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991A -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991A
KR20080014991A KR1020077028564A KR20077028564A KR20080014991A KR 20080014991 A KR20080014991 A KR 20080014991A KR 1020077028564 A KR1020077028564 A KR 1020077028564A KR 20077028564 A KR20077028564 A KR 20077028564A KR 20080014991 A KR20080014991 A KR 2008001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ory
user
information
request
ali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커크 에스 테일러
잭 스틴스트라
리렌 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94Address books, i.e. directories containing contact information about correspond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로컬 디렉토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유저 도메인은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다.
디렉토리 서비스,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 디렉토리 엔트리, 유저 도메인

Description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PUBLIC TELEPHONE DIRECTORY SER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중 전화 디렉토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기반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출자가 전화로 다른 개인과 연락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호출자는 그 개인의 전화번호를 알 필요가 있다. 필요한 전화번호가 입수가능하지 않으면, 호출 (call) 은 이루어질 수 없다. 사람들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그 개인별 전화 디렉토리를 유지한다.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하드카피 개인별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그 전화번호를 보유한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의 급증 및 향상된 능력으로 인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모바일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정보 단말) 및 컴퓨터와 같은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에 개인별 전화 디렉토리를 전자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개인별 전화 디렉토리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디렉토리들은 매우 개인적이고 국부적인 것에 머무른다. 예 컨대, 개인은 자신의 모바일 폰에 개인적인 디렉토리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렉토리는 특정 모바일 폰에 상주하며, 그 모바일 폰이 물리적으로 입수가능하지 않다면 유저가 액세스할 수 없다. 따라서, 유저가 자신의 모바일 폰을 잊어버리고 안가져간다면, 유저가 그 폰에 상주하는 디렉토리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방법이 없다. 또한, 다른 유저가 모바일 폰상의 디렉토리를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없다. 일부 모바일 폰 또는 PDA가 단거리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정보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더라도, 정보 교환은 일반적으로 양방의 디바이스가 비교적 서로 근접해 있는 애드 혹 (ad hoc) 상황에 한정된다.
공중 전자 전화 디렉토리는 또한 인터넷 상에서 입수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디렉토리는 상이한 비지니스 엔티티에 의해 독립적으로 컴파일링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디렉토리들 간의 동기화가 거의 없고,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 항상 모든 디렉토리에 효율적으로 전해지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이러한 디렉토리는 상이한 비지니스 엔티티에 의해 컴파일링되기 때문에, 소유자가 그 전화번호의 질문 및 분포에 대해 아무런 제어도 행사할 수 없다.
따라서, 특히 상술한 문제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기반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여기에 개시된 기술은, 로컬 디렉토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필요성에 대처하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 (alias) 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다. 이 장치는,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 (contact information) 를 요청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요청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별명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수단;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 (tailoring) 되는,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 및 프로세서는, 로컬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단계로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다. 이 방법 및 프로세서는,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로서, 상기 요청은 특정 유저에 대한 별명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는, 복수의 유저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대응되는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대응되는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 및 프로세서는, 복수의 유저에 소속하는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각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대응되는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대응되는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단계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서버 및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렉토리 중에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의 조직을 최적화하는 단계; 상기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렉토리 중에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평가하여 상기 유저 간의 복수의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및 두 유저들 간의 분리 정도 (degree-of-separation) 관계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평가하고 그리고 상기 두 유저들 간의 분리 정도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조합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이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 로직은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명령은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는,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특정 유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 및 프로세서는, 복수의 유저에 소속하는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는 단계; 특정 유저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단계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서버 및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디렉토리 엔트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로컬 디렉토리를 유지하고 기록 (archival) 목적으로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데이터베이스로 포워딩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과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동기시키는 단계; 및 특정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탐색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요청을 발생시키고, 그리고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조합을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요청은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된다.
게다가,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그 요청을 야기시키는 유저에 관한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 중 하나 또는 둘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는, 상기 특정 유저의 액세스 방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액세스 방침은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는 또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테일러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태 정보는 특정 유저의 네트워크 존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청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Domain Name Syste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분명해질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이 설명을 목적으로 기재되고 나타내져 있다. 알게 되겠지만, 본 발명은 그외의 상이한 실시형태들 또는 실시형태들의 조합일 수도 있고, 그것의 여러 상세는 다양한 다른 관점에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한정할려는 의도가 아닌 사실상의 예시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닌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phone book) 서비스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2는 공중-폰북-서비스-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3은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서비스에 적용되는 별명 및 DNS 서브도메인 개념의 사용의 일 예를 도시한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서비스에 적용되는 별명 및 DNS 서브도메인 개념의 사용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5는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서비스하에서 유저의 폰북을 도시한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서비스하에서 폰북에 있어서의 정보의 링키지 (linkage) 및 집적화를 도시한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7은 전화번호 검색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논리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서비스하에서 사용하기 위한 서버 구성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 시형태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실시형태들만을 표현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한 상세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한 상세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부 예에 있어서, 주지된 구조 및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개념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나타낸다.
