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938B1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938B1
KR101300938B1 KR1020060130208A KR20060130208A KR101300938B1 KR 101300938 B1 KR101300938 B1 KR 101300938B1 KR 1020060130208 A KR1020060130208 A KR 1020060130208A KR 20060130208 A KR20060130208 A KR 20060130208A KR 101300938 B1 KR101300938 B1 KR 10130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roadcast
broadcast frequency
reception sensitivity
frequen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964A (ko
Inventor
구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9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2Indicating arrangements
    • H03J1/04Indicating arrangements with optical indicat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2Indicating arrangements
    • H03J1/025Indicating arrangements with voiced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 H03J5/24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튜너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주파수 중에서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하여 지역 오차에 따라 둘 이상의 주파수가 방송주파수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선택될 때,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보다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가 있는 경우 방송주파수 추가 검색을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의 안내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에 따른 선택 결과, 최초 선택된 방송주파수보다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에 따라 복수 개로 저장된 동일한 방송주파수 중에서 최적의 방송주파수를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주파수, 검색, 메시지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A frequency search method using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방송주파수 검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방송주파수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송주파수 검색시 방송주파수 수신감도를 참조하기 위한 수신감도테이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송주파수 검색 과정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튼조작부 20 : 튜너부
30 : 수신감도측정부 40 : 저장부
41 : 방송주파수저장부 43 : 안내메시지저장부
50 : 제어부 60 : 표시부
70 : 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방송 주파수 검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역 오차에 따라 둘 이상으로 저장된 동일한 방송신호에서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주파수 채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방송주파수 중에서 원하는 방송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오디오기기, 휴대용단말기 등과 같은 수신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수신 장치에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버튼이 구비되는데 상기 키버튼 중 방송주파수 검색을 위한 키가 조작되면 현재 위치에서 임의의 방송주파수를 검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색된 방송주파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다. 이때 방송주파수는 동일한 방송주파수라고 하더라도 지역 오차에 따라 둘 이상의 방송주파수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서울에서 SBS Radio 방송주파수는 107.7MHz이지만, 이 방송주파수를 검색할 경우 107.0MHz, 107.1MHz,…, 107.8MHz, 107.9MHz 등의 주파수가 검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소정지역에서 특정방송국의 방송주파수 검색시, 해당 방송국의 방송주파수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여 이를 검색하는 경우 둘 이상의 방송주파수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방송 청취를 위해 수신 가능한 방송주파수를 선택하지만,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가 최적인 방송주파수인 지를 알지 못한다. 이에 지역에 따라 오차가 생겨 수신 상태에 차이가 발생 되어도 현재 선택되어 있는 방송주파수만 계속 수신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방송국별/지역별 주파수를 알고 있으면 쉽게 최적의 방송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주파수 수신감도가 좋지 않으면 다시 저장된 주파수를 일일이 검색하여 가장 수신 상태가 좋은 방송주파수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 오차에 따라 둘 이상으로 저장된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해서 최적의 방송주파수를 검색하는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파수 검색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검색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파수 검색 방법은, 소정 지역에서 검색된 동일 방송에 대한 방송주파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와 상기 저장된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보다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가 더 높은 경우에만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에 따라 상기 수신감도가 높은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가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수신감도가 가장 좋은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가 출력된다.
상기 안내메시지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출력된다.
상기 안내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방식에 의해 선택되도록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수신감도 이상인 방송주파수가 미선택되면 상기 최초 선택된 방송주파수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 지역에서 검색된 동일 방송에 대한 방송주파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와 상기 저장된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보다 이상인 다른 방송주파수가 있는 경우 그 방송주파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주파수 저장시 각각의 방송주파수 수신감도가 측정된다.
