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694A - 역광 방지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역광 방지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694A
KR20080022694A KR1020060086204A KR20060086204A KR20080022694A KR 20080022694 A KR20080022694 A KR 20080022694A KR 1020060086204 A KR1020060086204 A KR 1020060086204A KR 20060086204 A KR20060086204 A KR 20060086204A KR 20080022694 A KR20080022694 A KR 2008002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lens
beam splitter
imag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석
Original Assignee
전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홍석 filed Critical 전홍석
Priority to KR102006008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2694A/ko
Publication of KR2008002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multiple sensors
    • H04N23/16Optical arrangements associated therewith, e.g. for beam-splitting or for colour cor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거울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CCD에 동일한 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를 통해 들어온 빛을 보내고 광량 센서로 얻은 평균값을 이용해서 한 CCD는 좀 더 밝은 대상에 대응하게 하고, 다른 한 CCD는 좀 더 어두운 대상에 대응하게 하여 두 가지 CCD 신호를 얻은 다음에 이들을 작은 여러 구획으로 분할해서 동일한 부분에 해당하는 구역 중에서 색깔 신호가 더 많은 구역을 선택해서 한 개의 전체 그림을 만드는 촬영장치이다.
회전거울, CCD, 광량센서, 분할, 전체, 촬영장치

Description

역광 방지 촬영장치 {Back light proof camera}
도1은 촬영장치 렌즈와 회전하는 거울과 왼쪽 CCD로 가는 빛의 경로.
도2는 촬영장치 렌즈와 회전하는 거울과 오른쪽 CCD로 가는 빛의 경로.
도3은 모터를 이용한 회전 거울과 CCD수를 늘렸을 때 빛의 경로1.
도4는 모터를 이용한 회전 거울과 CCD수를 늘렸을 때 빛의 경로2.
도5는 모터를 이용한 회전 거울과 CCD수를 늘렸을 때 빛의 경로3.
도6은 모터를 이용한 회전 거울과 CCD수를 늘렸을 때 빛의 경로4.
도7은 하프 미러와 CCD로 가는 빛의 경로.
도8은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해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거울과 왼쪽 CCD로 가는 빛의 경로.
도9는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해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거울과 오른쪽 CCD로 가는 빛의 경로.
도10은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해 좌우로 오가는 하는 CCD 중 왼쪽 것으로 가는 빛의 경로.
도11을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해 좌우로 오가는 하는 CCD 중 오른쪽 것으로 가는 빛의 경로.
도12는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해 뒤집히는 CCD 중 처음 위쪽 것으로 가는 빛의 경로.
도13은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해 뒤집히는 CCD 중 처음 아래쪽 것으로 가는 빛의 경로.
도14는 모터를 이용해 회전하는 CCD 중 처음 위쪽 것으로 가는 빛의 경로.
도15는 모터를 이용해 회전하는 CCD 중 처음 아래쪽 것으로 가는 빛의 경로.
도16은 두 CCD의 영상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기준에 더 적합한 조각들을 모아 합성하는 그림.
도17은 단면 회전거울의 앞과 뒤.
도18은 위아래로 이동하는 거울과 왼쪽으로 가는 빛.
도19는 위아래로 이동하는 거울과 오른쪽으로 가는 빛.
도20은 양면 회전거울의 앞과 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
2: CCD1.
3: 회전 거울.
4: CCD2.
5: 빛의 경로.
6: 하프 미러.
7: 거울1.
8: 거울2.
9: 거울1을 내밀었다 당겼다 하는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장치.
10: 거울2를 내밀었다 당겼다 하는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장치.
11: 위아래로 움직여서 빛의 경로를 바꿔주는 거울.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때 역광 상태에서 인물을 촬영하면 밝은 배경이 또렷이 나오게 촬영하면 인물은 빛이 모자라서 검게 나온다. 인물을 또렷이 촬영하려면 밝은 배경은 너무 밝아서 윤곽이 흐려지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다. 이런 역광문제를 처리하는 여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있지만 아직도 어두운 사물과 밝은 배경을 함께 촬영할 때 문제가 있다. 감시카메라의 경우 전 등 아래 그림자에 숨은 사람은 잘 안보일 수도 있다. 역광일 때 플래쉬를 터뜨리면 가까운 인물만 빛을 반사하므로 역광을 보정할 수 있지만 플래쉬로 인해 자연스럽지 않으며, 역광 보정 회로를 통해서도 역광에 대응할 수 있으나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거울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CCD에 동일한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보내고 광량 센서로 얻은 평균값을 이용해서 한 CCD는 좀 더 밝은 대상에 대응하게 하고, 다른 한 CCD는 좀 더 어두운 대상에 대응하게 하여 두 가지 CCD 신호를 얻은 다음에 이들을 작은 여러 구획으로 분할해서 동일한 부분에 해당 하는 구역 중에서 색깔 신호가 더 많고, 명암 변화가 더 많은 구역을 선택해서 한 개의 전체 그림을 만드는 촬영 장치이다.
본 발명은 렌즈 또는 빔 스플리터를 통해 들어온 빛을 (도1)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단면 거울(도17)이나 양면 거울(도18)을 이용해서 왼쪽과 오른쪽으로 보내준다. 빛의 양을 감지하는 광량센서를 이용해서 CCD의 값을 정할 때 왼쪽 CCD는 평균보다 많은 광량 조건에 맞추어 주고, 오른쪽 CCD는 평균보다 적은 광량 조건에 맞추어 준다. 평균보다 얼마나 많거나 적은 조건에 맞추어 줄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해 줄 수 있다. 서로 대응하는 좌우 CCD에서 온 화면을 여러 작은 4각형으로 분할한 다음에 각 각 짝이 되는 4각형 중에서 색깔 신호가 더 많은 것을 선택 한다. 둘 중에 하나씩 선택한 것들을 모두 모아서 하나의 전체 그림 신호를 만든다.(도16) 정지 영상을 찍을 때나 동영상을 찍을 때나 이렇게 처리하여 인물이 너무 어두워 눈, 코, 입 등이 구별하기 어렵거나 배경이 너무 밝아 윤곽과 색이 구분되지 않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회전하는 거울의 수와 CCD의 수를 4개 이상으로 늘릴 수도 있다(도3, 4, 5, 6). 하프 미러로 회전하는 거울을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고(도7), 거울을 회전하는 대신에 거울을 내밀었다 당겼다 하여 빛의 경로를 정해 줄 수 있다(도8, 9). 거울을 상하로 움직여 빛을 좌우로 보내 줄 수도 있다(도19,20). CCD가 양면에 붙어 있는 판을 뒤집었다 말았다 하거나(도12, 13) 회전 시키거나(도14, 15) 좌우로 위치를 이동하여(도10, 11)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뿐 아니라 CMOS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역광이 아닌 일반 촬영 시에는 왼쪽이나 오른 쪽 한 개의 CCD만을 사용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 다양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하여 역광 상태에서도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모두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에 사용하면 밝은 전등의 어두운 그늘에 숨은 침입자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Claims (3)

