부(252)가 형성된 작동부(2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272663호는 파이프를 파지 고정하는 클램프부(clamp)와 파이프 이음매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계지부를 서로 대향시켜 확장축폐자유자재와 바느질개를이용한 개폐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콘센트 지그를 개시한 바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268호 '파이프 압착 체결기' 공고일자 2014년04월14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5220호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 공고일자 2015년07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9597호(2007.08.07.)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272663호(1993.10.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VE, PE 등의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체결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파이프들의 체결을 손으로 직접 작업하여 큰 힘이 필요하거나 좁은 작업환경에서 매우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체결공구를 이용하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파이프들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9597호는 푸싱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작동부를 들어올려야 하며, 이러한 구성은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작동부를 들어올려야 하는 양 손 모두 필요한 조작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시공시 파이프가 작업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이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272663호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바이스와 파이프를 끼우는 수단을 단순결합한 것으로, 인용발명2 역시 핸들부가 한 쌍을 이루고, 바이스인 그립끼리 한 쌍을 이루는 구조로써 총 4개의 손잡이로 구성되어 한 손으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제10-2007-0079597호나 특개평05-272663호는 파이프체결시 T형 파이프를 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작동이 가능한 파이프체결공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두 개의 파이프를 체결하는 파이프체결공구에 있어서,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기 위한 횡방향집게부(100)와,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한 후 파이프체결구(30)에 끼워 넣기 위한 종방향집게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는 두 손잡이(110, 120)와, 상기 두 손잡이(110, 120)에 연결되는 파지턱(130, 140)들과, 상기 두 손잡이(110, 120) 및 두 파지턱(130, 140)을 피벗운동하게 하는 축(150)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집게부(200)는 상기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10)와,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의 두 손잡이(110, 120) 저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20)와, 상기 파지부(210)와 손잡이(2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이격연결부(250)와,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이프체결시 지레의 받침점이 되는 축(240)과,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상부에 파지턱(130, 140)들 보다 위측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210)의 피벗운동을 위한 축(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체결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VE, PE 등의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체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힘겹게 작업하던 것을 본 발명의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체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는 양 손으로 파이프를 파지하기 어려운 비좁은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파이프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합성수지 파이프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의 측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가 파이프를 체결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의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의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두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300)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일측의 파이프(10)와 타측의 파이프(20)를 체결함에 있어서, 체결구(300)를 적용한다. 상기 체결구(300)는 패킹(31)과, 상기 패킹(31)에 접하여 설치되는 시트(32) 및 걸림편(33)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의 파이프(10)는 상기 체결구(300)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편(33)이 일측의 파이프(10)의 외벽을 찔러 고정시킴으로써 단단히 체결된다. 종래에는 상기 일측의 파이프(10)는 작업자의 손으로 끼워서 삽입되어졌다. 