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178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178A
KR20080024178A KR1020080018001A KR20080018001A KR20080024178A KR 20080024178 A KR20080024178 A KR 20080024178A KR 1020080018001 A KR1020080018001 A KR 1020080018001A KR 20080018001 A KR20080018001 A KR 20080018001A KR 20080024178 A KR20080024178 A KR 2008002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oor
cooking
panel
coo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914B1 (ko
Inventor
김기영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9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대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 조리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덮으며, 상부 공간 측으로부터 조리 공간을 개방하고, 도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도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 패널, 그리고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작 패널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에 위치하고, 조작 패널과 연동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의 전면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 자체의 높이 및 폭이 넓게 보일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80018001
조리기기, 전자레인지, 마이크로웨이브, 도어, 냉각 유로, 제어 패널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83504호에는 전형적인 조리기기의 예로서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7003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상면에 위치하고,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가 조리 공간의 후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0444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 및 조작 패널이 조리 공간의 하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16489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조리 공간의 상면으로부터 측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53939호에는 전형적인 조리기기 도어의 예 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를 둘러싸는 쵸크 커버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03729호에는 조리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조리 공간의 하면을 거쳐 도어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가 구비된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108050호에는 조리 기기 조작 패널의 예로서 정전기를 이용하는 글래스 터치(glass touch) 방식의 조작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의 일 측에 주요 부품, 조작 패널 및 제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대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에 제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힌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의 전면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 자체의 높이 및 폭이 넓게 보이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높이와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을 분산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상부 공간을 지나는 유동에 의해, 조리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위치된 제어 패널을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 조 리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덮으며, 상부 공간 측으로부터 조리 공간을 개방하고, 도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도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 패널, 그리고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작 패널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에 위치하고, 조작 패널과 연동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도어에 조작 패널 및 제어 패널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고, 나아가 도어의 전면 전체를 하나의 부재로 커버하여 조리기기의 외관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작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터치 유닛과 같은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지만, 다른 형태의 조작 패널,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형태의 조작 패널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패널이 설치되며, 도어 패널의 전방에서 도어 패널과 결합되는 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패널이 글래스 터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공간에 위치하며, 제어 패널과 연동하는 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 공간의 높이와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을 분산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이 조리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도록 개구부에 위치하는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를 통해 조리 공간을 볼 수 있는 한편, 조리 공간으로부터 도어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을 볼 수 있도록 도어 스크린을 구비하며, 도어 스크린이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그리고 도어 프레임을 덮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며,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유동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쵸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을 덮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며,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유동이 유입되는 제1 개구부 및 도어 스크린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쵸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쵸크 커버가 제1 개구부 측과 제2 개구부 측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리를 위해 도어를 조립 해제하는 경우에, 필요한 부분(예: 제어 패널) 측만을 조립 해제하여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패널이 조작 패널에 빛을 비추는 발광원을 구비하며, 도어 패널이 발광원의 빛이 투과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이 그 하부에 제어 패널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 공간 측과 힌지 연결되며, 제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이 하부에 제1 개구부로 유입된 유동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에 제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의 전면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 자체의 높이 및 폭이 넓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 공간의 높이와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을 분산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상부 공간을 지나는 유동에 의해, 조리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위치된 제어 패널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리 공간(100), 도어(200), 조리 공간(10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300), 조리 공간(100)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400),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공간(600)이 도시되어 있다.
조리 공간(100)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내부 케이스(110)에 의해 정의되고, 조리 공간(100)의 내부에서 상부에 히터(120)를 구비하며, 조리 공간(100) 내에 선반(130)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110)에는 조리 공간(100) 내의 열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유로 형성을 위해 측면에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111)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20)의 예로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들 수 있으며, 원형인 턴 테이블을 대신하여 선반(130)을 이용함으로써, 턴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되던 조리 공간(100)의 폭 및 길이(깊이)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는 선반(130)을 안내하는 가이드(1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리 공간(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 임(16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 프레임(150)은 후술될 상부 공간(300)과 도어(200) 사이의 유로 형성을 위하여 개구부(151)를 구비한다. 후방 플레이트(160)또한 후방 공간(400)과 연통을 위하여 적어도 그 상측에 개구부(161)를 구비한다.