도 1은 디렉토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일 시스템 구성이다. 다양한 종류의 디렉토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기반 공중 폰북 서비스 (PPBS; Public Phone Book Service) 를 설명 목적의 일례로서 사용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 (100) 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인프라스트럭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DNS에 대한 프로토콜은 RFC (Requests for Comments) 1034 및 1035 에 규정되어 있다. DNS의 주요 기능은 인터넷 도메인 또는 호스트 네임과 그 대응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간의 매핑을 취급하는 것이다. 도메인 네임/IP 어드레스 대응의 주된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이 비실용적이기 때문에, 도메인 네임 및 IP 어드레스의 리스트는 권한 계층에 있어서 인터넷의 도처에 분포된다. 시스템 (100) 은 DNS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당업자는 여기에 제공된 개시내용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 및 아키텍쳐를 사용하여 시스템 (100) 을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DNS의 아키텍쳐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간략하게, DNS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P 어드레스에 도메인 네임을 매핑시키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리졸버 (resolver) 라 불리는 라이브러리 프로시져 (library procedure) 를 호출한다. 도메인 네임은 파라미터로서 패스된다. 리졸버는 패킷을 로컬 DNS 서버로 보낸다. 그후, 로컬 DNS 서버는 그 네임을 검색하여 IP 어드레스를 리졸버로 리턴시킨다. 교대로, 리졸버는 IP 어드레스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리턴시킨다. 입수가능한 IP 어드레스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도메인 네임에 의해 표현되는 목적지와의 접속을 수립할 수 있다.
기존의 DNS 인프라스트럭쳐는 네트워크-기반 PPBS 를 구현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시스템 (100) 은 루트 서버 (102),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authoritative DNS server) 및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를 포함하는 다수의 서버들,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및 연관된 관리 인터페이스 (110), 표준 DNS 클라이언트 (112),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116), 및 무선 네트워크 (1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루트 서버 (102),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및 관리 인터페이스 (110) 는 별도의 엘리먼트들로서 설명되었지만, 이들 엘리먼트들의 전부 또는 조합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표준 DNS 클라이언트 (112) 는 DNS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준 DNS 클라이언트 (112) 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표준 DNS 쿼리를 발행할 수도 있다.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모바일 폰, PDA 및 다른 종류의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DNS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PPBS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가 모바일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으며, DNS 프로토콜 및 PPBS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로서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폰 (200) 과 같은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모바일 폰 (200) 은 트랜스시버 (202), PPBS 어플리케이션 로직 (204), 유저 인터페이스 (206), 메모리 (208) 및 프로세서 (21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스시버 (202) 는 모바일 폰 (200) 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스시버 (202) 는 모바일 폰과 무선 네트워크 (118) 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트랜스시버 (202) 와 연관된 제어 로직은 인코딩 및 변조와 같은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폰의 경우, 이러한 제어 로직은 또한 스프레드 스펙트럼 처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저 인터페이스 (206) 는 모바일 폰 (200) 의 유저가 어떤 정보를 관찰하고 모바일 폰 (200) 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스크린, 키 패드, 또는 다른 입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저 인터페이스 (206) 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서 폰북 엔트리에 대한 요청을 공식화하는데 사용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저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PPBS 어플리케이션 로직 (204) 은 대응 PPBS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엔트리 생성, 검색, 업데이트, 백업 및 다운로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DNS 별명 및 DNS 서브도메인 개념에 기초하여 폰북을 설립하도록 유저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이하에 더욱 설명할 것이다. 폰북은 한 종류의 디렉토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드레스 북, 레퍼런스 북 또는 콘택트 리스트에 한정되지 않고 폰북 이외의 디렉토리를 구현하여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PPBS 를 참조하여 디렉토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때문에, 설명을 목적으로 폰북을 일 예로서 사용할 것이다.
