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484A - 혼합밸브 - Google Patents

혼합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484A
KR20080020484A KR1020070082575A KR20070082575A KR20080020484A KR 20080020484 A KR20080020484 A KR 20080020484A KR 1020070082575 A KR1020070082575 A KR 1020070082575A KR 20070082575 A KR20070082575 A KR 20070082575A KR 20080020484 A KR20080020484 A KR 20080020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hot water
valve body
val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우메자와
마사야 사토우
후미히로 스즈키
켄이치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57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76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446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314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80020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07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과제
대형화, 중량 증대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물과 더운물을 혼합하여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소망 온도 및 유량의 온수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더운물량(만)을 합리적으로 조일 수 있는, 컴팩트하고 염가이며 유용한 혼합밸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물 도입구(11)가 형성된 물 입구 조인트(11A) 및 더운물 도입구(12)가 형성된 더운물 입구 조인트(12A)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마련됨과 함께, 해당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하류측에 도출구(13)가 마련된 밸브 본체(10)와, 해당 밸브 본체(10) 내에 회동 가능하게 감삽되고, 그 주벽부(22)에 상기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을 회전 각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가 마련된 개략 원통형상의 밸브체(20)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20)에 의해 상기 물 도입구(11)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상기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밸브체(20)의 회전 각도에 따르면서 최대로부터 최소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본체(10)에, 상기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일부를 폐색함과 함께, 상기 밸브체(20)의 외주벽면에 활주접촉하도록 물측 폐색부(41) 및 더운물측 폐색부(42)가 상기 밸브체(20)의 회전축선(0)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가 상기 회전축선(0)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겹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혼합 밸브

Description

혼합밸브{Mixing Valve}
본 발명은, 혼합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과 더운물을 혼합하여 소망하는 혼합비율의 온수를 얻기 위한 급탕(給湯)장치 등에 사용하는데 알맞는 혼합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혼합밸브로서, 종래부터, 밸브 본체와, 해당 밸브 본체 내에 회동 가능하게 감삽(嵌揷)된 개략 원통형상의 밸브체와, 해당 밸브체를 회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에 물(水) 도입구(導入口)(조인트) 및 더운물(湯) 도입구(조인트)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밸브체의 주벽부(周壁部)에,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물용(水用)의 제 1 개구부 및 더운물(湯用)의 제 2 개구부를 마련하고, 그것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회동시킴에 의해 물과 더운물의 혼합비율을 조정하도록 한 혼합밸브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혼합밸브가 사용되는 급탕 장치에서는, 통상, 수도물 등을 분기시켜서 한쪽을 그대로 물 도입구로, 다른쪽을 열교환기(가열기)로 가열하여, 즉 물로부터 더운물로 바꾸고 더운물 도입구로 유도하도록 되는데, 그 구성상, 다음과 같 은 고려하여야 할 과제가 있다.
즉, 예를 들면, 사용되는 물이 극히 저온인 한랭시에 있어서는, 더운물 도입구를 전개(全開),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하여,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더운물만을 도출구로부터 송출하도록 하여도, 열교환기에 의한 가열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온수가 소망 온도가 되지 않는 일이 있다. 