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154A -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154A
KR20080023154A KR1020070090258A KR20070090258A KR20080023154A KR 20080023154 A KR20080023154 A KR 20080023154A KR 1020070090258 A KR1020070090258 A KR 1020070090258A KR 20070090258 A KR20070090258 A KR 20070090258A KR 20080023154 A KR20080023154 A KR 20080023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optical axis
protective layer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6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series; tand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화상의 계조를 높인다.
편광판(200)이, 액정층에서 보아 액정층에 입사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측에 배치되고, 또한 그 편광판(200)에서 보아 액정층이 배치된 쪽에 제 1 보호층(205)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막(204)으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이 그대로 제 1 보호층(205)을 투과하여 액정층에 출사된다. 따라서, 편광막(204)에 의해 상광(常光) 및 이상광(異常光)으로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이 액정층에 사출되지 않고, VA 모드로 구동되는 액정 분자를 구비한 액정층에 의해 변조된 변조광의 편광이 직선 편광을 바탕으로 설계대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광의 위상 편차에 기인하는 계조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예컨대, 수직 배향 모드(Vertical Aligned)로 구동되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 및 그러한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 장치, 및 액정 프로젝터 혹은 직시형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기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액정 장치에서는, 예컨대, 광의 편광을 규정하는 PVA(폴리비닐알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광막과, 그 편광막의 양면의 각각에 배치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편광 소자와,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광판이 액정 패널의 양면의 각각에 배치된다. 액정 패널의 광 입사측에 배치된 편광판은, 그 편광판에 입사한 입사광 중 편광막의 투과축에 평행한 진폭 성분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고, 또한 그 직선 편광을 액정 패널에 출사한다. 액정 패널의 광 출사측에 배치된 편광판은, 액정 패널 로부터 출사된 출사광 중 소정의 진폭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액정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사한다.
이러한 편광막의 투과축 및 보호층의 광학축이 서로 어긋나는 축 편차가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TAC 등의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에서는, TAC의 광학축이 한 개가 아니라, TAC의 면 내에서 복수 존재하고, 또한 그 방향도 랜덤이므로, 편광막의 투과축과, TAC의 광학축을 일치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통상, TAC층 등의 보호층을 얇게 형성하고, 그 보호층의 리타데이션값을 낮게 함으로써, 보호층의 광학축이 액정 장치의 계조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보 제 3327410호
그러나, TAC를 얇게 함으로써 보호층인 TAC의 외적 요인에 의한 대항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이나 기계적 응력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보호층 자체가 왜곡되고, 그 왜곡에 기인하여 보호층 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른 복수의 광학축을 발생시켜 버린다. 이러한 복수의 광학축은 그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 장치의 계조를 저하시켜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서로 투과축이 직교하도록 편광판을 배치한 크로스 니콜(cross-Nicole) 배치의 상태로 액정 장치의 투과율을 측정한 경우, 편광막의 투과축과, 보호층의 지상축(遲相軸), 혹은 진상축(進相軸) 등의 광학축과의 각도를 합치시켜 배치했을 때의 이론적인 투과율은 0%가 되지만, 편광막의 투과축 및 보호층의 광학축이 근소하게라도 어긋나면 투과율은 상승한다. 즉, 보호층인 TAC가 왜곡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 각도의 광학축이 TAC에 발생해 버려, 크로스 니콜 상태에서의 투과율이 높아져 버리게 된다. 이러한 편광판을 액정 장치와 조합한 경우, 액정 장치에서의 흑 표시의 상태로 투과율이 높아지게 되며, 계조가 저하해 버린다. 그리고, 이러한 계조의 저하는, 보호층의 왜곡에 기인하므로, TAC 등의 보호층의 막 두께가 얇아질수록 현저해진다. 