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360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360A
KR20080022360A KR1020060085710A KR20060085710A KR20080022360A KR 20080022360 A KR20080022360 A KR 20080022360A KR 1020060085710 A KR1020060085710 A KR 1020060085710A KR 20060085710 A KR20060085710 A KR 20060085710A KR 20080022360 A KR20080022360 A KR 20080022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gion
adjacent
display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오준학
백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2360A/ko
Publication of KR2008002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에 마련된 팬아웃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아웃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으로부터 파형상으로 외향 연장되며 외곽으로 갈수록 수렴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배선진행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신호배선을 가지며, 상기 배선진행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에 근접하며 상기 파형상의 진폭이 비교적 큰 근접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외곽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상의 진폭이 비교적 작은 이격영역을 가지며, 상기 근접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배선진행영역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질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연성부재의 배치도이고,
도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팬아웃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연성부재의 배치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팬아웃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200 : 연성부재
210 : 연성필름 231 : 제1신호리드
232 : 제2신호리드 121 : 데이터선
122 : 데이터패드 123 : 제1파형
124 : 제2파형 300 : 회로기판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CRT를 대체하여 액정표시장치와 유기전계발광장치(OLE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과, 제1기판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제2기판, 그리고 이들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비발광소자이므로 제1기판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은 중앙부에 마련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 둘레에 마련되는 비표시영역을 가진다. 제1기판 상에는 신호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의 구동회로에서 생성된 구동신호는 액정패널의 측부에 위치하는 연성부재를 거쳐 신호선에 인가된다. 신호선의 단부는 폭이 넓게 확장되어 있는 패드부를 가지며, 각각의 패드부는 제1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연성부재 상에 마련되어 있는 리드선은 패드부와의 연결영역에서 패드부에 연결된다.
그런데 패드부간의 간격은 표시영역의 신호선에 비해 좁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부로부터 표시영역으로 갈수록 신호선의 간격이 점차 증가하는 팬아웃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성부재로부터 표시영역에 이르는 거리는 인접하는 신호선간에 상이해지고, 팬아웃부 중앙부와 외곽에 마련되는 신호선의 저항이 상이해진다. 이에 의해 신호선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인가되지 않게 되어 원하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질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에 마련된 팬아웃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아웃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으로부터 파형상으로 외향 연장되며 외곽으로 갈수록 수렴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배선진행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신호배선을 가지며, 상기 배선진행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에 근접하며 상기 파형상의 진폭이 비교적 큰 근접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외곽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상의 진폭이 비교적 작은 이격영역을 가지며, 상기 근접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배선진행영역의 중심선에 근접할수록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근접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을 밑변으로 가지는 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신호배선은 상기 이격영역에서 상기 표시영역을 향해 상호 간격이 넓어지며, 상기 근접영역에서 상기 중심신호배선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격영역은 상기 근접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중심선에 대해 사선으로 마련되어 있는 제1영역과, 상기 근접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신호배선은 상기 중심선에 나란하게 연 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근접영역의 신호배선의 진폭은 200 μm 내지 250 μm 이며, 상기 이격영역의 신호배선의 진폭은 약 60μm 내지80μm일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신호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영역의 신호배선의 진폭은 상기 화소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호 인접한 상기 신호배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배선의 단면적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장치 중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이에 부착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장치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0),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0)에 부착되어 있는 연성부재(200) 그리고 연성부재(200)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기판(300)을 포함한다.
도 1 a및 도 1b를 참조하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0)은 표시영역(P)과 표시영역(P)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영 역으로 나누어진다.
표시영역(P)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시영역(P)에는 서로 절연 교차하는 게이트선(111)과 데이터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11)과 데이터선(121)의 교차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선(111) 및 데이터선(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선(121) 및 게이트선(111)은 연성부재(200)와 연결되도록 단부가 확장된 데이터패드(122)및 게이트패드(112)를 가지며 표시영역(P)으로 연장되어 있다. 데이터패드(122) 및 게이트패드(112)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투명한 전도물질로 이루어진 화소전극(131)은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선(111) 및 데이터선(121)이 형성하는 화소영역 상에 마련되어 있다. 화소전극(131)은 박막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선(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연성부재(200)는 연성필름(210), 구동칩(220) 및 연성필름(210)에 형성되어 있는 리드(230)를 포함한다. 연성필름(210)은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칩(220)은 연성필름(2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신호 리드(231) 및 제2신호 리드(232)와 연결되어 있다. 제1신호 리드(231)는 회로기판(300)과 연결되며, 제2신호 리드(232)는 신호 패드(112, 122)와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칩(220)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0)에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직접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300)은 연성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를 수납하는 덮개(미도시)의 배면으로 절곡된다.
이하에서는 연성부재(200) 및 데이터선(121)의 연결에 대해 설명하겠으며, 게이트선(111)과의 연결에 대한 설명은 이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겠다. 사다리꼴 형상의 배선진행영역(A)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밑변을 수직 이등분하는 선을 중심선(O)이라 가정한다.
연성부재(200)의 제2신호리드(232)는 연결영역(M)에서 데이터패드(122)와 연결된다. 데이터패드(122)의 간격은 표시영역(P)에서 데이터선(121)이 이루는 간격에 비해 좁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데이터선(121)은 표시영역(P)의 외연으로부터 파형상으로 외향 연장되며 외곽으로 갈수록 수렴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배선진행영역(A)을 가지는 팬아웃부를 형성한다.