또한, 그것과는 별도로, 예를 들면, 심야 전력을 이용하여 가열한 온수를 탱크 내에 저장하여 두도록 된 급탕 시스템에 있어서, 탱크 내에 온수가 남아 있지 않는 때 등에는, 순간온수기와 같이 물을 신속하게 승온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소망 온도의 온수를 얻는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수량을 적게 하면 좋지만, 이것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수량 조정용의 유량 조정 밸브 등이 필요하게 되어, 장치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하기 특허 문헌 1, 2 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물과 더운물의 혼합비율을 조정하는 혼합밸브에, 물 도입구를 전폐 상태로 한 것을 기초로, 더운물의 유량(혼합밸브로부터 송출되는 더운물량)만을 조정(조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2203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1-28733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실려 있는(所載) 혼합밸브에서는, 밸브 본체의 물 도입구와 더운물 도입구 및 밸브체의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는, 각각 더운물(湯水) 유하(流下) 방향(밸브의 회전축선)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가 종방향으로 길어지고, 대형화(배관계를 포함한 점유 스페이스의 증대), 중량 증가 등을 초래함과 함께, 밸브 본체나 밸브체 등의 성형 정밀도가 저하되고, 밸브 본체와 밸브체의 표면적(접촉 면적)의 증가나 편(偏)접촉 등에 의한 밸브를 회전시킬 때의 부하(토오크)의 증대, 이물에 의한 악영향(꽉참 등에 의한 작동 불량)의 증가, 클리어런스가 커지는 것에 의한 완전히 잠갔을 때의 누설량의 증대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실려 있는 혼합밸브는, 밸브 본체 및 밸브체에 밸브 시트나 밸브부 등을 증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혼합밸브(밸브 본체나 밸브체)의 구조가 복잡한 것으로 되고, 가공 조립 등에 수고가 들고, 장치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 등은, 대형화, 중량 증대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상기 제안의 혼합밸브와 같은 기능(물과 더운물의 혼합 기능 및 더운물량(만의) 조이는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 및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동일 평면상에 설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8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에 물 도입 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를, 또한, 원통형상의 밸브체(20)의 주벽부(22)에, 예를 들면 상기 물 도입구(11)와 더운물 도입구(12)의 구경(L)과 개략 동등한 가로 나비(둘레 방향 길이)를 갖는 측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제 1 개구부(31) 및 제 2 개구부(32)를, 각각 동일 평면상에 마련하는 경우, 보통의 방책으로는, 물과 더운물의 혼합 조량(調量)은 가능하지만, 더운물량만을 조이는 것, 즉, 밸브체(20)에 의해 물 도입구(11)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을 밸브체(20)의 회전 각도에 따르면서 최대로부터 최소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다.
상세하게는, 도 8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의 개구 면적이 최대, 또한,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이 최소(0=전폐)로 되는 밸브체(2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해당 초기 위치로부터 밸브체(20)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그 회전 각도에 따라, 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유량)이 감소함과 함께,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유량)이 증대하고,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와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유량)이 같게 되어 혼합비율이 50%:50%로 되고, 다시, 밸브체(2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유량)이 점차로 감소하여 0(전폐)으로 됨과 함께,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유량)이 점차로 증대하여 최대로 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다시, 밸브체(2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D), (E), (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를 전폐 상태로 한 채,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을 밸브체(20)의 회전 각도에 따르면서 최대로부터 최소까지 연 속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 등은, 도 7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체(20)에 하나만 개구부(30)를 마련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밸브체(20)에 하나만 개구부(30)를 마련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통의 방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물과 더운물의 혼합 기능에 더하여 더운물량 조이는 기능을 부가할 수는 없다.
즉, 물 도입구(11), 더운물 도입구(12)가 동일 평면상에서 대향 배치되어 있을때, 해당 혼합밸브의 특성은, 밸브체(20)의 외경(d), 밸브 본체(10)의 내경(D)(d와 D는 개략 동등하다), 개구부(30)의 개구 폭(h), 물 도입구(11)의 개구 폭(H),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폭(H')에 의해 결정된다.
지금,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일단측의 단연부(端緣部)를 P, Q, 타단측의 단연부를 R, S,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P-Q 사이의 각도(폐색폭)를 A,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R-S 사이의 각도(폐색폭)를 B라고 하면, 혼합 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각도(B)는, 상기 개구 폭(h)에 상당한 각도(C)보다 작은 것이 필요하다.
조건 (1) … B<C
또한, 더운물량 조이는 기능을 부가하는데는, 상기 각도(A)는, 상기 개구 폭(h)에 상당하는 각도(C)보다 큰 것이 필요하다.