또한, 이러한 계조의 저하는 노멀리 블랙(normally-black) 모드로 화상이 표시되는 수직 배향형 표시 방식(VA 모드)에서 보다 현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컨대, 편광막에 의한 광의 편광에 가능한 한 많은 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보호층을 구비한 편광판, 및, 이러한 편광판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계조로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 가능한 액정 장치, 및 이러한 액정 장치를 구비한 액정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정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으로서, 편광막과,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1 광학축을 갖는 제 1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제 1 광학축이 상기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편광막의 한쪽의 면 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예컨대, 액정 장치가 구비하는 액정 패널의 광 입사측 및 광 출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편광판이며, 그 액정 패널에 입사하는 입사광 혹은 액정 패널에 의해 변조된 변조광의 진폭 방향을 규정한다. 제 1 보호층은, 그 제 1 보호층이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제 1 광학축을 갖고 있으며, 제 1 광학축이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편광막의 한쪽의 면 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편광막 및 제 1 보호층은, 예컨대, 리타데이션값을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을 거쳐 서로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예컨대, 액정 패널의 광 출사측에서, 제 1 보호층이 그 액정 패널에 면하도록 배치된 경우,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된 변조광은, 제 1 보호층이 복수의 축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편광막의 투과축과의 축 편차에 의한 복 굴절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제 1 편광막에 입사하고,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른 진폭 성분만이 출사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서 변조된 변조광의 위상을 교란하는 일 없이, 그 변조광은 투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예컨대, 액정 패널의 광 입사측에서, 제 1 보호층이 그 액정 패널에 면하도록 배치된 경우, 편광막에 의해 편광된 광은, 제 1 보호층이 복수의 축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편광막의 투과축과의 축 편차에 의한 복굴절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액정 패널에 입사한다. 따라서, 액정층에 의한 편광이 직선 편광을 바탕으로 설계대로 행해진다. 이러한 편광판에 의하면, 예컨대, VA 모드의 액정층에 의한 광의 변조를 행하기 전단계의 광, 혹은 액정층에 의해 광이 변조된 변조광의 위상이 제 1 보호층에 의해 교란되지 않으므로, 액정 장치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한 형태에서는, 소정의 제 2 광학축을 갖고, 그 제 2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편광막의 다른 쪽의 면 쪽에 배치된 제 2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편광막에 입사하는 광, 혹은 편광막에 의해 편광된 광의 위상이 교란되는 일이 없고,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른 진폭을 갖는 광만을 그 편광판을 거쳐 출사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소정의 제 3 광학축을 갖고, 그 제 3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 상기 제 1 광학축 및 상기 제 2 광학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의 상기 편광막 쪽과는 반대쪽에 접착된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지지 기판은 제 2 보호층을 거쳐 편광막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적 응력이 편광막에 가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편광막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편광막의 변질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지지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온도나 습도에 의한 환경 변화의 영향으로부터 TAC의 화학 변화에 의한 황변의 걱정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편광판의 투과율이나 색미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막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보호층 및 상기 제 2 보호층은, 상기 편광막을 사이에 끼우고 있으며, 또한 프레임 형상의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편광막을 외기로부터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편광막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의 광 입사측에 배치된 입사측 편광판과, 상기 액정층의 광 출사측에 배치된 출사측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출사측 편광판은, 제 1 편광막과,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1 광학축을 갖는 제 1 보호층을 갖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제 1 광학축이 상기 제 1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1 편광막에서 보아 상기 액정층 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에 의하면, 제 1 편광막은, 예컨대, PVA 등의 유기 막이며, 필름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편광막은, 제 1 편광막에 입사하는 광을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한다.
