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409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409A
KR20080019409A KR1020060081712A KR20060081712A KR20080019409A KR 20080019409 A KR20080019409 A KR 20080019409A KR 1020060081712 A KR1020060081712 A KR 1020060081712A KR 20060081712 A KR20060081712 A KR 20060081712A KR 20080019409 A KR20080019409 A KR 2008001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ight
support layer
crystal pane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형
장윤
이승희
계명하
조선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409A/ko
Publication of KR2008001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액정패널을 향해 배치되는 편광막과, 상기 편광막의 상기 광원을 향한 면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을 향한 면에 파형단면형상을 갖는 프리즘패턴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프리즘과 일체화된 편광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액정패널 150 : 하부덮개
160 : 상부덮개 410 : 제1편광판
412 : 제1지지층 413 : 제2지지층
420 : 제2편광판 422 : 제3지지층
423 : 제4지지층 424 : 베이스부
425 : 집광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즘과 일체화된 편광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며, 액정 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컬러필터 기판 및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액정 패널은 비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후면에는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한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된 빛은 액정의 배열상태에 따라 투과량이 조절된다.
백라이트유닛은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 또는 집중시켜 액정패널에 광을 입사시키는 광조절부재를 포함한다. 광조절부재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확산판과 확산판을 통과한 빛이 수직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그런데 프리즘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과 일체화된 편광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액정패널을 향해 배치되는 편광막과, 상기 편광막의 상기 광원을 향한 면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을 향한 면에 파형단면형상 을 갖는 프리즘패턴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층은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의 용융점은 약150℃ 내지 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의 굴절율은 약 1.3 내지 1.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30μm 내지 90μm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패턴의 파형의 단면은 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패턴의 파형의 단면은 원호형일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압출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에 대해서 도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액정표시장치(1)는 액정패널(100)을 포함하며, 액정패널(100)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 컬러필터 기판(102) 및 두 기판(101, 10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의 일측에는 구동신호 인가를 위한 구동부(2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액정패널(100)은 비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의 후면에는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300)이 위치한다.
액정패널(100)의 연부는 몰드프레임(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며 동시에 백라이트 유닛(300)에 대해 이격된다. 이러한 몰드프레임과 액정패널(100)은 하부 덮개(150)에 수납되고, 하부 덮개(150)는 액정 패널(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상부 덮개(160)와 결합된다.
액정패널(100)은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과 대면하고 있는 컬러필터 기판(102), 양 기판(101, 102)을 접합시키며 셀갭을 형성하는 실런트(미도시), 양 기판(101, 102)과 실런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구동부(20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 202), 연성 인쇄회로기판(202)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칩(201), 연성인쇄회로기판(202)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기판(PCB, 203)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동부(200)는 COF(chip on film)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TCP(tape carrier package), COG(chip on glass) 등 공지의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부 (200)가 배선형성과정에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패널(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300)은 액정패널(100)의 배면에 적층되어 빛을 확산 및 집광하는 광조절부재(310), 액정패널(100)로 빛을 보내는 광원부(320), 광원부(320)를 양 측 가장자리에 가지며 빛을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액정패널(100)로 보내는 도광판(330), 도광판(33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반사판(340)을 포함한다.
광조절부재(31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확산 시트(311) 및 보호시트(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확산 시트(311)는 베이스필름(미도시)과, 베이스필름 전면에 형성된 확산코팅층(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루어져 있으며, 광원부(320)의 빛을 확산시켜 액정패널(1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확산 시트(311)의 상부에는 보호 시트(312)가 마련되어 있다.
광원부(320)는 광원(321)과 광원(321)에서 발생된 빛을 도광판(33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원커버(322)를 포함하며 도광판(3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321)으로는 냉음극 형광램프가 사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ourscent Lamp)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광원이 상하로 상호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액정패널(100)의 양 면에는 편광판(410, 42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액정패널(100)로부터 빛이 출사되는 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1편광판(410)과, 액정패널(100)의 광원을 향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편광판(420)을 포함한다.