도어(200)는 그 하부에서 조리 공간(100) 측과 힌지 연결되어 조리 공간(100)을 개폐하며, 조리 공간(100)과 상부 공간(300)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200)는 손잡이(210), 전방 플레이트(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플레이트(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그리고 쵸크 커버(290)를 포함한다.
손잡이(210)는 도어(200)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분이며, 볼트(미도시)로 전방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 홈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 조리 공간(100)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조리할 코스를 선택하거나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표시부(미도시)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인식하는 부품으로서, 유리로 된 전방 플레이트(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글래스 터치 유닛(glass touch unit)으로 이루어져 정전기 센서로서 기능하며,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방 플레이트(22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조리 공간(100)의 상부 공간(300) 이 위치하는 도어(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폭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장해없이 볼 수 있다.
도어 패널(240)은 도어(200)의 다른 구성요소(220, 250 등)를 고정하는 부재이며,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개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 내로 이어진 냉각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이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를 그 하면에 구비한다.
제어 패널(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재이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후술될 릴레이 기판(350)과 연동하고, 입력 감지부(23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원을 구비하여, 발광된 빛을 표시부(미도시) 측으로 조사하는 기능도 한다.
중간 플레이트(260)는 전방 플레이트(220) 및 도어 프레임(270) 각각과 거리를 두고,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조리시 조리 공간(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방 프레임(220) 및 손잡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생성된 유동이 후방 공간(400)과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로 진입한 다음, 후술될 브래킷(270)에 의해 안내되어 중간 플레이트(260)와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유동되도록 도어 패널(240)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동은 도어 패널(240)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브래킷(270)은 제어 패널(25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며, 전 자 부품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230) 및 제어 패널(250)을 조리 공간(100)으로부 터의 열 및 냉각 팬(420)에 의한 유동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유동을 도어 패널(240)과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안내한다.
도어 프레임(280)은 도어 패널(240)에 수용되며,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쵸크 커버(290)는 조리 공간(100) 측에 위치하는 도어(200)의 커버이며, 그 상부에 전방 프레임(150)의 개구부(151)와 대응하는 개구부(29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91)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도어(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조그만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공간(300)은 외부 케이스(3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위의 공간이며, 히터(320), 도파관(330),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 릴레이 기판(35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공간(100)을 비추는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다.
외부 케이스(310)는 조리 공간(100)과 거리를 두고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150) 및 후방 프레임(160)과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조리 공간(100) 및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발열 부재를 거친 유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구(311)를 구비하여도 좋다.
히터(320)의 예로 할로겐 히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320)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스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히터(120)와 달리 내부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조리 공간(100)에 열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도파관(330)은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으로 이어져 있으며,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는 내부 케이스(110) 내에 위치하는 히터(120)의 열이 상부 공간(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히터(320)와 도파관(330)을 제외한 조리 공간(10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을 가진다.
릴레이 기판(350)은 상부 공간(300)의 일측에서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장착되며, 제어 패널(250)과 연동하여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 등의 부품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 공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후방 공간(400)은 커버(4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뒤의 공간이며, 냉각 팬(420),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구비하여, 조리기기의 부품실을 형성한다.
커버(410)는 상부 공간(300)과 후방 공간(400)을 뒤에서 덮도록 후방 프레임(160) 또는 외부 케이스(311)와 결합되며, 그 하부는 베이스(610)와 결합된다. 커버(410)의 하부 또는 베이스(610)에는 냉각 팬(420)으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흡기구(411)가 구비된다.