제 1 보호층은,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1 광학축을 갖고 있으며, 제 1 광학축이 제 1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제 1 편광막에서 보아 액정층 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편광막 및 제 1 보호층은, 예컨대, 리타데이션값을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에서는, 액정층에서 보아 광 출사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편광막에서 보아 액정층 쪽에 제 1 보호층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층에 의해 변조된 변조광이 제 1 편광막으로부터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된다. 이러한 편광판에 의하면, 예컨대, VA 모드의 액정층에 의해 변조된 변조광 이외의 진폭 성분은 존재하지 않아, 편광막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에 의하면, 흑 표시가 보다 낮은 계조로 표시되므로, 액정 장치의 계조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한 형태에서는, 상기 출사측 편광판은, 상기 제 1 편광막에 대하여 상기 액정층 쪽과는 반대쪽에 배치된 제 2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보호층은, 소정의 제 2 광학축을 갖고, 또한 그 제 2 광학축이 상기 제 1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편광막에 입사하는 광의 위상이 교란되는 일이 없어, 제 1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른 진폭을 갖는 광만을 그 출사측 편광판을 거쳐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소정의 제 3 광학축을 갖고, 그 제 3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 상기 제 1 광학축 및 상기 제 2 광학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의 상기 제 1 편광막 쪽과는 반대쪽에 접착된 제 1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지지 기판에는 복굴절률이 존재하지 않아, 제 1 편광막으로부터 출사된 편광 성분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흑 표시에서의 직선 편광 이외의 진폭 성분의 흡수에 의한 발열이 없어, 열에 의한 편광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지지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열팽창 및 수축 등의 외적 응력이 제 1 편광막에 가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출사측 편광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제 1 편광막의 막질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입사측 편광판은, 제 2 편광막과,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4 광학축을 갖는 제 3 보호층을 갖고, 상기 제 3 보호층은, 상기 제 4 광학축이 상기 제 2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2 편광막에서 보아 상기 액정층 쪽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편광막에 의해 편광된 광의 위상이 제 3 보호층에 의해 교란되는 일이 없어, 제 2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른 진폭을 갖는 광만을 그 액정층에 입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입사측 편광판은, 상기 제 2 편광막에 대하여 상기 액정층 쪽과는 반대쪽에 배치된 제 4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보호층은, 소정의 제 5 광학축을 갖고, 또한 상기 제 5 광학축이 상기 제 2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편광막으로 입사하는 광이, 예컨대, 액정 프로젝터에 보이는 편광 변환 소자로부터 출사된 편광 등인 경우, 입사하는 광의 위상이 교란되는 일이 없으므로, 효율적으로 투과할 수 있어, 광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제 2 편광막에 타원 편광 성분이 입사하지 않으므로, 제 2 편광막의 퇴색이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소정의 제 6 광학축을 갖고, 그 제 6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 상기 제 4 광학축 및 상기 제 5 광학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4 보호층의 상기 제 2 편광막 쪽과는 반대쪽에 접착된 제 2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편광막의 막질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형태에서는, 제 2 지지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열팽창 및 수축 등의 외적 응력이 제 2 편광막에 가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입사측 편광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액정층은, 유전율 이방성이 부(負)인 액정 분자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입사측 편광판 및 상기 출사측 편광 판은, 서로의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수직 배향(VA) 모드로 액정 분자가 구동되고, 또한 입사측 편광막의 투과축 및 출사측 편광막의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즉, 입사측 편광판 및 출사측 편광판이 크로스 니콜 배치되어 있으므로, 노멀리 블랙 모드로 화상이 표시된다. 특히, 이 형태에 의하면, 계조에 대한 리타데이션값의 영향이 큰 유전율 이방성이 부인 액정을 구비하는 액정 장치이더라도, 높은 계조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에 의하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고품질의 표시가 가능한, 투사형 표시 장치, 휴대 전화, 전자 수첩, 워드 프로세서,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용 및 다른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로부터 분명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1 : 편광판>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도식적 파단도이다. 도 2는 각 보호층의 광학축 및 편광막의 투과축의 방향을 나타낸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일변형예를 나타낸 도식적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은, 예컨대, 액정 프로젝터의 광 밸브 등의 액정 장치에 응용되는 편광판이다. 또한, 예컨대, VA 모드로 구동되어, 초기 배향 상태가 수직 배향을 보이고, 또한 유전율 이방성이 부인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층에서 보아 그 액정층으로부터 출사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측 및 액정층에 입사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측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편광판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액정 장치에 배치하기 전의 편광판(200)은, 지지 기판(201), 접착층(202), 제 2 보호층(203), 편광막(204), 제 1 보호층(205), 코트층(206) 및 보호 필름(20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 기판(201)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편광막(204)에 외적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막(204)에 의해 편광되어야할 광, 혹은 편광막(204)에 의해 편광된 광의 위상을 교란하는 일이 없다.
편광막(204)은, 예컨대, PVA 등의 유기막이며, 필름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편광막(204)은, 편광막(204)에 입사하는 광을 직선 편광으로서 출사한다. 제 2 보호층(203)은, 예컨대, 소정의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제 2 광학축(153) 을 갖는 TAC 등, 투명 필름 등의 광학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제 2 광학축(153)이 편광막(204)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보호층(205)은, 소정의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제 1 광학축(155)만을 갖고 있다. 제 1 보호층(205)은, 제 1 광학축(155)이 편광막(204)의 투과축(154)을 따르도록, 편광막(204)의 한쪽의 면에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편광막(204) 및 제 1 보호층(205)은, 예컨대, 리타데이션값을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접착제 등의 도시하지 않는 접착 수단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편광판(200)이, 액정층에서 보아, 액정층에 의해 변조된 변조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막(204)에서 보아 액정층 쪽에 제 1 보호층(205)이 위치한다.