조건(2) … A>C
그러나, 도시 예와 같이, 물 도입구(11), 더운물 도입구(12)가 동일 평면상 에서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경우, A=B로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조건(1), (2)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는 없고, 따라서 물과 더운물의 혼합 기능에 더하여 더운물량 조이는 기능을 부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형화, 중량 증대, 성형 정밀도의 저하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또한, 회전 부하의 증대, 작동 불량의 증가, 누설량의 증대 등도 초래하는 일 없이, 물과 더운물을 혼합하고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소망 온도 및 유량의 온수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더운물량(만)을 합리적으로 조일 수 있는, 컴팩트하고 염가이며 유용한 혼합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혼합밸브는, 기본적으로는, 물 도입구가 형성된 물 입구 조인트 및 더운물 도입구가 형성된 더운물 입구 조인트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의 하류측에 도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해당 밸브 본체 내에 회동 가능하게 감삽되고, 그 주벽부에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회전 각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마련된 개략 원통형상의 밸브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에 의해 상기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밸브체의 회전 각도에 따르면서 최대로부터 최소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 물 도입구의 일부를 폐색함과 함께, 상기 밸브체의 외주벽면에 활주접촉하도록 물측 폐색부 및 더운물측 폐색부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선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상기 회전축선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최대, 또한,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최소가 되는 상기 밸브체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고, 해당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체를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Rb) 회전시키면, 상기 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점차로 감소하여 0으로 됨과 함께,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점차로 증대하여 최대로 되고, 이 상태로부터 상기 밸브체를 더욱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물 도입구가 전폐 상태인 채로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점차로 감소하여 최소로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혼합밸브에서는, 밸브 본체의 물측 폐색부와 더운물측 폐색부 및 밸브체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밸브체의 회전축선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함께, 밸브체의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화, 중량 증대, 성형 정밀도의 저하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또한, 회전 부하의 증대, 작동 불량의 증가, 누설량의 증대 등도 초래하는 일 없이, 물과 더운물을 혼합하여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소망 온도 및 유량의 온수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더운물량(만)을 합리적으로 조일 수 있고, 그 결과, 컴팩트하고 염가이며 유용한 혼합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혼합밸브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혼합밸브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절결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혼합밸브(1)는, 예를 들면, 물과 더운물을 혼합하여 소망 온도의 온수를 얻기 위한 급탕 장치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단면(斷面) 원형의 밸브실(14)을 가지며, 해당 밸브실(14)의 측부(側部)에 이어져서 물 도입구(11)를 갖는 물 입구 조인트(11A) 및 더운물 도입구(12)를 갖는 더운물 입구 조인트(12A)가 마련됨과 함께, 밸브실(14)의 하부에 이어져서 도출구(조인트)(13)가 마련된 밸브 본체(10)와, 해당 밸브 본체(10)의 밸브실(14) 내에 감삽 지지되고 회전축선(0)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된 밸브체(20)와, 해당 밸브체(20)를 회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스테핑 모터(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물 입구 조인트(11A)와 더운물 입구 조인트(12A)는, 동일 평면상에서 180도의 각도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밸브 본체(10)에는, 도 2,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일부를 폐색하는 물측 폐색부(41) 및 더운물측 폐색부(42)가 상기 밸브체(20)의 회전축선(0)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 물측 폐색부(41) 및 더운물측 폐색부(42)는, 각각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중앙까지 폐색하도록 1/4원형상으로 형 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체(2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략 천정부(天井部) 부착 원통형상으로 되고, 그 주벽부(22)가, 상기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를 폐색하는 실 면부로서 기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주벽부(22)에,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을 밸브체(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가 일체로 이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는, 밸브체(20)의 회전축선(0)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밸브체(20)의 회전 각도로 보아 100도 내지 180도만큼 개구하게 됨과 함께, 상기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호 약 40도 내지 50도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0)의 천정부(23)의 윗면 중앙에는, 회전 연결축(25)이 돌설되어 있다. 