냉각 팬(420)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놓여 있고, 양측에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비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는 부품을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 어(200)는 연통하도록 구성되므로,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 팬(420)에는 발생된 유동이 냉각 팬(42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격벽(423)에는 유동이 후방 공간(4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양측에 개구부(424,425)가 구비되어 있다. 유동 발생부(421)와 유동 발생부(422) 사이의 공간(426)에는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공간의 다른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더하여, 마그네트론(440)으로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441)와 마그네트론(440)을 빠져나온 유동을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112)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442)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 특히 유동 가이드(442)를 통해, 냉각 팬(420)에서 생성된 유동을 조리 공간(100) 내로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되며, 핵심 부품인 마그네트론(440)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팬(431), 히터(432), 내부 히터 커버(433), 외부 히터 커버(434), 모터(4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히터 커버(433)와 외부 히터 커버(434) 사이에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모터(435)를 구비하여야 하며, 모터(435)는 후방 공간(4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필연적으로 후방 공간(400)은 적어도 모터(435)의 깊이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공간에 착안하여, 조기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 중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440, 450, 460)을 후방 공간(400) 에 위치시킴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깊이 또는 길이의 일부를 희생하는 한편, 조리 공간(100)의 높이와 폭을 보다 넓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턴 테이블 구조 대신에 선반을 이용함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높이, 폭 및 깊이의 변형을 가능케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함으로써, 후방 공간(400)을 활용하는 한편, 발열 부재(440, 450, 46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 조리 공간(100) 그리고 측부 공간(500)을 연통시킴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팬(420)을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크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상부 공간(300),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유동을 공급할 수 있고, 조리 공간(100) 하부의 베이스(610)에 형성된 배기구(611)를 통해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423) 및 개구부(424,425)를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유로 및 유동을 형성하고 발열부재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후방 프레임(160)에는 측부 공간(500)가 연통하는 개구부(16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162)는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직접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의 양 측방으로 유동을 만들어 줌으로써 후방 공간(400) 양 측방의 냉각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으로 발열량이 많은 부재이며, 마그네트론(440)이 개구부(424) 위에 위치되고,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가 개구부(425) 위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열 부재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측부 공간(500)은 외부 케이스(10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양측 공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공간(300), 후방 공간(400) 및 하부 공간(600)과 연통하고, 흡기구(112) 및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과 연통하며, 냉각 팬(420)으로부터 발생된 유동은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및 조리 공간(100)을 거쳐 측부 공간(500)을 통해 하부 공간(600)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부 공간(3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유동은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을 빠져 나온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하부 공간(600)은 베이스(6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하부 공간이며,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에 결합되어 조리기기를 지지하고, 냉각 팬(420)에서 발생된 유동 및 조리 공간(100) 내에서 발생한 냄새 및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611)를 구비한다. 한편 하부 공간(600)은 그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60)에 의해 제한되지만, 베이스(610)는 후방 프레임(160)을 넘어 커버(410)와도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10)는 후방 공간(400)의 하부를 제한하는 부재로도 기능한다. 베이스(610)에서 배기구(611)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배기구(111) 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유동이 충분한 경로를 거치도록 베이스(610)의 중앙에 위치하여도 좋다. 한편 배기구(611)를 통해 온도가 높은 유동이 배출되므로, 열에 약한 주방기구 위에 조리기기가 놓이면, 주방 기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열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유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생성된 유동은 상부 공간(300)을 거쳐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한편, 유동의 일부는 개구부(151)를 빠져나와 도어(200)로 유입된다. 또한 유동의 일부는 후방 프레임(160)의 개구부(162)를 통해 측부 공간(5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 공간(400)으로 유입된 유동은 히터(320)와 릴레이 기판(350)을 냉각하며, 릴레이 기판(350)은 유동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유동 방향을 따라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구비된다. 측부 공간(500)을 거친 유동은 하부 공간(600)으로 유입되며, 베이스(61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배기구(611; 도 1 참조)를 통해 배출된다. 