이 경우, 제 1 보호층(205)에 입사한 변조광은, 제 1 광학축(155)이 편광막(204)의 투과축(154)을 따르고 있으며, 제 1 보호층(205)에서 변조되는 일 없이 그대로 제 1 보호층(205)을 투과한다. 이 때문에, 편광막(204)에서 의도하지 않은 광의 흡수가 없으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층에 의해 변조된 변조광 이외의 진폭 성분을 갖는 광이 편광막(204)에 흡수되지 않아, 액정 장치의 휘도를 쓸데없이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덧붙여, 광 흡수에 의해 편광막(204)의 막질이 저하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편광판(200)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편광판(200)이, 예컨대, 액정층의 광 입사측에 배치되고, 편광막(204)에서 보아 액정층 쪽에 제 1 보호층(205)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편광막(204)에 의해 편광된 광이 제 1 보호층(205)에 입사한다. 여기서, 제 1 광학축(155)이 편광 막(204)의 투과축(154)을 따르고 있으므로, 편광막(204)에 의해 편광된 광은, 제 1 보호층(205)에서 위상이 교란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편광막(204)으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이 그대로 제 1 보호층(205)을 투과하여 액정층에 출사되어, 액정층에 의한 광 변조가 편광막(204)에 의해 편광된 직선 편광에 대하여 행해진다. 특히, 편광판(200)이, VA 모드로 구동되는 액정 분자를 구비한 액정층을 갖는 액정 패널에 사용되는 경우, 액정 분자의 복굴절에 근거하는 광 변조가 행해지기 전단계에서 광의 위상이 교란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편광막과 액정층의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매질이 개재되지 않으므로, 위상차의 영향에 의해, 예컨대, 흑 표시시에 흑의 투과율이 변하는 일이 없고, 표시 화상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보호층(203)은, 제 2 광학축(153)만을 갖고 있다. 덧붙여, 제 2 보호층(203)은, 제 2 광학축(153)이 편광막(204)의 투과축(154)을 따르도록 편광막(204)의 다른 쪽 면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편광막(204)에 의한 광의 편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또한 편광막(204)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기판(201)은, 그 광학축(151)이 제 2 광학축(153)에 합치하고 있으므로, 제 2 보호층(203)과 마찬가지로 편광막(204)에 의한 광의 편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편광판(200)에 의하면, 편광판(20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편광판(200)을 구비한 액정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품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예에 따른 편광판(300)을 제 1 보호층(205) 쪽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3(b)는 다른 변형예에서, 편광판(300)을 제 2 보호층(203)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편광판(200)과 공통하는 부분에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에서, 편광판(300)이 구비하는 제 1 보호층(205)은, 표시 영역(10a)의 바깥쪽의 영역에서 제 1 보호층(205)의 둘레를 규정하는 각 변을 따라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밀봉부(210A)에 의해 편광막(204)과 서로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이란, 편광판(300)을 액정 장치에 내장했을 때에, 그 액정 장치의 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영역과 겹치는 영역을 의미한다.
편광판(300)에 의하면, 편광막(204)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접착층인 밀봉재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편광막(204)의 표시 영역에 외적 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편광막(20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에서, 편광판(300)이 구비하는 제 2 보호층(203)은, 제 2 보호층(203)의 둘레를 규정하는 각 변을 따라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밀봉부(210B)에 의해 제 1 지지 기판(203)과 서로 접착되어 있다. 밀봉부(210B)에 의하면, 밀봉부(210A)와 마찬가지로, 편광막(204)에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는, 편광막(203)에서 보아 제 1 보호층(205) 쪽에 마련되더라도 좋고, 제 2 보호층(203) 쪽에 마련되더라도 좋다.
<2 : 액정 장치>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를, 각 구성 요소와 함께 대향 기판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장치의 일례로서, 구동 회로 내장형 TFT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장치를 예로 든다.
액정 장치(1)는, TFT 어레이 기판(10), 대향 기판(20), 액정층(50), 편광판(200A, 200B)을 구비하고 있다.