예컨대, 메모리 (208) 를 사용하여 유저 정보 (210), 디바이스 정보 (212) 및 로컬 폰북 (214) 을 저장할 수도 있다. 유저 정보 (210) 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내의 폰북 엔트리의 소유자와 유저 간의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컬 폰북 (214) 을 사용하여 유저에 의해 생성되는 폰북 엔트리뿐만 아니라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로부터 검색되는 엔트리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16) 는 상술한 다양한 컴포넌트들 간의 조정 (coordination) 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폰 (200) 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로부터 쿼리 또는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요청은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저장된 특별한 폰북 엔트리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루트 서버 (102) 및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와 협력하여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로부터 적절한 정보의 검색을 달성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8) 에 대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통신 캐리어에 의해 동작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루트 서버 (102) 는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상에 디렉토리 정보를 유지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루트 서버 (102) 는 질문자 (inquirer) 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그 질문자가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와 접촉하도록 한다.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저장된 PPBS와 연관된 폰북 엔트리와 같은, 특별한 도메인과 연관되는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권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를 경유하여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로부터 획득되는 임의의 폰북 엔트리는 항상 정확하다.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루트 서버 (102) 및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여기서 기재된 그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제어 로직을 갖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루트 서버 (102) 및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에 의해 가정될 수 있는 서버 (800) 의 일 구성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서버 (800) 는 제어 로직 (804) 을 갖는 프로세서 (802) 및 메모리 (8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는 대응 PPBS 유저에 관계되는 전화상의 다른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엔트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는 PPBS 유저가 그 각각의 폰북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내의 정보는, 그들에게 가장 잘 맞는 방식으로 유저가 그 폰북의 엔트리를 조직하고 명명할 수 있도록 DNS 서브도메인 개념 및 DNS 별명에 기초하여 조직된다. DNS 별명은 또한 DNS 프로토콜하에서 CNAME 자원 레코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적용가능한 DN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조직되었을 경우, 각 폰북 엔트리는 그후 쿼리, 업데이트 등과 같은 여러 DNS 기능에 사용될 수 있는 DNS 네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인터페이스 (110) 는 관리자에 의해 사용되어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저장된 폰북 엔트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컴포넌트들의 상호접속 및 상호작용에 관한 상세를 이하 더욱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PPBS 서비스에 적용되는 DNS 서브도메인 개념 및 DNS 별명을 도시한다. "com" 표기 (300) 는 최상위-레벨 도메인을 지칭한다. PPBS 서비스는 "ppbs" (302) 와 같이, 최상위-레벨 "com" 도메인 아래의 도메인으로서 취급된다. 각 PPBS 유저는 "ppbs" 도메인 아래의 대응 서브도메인이 할당된다. 할당된 서브도메인은 유저의 폰북에 대한 디폴트 도메인으로서 사용된다. 예컨대, 유저 A 에 대해 할당된 서브도메인은 "userA" (304) 일 수 있다. DNS 서브도메인 개념은 서브도메인 아래에 또 다른 서브도메인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의 서브도메인을 이용함으로써, 유저가 서브도메인을 생성하여 자신의 폰 디렉토리를 맞춤 방식으로 조직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서브도메인 "userA" (304) 아래에, 유저 A 는 "family&friends" (308) 및 "business" (310) 를 더 생성하여 유저 A 의 가족과 친구 및 직장 동료에 대한 콘택트 정보 및 폰 번호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 서브도메인 "family&friends" (308) 및 "business" (310) 의 아래에, 추가적인 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도메인 "family&friends" (308) 아래에 서브도메인 "kids" (312) 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도메인은 DNS 별명을 사용하여 명명될 수 있다. 유저는 그의 폰북 또는 디렉토리에서 자신이 원하는 유저 서브도메인 또는 레코드를, 그들이 의미심장하게 발견한 닉네임 (즉, DNS 별명) 과 연관시킬 수 있다. 각 DNS 별명은 실제 레코드를 참조하며, 상이한 별명을 사용하여 동일한 레코드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유저는 그들에게 가장 잘 맞는 방식으로 명명된 별명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두 별명이 동일한 레코드 "johndoe.ppbs.com" 을 가르킴에도 불구하고, 일 유저는 레코드를 별명 "boss" 와 연관시키도록 선택할 수도 있지만, 다른 유저는 레코드를 별명 "dad" 와 연관시키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폰북에서의 엔트리는 다음 방식으로 통상적인 DNS 네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침표 "." 는 그 엔트리에 대응되는 네임 또는 별명의 끝에 붙여진다. 그때 서브도메인 네임 구조는 그 반대방향으로 가로질러진다. 그때 서브도메인 네임은 별명의 끝에 붙여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 서브도메인 네임은 그 끝 에 부여된 마침표 "." 와 함께 연속적으로 쓰여진다. 일 예로서 도 3을 사용하면, 폰북 엔트리 "sonA" 는 DNS 네임 "sonA.kids.family&friends.userA.ppbs.com"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DNS 네임은 이제 DNS 프로토콜 하에서 DNS 쿼리 또는 그외 트랜잭션 (transaction) 에 이용될 수 있다.