상기 검색된 방송 주파수가 하나인 경우 그 검색된 방송주파수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 지역에서 검색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 상기 검색된 방송주파수와 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보다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가 있는 경우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안내메시지저장부와, 상기 방 송주파수가 저장되는 방송주파수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가 미선택되면, 최초 선택된 상기 방송주파수를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선택되기만 하면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상호간의 수신감도를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 전에 상기 선택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와 저장된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비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역에 따라 복수 개로 저장된 동일한 방송주파수 중 최적의 수신 상태를 갖는 방송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검색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는 주파수 검색 장치가 제공된 MP3 플레이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 검색을 수행하는 버튼조작부(1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조작부(10)에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버튼(11), FM/AM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방송모드설정버튼(13), 방송 주파수를 검색하는 검색버튼(15), 검색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임의의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는 선택버튼(17)이 제공된다. 여기 서 상기 선택버튼(17)은 상기 방송주파수를 선택 후 다른 방송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해 출력되는 안내메시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검색버튼(15)의 조작에 따라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20)와 상기 튜너부(20)에 의해 선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80)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튜너부(2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주파수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방송주파수를 저장하도록 방송주파수저장부(41)를 갖는 저장부(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측정된 방송주파수는 도 3과 같이 각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데이터가 함께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40)는 안내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시지저장부(43)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요소 즉, 버튼조작부(10), 튜너부(20), 수신감도측정부(30), 저장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상기 선택버튼(17)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와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제어부(50)는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보다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가 더 좋을 경우, 상기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수신감도가 좋은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안내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최적의 방송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수신상태가 더 좋은 채널이 있습니다. 선택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표시 부(60)에 표시되어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검색 방법을 도 2,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수신감도테이블이며, 도 4는 도 2의 방송주파수 검색 과정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P3 플레이어는 전원버튼(11)이 조작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한다(S100). 상기 MP3 플레이어가 동작 되는 상태에서 방송 청취를 위해 방송모드설정버튼(13)이 조작되면 AM메뉴 또는 FM메뉴가 선택된다(S102). 본 실시 예에서는 FM메뉴를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FM메뉴 선택 후, 특정 방송주파수를 청취하기 위해 검색버튼(15)이 조작되면 현재 머물고 있는 지역의 방송주파수를 검색한다(S104).
그러면 상기 검색된 방송주파수는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검색되어 질 수 있다(S106). 즉 제106단계에서 상기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한 둘 이상의 방송주파수가 존재할 경우 각각의 방송주파수는 수신감도측정부(30)에 의해 수신감도가 측정되어 데이터화 된다. 동시에 상기 데이터화 된 방송주파수는 제어부(50)에 의해 저장부(40)에 구비된 방송주파수저장부(41)에 저장된다(S108).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현위치에서 주파수를 검색한 결과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하여 둘 이상, 즉 세 개의 방송주파수로 저장되었고 수신감도데이터 또한 함께 저장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CH1:89.7MHz, CH2:89.9MHz, CH3:90.9MHz은 모두 동일 방송국의 방송주파수이며, CH2:89.9MHz의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레벨이 50dB로 다른 채널의 수신감도레벨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감도레벨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형태로 측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도 4의 예시도를 참조하면, 도 4(b)와 같이 검색된 방송주파수(즉, CH)가 하나 이상 표시부(60)에 표시된다(즉, CH1, CH2, CH3). 이때, 표시부(60)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도 4(c)와 같이 스크롤바(62)를 이동시켜 검색된 나머지 방송주파수(즉, CH)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즉, CH4, CH5 …). 그리고 도 4(b)에서 음영표시가 되어 있는 부분(즉, CH2)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동일한 방송주파수(즉, CH1, CH2, CH3) 중 수신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주파수로써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이어서, 방송 청취를 위해 제110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 선택버튼(17)의 조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즉, CH2)가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즉, CH2)의 수신감도와 상기 방송주파수저장부(41)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방송주파수(즉, CH1 및 CH3)의 수신감도를 비교/판단하게 된다(S110). 상기 비교/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즉, CH2)가 상기 방송주파수저장부(41)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주파수(즉, CH1 및 CH3)보다 수신감도가 더 좋고 따라서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즉, CH2)가 출력된다.
하지만, 제110단계에서 방송주파수(즉, CH1)가 선택버튼(17)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즉, CH1)의 수신감도와 상기 방송 주파수저장부(41)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방송주파수(즉, CH2 및 CH3)의 수신감도를 비교/판단하게 된다(S110). 상기 비교/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즉, CH1)보다 상기 방송주파수저장부(41)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주파수(즉, CH2 및 CH3) 중에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즉, CH2)가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4을 다시 참조하면, 도 4(d)와 같이 선택버튼(17)이 조작되어 CH1:89.7MHz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CH1:89.7MHz보다 수신감도가 더 좋은 CH2:89.9MHz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50)는 저장부(40)에 구비된 안내메시지저장부(43)를 제어하여 동일한 신호에 대한 최적의 방송주파수에 대하여 검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안내메시지를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표시부(60)를 통하여 출력한다(S112). 즉, 도 4(e)와 같이 상기 안내메시지가 표시부에 표시된다. 물론 스피커를 통해 안내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제112단계에서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에 따른 선택버튼(17)이 조작되면 제114단계로 진행되어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즉, CH2)가 선택된다. 그러나, 제112단계에서 상기 방송주파수(즉, CH1)에 대하여 추가 선택이 수행되지 않으면, 제110단계에서 선택한 방송주파수(즉, CH1)가 출력된다(S116). 즉, 도 4(e)와 같이 상기 표시된 안내메시지에서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수신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주파수(즉, CH)인 CH2:89.9MHz가 선택/출력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기존에 선택한 CH1:89.7MHz이 출력된다.