배선진행영역(A)는 표시영역(P)에 근접하고 있는 근접영역(B)과, 표시영역(P)으로부터 외곽으로 이격되어 있는 이격영역(C)을 포함한다. 근접영역(B)에서의 데이터선(121)간의 간격은 화소(131)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파형(123, 124)의 크기, 형성위치 및 개수에 따른 근접영역과
이격영역(C)의 형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이격영역(C)의 데이터선(121)은 연결영역(M)으로부터 표시영역(P)으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되는 방사형을 이루며 연장되어 있으며, 약 60μm 내지80μm의 제1 진폭을 가지는 제1파형(123)을 가지며 굴곡되어 있다. 근접영역(B)의 데이터선(121)은 중심선(O)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약 200 μm 내지 250 μm 의 제2진폭을 가지는 제2파형(124)을 가진다. 이와 같이 가로폭이 좁은 이격영역(C)에서 데이터선(121)은 작은 진폭을 가지며 굴곡되며, 가로폭이 넓은 근접영역(B)에서는 큰 진폭을 가지며 굴곡됨으로써 사다리꼴 형상의 배선진행영역(A)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근접영역(B)은 표시영역(P)의 외연으로부터의 거리가 배선진행영역(A)의 중심선(O)에 근접할수록 증가하는 삼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결영역(M)으로부터 표시영역(P)에 이르는 거리가 긴 배선진행영역(A)의 외곽에서는 적은 수의 파형(123, 124)이 마련된다. 또한 연결영역(M)으로부터 표시영역(P)에 이르는 거리가 짧은 배선진행영역(A)의 중앙부에서는 많은 수의 파형(123, 124)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근접영역(B)이 삼각형상으로 마련되어 배선진행영역(A)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영역(B)은 삼각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영역(P)의 외연으로부터 이격영역(C)으로 접근할수록 수렴하는 그 어떤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진행영역(A)는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근접영역(B)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진행영역(A)는 중심선(O)에 대해 비대칭으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이 때 근접영역(B)의 데이터선(121)은 배선진행영역(A)의 비대칭적 인 형상에 맞추어 밑각이 서로 다른 삼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배선진행영역(A)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데이터선(121) 간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선(121)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마련되어 길이에 의해 저항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2a및 도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이격영역(C)에서의 데이터선(121)을 제외한 그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격영역(C)은 근접영역(B)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1영역(Ⅰ)과, 근접영역(B)에 인접한 제2영역(Ⅱ)을 포함한다. 데이터선(121)은 이격영역(C)의 제1영역(Ⅰ)에서는 중심선(O)에 나란하게 연장되다가 제2영역(Ⅱ)에서는 사선으로 마련되며, 근접영역(B)에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1영역(Ⅰ) 및 근접영역(B) 각각은 제1파형(123) 및 제2파형(124)을 가지며, 제1파형(123) 및 제2파형(124)은 배선진행영역(A)의 밑변에 나란하게 굴곡되어 있다.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선(121)은 이격영역(C)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제1파형(123)의 위치가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본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선(121)은 제1파형(123)을 가지는 제1영역(Ⅰ)에서 중심선(O)에 나란하게 연장되다가 제2영역(Ⅱ)에서는 사선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파형(123)은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선진행영역(A)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비록 본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질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1.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에 마련된 팬아웃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아웃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으로부터 파형상으로 외향 연장되며 외곽으로 갈수록 수렴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배선진행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신호배선을 가지며,
    상기 배선진행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에 근접하며 상기 파형상의 진폭이 비교적 큰 근접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외곽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상의 진폭이 비교적 작은 이격영역을 가지며,
    상기 근접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배선진행영역의 중심선에 근접할수록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연을 밑변으로 가지는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배선은 상기 이격영역에서 상기 표시영역을 향해 상호 간격이 넓어지며, 상기 근접영역에서 상기 중심신호배선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영역은 상기 근접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중심선에 대해 사선으로 마련되어 있는 제1영역과, 상기 근접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선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2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신호배선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영역의 신호배선의 진폭은 200 μm 내지 250 μm 이며, 상기 이격영역의 신호배선의 진폭은 약 60μm 내지8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신호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영역의 신호배선의 진폭은 상기 화소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기 신호배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배선의 단면적은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085710A 2006-09-06 2006-09-06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22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710A KR20080022360A (ko) 2006-09-06 2006-09-06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710A KR20080022360A (ko) 2006-09-06 2006-09-06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360A true KR20080022360A (ko) 2008-03-11

Family

ID=3939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710A KR20080022360A (ko) 2006-09-06 2006-09-06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23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765A (zh) * 2015-09-14 2017-03-2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WO2017045228A1 (zh) * 2015-09-14 2017-03-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
US9857646B2 (en) 2015-09-14 2018-01-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WO2019033639A1 (zh) * 2017-08-17 2019-02-2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765A (zh) * 2015-09-14 2017-03-2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WO2017045228A1 (zh) * 2015-09-14 2017-03-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
US9857646B2 (en) 2015-09-14 2018-01-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WO2019033639A1 (zh) * 2017-08-17 2019-02-2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022852B2 (en) 2017-08-17 2021-06-01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2942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bending region
KR102330882B1 (ko) 표시 장치
KR100906103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535557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159747B1 (ko) 표시장치
US10784288B2 (en) Display panel having a grading wiring design
US11452207B2 (en) Flexible circuit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6548711A (zh) 显示设备和智能手表
KR102661646B1 (ko) 표시 장치
JP5516048B2 (ja) デバイス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22360A (ko) 디스플레이장치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28520B1 (ko) 표시장치
KR102287970B1 (ko) 표시장치
KR102631153B1 (ko) 표시 장치
KR20040078245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20210099545A (ko) 표시장치
KR20220002831A (ko) 연성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35834A (ko) 표시장치
JPH08320499A (ja) フィルムキャリア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