DNS 서브도메인 개념 및 DNS 별명을 사용하는 상술한 방식으로 조직된, 폰북 엔트리는 인터넷 상에서 표준 DNS 클라이언트 (112) 와 같은 임의의 DN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에 액세스 가능해질 수도 있다. 이는, DNS 프로토콜 하에서, DNS 네임이 소정 종류의 DNS 자원 레코드에 대한 DNS 쿼리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PPBS 를 취급하도록 인에이블된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또한 DNS 인프라스트럭쳐에 대한 확립된 유비쿼터스 액세스로 인해 인터넷을 통해 DNS 네임을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하기는 DNS 서브도메인 및 별명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네임 "Fred Individual" 및 "Barney Person" 이 이 예시에서 사용된다. Fred 및 Barney 는 둘다 PPBS 유저이다. PPBS 유저로서, 그들은 둘다 PPBS 에 등록되어 있고 PPBS 시스템 내의 서브도메인이 할당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Fred 및 Barney 는 (DNS 용어로서 표현되는) 서브도메인 "fredindividual.ppbs.com" 및 "barneyperson.ppbs.com" 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이들 서브도메인은 또한 PPBS 시스템 내의 그들의 디폴트 도메인 네임이다. 이들 디폴트 도메인 네임은 또한 그들에게 할당된 각각의 폰 번호를 가지고 있다. DNS 용어에 있어서, 이들 폰 번호는 ISDN/E.164 DNS 자원 레코드이다. Barney 는 "friends" 라 불리는 DNS 별명을 사용하여 그 자신의 서브도메인 아래에 서브도메인을 생성한다. 그후, Barney 는 그의 "friends" 서브도메인 아래에 "fred" 라 불리는 DNS 별명을 더 생성한다. 도 4는 Fred에 관한 Barney 의 폰북 엔트리가 Fred 의 레코드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도시한다. (DNS 네임으로 구성된) Fred 에 대한 Barney 의 폰북 엔트리 "fred.friends.barneyperson.ppbs.com" (400) 은, Fred 의 디폴트 도메인 "fredindividual.ppbs.com" (402) 을 가리키고, 이는 차례로 Fred 의 폰 번호 "111-555-1212" 를 포함하는 Fred 의 레코드 (404) 에 링크되어 있다. Barny 가 Fred 의 폰 번호를 검색하기를 원할 때, "fred.friends.barneyperson.ppbs.com" 에 대한 쿼리를 구성하여 검색을 위한 PPBS 시스템으로 패스할 수 있다. Fred 가 언젠가 그의 폰 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PPBS 시스템 아래의 Fred 의 디폴트 도메인을 통해 참조하기 때문에 Barney 는 새로운 폰 번호를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PPBS 시스템 (100) 아래의 유저 (User1) 의 폰 번호를 또한 도시한다. User1 의 폰북은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User1 은 2개의 서브도메인 "friends" (500) 및 "coworkers" (502) 를 생성했다. User1 은 그의 "friends" 서브도메인 (500) 내에 3명의 친구 (Friend1 (504), Friend2 (506) 및 Friend3 (508)) 를 가지고 있다. Friend1 (504) 및 Friend2 (506) 는 둘다 PPBS 시스템 (100) 내에 있는 유저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유저들의 대응 PPBS 엔트리 또는 디폴트 도메인 ("user2.ppbs.com" (514) 및 "user3.ppbs.com" (516)) 을 가리키도록 User1 의 폰북에 있어서 별명이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Friend1 (504) 및 Friend2 (506) 는 User2 및 User3에 각각 대응된다. User2 및 User3 에 대한 디폴트 도메인 (514, 516) 은 각각 User2 및 User3 의 레코드 (522, 524) 에 각각 링크되어 있다. Friend3 (508) 은 PPBS 유저가 아니므로, Friend3 (508) 에 대응되는 폰 번호는 별명을 사용하지 않고 User1 에 대한 폰북에 직접 별도의 레코드 (526) 로서 기록되어 있다.
"coworkers" 서브도메인 (502) 에 있어서, User1 은 각각 Coworker1 (510) 및 Coworker2 (512) 에 대한 2개의 엔트리를 가지고 있다. Coworker2 (512) 는 User4 의 디폴트 도메인 "user4.ppbs.com" (520) 에 의해 표현되는 또 다른 PPBS 유저인 User4 를 지칭하며, 이는 차례로 User4 의 레코드 (528) 에 링크되어 있다. Coworker1 (510) 는 "friends" 서브도메인 (500) 내의 Friend1 (504) 에 링크된 User2 의 디폴트 도메인 (514) 과 일치하는 User2 의 디폴트 도메인 "user2.ppbs.com" (518) 에 링크된 별명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별명 Friend1 (504) 및 Coworker1 (510) 은 User2 의 디폴트 도메인 "user2.ppbs.com" 을 경유하여 동일한 PPBS 유저인 User2 를 지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User2의 디폴트 도메인 "user2.ppbs.com" 은 User2 의 레코드 (522) 에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User2 의 레코드 (522) 의 변경을 통해 수행되는) User2 가 자신의 폰 번호를 변경할 경우에, "friends" 및 "coworkers" 서브도메인 (500, 502) 둘다에 있어서 User2 에 대한 User1 의 별명은 User2 의 디폴트 도메인 "user2.ppbs.com" 을 경유하여 (User2 의 레코드 (522) 에 반영된) 새로운 폰 번호에 자동으로 링크되고, 이로써 User1은 User2의 새로운 폰 번호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PPBS 시스템 (100) 은 DNS 에 있어서 "보기 (views)" 의 개념을 이용하여 확장된다. DNS 에 있어서 보기는 일반적으로, 조직 내부의 것 및 그 조직 외부의 것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2개의 상이한 그룹의 사람들에게 관찰될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세트의 네임-투-IP 어드레스 매핑을 이루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PBS 시스템 (100) 은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데이터에 대한 보기를 확장한다. 예컨대, 이러한 정보는, PPBS 시스템 상태 정보, 레코드 소유자의 네트워크 존재, 시각, 요청자에 관한 정보, 요청자와 레코드 소유자 간의 관계, 레코드 소유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보의 일부는 레코드 소유자에 의해 특정되는 액세스 조건 또는 방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정보는, 폰북 데이터의 보기가 폰북 엔트리의 요청자에게 이용가능하게 되도록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네트워크 존재 정보가 레코드 소유자가 현재 사무실 밖에 있음을 나타낼 경우, (요청자가 그 정보를 수신하도록 허가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PPBS 시스템 (100) 은 요청자에게 레코드 소유자의 모바일 폰 번호를 포워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PPBS 시스템 (100) 이 표준 DNS 클라이언트 (112) 및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에 대해 상이한 보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준 DNS 클라이언트 (112) 와 관련하여, 이러한 클라이언트 (112) 는 요청이 이루어진 시각에 의존하여 검색 요청에 대한 상이한 결과를 수신할 지도 모르고; 또한, 그 결과가 요청 클라이언트의 도메인 네임 또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할 수 있다.