TFT 어레이 기판(10)은, 예컨대, 석영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며, 대향 기판(20)은, 예컨대, 석영 기판, 유리 기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TFT 어레이 기판(10) 및 대향 기판(20)은, 복수의 화소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인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위에 위치하는 밀봉 영역(52a)에 마련된 밀봉재(52)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밀봉재(52) 및 액정 밀봉부(156)에 의해, TFT 어레이 기판(10) 및 대향 기판(20) 사이에 VA 모드로 구동되는 액정층(50)이 밀봉되어 있다. 특히, 액정 공급구(160)에서는, 액정 공급구(160)에 공급된 액정이 새지 않도록 액정 밀봉부(156)에 의해 액정 공급구(160)가 밀봉되어 있다.
도 4에서, 밀봉재(52)가 배치된 밀봉 영역(52a)의 안쪽에 병행하여, 화상 표시 영역(10a)의 프레임 영역을 규정하는 차광성의 프레임 형상 차광막(53)이, 대향 기판(20) 쪽에 마련되어 있다. 주변 영역 중, 밀봉재(52)가 배치된 밀봉 영역(52a)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및 외부 회로 접 속 단자(102)가 TFT 어레이 기판(10)의 한 변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이 한 변을 따른 밀봉 영역(52a)보다 안쪽에, 샘플링 회로(7)가 프레임 형상 차광막(53)에 덮이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04)는, 이 한 변에 인접하는 두 변을 따른 밀봉 영역의 안쪽에, 프레임 형상 차광막(53)에 덮이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TFT 어레이 기판(10)상에는, 대향 기판(20)의 4개의 코너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양 기판 사이를 상하 도통재(107)로 접속하기 위한 상하 도통 단자(106)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도통을 취할 수 있다.
TFT 어레이 기판(10)상에는, 외부 회로 접속 단자(102)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주사선 구동 회로(104), 상하 도통 단자(106)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회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TFT 어레이 기판(10)상에는, 구동 소자인 화소 스위칭용 TFT(Thin Film Transistor)나 주사선, 데이터선 등의 배선을 제조하여 넣은 적층 구조가 형성된다. 화상 표시 영역(10a)에는, 화소 스위칭용 TFT나 주사선, 데이터선 등의 배선의 상층에 ITO막으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9a)이 마련되어 있다. 화소 전극(9a)상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20)에서의 TFT 어레이 기판(10)과의 대향면상에, 차광막(23)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23)상에, 화소 전극(9a)과 마찬가지로 ITO막으로 이루어지는 대향 전극(21)이 복수의 화소 전극(9a)과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21)상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층(50)은, VA 모드로 구동되는 유전율 이방성이 부인 액정을 포함하여 구 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배향막 사이에서, 소정의 배향 상태를 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사광은, 대향 기판(20) 쪽에서 TFT 어레이 기판(10) 쪽을 향하여 액정 장치(1)에 입사한다. 다시 말해, 도면 중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액정 장치(1)에 입사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TFT 어레이 기판(10)상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주사선 구동 회로(104) 외에, 제조 도중이나 출하시의 그 액정 장치의 품질, 결함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회로, 검사용 패턴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편광판(200A, 200B)의 각각이 구비하는 보호층의 광학축, 및 편광막의 투과축 등의 상대적인 방향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편광판(200A, 200B)의 각각이 구비하는 광학축, 및 편광막의 투과축 등의 상대적인 방향의 관계를 나타낸 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편광판(200A, 200B)은, 상술한 편광판(200)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편광판(200A, 200B)의 각각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의 「입사측 편광판」 및 「출사측 편광판」의 각각의 일례이다.
도 6에서, 액정 장치(1)는, 편광판(200A, 200B), 및 액정층(50)을 구비하고 있다. 편광판(200A)은, 편광막(204A), 제 3 보호층(205A), 제 4 보호층(203A), 및 제 2 지지 기판(201A)을 구비하고 있다.
편광판(200A, 200B)은, 편광막(204A)의 투과축(154A)과, 편광막(204B)의 투과축(154B)이 서로 직교하도록 크로스 니콜 배치되어 있다. 액정층(50)은, VA 모 드로 구동되는, 즉, 수직 배향형 액정 분자를 갖고 있다. 따라서, 액정 장치(1)는, 비구동 상태로 화상 표시 영역(10a)에 흑이 표시되는 노멀리 블랙 모드로 화상을 표시한다.