제1편광판(410)은 입사되는 빛에 대해 투과 광량 및 편광 상태를 제어하는 제1편광막(411)과, 제1편광막(411)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1지지층(412) 및 제2지지층(413)을 포함한다.
제1편광막(411)은 PVA(Poly Vinyl Alcohol: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가열시키면서 연신한 후 요오드 산(idoic acid)이나 이색성 염료 용액에 침적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편광판(410, 420)은 제1편광막(411)을 연신한 방향인 연신축과, 그 연신축과 직교되는 투과축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편광판(410, 420) 의 투과축은 서로 직교한다. 연신과정을 거친 제1편광막(411)의 두께는 약 20μm내지 50μm로서 독립적인 지지력이 없으므로 상온에서도 쉽게 수축되거나 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편광판(4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지지층(412) 및 제2지지층(41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1지지층(412) 및 제2지지층(413)은 트리 아세테이트 셀루로스(TriAcetyl Cellulose: TA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코팅법에 의해 형성된다. 연신된 제1편광막(411)의 수축을 방지하고 제1편광막(4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층(412, 413)은 10 μm 내지110 μ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1지지층(412)의 표면은 외부로부터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하드코팅처리 및 외광에 의한 반사 방지를 위한 반사 방지처리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제1편광판(4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액정패널(100)에 제1편광판(410)이 부착되기 전까지 제1편광판(410)을 보호하는 보호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폴리머(polymer)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편광판(410)이 액정패널(100) 부착 시 제거된다.
점착층(미도시)은 제2지지층(413)과 액정패널(100)의 사이에 마련되어 제1편광판(410)을 액정패널(100)에 접착시킨다. 점착제는 아크릴계열의 고분자를 포함하며, 점착층의 두께는 약 10μm내지 100μm이다.
제2편광판(420)은 입사되는 빛에 대해 투과 광량 및 편광 상태를 제어하는 제2편광막(421)과, 제2편광막(421)의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지지층(422) 및 제4지지층(423)을 포함한다.
제2편광판(420)에 있어서 제2편광막(421)의 액정패널(100)을 마주하는 면의 타면에 배치된 제4지지층(423)을 제외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편광판(410)과 동일하다.
제4지지층(423)은 광투과성의 베이스부(424)와, 베이스부(424)의 광원부(320)를 향하는 면에 산영역과 골영역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집광부(425)를 가진다. 집광부(425)는 광원부(320)의 빛이 액정패널(100)에 대해 수직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휘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4지지층(423)에는 베이스부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편광막의 광원을 향한 면에 집광부가 형성될 수 도 있다.
제4지지층(423)은 시클론 오필렌 폴리머(Cyclo ofilen polymer:CO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지지층(423)의 용융점은 150℃ 내지 250℃ 이며 압출 공정에 의해 성형된다. COP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4지지층(423)은 TAC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층에 비해 투과율이 높으며, 수분에 의한 영향에 민감하지 않다. 이러한 제4지지층(423)은 10 μm 내지110 μm의 두께로 형성되어 제2편광막(421)의 수축을 방지하고 제2편광막(421)을 지지한다. 제4지지층(423)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표면은 외부로부터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하드코팅처리 및 외광에 의한 반사 방지를 위한 반사 방지처리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편광판(420)에 있어서 제2편광막(421)의 액정패널(100)을 향하는 면에 보상필름이 마련될 수 도 있다. 보상필름은 제2편광판(420)의 일 면에 형성되며, 편광판(100)의 기계방향과 상이한 기계 방향을 갖는다. 보상 필름은 액정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빛의 위상의 변화를 반대 방향으로 보상해 줌으로써 시야각 문제를 해결한다. 보상필름은 빛의 위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4지지층이 제조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4지지층(423)은 압출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데, 압출 공정은 수지를 넓게 펴는T-다이(510) 및 복수의 롤부(520)를 포함하는 압출 장치(10)에 의해 수행된다. 복수의 롤부(520)는 집광부(323)의 패턴이 음각으로 새겨진 패턴롤(521), 패턴롤(521)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대응롤(522), 패턴롤(521)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수지의 온도에 비해 40도 정도 낮은 온도의 냉각롤(523)을 포함한다.