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와 관련하여, 이러한 클라이언트 (114) 는 표준 DNS 클 라이언트 (112) 에 대해 이용가능한 것과 상이할 수도 있는 보기를 PPBS 시스템 (100) 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요청자를 요청되고 있는 레코드의 소유자의 친구로서 식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요청자가 친구이기 때문에 요청은 셀 폰 번호로 리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요청자는 동료 (co-worker) 일 수도 있으므로, 워크 폰 번호를 수신하도록 단지 허용된다. 유사하게, 소유자에 의해 특정되는 액세스 조건과 같은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요청자에게 제공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된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는 유저에 관한 정보가 서로 집적화되고 링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집적화 및 링키지는 데이터 액세스에 대한 유저 방침의 강제 및 변경의 유효하고 효율적인 전파를 허가한다. 예컨대, PPBS 시스템이 없이, 유저가 자신의 폰 번호를 변경할 경우, 유저가 그 변경에 관해 친구, 가족 및 비지니스 콘택트에게 모두 알릴 필요가 있다. 누군가는 빠트려질 수도 있고, 그리하여 콘택트를 잃게 될 수도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편, PPBS 시스템은 유저가 자신의 레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로서 유저의 모든 콘택트가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변경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PBS 시스템은 유저가 전파 또는 액세스 방침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레코드를 획득하고자 하는 사람만이 획득할 수 있도록 허가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내의 어떤 폰북이 집적화되고 링크될 수 있 는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명의 등록된 유저인 User1 및 User4 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상에 독립적으로 그들의 폰북 (600, 602) 을 업로드하였다. 폰북 (600, 602) 으로부터의 각 레코드가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로딩됨에 따라,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에 의해 형식 검사 및 데이터 검증을 수행한다. 이 예에서, User1로부터의 폰 엔트리 (604) 및 User4로부터의 폰북 엔트리 (606) 는 둘다 폰 번호 "111-222-5555" 를 갖는 (User1 및 User4 둘다에 의해 "Friend3" 으로 지정된) 동일한 유저를 지칭한다.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User1, User4 및 Friend3 사이의 이러한 접속을 통지한다. Friend3 이 이미 PPBS 의 등록된 유저인 경우, Friend3 이 이미 그의 레코드에 관해 어떤 전파 및 액세스 방침을 제공하였을 수도 있다. 전파 및 액세스 방침은 그의 레코드의 어느 일부가 어느 유저에게 액세스 가능한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Friend3 이 다른 유저가 그를 지칭하여 그의 레코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User1 및 User4 로부터의 E.164 레코드를 제거하고 CNAME 레코드를 사용하여 (즉, DNS 별명을 사용하여) Friend3 을 지칭할 것이다. 다음에, Friend3 은 그의 폰 번호를 업데이트하고, Friend3 이 그의 변경의 전파를 가능하게 한다고 가정하여, User1 및 User4 는 업데이트를 획득할 것이다.
Friend3 이 현재 PPBS 의 등록된 유저가 아닌 경우,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User1 과 User4 간의 Friend3 의 공유된 레코드를 입수하고, Friend3 을 나타내는 일 레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User1 및 User4 로부터의 폰북 엔트리가 그 레코드를 지칭하도록 할 것이다. 다음에, User1 및 User4 중 어느 하나가 Friend3 에 대한 그의 엔트리를 변경하고,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그 유저가 다른 유저에 대해 엔트리에 대한 변경을 전파하도록 허가하게 재촉할 것이다. PPBS 시스템 (100) 내의 유저들 간의 관계 또는 접속은, 독특한 어떤 프로파일 속성, 예컨대 폰 번호, 어드레스 및 네임, 또는 다수의 속성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그의 레코드로부터 식별될 수도 있다.
그 유저들 간의 관계를 식별하는 능력을 가짐으로써, PPBS 시스템 (100) 은 다수의 폰북에 기초하여 복잡한 관계를 설립할 수 있다. 예컨대, DNS 서브도메인 계층제를 확장하여 "friends-of-friends" 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콘택트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후, PPBS 의 유저는 유저와 다른 개인 사이의 "간격 정도" 또는 "분리 정도" 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쿼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유저 어플리케이션에 근거한 다수의 공동체가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내의 집적화되고 링크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달될 수 있고, 이로써 유저의 그룹 사이에서 통신하는 더 많은 방식을 제공한다.
PPBS 시스템 (100) 은 예컨대, 검색, 업데이트, 백업 및 다운로딩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폰북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 설명할 것이다.
PPBS 는 폰북 검색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시스템 (100) 을 사용하여 검색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논리 흐름도이다. 블록 700 에서, 유 저가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로서 모바일 폰 (200) 을 사용하여 기존의 PPBS 유저 "Fred" 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한다.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 (206) 를 사용하여, 검색 서비스를 관리하고 네임 "Fred" 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PPBS 어플리케이션 로직 (204) 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는 모바일 폰 (200) 상에 상주하는 디렉토리 리스트로부터 네임 "Fred" 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후,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네임 "Fred" 를 적절한 DNS 별명 "fred.ppbs.com" 으로 변환하고 요청의 일부로서 그것을 통합할 수도 있다. 네임 "Fred" 를 적절한 DNS 별명으로 변환하는 것은 모바일 폰 (200) 상에 상주하는 폰북의 계층 구조에 좌우되며, 변환 프로세스는 상기 기술하였다.
블록 702 에서, 요청은 모바일 폰 (200) 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로 포워딩된다.