한편, 제106단계에서 상기 방송주파수저장부(41)에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하 여 하나의 방송주파수만 저장되는 경우가 발생한다(S118). 상기 방송주파수가 선택버튼(17)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이 경우에는 상기 방송주파수만이 선택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상기 선택한 방송주파수가 출력된다(S12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역 오차에 따라 둘 이상으로 저장된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해서 최적의 방송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동일한 방송신호에 대하여 최적의 방송 주파수를 검색하도록 안내메시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방송 주파수를 검색하는 불편함이 줄어들어 사용성의 편의를 돕는다.

Claims (14)

  1. 소정 지역에서 검색된 동일 방송에 대한 방송주파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와 상기 저장된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보다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가 더 높은 경우에만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에 따라 상기 수신감도가 높은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가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수신감도가 가장 좋은 경우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방식에 의해 선택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수신감도가 높은 방송주파수가 미선택되면, 선택된 방송주파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주파수 저장시 각각의 방송주파수 수신감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방송 주파수가 하나인 경우 그 검색된 방송주파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9. 소정 지역에서 검색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
    상기 검색된 방송주파수와 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방송주파수보다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가 있는 경우 방송주파수를 선택하도록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안내메시지저장부와, 상기 방송주파수가 저장되는 방송주파수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감도가 더 좋은 방송주파수가 미선택되면, 최초 선택된 상기 방송주파수를 선택/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주파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주파수가 선택되기만 하면 상기 저장된 방송주파수 상호간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장치.
  14.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메시지 출력 전에 상기 선택한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와 저장된 다른 방송주파수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장치.
KR1020060130208A 2006-12-19 2006-12-1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30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08A KR101300938B1 (ko) 2006-12-19 2006-12-1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08A KR101300938B1 (ko) 2006-12-19 2006-12-1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964A KR20080056964A (ko) 2008-06-24
KR101300938B1 true KR101300938B1 (ko) 2013-08-27

Family

ID=3980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208A KR101300938B1 (ko) 2006-12-19 2006-12-19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9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022A (ko) * 1995-09-27 1997-04-30 배순훈 방송채널 자동선국방법
KR0141860B1 (ko) * 1995-02-10 1998-07-15 배순훈 채널 자동 선국시 채널 중복 방지 방법
KR20000027976A (ko) * 1998-10-30 2000-05-15 전주범 텔레비전의 동일방송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60111779A (ko) * 2005-04-25 2006-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일 방송 중 최적 채널 자동 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860B1 (ko) * 1995-02-10 1998-07-15 배순훈 채널 자동 선국시 채널 중복 방지 방법
KR970019022A (ko) * 1995-09-27 1997-04-30 배순훈 방송채널 자동선국방법
KR20000027976A (ko) * 1998-10-30 2000-05-15 전주범 텔레비전의 동일방송 채널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60111779A (ko) * 2005-04-25 2006-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일 방송 중 최적 채널 자동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964A (ko) 200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0125A1 (en) Radio Broadcasting Device
EP25808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JPH07273604A (ja) ラジオ受信機
EP17347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KR20110052294A (ko) 라디오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30093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파수 검색 방법 및 장치
JP4387241B2 (ja)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2009649A (ja) 放送受信装置
JP2000138871A (ja) テレビ受信装置
US8467752B2 (en) Receiv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receiving device
JP2000138566A (ja) 放送受信装置
JP2008124986A (ja) 携帯通信端末
KR20080104865A (ko) 휴대용 방송통신단말기의 방송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72742A (ko) 카 오디오의 라디오 주파수 자동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632586B1 (ko) 방송 채널의 선국 방법
KR19990042203A (ko) 티브이의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50037616A (ko) 향상된 fm 송출기능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
KR960004809B1 (ko) 에프엠/에이엠(fm/am) 수신기의 스테레오방송 자동선국 및 자동기억방법
KR20100107531A (ko) 위치 참조 방송 선국 장치 및 방법
KR101325453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150061808A (ko)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전환 방법
KR20060118272A (ko) 방송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080082120A (ko) 라디오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90083A (ko) 영상 수신 장치의 방송 타입 설정 방법
KR20110043214A (ko) 음성 인식에 기초한 라디오 방송 채널 선택 기능을 가지는 avn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