그러나, 상기 일측의 파이프(10)를 손으로 끼워 삽입하는 것은 숙련된 작업자에게도 용이한 일이 아니었으며, 작업환경에 따라 파이프들을 손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아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체결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를 체결하는 파이프체결공구에 있어서,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기 위한 횡방향집게부(100)와,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한 후 파이프체결구(30)에 끼워 넣기 위한 종방향집게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는 두 손잡이(110, 120)와, 상기 두 손잡이(110, 120)에 연결되는 파지턱(130, 140)들과, 상기 두 손잡이(110, 120) 및 두 파지턱(130, 140)을 피벗운동하게 하는 축(150)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집게부(200)는 상기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10)와,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의 두 손잡이(110, 120) 저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20)와, 상기 파지부(210)와 손잡이(2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이격연결부(250)와,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이프체결시 지레의 받침점이 되는 축(240)과,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상부에 파지턱(130, 140)들 보다 위측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210)의 피벗운동을 위한 축(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체결공구를 제공한다.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두 손잡이(110, 120) 중 일측의 손잡이(120)는 고정되며, 타측의 손잡이(110)이 축(150)을 중심으로 피벗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이격연결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레의 받침점이 되는 상기 축(240)이 이격연결부(25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지부(210)의 피벗운동을 위한 축(260)이 이격연결부(250)의 상부에 파지턱(130, 140)들 보다 위측에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이격연결부(250)는 종방향연결부재(251)과 횡방향연결부재(252)로 구성되는 ‘ㄱ’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하부공간(400)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시공시 파이프가 콘크리트벽에서 짧게 돌출되어있는 경우에도 체결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파이프의 시공에 있어서 파이프의 설치위치는 벽뒤, 바닥 등의 접근하기 어렵고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해 파이프의 돌출정도가 짧은 경우가 매우 많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형상과 상기 하부공간(400)은 유의미하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가 파이프를 체결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에서 일측의 파이프(10)와 타측의 파이프(20)는 파이프체결구(30)에 의해 가볍게 결합되어있으나 아직 일측의 파이프(10)가 파이프체결구(3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 걸림편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다. 사용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손잡이(110, 120)를 움켜쥐어 횡방향 집게부(100)로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집게부(200)의 파지부(210)를 피벗운동시켜 파이프체결구(3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두 손잡이(110, 120)를 엄지와 손바닥으로 잡고 손잡이(220)를 네 손가락으로 움켜쥐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체결구(30) 내로 일측의 파이프(10)를 삽입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220)는 힘점, 축(240)은 받침점, 종방향집게부(200)의 파지부(210)는 작용점이 되는 지레의 원리로써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이프체결구(30)로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스프링(161)은 스프링지지부(160)에 의해 손잡이(220)에 탄력을 제공하며, 체결공구를 한손으로 작업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20)의 위치를 원상복구 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7에서는 본원발명의 파이프체결공구가 ‘T’자형 파이프를 체결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본원발명의 파지부(210)가 상기 파이프체결구(30)를 끌어당겨 체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제10-2007-0079597호와 같이 파이프를 위측으로부터 눌러서 체결하는 방식은 ‘T’형 파이프를 파지할 수 없어 체결이 곤란한 문제가 있는 바, 본원발명의 피벗운동을 하는 파지부(210)의 구성은 유의미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사용자가 두 손잡이(110, 120)를 엄지와 손바닥으로 잡고 쥔 후 손잡이(220)를 네 손가락으로 움켜쥐어 파이프체결구(30) 내로 일측의 파이프(10)를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두 손잡이(110, 120)가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결구(300)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구(300)는 손잡이(110, 120) 중 일측에 설치되며, 반대측 손잡이에 설치되는 체결돌기(310)에 걸려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10, 120)로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한 후, 체결구(300)를 체결돌기(310)에 걸게되면, 상기 손잡이(110, 120)는 체결구(300)에 의해 체결되어 다시 벌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기 위헤 두 손잡이(110, 120)에 가하던 힘을 아끼고 손잡이(220)를 당겨 손잡이가이드부재(300)에 일측의 파이프(10)를 삽입하는 것에 힘을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2에서의 상기 체결구(300)는 축(150)에 의한 두 손잡이(110, 120)의 피벗운동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피벗운동을 하여 체결돌기(310)에 걸리도록 도시되어있다.