블록 704 에서,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그 요청이 처음으로 누군가가 이 특별한 레코드를 검색하기를 원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다면, 블록 706 에서,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가 루트 서버 (102) 와 접촉하고, 차례로 PPBS 도메인 "ppbs.com" 을 호스팅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를 식별한다.
블록 708 에서,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상에 정보를 획득한 후에,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그 요청을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에게 포워딩하여 처리한다.
블록 710 에서,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로부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요청을 검토하고 적절한 응답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답은 예컨대, PPBS 시스템 상태 정보, 레코드 소유자의 네트워크 존재, 시각, 요청자에 관한 정보, 요청자와 레코드 소유자 간의 관계, 및 레코드 소유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는 그 관련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로 포워딩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후,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가 응답을 테일러링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교대로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가 그 관련 정보를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블록 712 에서, 응답은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로 포워딩된다.
블록 714 에서,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교대로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에게 응답을 전달한다.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그 응답을 또한 캐시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나중에 동일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해 동일한 레코드가 요청될 경우에 개선된 서비스 능력 및 양호한 성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블록 704 에서, 요청된 레코드가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에서 이용가능하다면,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요청된 레코드로부터 정보를 통합한 응답을 공식화하고 그 응답을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로 포워딩한다.
블록 716 에서, 응답을 수신할 경우,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응답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206) 를 통해 유저에게 그것을 표시한다. 또한,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후속하는 검색을 위해 메모리 (208) 내에 상주하는 폰북 (214) 에 관련 정보를 또한 저장할 수도 있다.
PPBS 는 폰북 업데이트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더러터티브 DNS 서비스 (104) 는 다양한 유저에 대해 PPBS 도메인 "ppbs.com" 및 그 연관된 폰북 엔트리를 호스팅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관리자는 관리 인터페이스 (110) 를 통해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를 변경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유사하게, PPBS 의 등록 유저는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를 사용하여 애드 혹 기반의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상에서 자신의 폰북 엔트리 및 연관된 정보를 또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컨대, PPBS 어플리케이션 로직 (204) 은 표준 다이나믹 DNS (DDNS) 프로토콜 (RFC 2136) 을 사용하여 폰북 엔트리에 관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후, 모든 업데이트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의 변경으로 전환된다. 후속하여, 업데이트된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의 사본이 데몬 프로세스 (daemon process) 를 통해 주기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DNS 존-트랜스퍼 (zone-transfer) 라 불리는 프로세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와 같은 다른 관련된 서버로 전파될 수도 있다. 업데이트된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의 사본을 다른 관련된 서버로 전파하는 목적 중 하나는, 더욱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의 작업량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이다. 데몬 프로세스 및 DNS 존-트랜스퍼는 종래에 주지된 것이다. 존-트랜스퍼는 DNS 서버 세트가 그 데이터베이스와 자동으로 효율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DNS 프로토콜 하의 표준의 고유 메커니즘이다.
또한,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이루어진 업데이트는 애드 혹 기반으로 전파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에 의해 캐시 저장된 레코드는, PPBS 도메인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대응 TTL (Time-To-Live; 타임-투-라이브) 엔트리로 태그될 수도 있다. 캐시 저장된 사본이 만료된 것을 나타내는 TTL 을 갖는 레코드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에 대해 누군가가 요청을 발행할 경우,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와 접촉하여 요청된 레코드의 최근 사본을 획득할 것이며, 이로써 특별한 레코드가 요청될 경우에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에 수행된 변경이 애드 혹 방식으로 전파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와 연관된 로컬 폰북 (214) 에 대한 업데이트는, 예컨대, 시각, 유저 위치 및 네트워크 존재를 포함하는 어떤 트리거링 이벤트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예컨대,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가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와 접촉할 경우,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는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에 의해 조정되어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에게 업데이트를 제공하여 그 로컬 폰북 (214) 이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PPBS 는 폰북 백업 및 다운로딩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를 사용하여, 등록된 유저는 셋업 또는 다른 유저 초기화 태스크 동안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로 자신의 로컬 폰북 (214) 을 백업하거나 업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등록된 유저는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에 상주하는 자신의 로컬 폰북 (214) 을 다시 동기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 유저는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로부터 자신의 전체 폰북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PPBS 데이터베이스 (108) 와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사이의 유저의 폰북의 업로딩 및 다운로딩은 상술한 DNS 존-트랜스퍼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될 수도 있다. 표준 DNS 존-트랜스퍼는 "마스터" 서버로부터 "슬레이브" 서버로 일 방향으로의 정보의 전송만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DNS 존-트랜스퍼는 2방향 전송을 수용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다운로딩 목적으로,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 (106) 를 통해) 그 로컬 폰북 (214) 에 대한 폰북 엔트리의 최근 사본을 나타내는 "zone" 을 요청할 수 있다. 업로딩 목적으로, PPBS-인에이블드 클라이언트 (114) 는 또한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로 로컬 폰북 (214) 의 사본을 나타내는 새로운 존을 전송하고, 오더러터티브 DNS 서버 (104) 에게 PPBS 데이터베이스 (108) 내의 대응 폰북을 새로운 존으로 대체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208 및/또는 806) 와 같은 기계 판독가능 디바이스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 과 연관되며, 각 발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된다. 유저 도메인은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디렉토리를 조직하고, 구성하고 및/또는 관리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고 및/또는 사용하기 쉬운 네트워크-기반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가 제공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컴포넌트, 별도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도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컴포넌트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은, 제어 로직, 프로그래밍 명령들, 또는 다른 디렉션의 형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고, 단일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다수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 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전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며, 단수형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별히 그렇게 기술하지 않는한 "하나 및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나중에 공지되게 될 이 개시내용의 전반적으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구조족 및 기능적 등가물은, 참조로서 여기에 명확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청구항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이러한 개시내용이 청구항에 분명하게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대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구성요소가 문구 "하는 수단" 를 이용하여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구성요소가 문구 "하는 단계" 를 이용하여 기술되지 않는다면, 청구항 구성요소는 35 U.S.C.§112 조 6 항 하에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49)