제 1 보호층(205B)은, 그 제 1 보호층(205B)이 소정의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제 1 광학축(155B)만을 갖고, 제 1 광학축(155B)이 편광막(204B)의 투과축(154B)을 따르도록, 편광막(204B)에서의 액정층(50)에 면하는 한쪽의 면 쪽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장치(1)의 동작시에서, 액정층(50)으로부터 제 1 보호층(205B)에 출사된 변조광은, 제 1 보호층(205B)에서 위상이 교란되는 일 없이 투과한다. 따라서, 직선 편광을 유지한 채로 검광된다. 이 때문에, 크로스 니콜 상태에서의 투과율을 낮게 할 수 있어, 저휘도의 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의 밝기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장치(1)에 의하면, 그 동작시에서 편광막(204B)에 여분으로 흡수되는 광의 열에너지에 따라 편광막(204B)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편광막(204B)의 열에 의한 왜곡이나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보호층(203B)은, 제 2 광학축(153B)만을 갖고, 또한 제 2 광학축(153B)이 편광막(204B)의 투과축(154B)을 따르도록, 편광막(204B)에서의 액정층(50)과는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 1 지지 기판(201B)은, 제 2 보호층(203B)에서 보아 제 1 보호층(205B)의 반대쪽에서, 제 1 지지 기판(201B)의 광학축(151B)이, 제 1 광학축(155B), 투과축(154B) 및 제 2 광학축(153B)의 각각을 따르도록 배 치되어 있다. 따라서, 편광막(204B)을 투과한 광의 위상이 변경되는 일 없이, 그 광이 그대로 출사된다.
제 3 보호층(205A)은, 소정의 방향으로 연신된 제 3 광학축(155A)만을 갖고, 또한 제 3 광학축(155A)이 편광막(204A)의 투과축(154A)을 따르도록, 편광막(204A)에서의 액정층(50) 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보호층(205A)에 의하면, 편광막(204A)으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이 그대로 제 3 보호층(205A)을 투과하여 액정층(50)에 출사된다. 따라서, 액정층(50)에 의해 행해지는 광의 변조는, 직선 편광을 기초로 설계대로 행해진다. 편광판(200A)에 의하면, 예컨대, VA 모드로 구동되는 액정 분자를 구비한 액정층을 갖는 액정 패널에 사용되는 경우, 액정 분자의 복굴절에 근거하여 광의 변조가 행해지기 전단계에서 광의 위상이 교란되는 일이 없어, 액정 장치(1)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편광막(204A) 및 액정층(50) 사이에 개재하는 보호층의 리타데이션값에 따른 광의 위상 편차를 방지할 수 있어, 광의 위상 편차에 기인하는 계조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4 보호층(203A)은, 제 4 광학축(153A)만을 갖고, 또한 제 4 광학축(153A)이 편광막(204A)의 투과축(154A)을 따르도록, 편광막(204A)에서의 액정층(50)과는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 2 지지 기판(201A)은, 제 4 보호층(203A)에서 보아 제 3 보호층(205A)의 반대쪽에서, 제 2 지지 기판(201A)의 광학축(151A)이, 제 3 광학축(155A), 투과축(154A) 및 제 4 광학축(153A)의 각각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편광막(204A)에 의해 편광되어야할 광의 위상이 교란되는 일 없이, 그 광이 액정층(50)에 그대로 출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1)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막(204A, 204B)과, 액정층(50)의 사이에, 복수의 광학축을 갖는 층, 즉,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매질이 개재되지 않으므로, 위상차의 영향에 의해, 예컨대, 흑 표시시에 흑의 투과율이 변하지 않고, 액정 장치(1)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계조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광 흡수에 의한 편광막의 막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 장치(1)가 구비하는 편광판(200A, 200B)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편광판(300)과 같이, 각 보호층이, 편광막의 둘레를 규정하는 각 변을 따라 마련된 밀봉부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액정층이, VA 모드 이외의 구동 모드로 구동되는 액정 분자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도, VA 모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3 : 광 밸브>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액정 장치를 전자 기기의 일례인 프로젝터의 광 밸브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광 밸브(1010)가 블록 부재(3100)에 의해 블록화되어 있다. 이 광 밸브(1010)는, 프로젝터에서의 투사 광학계의 광 밸브에 해당하는 부분을 분리한 것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광 밸브(1010)는, 복판식 프로젝터에 적절히 이용하거나, 단판식 프로젝터에 적용할 수 있다. 액정 패널(2000)에 접속된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은, 블록 부 재(3100)의 액정 패널(200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슬릿(5000)으로부터 밖으로 인출되고 있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는, 광학 부품으로서 액정 패널(2000)과 편광판(1000, 3000)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액정 패널과 편광판이 한 쌍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도, 액정 패널과 편광판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대하도록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액정 장치로서는, 광 밸브로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장치 외에, 광 밸브인 액정 패널과, 그에 대하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대하도록 배치되는 편광판을 구비한 투사광학 시스템으로서의 액정 장치라도 좋다.
