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751A -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 Google Patents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751A
KR20080017751A KR1020060079340A KR20060079340A KR20080017751A KR 20080017751 A KR20080017751 A KR 20080017751A KR 1020060079340 A KR1020060079340 A KR 1020060079340A KR 20060079340 A KR20060079340 A KR 20060079340A KR 20080017751 A KR20080017751 A KR 20080017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ing
broadcast channel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7751A/ko
Publication of KR2008001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서 상기 파악된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와;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방송 수신 중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이동한 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수신을 유지해 줄뿐만 아니라, 지역 방송채널의 자동 선국에 대한 정확도를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방송용 단말기, 방송채널, 선국

Description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Method for tuning broadcasting-channel in terminal for broadcasting and terminal for broadcast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된 방송국 및 방송채널 목록을 나타낸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방송수신부 120 : 키입력부
130 : 위치획득부 140 : 메모리
150 : 출력부 160 :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통신 및 방송 분야의 융합 현상으로 인하여, 디지털 방송을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이 출현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는 이동 중 언제 어디서나 CD급 고품질의 라디오, TV 동영상 및 문자방송 수신이 가능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이동 방송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중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전송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크게 지상파 DMB(TDMB: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와 위성 DMB(SDMB: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로 나뉘어진다.
그 외 세계적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식을 달리하여 예를 들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IBOC(In-Band On-Channel), ISDB-T, DVB-T, DVB-H 등이 서비스 실행 중이거나 실시 준비 중에 있다.
방송용 단말기가 상기와 같은 디지털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방송채널 선국 과정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용 단말기는 이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선국된 방송채널을 계속 유지시키야 한다.
즉, 사용자가 방송용 단말기를 휴대 후 계속 지역을 이동하기 때문에 방송채널 변경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지역마다 방송채널 값(방송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방송용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는 동안에 현재 선국된 채널 지역을 벗어나 다른 채널 지역으로 이동시, 사용자가 방송채널을 수동으로 다시 선국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수신 중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이동한 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수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은,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서 상기 파악된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와;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악 단계는, GPS 위성신호와 기지국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위치를 파악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은,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방송채널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존재하면 업데이트하고, 상기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상기 방송채널에 따른 방송국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는,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부와; 각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가 구비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서 상기 위치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획득부는, GPS 위성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상기 메모리의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 저장하는 점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채널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존재하면 업데이트하고, 상기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상기 방송채널에 따른 방송국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규격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규격의 예를 들면, 유레카-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 휴대 이동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이하 'DVB-H'), 미국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미디어플로(MediaFLO), 한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 등이 있다. 상기 한국의 DMB는 지상파 DMB와 위성파 DMB로 분류된다.
각각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는, PDA, PMP,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 TV등, 게임기와 같은 여러 타입의 디지털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뜻한다.
이하, 지상파 DMB 방송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녹화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지상파 DMB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수신부(110)는, 방송용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역 다중화한 후 복호하여 출력한다.
키입력부(12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신호를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입력부(120)는, 방송용 단말기의 구성에 따라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 획득부(13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좌표치를 계산하여 이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메모리(140)는,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지역의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 테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 테이블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부(150)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표시부(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된다.
즉, 표시부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120)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하고, 방송수신부(110)를 통해 복호된 문자 및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스피커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하거나 또는 방송수신부(110)를 통해 복호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채널 선국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방송수신모드 상태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현재 지역의 방송국 방송채널 중 특정 방송채널이 선국되면(S201), 방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재생한다(S202).