이 회전 연결축(25)의 하부에는, O링(29, 29)(도 1)이 장착되는, 3단(段)의 플랜지형상부(28)로 이루어지는 홈이 마련되고, 그 상부에는, 스테핑 모터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스플라인 축부(26) 및 비원형 단면(斷面)(D컷트 형상 등)의 볼록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0)의 하부에는, 밸브실(14)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실 하기 위한 링형상 탄성 실 부재(39)(도 1)가 장착되는 홈(36)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 본체(10)의 상부에는, 밸브체(20)의 천정부(23)와 회전 연결축(25)의 하부(O링(29, 29)이 장착되어 있는 부분)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축받이(16)가 고정되고, 이 축받이(16) 위에 마련판을 통하여 상기 스테핑 모터가 부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혼합밸브(1)에서는, 물과 더운물의 혼합 기능에 더하여 더운물량 조이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7에 도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의 혼합밸브(1)에도, 밸브체(20)의 외경(d), 밸브 본체(10)의 내경(D)(d와 D는 개략 동등하다), 물 도입구(11)의 개구 폭(H),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폭(H')으로 하고,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상측의 일단측의 단연부(더운물측 폐색부(42)를 포함한다)를 P', Q', 타단측의 단연부를 R', S'로 하여`, 도 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하측의 일단측의 단연부(물측 폐색부(41)를 포함한다)를 P", Q", 타단측의 단연부를 R', S'로 하고,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P'-Q' 사이 및 P"-Q" 사이의 각도(폐색폭)를 각각 A' 및 A"(여기에서는, A'=A"),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R'-S' 사이 및 R"-S"의 각도(폐색폭)를 B' 및 B"(여기서는, B'=B"), 상측 개구부(31) 및 하측 개구부(32)의 개구폭에 상당하는 각도를 C' 및 C"(여기서는, C'=C"), 도 4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P"-Q' 사이의 각도(총 폐색폭)를 TA,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의 총 개구폭에 상당하는 각도를 TC로 하면, 물과 더운물의 혼합 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하기 조건(1')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조건(1') … B'(=B")<C'(=C")
또한, 더운물량 조이는 기능을 부가하는데는, 하기 조건(2')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조건(2') … A'(=A")>C'(=C"), TA>TC
본 실시 형태의 혼합밸브(1)에서는, 상측 개구부(31) 및 하측 개구부(32)나 물 측 폐색부(41) 및 더운물측 폐색부(42)의 치수 형상 등은, 상기 조건(1') 및 조건(2')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게다가, 필요한 혼합·유량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도입구(11, 12)의 면적에 대해 더운물(湯水)의 유입 개구 면적이 가급적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제로, 이러한 구성하에서, 예를 들면, 도 5의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가 물 도입구(11)측에 대면하고, 물 도입구(11)의 개구 면적이 최대로 되고, 또한,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이 최소(0=전폐)로 된 상기 밸브체(2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해당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체(20)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물 도입구(11)의 개구 면적(유량)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유량)은 도 6의 모식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화한다. 즉, 그 회전 각도에 따라, 물 도입구(11)의 개구 면적(유량)이 점차로 감소함과 함께,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유량)이 점차로 증대하고, 회전 각도가 소정 각도(Ra)가 되면, 도 5의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과 더운물의 유량이 같게 되고 혼합비율이 50%:50%로 되고, 다시, 밸브체(20)를 소정 각도(Rb)까지 회전시키면, 도 5의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의 개구 면적(유량)이 점차로 감소하고 0(전폐)으로 됨과 함께,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가 더운물 도입구(12)측에 대면하고,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유량)이 점차로 증대하여 최대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상기 밸브체(20)를 상기 소정 각도(Rb)를 넘어서 소정 각도(Rc)까지 회전시키면, 도 5의 (4),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11)가 전폐의 상태에서,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유량)이, 밸브체(20)의 회전 각도에 따르면서 최대로부터 최소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혼합밸브(1)에서는, 물 도입구(11)의 개구 면적이 최대, 또한, 더운물 도입구(12)의 개구 면적이 0으로 되는 밸브체(2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여, 밸브체(20)를 소정 각도(Rb) 내지 소정 각도(Rc)의 범위 내에서 회동시킴에 의해, 물 도입구(11)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더운물량(만)을 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혼합밸브(1)에서는, 물 도입구(11) 및 더운물 도입구(12)의 일부를 폐색하는 물측 폐색부(41) 및 더운물측 폐색부(42) 및 상측 개구부(31) 및 하측 개구부(32)가 