  1. 로컬 디렉토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요청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별명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수단;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유저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장치에 관한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정보와 함께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업데이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정보는 상기 특정 유저의 액세스 방침을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렉토리와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동기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
  8. 로컬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
  9. 로컬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로서, 상기 요청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별명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또 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정보와 함께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정보는 상기 특정 유저의 액세스 방침을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렉토리와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동기시키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15. 복수의 유저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로서, 각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대응되는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대응되는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중에서의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의 조직을 최적화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중에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평가하고; 및
    상기 유저 간의 복수의 관계를 식별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계는 두 유저들 간의 분리 정도 관계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20. 복수의 유저에 소속하는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각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대응되는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대응되는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
  21. 복수의 유저에 소속하는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각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대응되는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대응되 는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중에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의 조직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중에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 간의 복수의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계는 두 유저들 간의 분리 정도 관계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두 유저들 간의 분리 정도 관계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두 유저들 간의 분리 정도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27.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며,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2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제어 로직은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명령은,
    로컬 디렉토리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디렉토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구조로 조직된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하고, 각 디렉토리 엔트리는 서브도메인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별명과 연관되고, 각 별명은 유저와 연관된 유저 도메인에 링크되며, 상기 유저 도메인은 상기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에 링크되어 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명령은,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로서, 상기 요청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별명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유저의 콘택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명령은,
    상기 응답에 포함된 상기 콘택트 정보와 함께 상기 로컬 디렉토리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명령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31.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특정 유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요청을 행하는 유저에 관한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 중 하나 또는 둘다를 더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는, 상 기 특정 유저의 액세스 방침을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방침은 상기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을 테일러링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특정 유저의 네트워크 존재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에서 일 디렉토리 엔트리를 업데이트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클라이언트 상에 저장된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유지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 저장된 로컬 디렉토리와 상기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동기시키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버.
  40. 복수의 유저에 소속하는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특정 유저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방법.
  41. 복수의 유저에 소속하는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를 저장하는 단계;
    특정 유저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및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유저에 관한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 중 하나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는 상기 특정 유저의 액세스 방침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방침은 상기 응답을 테일러링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디렉토리 엔트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5. 제 41 항에 있어서,
    로컬 디렉토리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기록 목적을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렉토리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상기 로컬 디렉토리의 사본을 동기시키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7. 특정 유저에 대한 콘택트 정보를 탐색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요청은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로부터 상기 특정 유저에 대한 대응 디렉토리 엔트리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복수의 디렉토리 엔트리 중 하나 이상의 디렉토리 엔트리는 하나 이상의 폰 번호 및 그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은 상기 요청 및 상 기 특정 유저에 대응되는 디렉토리 엔트리와 연관된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테일러링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유저에 관한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 중 하나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및 상기 응답은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서.
KR1020077028564A 2005-05-06 2006-05-05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20080014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23,444 US8379837B2 (en) 2005-05-06 2005-05-0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public telephone directory service
US11/123,444 2005-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991A true KR20080014991A (ko) 2008-02-15

Family

ID=373940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513A KR20080009225A (ko) 2005-05-06 2006-05-05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20077028564A KR20080014991A (ko) 2005-05-06 2006-05-05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513A KR20080009225A (ko) 2005-05-06 2006-05-05 공중 전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79837B2 (ko)
EP (1) EP1878207A4 (ko)
JP (1) JP2008543132A (ko)
KR (2) KR20080009225A (ko)
CN (1) CN101199190A (ko)
WO (1) WO20061218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9837B2 (en) 2005-05-06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public telephone directory service
US7567582B2 (en) * 2005-08-19 2009-07-28 Microsoft Corporation Branch office DNS storage and resolution