우선 T-다이(510) 로부터 지지층물질로 이루어진 수지(426)가 토출된다. 이 때 수지(426)의 온도는 유리전이온도보다 높고 용융온도보다 낮게 유지된다. T-다이(510)에서 토출되는 과정에서 판형으로 넓게 펼쳐진 수지(426)는 지지층물질(326)이 패턴롤(52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패턴롤(521)과 대응롤(522)의 사이로 제공된다.
수지(426)는 회전하는 패턴롤(521)과 대응롤(522)의 사이에서 가압되고, 패턴롤(521)의 패턴이 수지(426) 상에 전사된다. 패턴이 전사된 수지(426)는 냉각롤(5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고, 이에 의해 집광부(425) 패턴의 형태를 가지는 제4지지층(423)이 성형된다.
종래의 경우에 따른 지지층은 트리 아세테이트 셀루로스(TriAcetyl Cellulose: TAC)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졌으며 용융점이 낮아 쉽게 녹는다. 따라서 TAC계열의 물질을 성형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로 만들고, 수지에 압력을 가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4지지층(423)은 오필렌 폴리머(Cyclo ofilen polymer:COP)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OP계열의 물질은 TAC계열의 물질에 비해 용융점이 높으므로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미도시) 안에 COP계열을 물질을 넣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만든 성형수지에 압력을 가하며 밀어냄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4지지층(423)은 압출 공정에 의해 집광부(425)의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편광판(420)의 제4지지층(423)을 COP계열의 물질로 마련하여 집광부(425)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집광시트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집광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4지지층(423)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지지층기재 (427)상에 롤(700)을 배치시킨다. 롤(700)에는 롤(7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다수의 집광부(425) 패턴이 음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어서 지지층기재(427) 상에 롤(700)을 배치한 후 가압하며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지지층기재(427)상에 롤(700)의 패턴이 전사되어 집광부(425)를 가지는 제4지지층(423)이 제조된 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즘과 일체화된 편광판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8)

  1.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광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액정패널을 향해 배치되는 편광막과, 상기 편광막의 상기 광원을 향한 면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을 향한 면에 파형단면형상을 갖는 프리즘패턴이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용융점은 약15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굴절율은 약 1.3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30μm 내지 9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패턴의 파형의 단면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패턴의 파형의 단면은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압출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081712A 2006-08-28 2006-08-28 액정표시장치 KR20080019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712A KR20080019409A (ko) 2006-08-28 2006-08-28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712A KR20080019409A (ko) 2006-08-28 2006-08-2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09A true KR20080019409A (ko) 2008-03-04

Family

ID=3939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712A KR20080019409A (ko) 2006-08-28 2006-08-2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7180A (ko) 2022-07-27 2024-02-07 고창덕 자리돔 육젓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7178A (ko) 2022-07-27 2024-02-07 고창덕 감태 자리돔 젓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7180A (ko) 2022-07-27 2024-02-07 고창덕 자리돔 육젓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7178A (ko) 2022-07-27 2024-02-07 고창덕 감태 자리돔 젓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4102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6331882B1 (en) Optical member, cell substr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KR20120053492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편광판, 광학 필름, 화상표시장치 및 세정장치
JP2001042125A (ja) 偏光部材、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TW200923506A (en) A set of polarizer, and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ed thereof
US8467130B2 (en) Retardation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02341343A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937214A (zh) 多層液晶膜、偏光板及製造偏光板之方法
KR2012002659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833084B1 (ko) 광학 부재, 셀 기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1823150B1 (ko) 대형화, 박형화에 따른 빛샘-Free 액정표시장치
US9921347B2 (en) Alignment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lignment film, retarda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tardation film, and display
JP2003050313A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KR2016012922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26600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3011871A (ja) 位相差層付偏光板
KR20080019409A (ko) 액정표시장치
JP2018060152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TWI702248B (zh) 光學聚酯薄膜及包含其之偏光反射片或稜鏡片
KR101536990B1 (ko) 곡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0640A (ko) 위상차판의 제조방법
JPH11218760A (ja) 偏光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51415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1806015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2001154021A (ja) 偏光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