<4 : 전자 기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액정 장치를 전자 기기의 일례인 프로젝터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상술한 액정 장치는, 프로젝터의 광 밸브로서 이용되고 있다. 도 7은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100)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등의 백색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유닛(110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램프 유닛(1102)으로부터 사출된 투사광은, 광 가이드(1104) 내에 배치된 4장의 미러(1106) 및 2장의 다이클로익 미러(1108)에 의해 RGB의 3원색으로 분리되어,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 밸브로서의 액정 패널(1110R, 1110B, 1110G)에 입사된다.
액정 패널(1110R, 1110B, 1110G)의 구성은, 상술한 액정 장치와 동등한 구성 을 갖고 있으며, 화상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R, G, B의 원색 신호로 각각 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액정 패널에 의해 변조된 광은, 다이클로익 프리즘(1112)에 3방향으로부터 입사된다. 이 다이클로익 프리즘(1112)에서는, R 및 B의 광이 90도로 굴절하는 한편, G의 광이 직진한다. 따라서, 각 색의 화상이 합성되는 결과, 투사 렌즈(1114)를 거쳐, 스크린 등에 컬러 화상이 투사되게 된다.
여기서, 각 액정 패널(1110R, 1110B, 1110G)에 의한 표시상에 대하여 착안하면, 액정 패널(1110G)에 의한 표시상은, 액정 패널(1110R, 1110B)에 의한 표시상에 대하여 좌우 반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액정 패널(1110R, 1110B, 1110G)에는, 다이클로익 미러(1108)에 의해, R, G, B의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이 입사하므로, 컬러 필터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프로젝터(1100)에 의하면, 액정 패널(1110R, 1110B, 1110G)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액정 장치를,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이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200)는, 키보드(1202)를 구비한 본체부(1204)와, 상술한 액정 장치를 응용한 액정 표시 유닛(12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1200)에 의하면, 액정 표시 유닛(1206)의 양면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액정 장치를, 휴대 전화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이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 휴대 전화(1300)는, 복수의 조작 버튼(1302)과 함께, 상술한 액정 장치를 응용한 반사형 액정 장 치(1305)를 구비한다. 액정 장치(1305)에서는, 필요에 따라 그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쪽에 프론트 라이트가 마련되고, 외광이 없는 상황에서도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 외에도, 텔레비전 수상기나, 뷰파인더형 혹은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을 구비한 장치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각 지지 기판을 보호층으로서 이용하고, 다른 지지 기판에 접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편광판이더라도, 액정 패널에 대하여, 광학축을 갖는 보호층이 편광판의 액정 패널 쪽에 배치되도록 편광판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도식적 파단도,
도 2는 각 보호층의 광학축 및 편광막의 투과축의 방향을 나타낸 도식적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일변형예를 나타낸 도식적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를 각 구성 요소와 함께 대향 기판 쪽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
도 6은 편광판(200A, 200B)의 각각이 구비하는 광학축, 및 편광막(204)의 투과축의 상대적인 방향의 관계를 나타낸 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실시예인 직시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인 휴대형 단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인 광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장치 10 : TFT 어레이 기판
20 : 대향 기판 200, 200A, 200B, 300 : 편광판

Claims (15)

  1. 액정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으로서,
    편광막과,
    연신(延伸)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1 광학축을 갖는 제 1 보호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제 1 광학축이 상기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편광막의 한쪽의 면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 2 광학축을 갖고, 그 제 2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편광막의 다른 쪽의 면 쪽에 배치된 제 2 보호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 3 광학축을 갖고, 그 제 3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 상기 제 1 광학축 및 상기 제 2 광학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의 상기 편광막 쪽과는 반대 쪽에 접착된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층 및 상기 제 2 보호층은, 상기 편광막을 사이에 끼우고 있으며, 또한 프레임 형상의 밀봉재를 거쳐 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의 광 입사측에 배치된 입사측 편광판과,
    상기 액정층의 광 출사측에 배치된 출사측 편광판
    을 구비하고,
    상기 출사측 편광판은, 제 1 편광막과,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1 광학축을 갖는 제 1 보호층을 갖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제 1 광학축이 상기 제 1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1 편광막에서 보아 상기 액정층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측 편광판은, 상기 제 1 편광막에 대하여 상기 액정층 쪽과는 반대쪽에 배치된 제 2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보호층은, 소정의 제 2 광학축을 갖고, 또한 그 제 2 광학축이 상기 제 1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 3 광학축을 갖고, 그 제 3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 상기 제 1 광학축 및 상기 제 2 광학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2 보호층의 상기 제 1 편광막 쪽과는 반대쪽에 접착된 제 1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편광판은, 제 2 편광막과,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소정의 제 4 광학축을 갖는 제 3 보호층을 갖고,