US7590418B1 (en) * 2006-01-20 2009-09-1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 location server for hierarchical WLAN systems
WO2008033063A1 (en) * 2006-09-15 2008-03-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 client device
WO2008113062A1 (en) * 2007-03-14 2008-09-18 Heather Alisha Davis Wireless directory unit and system with cdma transfer and sim storage method
US20080292092A1 (en) * 2007-05-22 2008-11-27 Laporte Jeff A System and method for telephone number normalization and denormalization
US7818396B2 (en) * 2007-06-21 2010-10-19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ng and searching profile data from multiple services
SG157990A1 (en) 2008-07-04 2010-01-29 3Rd Brand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growth of a mobile community
CN101754167B (zh) * 2008-12-17 2013-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存储方法、装置和系统
US20100217984A1 (en) * 2009-02-13 2010-08-26 Hill Gregory G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email messages
US20120027190A1 (en) * 2009-04-06 2012-02-02 Yeonchul Kim Phone Name Service
US20120039455A1 (en) * 2009-04-06 2012-02-16 Yeonchul Kim Phone Domain Name Service
US20100254523A1 (en) * 2009-04-06 2010-10-07 Yeonchul Kim Phone domain name service
US20110082896A1 (en) * 2009-10-07 2011-04-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ally Updated Web-Enabled and Embedded Contact Address in Communication Devices
US9282143B2 (en) * 2009-10-09 2016-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handling data stored by a communication system
US8688802B2 (en) 2010-03-15 2014-04-01 Salesforce.Com,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ng an application from a custom subdomain
CN103888626A (zh) * 2012-12-20 2014-06-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信息服务器和通信系统
JP6384095B2 (ja) * 2013-06-06 2018-09-05 株式会社リコー 伝送端末、プログラム、画像表示方法、伝送システム
US9756012B1 (en) * 2014-06-16 2017-09-05 Amazon Technologies, Inc. Domain name service information propagation
US9641503B2 (en) 2014-10-03 2017-05-02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credentials stored in different directories to access a common endpoint
US9953095B1 (en) * 2015-07-28 2018-04-24 HCA Holdings, Inc. Enhanced delivery of deidentified production data
US10715484B1 (en) * 2019-12-11 2020-07-14 CallFire, Inc. Domain management and synchroniz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1550A (ja) * 1991-01-14 1992-08-28 Ricoh Co Ltd 通信端末装置の宛先指定方法
US5960442A (en) * 1997-11-12 1999-09-28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Real-time interactive directory
US6539077B1 (en) * 1998-06-05 2003-03-25 Netnumbe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lating a unique identifier, such as a PSTN telephone number, to an internet address to enable communications over the internet
JP2000151789A (ja) * 1998-11-11 2000-05-30 Murata Mach Ltd 通信端末装置
JP2000196771A (ja) * 1998-12-24 2000-07-14 Nec Corp 電話帳管理システム
US6931419B1 (en) * 2000-02-11 2005-08-16 Hallmark Cards Incorpora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ically accessing, maintaining, propagating user data among plurality of communities, each of which contains plurality of members
US7441270B1 (en) * 2000-07-06 2008-10-21 Intel Corporation Connectivity in the presence of barriers
JP2002057807A (ja) * 2000-08-08 2002-02-22 Nec Corp 携帯電話の電話帳管理システム
US7039177B1 (en) * 2000-09-13 2006-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utomatic update of a directory entry within a directory of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by electronic notification
JP2002135312A (ja) 2000-10-24 2002-05-10 Saver Corp 通信システム
JP3467014B2 (ja) * 2000-12-08 2003-11-17 株式会社東芝 電話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発呼方法
US6981043B2 (en) 2001-03-27 2005-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user identities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JP2002300263A (ja) 2001-03-29 2002-10-11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
KR100409177B1 (ko) 2001-08-23 200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망에서의 전화번호 도메인 이름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JP2003078617A (ja) 2001-08-30 2003-03-14 Nec Corp Ip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る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及びその電話帳更新方法
US20030074461A1 (en) 2001-10-09 2003-04-17 I-Dns.Net International Pte. Ltd. Method of mapping names or identifiers to telecommunications network resource locations
US7161933B2 (en) 2002-09-24 2007-01-09 Intel Corporation Optimistic caching for address translations
JP3902574B2 (ja) 2003-07-28 2007-04-11 Necソフト株式会社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379837B2 (en) 2005-05-06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public telephone directory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3132A (ja) 2008-11-27
US8379837B2 (en) 2013-02-19
KR20080009225A (ko) 2008-01-25
CN101199190A (zh) 2008-06-11
EP1878207A2 (en) 2008-01-16
WO2006121863A2 (en) 2006-11-16
WO2006121863A3 (en) 2007-10-11
US20060251239A1 (en) 2006-11-09
EP1878207A4 (en)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98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public telephone directory service
US10693840B2 (en) Method for distributing contact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s
US8285925B1 (en) Management of object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US5239577A (en)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cross-media connections
JP4385055B2 (ja) 動的なステータスに応答して同期通信を得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
US647033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arching for, and retrieving, profile attributes based on other target profile attributes and associated profiles
JP5138970B2 (ja) システム、サーバ、情報端末、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ミドルウェア、情報通信機器、認証方法、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US83214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ccess to always current contact information
US20100299340A1 (en) Distributed contact information discovery and sharing
US8964761B2 (en) Domain name system, medium, and method updating server address information
CN101911652B (zh) 增强enum安全性
CA2262353A1 (en) Network directory access mechanism
US8095118B2 (en) Address book remote access and extensibility
EP16888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or sensitive role membership lookup
US9875212B1 (en) Managing cach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US8621182B1 (en) Management of object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US8316213B1 (en) Management of object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JP5701764B2 (ja) コンピュータ記憶システムにおけるパーティ識別のモデル化
US8732314B2 (en) Generation of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associating browsed content to user actions
WO2001086494A1 (en) User profile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WO2001058113A1 (en) Location service for the internet
US20060128363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electronic databases
KR100388610B1 (ko) 아이피 폰 넘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riese et al. Cross-domain discovery of communication peers: Identity Mapping and Discovery Services (IMaDS)
US8521771B1 (en) Management of class-associated object map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