배기구(611)의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리기기 내에서 유동이 충분한 경로를 거쳐야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배기구(611)가 베이스(61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리기기가 놓이는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보호용 플레이트(612)를 구비하여 유동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측부 공간(500)을 지나는 유동은 조리 공간(100)의 배기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쵸크 커버(290)의 개구부(291)를 통해 유입된 유동은 브래킷(27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 플레이트(220)와 중간 플레이트(260) 사이를 거쳐서, 도어 패널(240)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242)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유동을 통해, 브래킷(270)에 의해 둘러쌓이는 입력 감지부(230; 도 1 참조) 및 제어 패널(250; 도 1 참조)을 열 및 유동으로부터 보호하며, 중간 플레이트(260)의 일측은 유동을 통해 열을 차단하고(유동은 브래킷(270)에 의해 차단되지만, 이 유동이 입력 감지부(230) 및 제어 패널(24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중간 플레이트(260)의 다른 측은 정체된 공기를 통해 열을 차단함으로써, 도어(200)의 외부 또는 손잡이(210; 도 1 참조)로 조리 공간(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방 플레이트(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플레이트(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쵸크 커버(290)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버튼 형태의 표시부(221)를 구비하며, 표시부(221)와 입력 감지부(230)가 조작 패널을 구성한다. 도어 프레임(280)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도록 도어 스크린(281) 및 쵸크부(282)를 구비하며, 도어 스크린(281) 아래에 힌지(H)가 구비되어 조리 공간 측과 힌지 연결된다. 또한 전방 플레이트(220), 중간 플레이트(260), 도어 스크린(281)을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하고, 도어 패널(240) 및 쵸크 커버(290)에 개구부(241,292)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 공간을 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250)의 전면에 LED와 같은 발광원(251,252)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표시부(221)를 비추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도어 패널(240)의 대응 부분에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231,232,242)가 구비된다. 또한 쵸크 커버(290)는 도어의 냉각을 위한 유동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91)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부(291) 측의 쵸크 커버(290)와 개구부(292) 측의 쵸크 커버(291)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 공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공간의 다른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유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Claims (8)

  1.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
    조리 공간의 전방부 및 상부 공간의 전방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도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
    도어 상부에, 도어 패널 전방의, 상부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조작 패널; 그리고,
    도어 상부에, 조작 패널의 후방으로, 조작 패널과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 패널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방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조작 패널은 도어 패널과 전방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은 글래스 터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공간에 위치하며, 제어 패널과 연동하는 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도어 패널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조리 공간의 내부가 개구부를 통해 보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도어 패널 내의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된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도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고, 도어 프레임은 도어 패널내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어 스크린을 포함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내부가 도어 스크린을 통해서 보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도어 패널에 결합되고 조리 공간 내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 그리고,
    도어 프레임을 덮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며,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유동이 유입되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된 쵸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80018001A 2008-02-27 2008-02-27 조리기기 KR10090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001A KR100901914B1 (ko) 2008-02-27 2008-02-27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001A KR100901914B1 (ko) 2008-02-27 2008-02-27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293A Division KR100836352B1 (ko) 2006-09-01 2006-09-12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178A true KR20080024178A (ko) 2008-03-17
KR100901914B1 KR100901914B1 (ko) 2009-06-10

Family

ID=3941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001A KR100901914B1 (ko) 2008-02-27 2008-02-2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9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23B1 (ko) * 1996-12-27 2004-09-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도어어셈블리
JP2000257876A (ja) 1999-03-05 2000-09-22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JP2001064859A (ja) 1999-08-19 2001-03-13 Toyobo Co Ltd 吸音材
KR100562102B1 (ko) * 2003-07-01 2006-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914B1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358B2 (en) Cooking apparatus having rear component space
KR100872222B1 (ko) 조리기기
KR100901890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5A (ko) 조리기기
KR100862112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9A (ko) 조리기기
KR100836352B1 (ko) 조리기기
KR100872221B1 (ko) 조리기기
KR100901914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8A (ko) 조리기기
KR100819593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2A (ko) 조리기기
KR100735973B1 (ko) 조리기기
KR20080044227A (ko) 조리기기
KR20080024175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1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2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3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7A (ko) 조리기기
KR100872238B1 (ko) 조리기기
KR20080024177A (ko) 조리기기
KR20080024176A (ko) 조리기기
KR20080039104A (ko) 조리기기
KR20080043759A (ko) 조리기기
KR20080039103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