    상기 제 3 보호층은, 상기 제 4 광학축이 상기 제 2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2 편광막에서 보아 상기 액정층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편광판은, 상기 제 2 편광막에 대하여 상기 액정층 쪽과는 반대쪽에 배치된 제 4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4 보호층은, 소정의 제 5 광학축을 갖고, 또한 상기 제 5 광학축이 상기 제 2 편광막의 투과축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 6 광학축을 갖고, 그 제 6 광학축이 상기 투과축, 상기 제 4 광학축 및 상기 제 5 광학축을 따르도록, 상기 제 4 보호층의 상기 제 2 편광막 쪽과는 반대쪽에 접착된 제 2 지지 기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수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유전율 이방성이 부(負)인 액정 분자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입사측 편광판 및 상기 출사측 편광판은, 쌍방의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5. 청구항 6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자 기기.
KR1020070090258A 2006-09-07 2007-09-06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80023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2426A JP4360388B2 (ja) 2006-09-07 2006-09-07 偏光板及び液晶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JP-P-2006-00242426 2006-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154A true KR20080023154A (ko) 2008-03-12

Family

ID=3916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258A KR20080023154A (ko) 2006-09-07 2007-09-06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62356A1 (ko)
JP (1) JP4360388B2 (ko)
KR (1) KR20080023154A (ko)
CN (1) CN101140377A (ko)
TW (1) TW2008277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3429B2 (ja) * 2006-08-31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装置、並びに電子機器
WO2012008981A2 (en) * 2009-12-07 2012-01-19 Crysoptix Kk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1816A1 (fr) * 1997-10-24 1999-05-06 Chisso Corporation Nouveaux composes a cristaux liquides presentant une grande valeur negative d'anisotropie de permittivite, composition a cristaux liquides et element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JP2002189228A (ja) * 2000-09-29 2002-07-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KR100652049B1 (ko) * 2001-12-29 2006-11-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038744B2 (en) * 2002-01-09 2006-05-02 Konica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having a stretched film on a side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same
US7236217B2 (en) * 2003-01-16 2007-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ckage of optical films with zero-gap bond outside viewing area
JP2005148519A (ja) * 2003-11-18 2005-06-09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06178389A (ja) * 2004-07-05 2006-07-06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65019A (ja) 2008-03-21
US20080062356A1 (en) 2008-03-13
CN101140377A (zh) 2008-03-12
JP4360388B2 (ja) 2009-11-11
TW200827791A (en)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2734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194027B2 (en) Liquid crystal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 emitting device
US7671948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363429B2 (ja) 偏光板及び液晶装置、並びに電子機器
CN102736320A (zh) 显示器和电子单元
US7659955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with optical-axis-adjusting unit for optical compensator
JP4506183B2 (ja)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KR20080023154A (ko) 편광판 및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8058868A (ja) 偏光板、及び液晶装置、並びに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733408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076592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678016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161074A (ja) 液晶パネル、液晶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828173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962177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64885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23417A (ja)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5211582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20069304A (ko)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JP528722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21099395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256956A (ja) 光学補償板、並びに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288637A (ja) 光学補償板、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196033A (ja)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7183688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