밸브체(20)의 회전축선(0)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상측 개구부(31)와 하측 개구부(32)가 상기 밸브체(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겹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화, 중량 증대, 성형 정밀도의 저하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또한, 회전 부하의 증대, 작동 불량의 증가, 누설량의 증대 등도 초래하는 일 없이, 물과 더운물을 혼합하여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소망 온도 및 유량의 온수를 얻을 수 있음과,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더운물량(만)을 합리적으로 조일 수 있고, 그 결과, 컴팩트하고 염가이며 용이한 혼합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발명에 관한 혼합밸브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절결 종단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X화살표로 본 부분 절결도, (B)는 도 1의 Y화살표로 본 부분 절결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혼합밸브의 밸브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의 (A)는 도 1의 A-A화살표로 본 단면도, (B)는 도 1의 B-B화살표로 본 단면도, (C)는 (A)와 (B)의 복합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되는 혼합밸브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되는 혼합밸브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설명에 제공되는 혼합밸브의 수평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혼합밸브 10 : 밸브 본체
11A : 물 입구 조인트 11 : 물 도입
12A : 더운물 입구 조인트 12 : 더운물 도입구
13 : 도출구 14 : 밸브실
20 : 밸브체 22 : 주벽부
31 : 상측 개구부 32 : 하측 개구부
41 : 물측 폐색부 42 : 더운물측 폐색부

Claims (2)

  1. 물 도입구가 형성된 물 입구 조인트 및 더운물 도입구가 형성된 더운물 입구 조인트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의 하류측에 도출구가 마련된 밸브 본체와, 해당 밸브 본체 내에 회동 가능하게 감삽되고, 그 주벽부에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회전 각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마련된 개략 원통형상의 밸브체를 구비한 혼합밸브로서,
    상기 밸브체에 의해 상기 물 도입구를 전폐로 한 상태에서,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밸브체의 회전 각도에 따르면서 최대로부터 최소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상기 물 도입구 및 더운물 도입구의 일부를 폐색함과 함께, 상기 밸브체의 외주벽면에 활주접촉하도록 물측 폐색부 및 더운물측 폐색부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선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상기 회전축선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최대, 또한,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최소로 되는 상기 밸브체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하고, 해당 초기 위치로부터 상 기 밸브체를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점차로 감소하여 0으로 됨과 함께,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점차로 증대하여 최대로 되고, 이 상태로부터 상기 밸브체를 더욱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물 도입구가 전폐 상태인 채로 상기 더운물 도입구의 개구 면적이 점차로 감소하여 최소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밸브.
KR1020070082575A 2006-08-31 2007-08-17 혼합밸브 KR20080020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5703A JP2008057666A (ja) 2006-08-31 2006-08-31 混合弁
JPJP-P-2006-00235703 2006-08-31
JP2007144631A JP4823149B2 (ja) 2007-05-31 2007-05-31 混合弁
JPJP-P-2007-00144631 200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484A true KR20080020484A (ko) 2008-03-05

Family

ID=3939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575A KR20080020484A (ko) 2006-08-31 2007-08-17 혼합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0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02B1 (ko) * 2010-01-20 2013-02-06 (주)스페이스링크 혼합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02B1 (ko) * 2010-01-20 2013-02-06 (주)스페이스링크 혼합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829B2 (en) Valve apparatus and water heating apparatus
EP1482221A1 (en) Water mixing valve
JP2008057666A (ja) 混合弁
US6637668B2 (en) Thermostatic control valve with fluid mixing
CN102282519A (zh) 用于自来水的电子可调节混合装置
JP5388609B2 (ja) 混合弁ユニット及び貯湯式給湯機
JP5004675B2 (ja) 混合弁
JP5371461B2 (ja) 混合弁ユニット及び貯湯式給湯機
KR20080020484A (ko) 혼합밸브
JP2007100894A (ja) 湯水混合弁
JP3881798B2 (ja) ミキシングバルブ
JP2003021246A (ja) ミキシングバルブ
JP4814199B2 (ja) 混合弁装置及びその混合弁装置を用いた給湯機
JP5004674B2 (ja) 混合弁
JP4640105B2 (ja) 湯水混合弁
JP2002022039A (ja) 混合弁およびこの混合弁を用いた給湯器
JP5004673B2 (ja) 混合弁
JP4823149B2 (ja) 混合弁
JP4556834B2 (ja) 湯水混合弁
JPH094743A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RU2101594C1 (ru) Водопроводный смеситель
JP4786894B2 (ja) 湯水混合弁
JP4419941B2 (ja) 給湯システム
CA2243433C (en) Flow valve
US20240142006A1 (en) Valve device and hot wat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