이후, 제어부(160)는, 위치획득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현 재 위치가 변경되는지를 감지하고, 만약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면(S203), 상기 재생 중인 방송채널의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상기 방송채널의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가 열악하여 상기 재생중인 방송채널의 수신이 불가하다 판정되면(S204), 상기 위치획득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된 위치의 좌표치 계산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S205).
제어부(160)는, 메모리(140)에 기 구비된 각 지역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 테이블내에서 상기 파악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 존재하는 방송국을 선별하고(S206), 상기 방송국의 방송채널 목록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207).
이하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 테이블에 대해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역(지역번호) 방송국 채널명
수도권(02) KBS Ch01 - KBS TV
Ch02 - KBS Radio
Ch03 - KBS Data
MBC Ch04 - MBC TV
Ch05 - MBC Radio
Ch06 - MBC Data
SBS Ch07 - SBS TV
Ch08 - SBS Radio
Ch09 - SBS Data
충청권(042) KBS Ch10 - KBS TV
Ch11 - KBS Radio
Ch12 - KBS Data
MBC Ch13 - MBC TV
Ch14 - MBC Radio
Ch15 - MBC Data
SBS Ch16 - SBS TV
Ch17 - SBS Radio
Ch18 - SBS Data
표 1을 참조하면, 제어부(160), 위치획득부(130)에 의해 계산된 좌표치가 충청권에 해당하는 값이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 테이블상에서 상기 충청권에 해당하는 방송국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방송국들의 방송채널 목록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상기 방송국들의 방송채널 목록을 표시부(150) 화면상에 표시하면 이하의 도 3과 같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된 방송국 및 방송채널 목록을 나타낸 화면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역 방송국별로 분류된 방송채널들이 해당 지역별로 표시된다. 그리고 지역별로 분류된 방송 채널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탭을 사용하여 각 지역간 방송국별 방송채널 목록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해당 권역의 지역번호(DDD)를 단축키로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탭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방송채널 목록을 표시한 상태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방송채널이 선국되면(S208), 방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재생한다(S209).
이때, 제어부(160)는,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 테이블상에 존재하면 업데이트하고, 만약 상기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상기 방송채널에 따른 방송국을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는, 방송 수신 중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이동한 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수신을 유지해 줄뿐만 아니라, 지역 방송채널의 자동 선국에 대한 정확도를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기 구비된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서 상기 획득된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 및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 단계는, GPS 위성신호와 기지국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방송채널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존재하면 업데이트하고, 상기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상기 방송채널 에 따른 방송국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5.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부;
    각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가 구비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서 상기 위치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위치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획득부는, GPS 위성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국한 방송채널을 상기 메모리의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채널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존재하면 업 데이트하고, 상기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방송국별 방송채널정보에 상기 방송채널에 따른 방송국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단말기.
KR1020060079340A 2006-08-22 2006-08-22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KR20080017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40A KR20080017751A (ko) 2006-08-22 2006-08-22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40A KR20080017751A (ko) 2006-08-22 2006-08-22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751A true KR20080017751A (ko) 2008-02-27

Family

ID=3938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340A KR20080017751A (ko) 2006-08-22 2006-08-22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77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78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디지털방송 채널 검색 장치 및 방법
US7567304B2 (en) Method of sharing preference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JP537234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GB0323214D0 (en) Mobile terminals
JP417651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2497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EP3046278B1 (en) Method for setting different tuner and HMI setting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uner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28180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20110052294A (ko) 라디오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80017751A (ko)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채널 선국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단말기
KR101203855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선호 방송 프로그램 알림 방법
KR101208501B1 (ko) 방송 채널을 자동 변경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KR20100040409A (ko) 사용자 선호 채널 기반의 자동 프리셋 기능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JP2010252072A (ja) 移動型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移動型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チャンネルサーチ方法
KR101253174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알림 방법
GB2539200A (en) Broadcast service following using lookup table
EP2521291A2 (en) Radio broadcast receiver and radio broadcast receiving method linking RDS and DAB
KR101091498B1 (ko) Dmb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최적채널 표시방법
KR20110105951A (ko) 모바일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81781B1 (ko) 문자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1165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주파수대역 제공 방법
KR10130093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91208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채널검색 수신감도개선을 위한 최신 표준채널정보 갱신방법
KR101953373B1 (ko)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자동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