  1. 렌즈나 빔 스플리터를 통과한 빛을 거울을 이용해 두 이미지 센서에 보내어 각각 다른 조건으로 처리한 후에 두 영상을 여러 개의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서 얻은 조각들 중에 조건에 더 잘 맞는 조각들을 선택하여 한 영상을 만드는 역광 방지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렌즈나 빔 스플리터를 통과한 빛을 마주하고 있는 두 이미지 센서에 보내는 단면이나 양면 회전거울, 거울을 내밀었다 끌어들였다 하거나 거울을 위 아래로 이동시키는 모터나 전자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렌즈나 빔 스플리터를 통과한 빛을 받아들이는 두 이미지 센서를 동시에 좌우로 이동하거나 번갈아 뒤집거나 회전시키는 모터나 전자석 장치.
KR1020060086204A 2006-09-07 2006-09-07 역광 방지 촬영장치 KR20080022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204A KR20080022694A (ko) 2006-09-07 2006-09-07 역광 방지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204A KR20080022694A (ko) 2006-09-07 2006-09-07 역광 방지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694A true KR20080022694A (ko) 2008-03-12

Family

ID=3939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204A KR20080022694A (ko) 2006-09-07 2006-09-07 역광 방지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26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9238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两种成像模式的光学模块
WO2016167499A1 (ko) * 2015-04-17 2016-10-20 엘지전자(주)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9238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两种成像模式的光学模块
WO2016167499A1 (ko) * 2015-04-17 2016-10-20 엘지전자(주)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0110828B2 (en) 2015-04-17 2018-10-23 Lg Electronics Inc.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3146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4754203A (zh) 拍摄方法、装置及终端
CN103119511A (zh) 用于取景器装置的显示控制方法及其装置
JP2003224761A (ja) 撮像装置
KR100878491B1 (ko)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017079A (ja) ビデオカメラ
JP3091628B2 (ja) 立体ビデオカメラ
KR20080022694A (ko) 역광 방지 촬영장치
US7970270B2 (en) Auto focu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ub-mirror
JP4262758B2 (ja) 立体画像記録装置
JP2020091453A (ja) 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05933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4918375B2 (ja) 撮像装置
US2021022366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 controllable physical light filter as part of an image capture system and for processing captured images
JPH08116555A (ja) 立体静止画撮像システム
JP2012169936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201622000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4377307B2 (ja) 撮影装置
JP4212485B2 (ja) 立体撮像が可能な電子カメラ
JP5470218B2 (ja) 撮像装置
JP2004240153A (ja) パノラマ映像撮影装置
US10067323B2 (en) EZ hi-def
JP2006033577A (ja) 監視カメラ
JPH0846860A (ja) 撮像装置
Mohanty Source Attribution of Modern Multi-camera Smart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