도8 내지 도10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의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상기의 사진들을 통해서 본원발명의 구성 및 작동실시예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구(300)는 일측의 손잡이(110, 120)에 상기 피벗운동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벗운동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의 체결구(300)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손잡이(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엄지손가락으로 체결구(300)을 쳐올리면 체결구(300) 말단의 걸림턱이 반대편 손잡이(120)에 걸리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 20. 파이프
30. 파이프체결구
100. 횡방향집게부
110, 120. 손잡이
130, 140. 파지턱
150. 축
160. 스프링지지부
161. 스프링
200. 종방향집게부
210. 파지부
220. 손잡이
230. 파지부연결부재
240. 축
250. 이격연결부
251. 종방향연결부재
252. 횡방향연결부재
300. 체결구
310. 체결돌기
400. 공간

Claims (1)

  1. 두 개의 파이프를 체결하는 파이프체결공구에 있어서,
    일측의 파이프(10)를 파지하기 위한 횡방향집게부(100)와,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한 후 파이프체결구(30)에 끼워 넣기 위한 종방향집게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는 두 손잡이(110, 120)와,
    상기 두 손잡이(110, 120)에 연결되는 파지턱(130, 140)들과,
    상기 두 손잡이(110, 120) 및 두 파지턱(130, 140)을 피벗운동하게 하는 축(150)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집게부(200)는 상기 타측의 파이프(2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10)와,
    상기 횡방향 집게부(100)의 두 손잡이(110, 120) 저부에 설치되는 손잡이(220)와,
    상기 파지부(210)와 손잡이(2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이격연결부(250)와,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파이프체결시 지레의 받침점이 되는 축(240)과,
    상기 이격연결부(250)의 상부에 파지턱(130, 140)들 보다 위측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210)의 피벗운동을 위한 축(260)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연결부(250)는 종방향연결부재(251)과 횡방향연결부재(252)로 구성되는 ‘ㄱ’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체결공구.
KR1020170120153A 2017-09-19 2017-09-19 파이프체결공구 KR101836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53A KR101836108B1 (ko) 2017-09-19 2017-09-19 파이프체결공구
PCT/KR2018/010824 WO2019059587A1 (ko) 2017-09-19 2018-09-14 파이프체결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53A KR101836108B1 (ko) 2017-09-19 2017-09-19 파이프체결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108B1 true KR101836108B1 (ko) 2018-03-09

Family

ID=6172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153A KR101836108B1 (ko) 2017-09-19 2017-09-19 파이프체결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6108B1 (ko)
WO (1) WO2019059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240A (ko) 2019-05-29 2020-12-09 이정필 배관과 부속 체결공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663A (ja) * 1992-03-25 1993-10-19 Bridgestone Corp パイプ差し込み治具
KR200153354Y1 (ko) * 1996-05-13 1999-08-02 임병학 파이프렌치 지지구
KR20070079597A (ko) * 2007-07-18 2007-08-07 신기빈 배관 연결구의 배관 체결구
KR200472268Y1 (ko) * 2013-06-21 2014-04-14 박병옥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101535220B1 (ko) * 2014-04-08 2015-07-09 주식회사 월드툴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240A (ko) 2019-05-29 2020-12-09 이정필 배관과 부속 체결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87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0985B1 (en) Extractor tool for pipe coupling
AU2014396046B2 (en) Wrench with translational jaws
US6314629B1 (en) Hand tool for use in the quick disconnection of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s
WO2015151623A1 (en) Clamp apparatus
US7954356B1 (en) PEX crimping tool
CA2965124C (en) Push-to-connect fitting removal tool
KR101836108B1 (ko) 파이프체결공구
US4919017A (en) Hose clamp tool
US6205892B1 (en) Adjustable wrench
US10315291B2 (en) Wrench
US3808665A (en) Seam operating tool
US3302929A (en) Electrician's fish tape puller
US20200282524A1 (en) Pliers Tool
US20100018358A1 (en) Tool for screws or bolts
US7322088B2 (en) Quick release tool for engaging elongated objects, particularly suited for use with tubing
US6718851B1 (en) Tool with self-locking grip, interchangeable head-pieces and clamp for fastening to the work bench
JP6057970B2 (ja) 管継手の連結装置
TWM470179U (zh) 管件束環的拆裝工具
CN216129226U (zh) 龙门架用的夹持爪和龙门架
TW201309932A (zh) 管件束環的拆裝工具
CN215701274U (zh) 轴向可变式管钳
CN211761114U (zh) 压管钳结构
CZ32074U1 (cs) Nástroj k uvolnění pojistného kroužku nástrčné rychlospojky
JP2009068513A (ja) クリップ式締結具
JP2017030060A (ja) 工具とそれを用いた締結具の着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